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 리터러시의 개념과 학습에 대한 고찰 : 리터러시의 재개념화와 국어 교육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성엽 한국독서학회 2024 독서연구 Vol.- No.70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의 문식 활동과 학습을 반영하는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재개념화를 시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리터러시 개념과 이론의 역사적 변천을 정리했으며, 인공지능 시대의 리터러시를 연결주의 이론에 따라 재개념화했다. 연결주의 이론에 따라 현대에 요구되는 리터러시는 파편화된 정보를 적절히 선별해 유의미하게 연결하는 능력으로 재개념화했다. 또한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에 갖춰야 할 리터러시를 AI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AI 리터러시 개념이 혼재되어 사용되는 문제 의식에 입각해, 본 연구는 연역적‧귀납적 접근을 융합함으로써 AI 리터러시를 정의했으며, 그 특성을 두 가지로 구분했다. 또한 국어교육의 학습 내용을 통해 AI 리터러시 중 한 측면의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했으며, 구체적으로 비판적 리터러시와 계산적 리터러시의 측면에서 그 방안을 제언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literacy to reflect literacy practice and learning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literacy concepts and theories, reimagining literacy in the context of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 connectivist theoretical framework. In accordance with connectivist theory, literacy demanded in modern times is redefined as the ability to appropriately select and meaningfully connect fragmented inform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discusses the literacy required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a focus on AI literacy. Addressing the issue of the mixed usage of AI literacy concepts, the study defines AI literacy by integrating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approaches and distinguishes its characteristics into two aspects. Additionally, the research explores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AI literacy through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posing specific strategies within the realms of critical literacy and computational literacy.

      • KCI등재

        AI 리터러시 개념화와 하위차원별 세부 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황현정,황용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40 No.2

        AI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used in all areas of life and lead to social changes as it undergoes destructive innovation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AI-related capabilities so users can handle AI technology more proactively and safely to respond to the AI-based society.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to examine various competencies that users need in an AI-base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I literacy”. While AI literacy has been discussed as a separate conceptual dimension and research area in recent years, discussions on it are very scattered. These uncoordinated discussions could hinder providing consistent and structured education for cultivating AI literacy.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summarize discussions related to AI literacy and derive lower dimensions, constituting factors, and specific competencies based on objective evidence. This study used a systematic review method to approach the discussion on AI literacy in a structured and integrated manner. As a result, AI literacy was defined as "the abilities to recognize AI and apply AI devices or services in daily lives according to ethical attitudes and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s of AI. Moreover the abilities to produce creative results through social communication and AI." The necessary factors in acquiring AI literacy were divided into knowledge, technical, and attitudinal dimensions. Additionally, a concept system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required capabilities for each dimension, with the knowledge dimension corresponding to AI identification and understanding, the technical dimension corresponding to AI application, analysis, and creation, and the attitudinal dimension corresponding to AI ethical use and critical evalu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ntegrates and structurally organizes existing discussions on AI literacy that are scattered and diverse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sub-dimensions of AI literacy. The concept system of AI literacy can be helpful as a basic material when designing AI-related educational courses or composing educational content. AI 기술은 파괴적 혁신을 거듭하면서 우리 삶에 전방위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미래 사회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다가오는 AI 기반 사회에 대응하기위해서는 수용자가 주체적이고 안전하게 AI 기술을 다루고 활용할 수 있도록 AI 기술에 대한 역량을 함양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AI 시대에서 생활하기 위한 필수 능력으로서 수용자가 갖춰야할 역량을 ‘AI 리터러시’ 관점에서접근했다. 기존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와 같은 다른 리터러시 개념 내 하위 역량으로 논의되던 AI 리터러시는 최근들어 별도의 개념적 차원과연구 영역으로 다뤄지고 있으나 그 논의가 매우 산발적이다. AI 리터러시에 대한 합의되지 않은 개념과 논의들은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이 일관적이고구조적으로 제공되는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체계적문헌고찰 방법과 전문가 심층의견조사방법을 통해서 AI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구조적이고 통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했다. 그 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AI 리터러시에 대한 명시적 정의를 분석하고 특성을 도출하여 AI 리터러시를 ‘AI를인지하고, AI에 대한 기술적 지식과 윤리적이고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AI 기기나 서비스를 생활과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더 나아가 AI를 설계하거나 창의적인 결과물을 산출하고 AI를 바탕으로 사회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능력’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AI 리터러시를 갖추는데 필요한 필수적인 지식적차원, 기술적 차원, 태도적 차원으로 요인을 구분하고 각 차원별로 필요한 역량수준에 따라 하위 차원을 지식적 차원에 해당하는 AI 식별과 AI 이해, 기술적차원에 해당하는 AI 활용, AI 분석, AI 창조 마지막으로 태도적 차원에 해당하는 AI 이용 윤리성과 AI 비판적 평가로 개념체계를 마련했다. 본 연구는 AI 리터러시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산발적이고 상이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선행 논의들을 통합적이고 구조적으로 정리하여 AI 리터러시의 개념과 하위차원들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AI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체계는 AI 관련교육과정을 설계하거나 교육 내용을 구성할 때,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AI 시대의 리터러시 특성에 관한 연구 : AI 리터러시와 관계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이유미(Yi Yu-mi)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10 No.-

