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現身成佛 설화에 보이는의상 화엄사상의 영향

        박서연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8 No.-

        This paper is on Uisang’s influence on the teaching of ‘accomplishing Buddhahood in one’s present lifetime’ (現身成佛). There are two records of this teaching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They are stories about faith in Amitabha that involve the characters Gwangduk (廣德)-Umzang (嚴莊) and Nohillbuduk (努肹夫得)-Daldalbakbak (怛怛 朴朴). Daldalbakbak was especially diligent in chanting to Amitabha. As a result, he became the Amitabha in that same lifetime. It is a unique in the history of eastern Buddhism and only seen in the Silla period. Faith in Amitabha was a practical and people believed that Silla was in fact the ‘Pure Land of Amitabha’ (極樂淨土).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is teaching took a new form. After returning to Silla, Uisang taught his disciples the concept of ‘one’s future Buddhahood’ (當果佛) while also accepting faith in Amitabha. He said that “Buddhahood attained by me in the future” enlightens me and makes me a buddha. In conclusion, I argue that the teachings of one’s own future Buddhahood and the concept that ‘I am inherently Buddha’ (自本是佛) probably influenced the teaching of accomplishing Buddhahood in one’s present lifetime. 본고는 『삼국유사』 所載 현신성불 설화에 보이는 의상 화엄사상의 영향에대해 고찰한 것이다. 『삼국유사』에 실린 정토왕생 관련 설화 중에서 문무왕대의 광덕⋅엄장 설화와 성덕왕대의 노힐부득⋅달달박박의 설화를 비교해보면, 의상의 입적 후 수년 내에 왕생 관념에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현신성불 관념은 정토수행자가 사후가 아니라 지금 현재의 몸으로 부처를 이룬다는 것인데, 성덕왕대인 709년에 보이는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의 설화에서는 죽은 뒤의 왕생, 즉 사후 왕생을 말하는 이전의 광덕⋅엄장 설화와 달리살아서의 왕생, 즉 현신왕생을 보여줌으로써 왕생 관념의 변화를 가져왔다. 신라인들은 그들이 사는 곳이 예로부터 부처와 인연이 깊은 땅이라고 여겼으며, 나아가 신라에 아미타불 등 諸佛菩薩이 상주한다고 하는 인식이 있었다. 아미타불은 중생구제의 서원을 세우고 서방의 극락세계에 머무는 타방불인데, 그 아미타불이 신라에 상주한다는 사고는 곧 타방불인 아미타불의 극락세계를 현실의 신라땅으로 옮겨온 것이다. 현신왕생 관념은 이러한 ‘신라가 곧불국정토’라고 하는 인식의 연장선에서 도출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곳신라에서의 왕생과 성불’이라는 새로운 왕생 관념의 창출에 의상 화엄사상과의 접목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해동화엄을 개창한 의상은 당시 신라에 유행하던 정토신앙을 수용하였고, 이러한 그의 정토신앙은 화엄사상에 의거한 것이었다. 의상은 범부의 현재 몸을 부처의 當體로서 인식하고 있었으며, 나의 현재 몸을 움직이지 않고 법신자체인 뜻을 강조하였다. 의상은 나의 當果佛이 현재의 나를 교화하여 수행하게 한다고 하고, 또한 현재의 나는 당과불의 교화에 의해 발심 수행하여 성불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의상은 당과불설을 통해 모든 이들이 스스로 부처임을 자각하고 부지런히 수행정진하게 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의상의 화엄사상은 ‘이땅 신라에서 현재의 신라 사람의 몸으로써 수행하여 성불한다’고 하는 현신성불 관념 형성에 사상적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의상의 입적7년 후에 나타나는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의 현신성불’이라는 창의적 불교설화의 발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 고대 士類의 불교적 이해 -신라의 사례와 양상을 중심으로-

