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과 대만 양안관계의 역사 재해석과 전망 : 92공식(九二共識)을 중심으로

        양태근 효원사학회 2016 역사와 세계 Vol.- No.50

        대만과 중국 관계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중국과 미국은 차이잉원 대통령과 그의 92공식 (九二共識, 1992 consensus) 관련 외교 정책의 입장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에서 우려를 가지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민주 진보당의 정책 기반, 특히 대만의 독립을 둘러싼 정책은 변화 할 가능성이 있을까? 이러한 일련의 문제에 대한 답변은 민주 진보당 정책 특히 중국이 강조하는 92공식을 둘러 싼 양안의 서로 다른 해석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만 비로소 정확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특히, 대만 내부에서 92공식을 둘러싸고 다양한 정치 세력간의 논쟁과 역사 재해석과 관련한 자세한 이해는 이러한 문제의 본질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연구 방법일 것이다. 현재 대만 내부에서도 국민당(KMT), 대만연합, 민주진보당(DPP)과 차이잉원 총통 등, 대만 정치 세력간의 92공식에 대한 다양한 역사 해석과 재해석의 스펙트럼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소위 대만과 중국과의 양안관계는 92공식을 둘러 싼 다양한 정치 노선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에서 좀 더 명확한 이해가 가능하며 또한 대만 정치인들과는 다른 사회 각층의 의견도 확인해 보려고 하였다. 이러한 토론을 통해 우리는 향후 대만과 중국의 정치 및 경제 문제의 진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시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대만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른바 통일과 새로운 민족국가 탄생 가능성 사이에서 좌고우면중이다. 특히 92공식과 관련하여 끊임없는 역사 재해석과 이를 둘러 싼 역사 서술충돌이 발생하고 있는 살아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92공식을 둘러 싼 중국과 대만 내부의 다양한 의견들의 역사적 고찰이야 말로 이런 동아시아의 역사 공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성과 복잡성을 파악하고 또한 실제 우리가 연구해야 할 역사가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현장일 것이다. In the rapidly changing relations between Taiwan and China, is it possible for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o change the DPP"s policy framework on Taiwan independence policy? And other issues have different concerns. The answers to this series of questions, such as through the two sides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1992 Consensus for historical inspection, that can grasp the overall historical context. In particular,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controversies and historical annotations between Taiwan"s various political forces around the 1992 consensus will be the most accurate approach to the core of the problem. Because of China and Taiwan"s political ideology is different, and intends to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facts, triggering different degrees of tens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conflict. 1992 Consensus The various pedigrees of Taiwan"s understanding and assertion not only explain the best analytical tools for cross-strait relations, but also explain why we should review this issue historically. In Taiwan, we can find various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reinterpretations of Taiwan"s political forces, including the Kuomintang, the Taiwan Solidarity Union, the DPP and Tsai Ying-wen. In this article, the so-called cross-strait relations between Taiwan and China, i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various political lines of consensus, more clearly show the complex nature of cross-strait relations. Through this discussion, we will be able to gain insight into the future political and economic progress of Taiwan and China. New understandings must be made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the 1992 consensus to create new possibiliti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Taiwan has been linked to the so-called split and unification, that is, the possibility of a new nation-state or not. This is the reason why we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this issue. The historical pedigree of China and Taiwan"s consensus around 1992 consensus is not only an insight into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he East Asian historical space and field, but also the best way to understand our history in research and how to reconstruct and reinterpret it.