        이 연구는 AI 시대라는 21세기 기계 문명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 필요한 기초적 역량이 무엇인가를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AI 리터러시와 관계리터러시를 정의하였다. AI 리터러시는 AI 시대에서 필요한 기초역량이 무엇인가를 리터러시 이론의 발전 역사를 통해서 정의하였다. AI 리터러시는 전통적 리터러시인 3Rs(읽기, 쓰기, 셈하기)를 습득하고 사회에 대한 읽기가 가능하도록 교육하는 사회적 리터러시를 함양하여 발전하는 기술시대에 바르게 적응하는 기술리터러시 능력 배양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기술 리터러시는 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티러시, ICT 리터러시 등의 다양한 기술 기반의 리터러시를 포함하며 나아가 AI 시대에 필요한 AI 이해와 활용을 포괄할 수 있도록 디지털리터러시가 아닌 기술 리터러시로 포괄하였다. 또한 포스트휴먼시대를 맞아 관계에 대한 다원성을 이해해야 하는 현대 사회인의 관점에서 관계 리터러시를 정의하고 이들 리터러시 간의 영향 관계에 따른 구조와 AI 시대라는 특수한 시대에 맞는 역량이 무엇인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AI 시대의 리터러시 역량으로는 다언어능력, 혁신성, 포용력, 다변화 이해력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새로운 시대에 맞는 기초 역량을 새롭게 해석해 본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를 가진다. 그뿐 아니라 ‘관계’는 기존 연구에서 리터러시의 대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지만 기술 사회에서 ‘관계’가 새로운 사회의 많은 의미를 함축한다는 지점에서 이를 리터러시의 대상으로 인정하고 그에 대한 특징을 살펴 영향성을 평가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cepts and competences of literacy necessary in the AI era. The literacy needed in the AI era is AI literacy and relationship literacy. AI literacy is the ability to adapt to changing cultures due to AI and recognize them critically. Relationship literacy is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various beings created by AI technology and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s. AI literacy is based on functional literacy, social literacy, technological literacy. Functional literacy, a traditional literacy, refers to acquiring 3Rs (reading, writing, arithmetic). Social literacy is to educate people to read about society, and technology literacy is to learn basic technology skills necessary for the times. Technology literacy encompasses not only digital literacy, media literacy, and ICT literacy, but also AI utilization capabilities. In the posthuman era, there are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s. Relationship literacy was defined to understand the relevance of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paper showed the structure between these literacy and the competence of each literacy. Literacy competences in the AI era are multilingual ability, innovation, inclusion, and understanding of divers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ed ‘relationship in literacy and suggested what basic competences are needed in a new era.