        신선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논총 Vol.51 No.-

        This study looks deeper into the meaning of Sa(士) mainly in the Silla Dynasty. This study not only views the Sa in different perspective compared to the other Confucian perspective papers, but also has meaning because it analyzes the meaning of Sa in the Buddhist perspective specific to the Silla Dynasty. First, this paper looks into the different cases of Sa, such as Joong-sa(衆士), Shin-sa(信士), Geo-sa(居士), and Seon-sa(善士), which are types of 'layman'(在家信者), and Gae-sa(開士) and Dae-sa(大士), which are types of 'monk'(出家者). Of course, there are records of other types of Sa in historical records, such as Bak-sa(博士), or other Sa which the meaning is self-explanatory - such as 'Sok-sa'(俗士). However, these types of Sa were not explained since they are not mentioned often. The Buddhist Sa viewed in Silla Dynasty does not differ hugely from Buddhist origin which is viewed from Chinese Buddhist Scriptures. However, it could be viewed that the Silla Dynasty Sa is different from the Chinese Sa from the fact that it divides 'layman' to Shin-sa and Geo-sa, and that Dae-sa, which is referred as Buddhist saint, has been used to call monk in late Silla prehistoric scripts. Especially, we could infer that the layman had high status from the fact that layman's possibility of attainment of Buddhahood was commonly described with Shin-sa. This also comes from the background of 'Ui-sang(義湘)' from middle age Silla, 'Tang Guo Bul(當果佛)' from <Avatamska Sutra>, and the natural attainment of Buddhahood from late Silla's Zen(禪宗). Along with the references above, the characteristical change of late Silla Sa was that monk and the Buddhist saint had similar status. This was found that this was related to 'Daeseungbosaldo(大乘菩薩道)' emphasized by Zen Buddhist monks who tried to combine Zen(禪) and Gyo(敎). Just like various non-Zen sect monks became saints in order to relieve mankind, monk of Zen was also given the name of Dae-sa in order to solidify the status of the Zen Buddhists. We hope that this research provides historical resource to future researches on Silla's transformation in Buddhist concepts, and that it allows to analyze the meanings of the Buddhist Sa of that period. 한국사에서 ‘-士’로 지칭되는 인물들은 주로 士大夫나 선비 등과 연결되어 유교적 관념이 투영된 부류로 인식되었다. 논의되는 시기 역시 고대사보다는 그 이후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그들의 역할은 정치적 측면에서 부각되었다. 이는 아마도 博士의 사례가 사류의 대표로 인식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금석문을 비롯한 사료에 등장하는 다수의 士類에서 불교와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衆士의 경우 비구‧사미 등 출가자와 대등하게 기록되었다는 점, 信士는 불교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시점이었음에도 출가자를 알아보고 지원한 존재였다는 점 등은 불교신자로서의 그들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士’가 쓰였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 밖에도 불교 금석문과 『三國遺事』 등 불교 관련 자료들에서 다수의 士類가 등장하는 만큼 기존 인식과는 다른, 불교적 존재로서의 ‘-士’의 의미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신라에서 보이는 불교적 사류는 대체로 불교적 原義, 즉 한역 경전이나 중국의 불교 문헌에서 보이는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재가신자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信士와 居士가 구분되어 인식된 점이나 보살을 지칭하는 원의를 가진 대사가 신라 하대 선사비문을 중심으로 출가자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된 사례들은 신라 사류의 양상 중 주목되는 부분이다. 특히 신라 하대에 이르러 재가신자의 卽身成佛 가능성이 信士의 사례와 함께 표현된 점은 신라의 불교 전래 이후 줄곧 발견되는 재가신도의 높은 위상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다. 이는 中代 의상의 『화엄경』을 기반으로 한 當果佛 인식과 下代 禪宗의 本來成佛 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출가자가 보살과 동등한 격을 지니게 되는 양상 또한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신라 하대 禪‧敎 교섭을 위한 선종 승려들의 대승보살도 강조 양상과 관련된 것으로 파악된다. 즉 중생구제를 위해 교종 승려들이 보살행을 자처했던 것과 같이 禪師 역시 그러한 활동과 인식의 부여를 위해 보살과 禪師를 동일하게 大士로 칭함으로써 당대 불교계에서 禪宗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중대 신라인의 정토(淨土)와 성불(成佛) 인식

        박미선(Park Mi-sun) 한국역사연구회 2018 역사와 현실 Vol.- No.109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Shilla people’s idea of an “Ideal world,”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eon’hyo and Euisang’s perception of Jeongto, the “Pure Land” (or Buddhist Heaven), in the Jungdae (“Middle”) period of Shilla. This was the time when Shilla Buddhism was able to escape the confines of its previous identity as a political ideology, and was newly striving to become a true religion and a body of religious teaching. Weon’hyo saw Yeto and Jeongto as one[一心], but defined Jeongto as a place where ordinary people(“Jungsaeng”) would resurrect after their deaths. Meanwhile, Euisang tried to offer another take, based upon the Hwaeomgyeong scripts, suggesting the state of coexistence between Buddha and Bodhisattva, and described Geukrak Jeongto as a place located on the way to the Yeon’hwajang world. With the Jeongto belief prominently prevailing in Shilla, such faith was pursued throughout the entire society regardless of the believer’s social class. While Buddhist priests,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nd those from aristocratic houses all perceived Geukrak Jeongto as the afterlife, and pursued personal training to ensure their own while making contributions to Buddhist communities, ordinary people engaged themselves in chanting, and also reached for not only the afterlife in Geukrak (“Geukrak Wangsaeng”), but ‘becoming Buddha in this life’ themselves (“Hyeonshin Seongbul”). The latter in particular shows us that many Shilla people were actually more interested in becoming Buddha-like characters themselves, than simply being reborn in the afterlife. With the Jinshin Sangju belief in place, they used Buddha as their very model, and with a relatively easy training method such as chanting, they set a formidable goal of their own to become Buddha themselves, which seems like a result of no other than the combined teaching of Euisang and Weon’hyo. This determination to become Buddha themselves led to diverse forms of religious activities, such as the effort to meet and greet not only Amita but also Meitreya and Ksitigarbha Bodhisattvas themselves. We can say the Shilla people were trying to build an ideal society (Jeongto) on their own country, through personal efforts to become Buddha-like figures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