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무량심(四無量心)에 대한 고찰

        운월스님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5 No.-

        4무량심을 통해서 우리의 모습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고, 서양 중심의 가치관에 젖어 구심점을 잃은 나라에서, 우선 자국의, 자국의 국민을 위해 행동하고, 자국의 국민에 의해서 여러 정책이나 제도가 실행되고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데 기여했으면 한다. 왜냐하면 4무량심도 가까운 곳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순서이기 때문이다. 불교 내부에서도 제대로 발심(發心) 안 된 수행자들이 세속적인 가치관과 행동으로 주변을 오염시키고, 후학들까지 곤경에 빠뜨리지 않기 위해서 4무량심은 필요해 보인다. 자무량심을 통해 복리를 증진시키고, 비무량심을 통해 불리함을 제거하고, 희무량심을 통해 성공을 기뻐하고, 희무량심을 통해 중립적인 무관심을 수행할 수 있다. 자무량심을 통해 증오를 조복하고, 비무량심을 통해 잔인함을 가라앉히고, 희무량심을 통해 따분함을 가라앉히고, 사무량심을 통해 적의와 찬사를 가라앉히는 수행을 할 수 있다. 자(慈)무량심을 수행하다 갈애(渴愛)가 일어나면 실패하는 것이고, 비(悲)무량심을 수행하다 근심을 일으키면 실패하는 것이고, 희(喜)무량심을 수행하다 세속적인 희열로 왁자지껄한 웃음을 일으킬 때 실패하고, 사(捨)무량심을 수행하다 무지에 바탕한 무관심을 일으킬 때 실패한다. 4무량심을 통해 청정함을 얻는 것에서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까지 성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부동심(不動心)을 얻는 수행의 바탕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행의 시작에서 방향 점을 전환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4선(禪)을 성취한 후에도, 또한 중생을 제도할 때도 매우 필요한 수행임을 알 수 있다. 수행의 시작에는 3독심(毒心)을 제거하여 제4선(禪)에 이르는 방법이 되고, 4선(禪)을 성취한 후에는 지속적으로 평정하고 부동의 마음을 유지하도록 향상하는 계기가 되고, 중생을 제도할 때 는 집착 없는 마음을 갖게 하는 방법이 됨을 미루어 알 수 있다. 현실적으로 종단 내 승려들의 노인 복지 및 젊은 세대를 포교해야 미래의 불교가 희망이 있을 것이며, 동국대 내에도 대다수인 이교도 학생들의 의견에 끌려가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 이교도까지 포함하는 일체 중생을 제도하는 무량한 마음을 내야 한다고 본다. Like these times, human's desire is immoderate, it is necessary to the practice of the 4 kinds of an Immeasurable Mind. To the beginner, it helps to remove the 3 kinds of spite. To the middle, it helps to continue the state of tranquility. To the achievement, it helps to get rid of attachment. Through this practice, we can get an imperturbable mind and get the scopes of a mind, from the form world to the formless world. Through The Practice of a Loving kindness, as a result, it can bring to the prosperity, and calm down the hatred and ill will. Through The Practice of a Compassion, as a result, it can bring to the mitigation of the suffering, and calm down the harm and cruelty. Through The Practice of a Joy, as a result, it can bring to the mitigation of the jealousy, and calm down the tiresome. Through The Practice of a Equability, as a result, it can bring to the state of neutrality, and calm down the hostility and praise, and the indifference. The step of The 4 kinds of an Immeasurable Mind is from the near range to the far. If I apply this rule to my country, first of all, our people have to love each other together, the next, love other country's people. We also remember that it help us to reinforce the concentration of meditation. In conclusion, we have to add The Practice of 4 kinds of an Immeasurable Mind in our daily practise.