      • KCI등재

        AI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황현정,황용석,박지수,신민호,이현종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4 리터러시 연구 Vol.15 No.2

        AI가 발전하면서 ‘AI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과 역량 강화가 사회적으로 요구되고있지만, 국내 인공지능 사용자의 AI 리터러시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척도는 미비한 상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환경에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측정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국내외 AI 리터러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해 AI 리터러시의 차원을 구분하고 문항을 개발했다. 이후,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를 실시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통해 타당도를 검증했다.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바탕으로 처음 선행연구에 기초해 설정했던 AI 리터러시 요인과 요인별 세부 문항에 일부 수정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AI 리터러시의 하위 구성요소가 5개의 요인(AI 식별, AI 이해, AI 사용, AI 응용, AI 창조)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요인별로 적합한 세부 문항으로 18개 문항을 도출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가 앞으로 더욱 보편화될 인공지능 사용에 대해리터러시 수준을 진단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되는 한편, 법제도적 정책적 기반자료로써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Social demands for the education and competency empowerment of ‘AI literacy’ are required as AI has been developing.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evaluate the AI literacy of Domestic AI users.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ity and reliability Scale of AI Literacy for domestic environment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principles related to AI literacy and developed the AI literacy dimensions and questionnaires. Second, this study con ducted a survey on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ied reliability through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through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astly, the study refined the AI literacy factors and measurement model. As a result, there have been founded five sub elements of AI literacy: AI iden tification, AI understanding, AI usage, AI application and AI creation, and 18 spe cific questions. Furthermore, this research can be expected to serve as an objective assessment for Al literacy usage and foundational resource for legal and policy considerations.

      • KCI등재

        대학생 AI 리터러시 교양교육 개선 방안 제안을 위한 기초 연구

        윤영란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8

        본 연구는 AI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하여 대학의 교양 교과목 수업 운영을 통해 밝혀진 결과들을 토대로 대학생 AI 리터러시 교양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기초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소재 S 대학교 인성교양대학 주관으로 대학생의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양 교과목으로 ‘누구나 배우는 인공지능’을 교양 교과목으로 운영하였다. 수업은 2023학년도 2학기에 전 학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강 인원은 40명이다. 수업 종료 후 수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업 운영 결과, 대학생 AI 리터러시 능력 함양을 위한 교양 교과목 수업이 인공지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AI 리터러시 교양 교과목 수업에 만족하고 있었다. 수업에 흥미를 갖고 참여하였으며 AI 리터러시 능력이 함양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전공, 비전공 학생의 난이도 문제는 개선이 필요하며 수강인원, 신규 교과목 홍보 관련하여서는 대학의 상황을 반영하여 대학생들이 AI 리터러시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의 다양한 개선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하는 기초적인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을 위한 AI 리터러시 교육은 AI 관련 전공, 비전공자 상관없이 모두에게 필요한 교양필수 교과목으로 지정되어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생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서는 전공, 비전공자를 구분하여 난이도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AI 리터러시 함양 교양교육은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 학교의 상황을 고려하여 난이도에 다른 단계별 AI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적절한 수강인원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hat seeks to propose ways to improve college student AI literacy in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to cultivate AI literacy, which is essential in the AI era. The study,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veryone to Learn," was operated as a liberal arts subject to cultivate AI literacy in college students, hosted by the Inseong College of Liberal Arts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class is open to all grad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3, and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s 40. After class completion, a class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 results, a basic improvement plan for liberal arts education to cultivate college student AI literacy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class operation, the liberal arts classes cultivate college students' AI literacy skills and helps them underst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es were satisfied with the AI literacy liberal arts classes. They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interest and recognized their AI literacy skills had been developed. The difficulty for students majoring and non-majoring requires improvement. Regarding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and the promotion of new subjects,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university's situation and develop various improvement measures to help college students improve their AI literacy skills. Based on this, the basic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are as follows. First, AI literac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designated and operated as a required liberal arts subject for everyone, regardless of AI-related major or non-major. Second, to cultivate college student AI literac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between majors and non-majors and develop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ifficulty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anyone can experience a liberal arts education that fosters AI literacy and can be easily learn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ach school's situation and determine an AI curriculum with different difficulty levels and an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 KCI등재