      • KCI등재

        양안관계의 정치적 상호작용 연구: ‘92공식’과 ‘양국론’을 중심으로

        전가림 ( Chun Kal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4

        중국 당국은 차이잉원 총통 취임 이후 취해온 ‘92공식’과 ‘하나의 중국’에 대한 수용 불가의 입장을 문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양안 갈등의 원인이 대만에만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중국 공산당 제 19차 당대회(이후 ‘19대’) 이후 중국의 대대만 정책은 강대강의 대치 국면에 접어드는 계기가 됐다. 양안관계가 적대적 대치 국면으로 악화되자, 정치적 상호작용도 큰 영향을 받았다. 양안은 현재 ‘92공식’에 대한 수용문제로 갈등하고 있다. 중국은 대만이 ‘92공식’ 수용 불가의 태도를 보임으로 인해 양안 모두의 정치적 기초가 붕괴했다고 판단한다. 중국은 대만에 강온양면의 방식을 채택, 대만독립을 억제하고, 양안 간 융합을 목표로 한 통일전략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통일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된 중국의 이런 움직임은 외교와 군사 및 사회경제 등 전방위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일전략의 또 다른 행태적 특징으로는 일방주의에 입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고는 차이잉원 집권 이후, 양안관계의 악화요인을 정치적 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China’s authorities are taking issue with the unacceptable position of the ‘92 Consensus’ and ‘One China’, which have been taken since Tsai Ing-wen took office.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aiwan is the only source of conflict. After the 19th Party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hina's Taiwanese policy has entered a tough phase of confrontation. As bilateral relations deteriorated due to hostile confrontation, political interactions were also greatly affected. The two are currently struggling with the acceptance problem of the '92 Consensus'. China believes that both sides of the political base collapsed because Taiwan was unacceptable to the '92 Consensus'. China adopted a two-track approach to Taiwan, curbed Taiwan's independence, and began to pursue a unification strategy aimed at fusion between the two sides. This movement of China, which was promoted as part of the unification strategy, has emerged omnidirectionally, including diplomacy, military and socioeconomics. Another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this unification strategy is that it is based on unilateralism. This paper examines the worsening factors of cross-strait relations since Tsai Ing-wen took power, focusing on political factors.

      • KCI등재

        중국의 대 대만정책과 대만 정권교체 이후 양안관계 전망

        신상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6 중소연구 Vol.40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and anticipates the futur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land China and Taiwan as a result of the transfer of power in Taiwan. The develop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policy toward Taiwan in the past will be examined in comparison with its policy toward Taiwan after Xi Jinping came into power. With the regime change in Taiwan as the key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land China and Taiwan, changes in Taiwan's policy toward China after the Taiwan presidential election in 2016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China's policy toward Taiwan are analyzed. Under the regime of Xi Jinping, China has strongly called for ‘92 Consensus' that requires Taiwan to accept the 'One China' policy in order to prevent Taiwan from being separated and independent completely. At the same time, China maintains an attitude to embrace Taiwan as fully as possible based on its principle of ‘One Country Two Systems, Peaceful Unification.’ In addition, China is applying the principle of ‘One China’ flexibly. Rather than insisting that only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epresents China as it did in the past, China emphasizes its position that “both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aiwan are China.” By urging Taiwan to fulfill ‘the Dream of the Chinese Nation,' China is trying to facilitate the public opinion of ‘One China' in Taiwan. The fact that China is strengthening its peace offensive toward Taiwan under the regime of Xi Jinping is also an important change. As Xi Jinping promotes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mainland China and Taiwan, China seeks physical integration as well as gain hearts of Taiwan people through ‘spiri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m. Being concerned about intervention of the U.S. and Japan in the matter of Taiwan and the possibility of strengthened cooperation among the U.S.-Japan-Taiwan, China is putting forth every efforts to prevent external countries from intervening. Meanwhile, since Tsai Ing-wen of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came to power as the leader of Taiwan, significant changes are expected in Taiwan's policy toward Chin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land China and Taiwan. As the regime of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rejected ‘92 Consensus,' it is probable that Taiwan’s policy toward China will develop in pursuit of independence. Accordingly, China may try to prevent Taiwan from seeking independence by applying various means such as financial sanctions, diplomatic efforts, and military threat while maintaining the principle of ‘One Country Two Systems, Peaceful Unification.’ The Taiwan issue may come to the fore again as a threat to the peace and stability in East Asia. 이 글은 민진당 재집권 이후 중국의 대만정책을 전망하고, 대만 정권교체가 양안관계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할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대만 정권교체가 양안관계의 핵심 변수로 작용한다는 가정 아래, 2016년 대만 총통선거 이후 대만의 대 중국정책 변화 그리고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을 분석하고 양안관계를 전망하였다. 친중국 성향을 보인 마잉주 국민당 정부시기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등 양안관계가 평화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 중화인민공화국만이 중국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대신, 대만에 대해 최대한 포용정책을 추진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과 대만 모두가 중국”이라는 입장을 강조해 왔다. 그리고 대만에게 ‘중화민족의 꿈’을 함께 실현해 나가자고 호소함으로써 ‘하나의 중국’에 대한 대만 내 지지여론을 확산시키려 노력해 왔다. 마잉주-시진핑시기 양안관계에 해빙무드가 고조됨에 따라, 중국은 대만과의 교류협력을 확대함으로써 물리적 통합을 추진하는 동시에, 대만주민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도 진력해 왔다. 그런데 민진당의 차이잉원이 대만의 지도자로 집권한 뒤 대만의 대 중국정책과 양안관계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대만주민들의 정체성 변화와 과거 민진당 집권 이후 양안관계를 통해서 볼 때, 차이잉원은 ‘92합의’ 준수를 거부하면서 사실상의 독립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대중 정책을 전개할 개연성이 있다. 이 경우 중국은 기존의 ‘일국양제, 평화통일’ 방침을 견지하면서도 경제적 압박수단과 외교적 고립수단 그리고 군사적 위협수단까지 동원하여 대만이 독립을 지향하지 못하도록 실력으로 저지하려 할 수 있다. 이에 차이잉원 집권 이후 예상되는 대만의 대중 정책을 전망하고,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 분석을 통해 양안관계 변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차이잉원의 재집권과 양안관계