      • KCI등재

        대승 4무량심의 확대과정과 그 의미

        강명희(Kang, Myung 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대승불교는 중생들과 함께 동승해야 하는 불보살의 당위성을 현실에서 실현한다. 대승의 4무량심은 이러한 과정 속에 있는 수행법이며, 자신의 수행력과 깨달음을 객관계에서 확대 실현하면서 대보리와 대지혜를 체득한다. 대승의 4무량심 수행법은 자·비·희·사의 4가지 초기불교의 분류체계를 뛰어넘는다. 화엄경 등 대승경전은 10종의 대(大) 4무량심과 청정(淸淨)의 4무량심 수행법을 시설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은 중생 속에서 실현하는 보살의 50종의 대비심을 기술하고, 보살의 최고의 덕목으로 대비심을 강조하고 자신만 닦는 2승(乘)의 선정을 강하게 비판한다. 10종의 덕목을 갖춘 4무량심과 50종의 대비심에서 보이는 대승 4무량심 수행법의 특징은 자리(自利)를 이타(利他)에서 완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대 4무량심의 수행의 체계는 주관인 불보살과 객관인 중생의 두 측면을 하나로 합일해 가는 불이(不二)의 실천을 중시한다. 이는 4무량심 확대과정 속에 보이는‘대승’과‘자성청정심’을 의미하며, 불보살은 중생 속에서 중생은 불보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불이의 실천을 의미한다. 4무량심 중 최고의 덕목은 중생을 향한 불보살의 대비심이며, 중생이 이르러야 할 구경의 실상이자 최상의 청정 바라밀의 내용이기도 하다. Mahāyāna Buddhism realizes its duty to always be with all living beings in real life. The four immeasurables refer to the practice of the realization of this duty of Mahāyāna Buddhism. One acquires wisdom (bodhi) through this practice, and expands and realizes one’s power to practice it. In Mahāyāna Buddhism, the practice of the four immeasurables surpasses the original system of loving-kindness, compassion, empathetic joy, and equanimity (慈悲喜捨) because Mahāyāna Buddhist texts suggest ten kinds of practices of the great four immeasurables aswellas the practice of the pure four immeasurables. Further, Mahāyāna Buddhism explains 50 kinds of the great compassion (大悲心), which are realized for all living beings by boddhisattva, and it emphasizes the great compassion as the best virtue of boddhisattva and strongly criticizes the meditation of two small yānas (二乘), which is practiced only for oneself. Through the ten kinds of the four immeasurables and the fifty kinds of the great compassion, a feature of Mahāyāna Buddhism is the thought that doing good things for others (利他) is the completion of the practice for oneself (自利). We may say that Mahāyāna and the pure mind (自性淸淨心) mean doing good things for others and the practice for oneself. The best virtue realizing these two (自利, 利他) is the great compassion of Buddha, the real form of the world (究竟實相), and Buddha’s pāramitā to all living beings.

      • KCI등재

        초기불교에 나타난 4무량심설의 유형별 분석 - 아함경 중심으로 -

        강명희(Kang, Myung-H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0

        초기불교 4무량심설의 일반적인 유형은 마음을 시방으로 향하게 하는 방향설정과 더불어 개인 마음의 선행적 해탈을 원칙으로 세우며, 자(mettā) ․ 비(karuṇā) ․ 희(muditā) ․ 사(upekkhā)의 점진적 마음을 무한대로 펼치는 무량심을 중시한다. 방향설정은 시방이 상징하는 모든 방향에 방사하는 것이며, 개인 마음의 해탈은 무결(無結), 무원(無怨), 무에(無恚), 무쟁(無諍)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일반 유형과 더불어 아함 중심으로 전반적 사례들을 분석해 보면 몇 가지 유형으로 정리된다. 첫째는 범천과 관련된 설이다. 아함은 붓다 당시에 4무량심을 닦아서 범천에 태어나는 여러 사례를 기술한다. 특히 4무량심과 결합한 범천설은 출가자보다는 재가자 위주의 수행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둘째는 해탈과 결합한 설이다. 4무량심은 6근이 6경을 만났을 때 수많은 경험에서 일어나는 마음을 해탈하는 수행법으로, 신념처의 수행법 범주에서 시설된다. 그동안 학계는 4무량심이 무량심해탈이라고 명명되는 점에 주목한 바 있는데, 중아함경 은 대심해탈과 무량심해탈을 분리하여 설명한다. 대심해탈은 대상에 대하여 마음의 크기를 키우는 의해(意解)를 중시하면서 설명되며, 무량심해탈은 4무량심의 일반적 유형으로 설명된다. 대심해탈에서 나타나는 의해의 마음은 아비달마와 유가행파에서 발전된 승해작의(勝解作意) 수행의 초기적 형태로 보인다. 셋째는 4선정과 결합한 설이다. 아함의 4무량심은 4선 다음에 기술되는 특징을 보인다. 제4선정의 우뻬카(upekkhā, 평정, 捨)가 획득되어야만 마음이 대상을 향하여 평등하게 구현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The general type of Four Apramāṇas in Early Buddhism establishes principles similar to the direction setting through which the mind focuses on the outside and the pre-solution of ones psychological problems and emphasizes apramāṇa, which shows that gradual minds, like mettā․ karuṇā․ muditā․ upekkhā, are directed to infinity of the outside. The direction setting intends to eradicate all 10 directions, and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oneself include nonconclude(無結), nonhatred(無怨), nonwrath(無恚), and nonquarrel(無諍). By these two, Buddhist ascetics practice mettā․ karuṇā․ muditā․ upekkhā endlessly. If we analyze general examples of Nikāyas and Āgamas based on the basic theory of pramāṇas, as discussed above, we can arrange them into several types. The first type is related to the world of Brahmā. Āgamas show that people living in the days of Buddha were born into the world of Brahmā by the practice of Four Apramāṇas. In particular, this type is described more in the examples of general people(lay) than the monk. The second type is examples related to vimutti. When six sensory organs meet six sensible objects, the Four Apramāṇas are explained to be delivered from, and explained as the practice of Kāyasmṛtyupasthāna. The fact that Four Apramāṇas is described as Apramāṇavimutti has received attention in the academic world, while Mahacetovimutti and Apramāṇavimutti are explained discretely in Madhyamāgama (Zhong-ahanjing). Mahacetovimutti is explained as the action of Manasikara(意解), which develops the size of the mind. Apramāṇa-vimutti is explained as a general type of Four Apramāṇas. The mind of Manasikara of Mahacetovimutti is understood as the early type of the Manaskā ra practice and the Adhimukti practice,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he Yogācāra school. The third type is related to Catur Jhāna. Four Apramāṇas in Early Buddhism have a feature that they are described next to Catur Jhāna in both the Nikāyas and Āgamas, because when upekhā in the fourth Jhāna is removed, the mind can be realized to the object without distinction. Early Buddhist texts explain Four Apramāṇas between Catur Jhāna and Catur Arūpasamādhi. There are several examples that are sometimes related to Catur Arūpasamādhi, but the examples are related to Buddhas students, not to Buddha himself.