        아동 뇌 발달과 AI윤리에 기초한 AI 리터러시교육 - 초등 도덕과 교육 적용을 중심으로 -

        박형빈 ( Park Hyoung Bi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5

        학생들은 급속한 기술 발전으로 형성된 새로운 지식 체계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들은 설계자, 개발자, 사용자로서 AI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이 기대된다. 미래 일자리는 주로 AI와 관련될 것이라는 전망을 감안할 때, 리터러시 능력 가운데 디지털 리터러시와 연관된 AI 리터러시(AI Literacy)가 주목된다. 삶의 영위와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소양으로서 윤리에 기초한 AI 기술과 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 능력이 요청된다. AI 리터러시 육성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AI 교육 개념과 학생 연령대를 고려한 교육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첫째, AI 리터러시의 개념 및 필요성을 검토하여 갖추어야 할 역량 요소를 추출했다. 둘째, 아동의 뇌 발달 특성을 확인했다. 셋째, 뇌신경과학 기초 AI 리터러시 교육 지도 방법을 AI윤리교육과 접목하여 구안했다. 궁극적으로 초등 도덕과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AI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Students face the challenges of new knowledge systems formed by rapid advances in technology. They are required to be able to effectively interact with and critically evaluate AI as designers, developers, and users. Among literacy skills, particular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digital literacy. AI technology based on ethics and the ability to manage data are required for job performance. For this reason, a new AI education concept aimed at fostering AI literacy is needed.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find an education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age of th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dealt with the following ideas. First,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AI literacy was reviewed.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is have been extract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brain development were identified. Third, the AI literacy education instruction method based on neuroscience was combined with AI ethics education. Ultimately, I presented a practical AI literacy education plan in the elementary school's moral education.

      • KCI등재

        AI 리터러시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최숙영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5 No.5

        In order to prepare for future generations to live in the AI era, education to cultivate AI literacy is needed. Since AI literacy can be the basis for AI education,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what factors and capabilities are needed for AI literacy.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that includes the definition of AI literacy and components of AI literacy through related research analysis on AI literacy that has been studied so far. This framework is largely composed of four themes and consists of a total of 13 competencies. In addition, as a consideration for AI literacy cultivating education, it will be looked at from the point of view of Bloom’s Taxonom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I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will be discussed. AI 시대를 살아갈 미래 세대를 준비시키기 위해서는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AI 리터러시는 AI 교육을 위한 기초가 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관련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AI 리터러시의 정의와 AI 리터러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크게 4가지 주제로 구성되며 총 13개의 역량으로 구성된다. 또한, AI 리터러시 함양 교육을 위한 고려사항으로 불름의 텍사노미 관점에서 AI 리터러시 교육을 살펴보고, AI 리터러시와 컴퓨팅사고와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생성형 AI 긍정 태도는 어떻게 형성될 수 있을까? 소비자 경험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디지털 자아효능감을 통해 생성형 AI 긍정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진 ( Kim Minjin ),김미예 ( Kim Miyea ),노환호 ( Noh Hwan-ho ),김범수 ( Kim Beomsoo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2