        문흥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0 중소연구 Vol.44 No.2

        Taiwan presidential election is a confrontation between KMT, the pro-mainland political party, and DDP, which claims Taiwanese national identity. The 2020 presidential election brought up the cross-strait relations as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and drew Taiwanese voters’ attention to Taiwan’s future political stance due to the pro-democracy protest in Hong Kong. ‘1992 Consensus’ is China’s win-win solution that has allowed maintaining peace across Taiwan strait and expanding cross-trait interactions since 1992. However, with the pro-democracy protest in Hong Kong as a momentum, Tsai Ing-wen expressed animosity against China, starting to insist ‘One-Taiwan’ rather than ‘One-China.’ Taiwanese voters acclaimed Tsai’s criticism that the trust on ‘One Country Two Systems’ had been already destroyed. Tsai Ing-wen, who had held slim chance of winning before the Hong Kong’s pro-democracy protest, won a landslide victory over Han Guo-yu of KMT. Despite Tsai’s a Taiwanese nationalist stance and strong denial of ‘One Country Two Systems’ at her inaugural speech, it would be impossible for her to sustain confrontation against China. This is rather attributed to Taiwan’s situational cause than Tsai’s performance on state affairs or her qualification. Considering these factors, DPP Government’s future political directions can be predicted as follows; First, in spite of Chai’s denial of ‘1992 Consensus’, practical execution is unlikely. It is improbable that contemporary international society’s anti-China sentiment would actually lead to denial of ‘One China’, and subsequently, admission of Taiwan’s independence. Second, notwithstanding the intention of reducing overall cross-trait interactions, Tsai would not take a risk of severance of all relations, which would jeopardize economy, politics, and national security. Moreover, Tsai Ing-wen will not completely rule out the possibility of meeting with Xi Jinping, if conditions are met. Third, Tsai will focus on expanding international survival space, which has been in danger of collapse due to Chinese offensive policies against Taiwan. However, the efforts would also face limitation as long as China’s ‘Principle of One China’ remains as a wall to block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The 2020 Taiwan presidential election result was determin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pro-democracy protest in Hong Kong and supports from the U.S. Although Tsai Ing-wen will surely strive to strengthen Taiwan’s identity, it is hard to overcome structural limitation derived from cross-trait relations. Xi Jinping, well aware of Taiwan’s situation, would not stand their attempt to overstep their bound and achieve independence. If DPP administration ‘officially’ refuses ‘One China’ and ‘One Country Two Systems’, it will be considered declaration of independence. Despite Sino-American hegemonic competition, the United States, the greatest supporter of President Tsai, would take advantage of Taiwan to put pressure on China, maintaining strategic ambiguity of ‘no Unification, no Independence’. Thus, Tsai’s political choices will be located somewhere in between two extremes; Chen Shui-bian, who unrealistically pursued Taiwan’s independence, and Ma Ying-jeou, who devoted to expanding exchanges and cooperations in overall cross-trait relationship. 대만 대선은 친대륙적인 국민당과 대만의 정체성을 주장하는 민진당의 대결이며양안관계가 최대 쟁점으로 등장한다. 특히 2020년 대선은 홍콩의 일국양제가 무력화되면서 대만 유권자들의 관심이 양안관계와 대만의 정치적 미래에 집중되었다. ‘92 공식’은 1992년 이후 대만해협의 평화유지와 양안교류의 확대를 가능하게 한 윈-윈의중국식 해법이다. 그러나 차이잉원은 홍콩 사태를 계기로 강한 반감을 표했으며 ‘하나의 중국’보다 ‘하나의 대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대만의 유권자들은 일국양제에대한 신뢰가 이미 무너졌다는 차이의 주장에 환호했다. 그 결과 홍콩 시위 전 패색이짙었던 차이잉원 후보가 국민당 한궈위 후보에 압승했다. 차이잉원이 대만독립주의자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총통 취임사에서 일국양제를 정면으로 거부했지만 중국과의 강경 대립을 지속하긴 어려울 것이다. 이는 개인적인 국정 수행 능력과 자질의 문제라기보다는 대만이 처한 대내외적 현실에 기인한다. 향후 차이잉원 정부의 주요 과제와 추진 방향을 전망하면 첫째, 차이잉원이 ‘92 공식’과 일국양제의 수용을 거부했지만 이를 현실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최근의국제적 반중정서가 하나의 중국원칙 부정, 대만독립 승인으로 이어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둘째, 양안교류의 전반적인 축소조정 의지에도 불구하고 대만의 경제, 정치, 안보를 모두 위태롭게 할 수 있는 급격한 단절을 도모하지 않을 것이다. 차이잉원은여건이 충족되면 시진핑과의 회담도 배제하지 않을 것이다. 셋째, 중국의 공세로 인해 붕괴 위기에 처한 국제적 생존공간 확장에 주력할 것이나 이 역시 한계에 직면할것이다. 중국이 건재하는 한 하나의 중국원칙은 대만의 공식외교를 차단하는 철벽으로상존할 것이다. 이처럼 2020년 대만대선은 홍콩 사태와 미국의 지원 등 외부 요인이 성패를 결정했다. 차이잉원의 대만 정체성 강화 노력이 양안관계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긴 어렵다. 대만의 상황을 주시하는 시진핑이 노골적인 독립 시도를 좌시할 리 없다. 만약민진당 정부가 하나의 중국과 일국양제를 ‘공식적으로’ 거부한다면 이를 독립선언으로 간주할 것이다. 차이의 최대 후원자인 미국도 ‘불통불독’의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면서 중국을 압박하는 선에서만 대만을 활용할 것이다. 미국의 대만 수호 의지, 능력도 불안정하다. 결국 차이잉원의 정책적 선택은 무리하게 대만독립을 추진했던천수이볜과 양안의 전방위적 교류협력에 매진했던 마잉주를 양극단으로 하는 중간범위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공산당 제19차 당대회이후 양안관계 전망

        김애경 현대중국학회 2017 現代中國硏究 Vol.19 No.3

        이 글은 제19차 당대회 이후 출범한 시진핑 2기 정부의 양안관계를 전망한다. 양안관계는 중국과 대만의 양안정책과 미국의 양안정책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19차 당대회 <정치보고>와 차이잉원의정책, 트럼프 정부의 양안정책을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시진핑 2기 정부의 양안관계를 전망해 보면 우선, ‘일국 양제, 평화통일’이라는 기존의정책기조를 유지하지만, ‘분리⋅독립 세력’에 대해서는 다양한 조치를 통해 강경하게 대응하게 대응할 것이다. 차이잉원 민진당 정부와 대만 주민에 대해 분리하여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차이잉원 정부가 ‘탈중국화’ 정책을 지속시키는 한 시진핑 2기 정부는 다양한 카드를 이용하여 대만을압박하는 강경조치를 취하는 반면 대만 주민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기회와혜택을 제공하는 포용정책을 취한 것으로 기대된다. 공식적으로는 ‘하나의중국’원칙을 고수하지만 대만과 비공식 관계를 강화시키고 있는 트럼프정부에 대해서는 양국의 전략적 협력관계가 훼손되지 않는 수준에서 강력하게 반대 입장을 표명할 것이다. 결국 시진핑 2기 정부의 양안정책도 ‘일국양제’의 방식으로 평화적 통합통일을 이루기 위한 기반마련에 매진할것이다. 그 과정에서 차이잉원 정부의 양안 정책에 강온 양면 전략으로중국의 의지를 관철시키기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을 것이다. 핵심용어 : 중국공산당, 양안관계, 시진핑, 일국양제, ‘92합의 This article considers Cross-Strait Relations After the 19th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Because Cross-Strait Relations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bilateral policies of China and Taiwan and the policy of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makes an analysis the 19th Congress of the <Political Report>, Yingwen Cai’s policy toward Jinping Xi’s administration and the Trump government’s policy. Based on this analysis, Xi’s government will maintain the existing stance of ‘“One China” policy and Peaceful Unification’, but he will control the separation and independence forces through strong measures, whereas Xi’s Government expected to respond separately to Cai’s administration and the residents of Taiwan. As long as Cai’s administration sustain the policy of ‘quzhongguohua(去中國化)’, China will take tough measures against Taiwan by using various cards.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o take an inclusive policy that provides various opportunities and benefits for Taiwanese residents. For the Trump government, which officially adheres to the “One China” policy but is strengthening its informal ties with Taiwan, China will vigorously oppose at a level that Sino-US strategic partnership will not be undermined. In the end, the Xi’s government will also strive to lay the foundations for peaceful and integration and unification through “One Country, Two systems” way.

      • KCI등재

        마잉지우(馬英九) 再選이후 兩岸關係의 變化에 대한 展望

        김원곤 한국중국문화학회 2012 中國學論叢 Vol.36 No.-

        2012년에는 全세계 주요 국가들의 지도자들을 뽑는 선거가 계속 진 행되고 있다.1) 그 가운데 지난 1월 가장 먼저 대만에서 대선이 진행됐 고, 그 결과 대만 국민당(國民黨)의 마잉지우(馬英九) 현 총통이 民主進步黨(이하 민진당)의 차이잉원(蔡英文) 후보를 물리치고 재선에 성공하 였다.2) 마잉지우 총통의 再選성공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침체 된 대만의 경제를 회복하고 중국과의 안정적 관계 유지를 희망하는 대 만 민중들의 의사가 상당 부분 반영된 것으로 분석한다.

      • KCI등재

        양안관계의 패러다임 전환은 가능한가

        백지운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6 외국학연구 Vol.- No.35

        Unlike the German case in which West Germany unilaterally absorbed East Germany, the Cross-strait case in which both China and Taiwan have steadily developed the relationship over a long period of time may provide the Korean Peninsula with more useful references. However, the recent tense atmosphere in Cross-strait, which came to a head around the Sunflower Movement, urges us to rethink the way of the Cross-strait cooperation for the last decade. While it is true that the substantial achievement of the Cross-strait cooperation is the result of smart utilitarianism putting tricky political issues aside and placing economic cooperation in the forefront, the overall way of utilitarianism has deteriorated the emotional gap between people of both sides badly. It tells us that the so-called ‘peaceful development of Cross-strait’ is possible only when it creates certain space where civil societies from both sides can engage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and reconciliation. The Cross-strait issue is a long-term issue. It is time for both sides to slow down the speedy economic-centered cooperation and look for a way to get to the integration at the emotional level in the long run. For this, comprehensive discussion on a variety of models of Cross-strait governance is required. This is the lesson we should take from the Cross-strait model when we think of the North-South Korean relationship.