        ChatGPT의 등장 이후 생성형 AI 사용 범위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면서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 개인, 기업, 국가 간 격차가 예상된다. AI 활용의 확대는 추후 디지털 격차와 같이 AI로 인한 격차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성형 AI 활용 증진을 위한 소비자 중심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소비자들은 컴퓨터, 인터넷, 전자 상거래, 스마트폰 앱, AR/VR과 같은 기술의 발전을 늘 경험하며 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에 적응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AI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있어 선행요인으로 소비자 경험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제시하고, 이 둘의 관계에서 디지털 자아효능감의 역할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연구 결과, 소비자 경험의 하위 분류인 컴퓨터 경험과 모바일 경험은 모두 디지털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디지털 자아효능감은 생성형 AI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에 있어서 자아효능감이 긍정 태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모바일 리터러시의 경우 디지털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디지털 자아효능감을 통해서도 생성형 AI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차이는 생성형 AI가 가진 복잡성과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개발의 특성 때문으로 보이며, 컴퓨터 리터러시가 모바일 리터러시보다 생성형 AI 사용에 요구되는 능력을 보다 명확하게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AI 수용태도에 더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속에서 기기 사용의 중요한 결정요인 중 하나로 설명되고 있는 자아효능감이 생성형 AI 태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 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생성형 AI 인터페이스 운영과 AI 관련 소비자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advent of ChatGPT, the use of generative AI has seen rapid proliferation, concomitantly deepening disparities among consumers, businesses, and nations based on their adoption rates. The impact of generative AI on the digital divide highlights the need for research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 its use.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and analytical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s generative AI.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consumer experiences with digital technologies and digital literacy to identify how such factors affect AI acceptance and how digital self-efficacy can act as a mediator between consumer experience, digital literacy, and AI attitude. With the rise of ChatGPT, the use of generative AI has quickly grown.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companies, and countries in how they use generative AI have grown. This situation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research into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s using generative AI.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and analytical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s the acceptance of generative AI.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existing consumer experiences and digital literacy affect the attitude towards AI acceptance and how digital self-efficacy acts as a mediator between consumer experience, digital literacy, and AI acceptance attitude. The study found that consumers with high digital self-efficacy are more likely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generative AI. This aligns with existing research that confidence in digital technology positively impacts the acceptance of new digital technologies. Moreover, consumer experiences, including computer and mobile experiences,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digital self-efficacy. Computer liter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digital self-efficacy, but mobile literacy did not. This difference is likely due to the complexity of generative AI and the nature of its computer-based development. This result proposes that this makes computer literacy more important to AI acceptance, as it more clearly reflects the skills required to use generative AI than mobile literacy,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mobile devices.

      • KCI등재

        초등 국어과 AI 리터러시 융합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최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I converg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es to foster AI literacy. As the ability to utilize AI platforms and communicate with AI is important to foster future social competencies, AI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stage.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AI literacy and related studies on AI convergence education to see if it is possible to foster AI literacy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o consider how AI convergence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The study examined the elements of AI literacy through a review of curriculum and literature to design AI literacy lessons in elementary Korean, and examined step-by-step AI literacy application uni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is, we proposed a content system of AI literacy lessons for AI 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 KCI등재

        인공지능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검사 지표 개발

        류미영(Mi-Young Ryu),한선관(Seon-Kwan Ha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8 No.7

        본 연구는 인공지능 소양 능력의 측정을 위한 검사 기준의 설계와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와 전문가 FGI를 통해 AI 소양의 핵심 영역을 선정하고 세부 기준을 설계하였다. 검사 기준의 영역은 AI의 개념, 실제와 영향 3가지로 구분하고 세부 항목은 AI의 개념 33문항, AI의 실제 13문항, AI의 영향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검사 기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2번에 걸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기준을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AI소양 검사 기준은 총 3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I소양 검사 기준은 AI소양 능력 측정을 위한 자기 체크리스트나 AI역량 검사 문항을 개발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the test standard to measure AI literacy abilities. First, we selected key areas of AI literacy through the related studies and expert FGI and designed detailed standard. The area of the test standard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I concept, practice, and impact.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test standard, we conducted twice expert validity tests and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test index.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test standard, we conducted an expert validity test twice and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test standard. The final AI literacy test standard consisted of a total of 30 questions. The AI literacy test standard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developing self-checklists or AI competency test questions for measuring AI literacy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