      • KCI등재

        미⋅중 전략적 경쟁시기 양안관계: 수렴과 확산의 이중성

        이상만 중국지역학회 2019 중국지역연구 Vol.6 No.2

        The full-fledged US-China trade war that began in 2018 has led to several pieces of evidence that suggest the bilateral relationship that, up until now, was based on bo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has now entered a phase where strategic competition is its defining characteristic. The recent US-China relationship is complicated because it involves a global hegemony competition China's that has followed rise. The relationship is one that involves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time will be required to resolve the issues that the relationship faces. There is an imperative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a perspective of confrontation that is centered on the core interests of both sides. Cross-strait relations issue are very important hotspots that may be the site of real clashes between the Chinese and the Americans. The basic issues and contradictions inherent to the current Sino-American relationship include the following: 1) from a political and diplomatic perspective, the issues of travel to Taiwan,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and Taiwan Assurance Act issue; 2) from a military perspective, the blockading of China by the US through its Indo-Pacific strategy and freedom of navigation strategy in the South China Sea; and, 3)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 Belt and Road policy and the trade war between China and the US to dominate advanced fields of technology. Of course, while the two countries are clashing due to the contradictions that have emerged from these basic issues, China and the US are still coexisting under the framework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contrast to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This means that the US-China relationship is not a zero-sum game and that there is space for the two countries to cooperate across many different spheres. China's From perspective, the aim is to complete unification of the country. Chinese leaders believe that the goal is peaceful unification and desire avoiding people unification by force, yet focus on the feelings of the and believe that the barrier to unification is the US. The Taiwan issue is a very big card that countrys the US can play to put China in line. The issue involves both interests carrier and neither can abandon it. Taiwan is like an unsinkable aircraft to the mainland. US, and, to China, territory that must be reunified with the Both the US and China cannot back down on the issue. In short, there are four phenomena that will not change in regards to US and Chinese involvement in Taiwan. As a result, as long as the US and Taiwan maintain their current policies, China will be forced to maintain a hardline response toward them. 2018년 본격화된 미중 간 무역전쟁을 기점으로 경쟁과 협력이 병존하던 양국관계가 전략적 경쟁이 주가 되는 시기에 접어들었다. 최근 미중관계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글로벌 레벨의 패권경쟁의 문제이기 때문에 1) 복합적 성격을 가지고 있고, 2) 국제정치에서 구조적인 문제이고, 3) 문제를 해결할 시간이 필요하며, 4) 쌍방이 핵심이익을 두고 대치적인 관점에서 현 상황을 분석해야 한다. 특히 양안관계는 미.중관계에서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핫스팟(hot spot)에 해당한다. 현재 미중관계의 모순은 첫째는 정치외교적으로 대만여행법과 국방수권법과 대만보증법 문제이고, 둘째는 군사적 측면에서 인도-태평양전략과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전략을 통해 중국을 봉쇄하는 것이며, 셋째는 경제적 측면에서 일대일로 정책과 첨단기술분야의 패권 장악을 위해미.중간의 무역전쟁이다. 물론 미.중간에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에서 모순이 발생하여 충돌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냉전시대의 미.소대결 양상과는 달리 경쟁과 협력이 병존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미중간 제로썸 게임은 아니고 다방면에서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은 확보되어 있다중국입장에서 대만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목표는 평화통일이고, 무력통일은 억제되어야 하며, 관건은 민심이며, 장애는 미국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만문제는 미국이 중국을 적절히 통제하는데 아주 유용한 빅 카드이기에 미.중이 모두 포기할 수 없는 중대한 국익이 걸린 핵심사안이다. 그래서 미국과 대만이 현재의 정책 방향을 변경하지 않는 한 중국은 강경 대응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