      • KCI등재

        대승경전의 사무량심 수행 연구 - 4무량심의 무량(無量) 개념과 무연(無緣) 개념 중심으로 -

        강명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7

        Four Apramāṇas is the unfolding of maitrī·kānuṇā·muditā·upekṣā, four good moral virtues, to the world. In early buddhism, the development of Four Apramāṇas is explained in the conception of direction. In Mahāyāna buddhism, the meaning of apramāṇa is explained as the process that reach to worlds of all living beings, and understood as the fulfillment of the wisdom of prajñā and pāramitā, and explained in the relation with dhyāna. The development of the meaning of apramāṇa reaches to even the object of akāraṇa which have no relation with me. In Mahāyāna texts, it is explained that maitrī·kānuṇā·muditā·upekṣā should be fulfilled through three kāraṇas; sattva-kāraṇa(衆生緣), dharma-kāraṇa(法緣), akāraṇa(無緣). The infinity itself is śūnyatā, and living with living beings is the wisdom of prajñā, no thinking is the one mind of the oneness of subject and object. In its turn, the meaning of apramāṇa of Four Apramāṇas is same to the meaning of akāraṇa, and it is the manifestation of the wisdom which illuminates the subject and the object together, and the principal of mahayānā enlightment, and the achievement of great self, and prakṛti-pariśuddha-citta of tathatā. 4무량심은 자·비·희·사의 마음을 객관계에 펼치는 것을 의미한다. 초기불교는 4무량의 4가지의 마음이 방향 중심으로 무량의 의미가 실현되었다. 대승경전에 이르면 무량의 의미는 모든 중생계에 이르는 과정으로 설명되며, 보살과 불의 행법으로 설명된다. 4무량심은 반야지혜와 바라밀의 실천으로 이해되며, 중생의 마음으로 들어가는 선정이라고 보았다. 2승의 선정을 비판하고 대승의 선정은 4무량심이라고 한다. 4무량심의 무량의 의미가 확대되어가면서 연고 없는 무연의 대상에까지 이른다. 대승경전의 4무량심 수행은 중생연(衆生緣)과 법연(法緣)과 무연(無緣)의 3연으로 자·비·희·사의 마음을 무량하게 실현한다. 중생을 향한 무량한 실현은 무연의 관계에 이르게 한다. 무한대의 중생계에 다가가기 때문에 무량이면서 무상(無相)이며, 중생을 위하여 닦기 때문에 바라밀이며, 중생을 비추기 때문에 일체지(一切智)인 것이다. 4무량심 수행법은 중생에게 불보살의 깨달음의 세계로 나가게 하고, 불보살에게 중생 세계로 점점 진입해 나가게 한다. 교화해야 할 중생과 교화하는 불보살이 주객합일의 일심(一心)을 이룬다. 결국 대승경전의 4무량의 무량의 의미는 무연의 의미와 동일하며, 주객을 함께 비추는 살바야 일체지의 발현이다. 대승 대보리의 이치이며, 대아의 성취이며, 무연대비의 실현이다.

      • KCI등재

        아함경의 수행체계에 관하여

        운월 한국선학회 2005 한국선학 Vol.10 No.-

        지난 반세기 동안 강대국의 문물이 여과 없이 물밀 듯이 밀려오면서, 국민의 정서와 생각은 급격히 많은 변화(無常)를 가지게 되었다.6.25 동란 후 가난하고 힘들었던 우리에게 자신의 종교를 전해준 강대국에서는 막상 사향 길을 걷고 있는 기독교나 카톨릭 등의 종교가 유독 이 땅에서는 번성하여 세계의 가장 큰 지점이 한국에 존재하게 된 사정은 무엇이며, 이 땅을 이끌고 있는 서양교육을 자신의 것 인양 교육받은 지식층이나 대중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연예인이나 유명 인사들이 광적으로 서양에서 전래 된 자신들의 종교를 선전하는 모습들을 볼 때, 가난해서 우리를 보호하거나 지킬 힘이 없었으며 먹고살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지 했으며 가난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어떤 일도 서슴치 않던 세태가 먹고 살만한데도 여전히 지속되는 것을 보면 앞으로 이 나라의 미래가 심히 염려스러운 실정이다.뿐만 아니라 강대국들이 전해준 종교는 단순히 종교와 가르침을 전해준 것이 아니라, 그 강대국에는 한국에 전해준 종교의 본부가 있어, 매달 우리 국민의 수입이 종교라는 이름으로 외국으로 유출되고있으며, 그 결과 우리보다 훨씬 부강한 강대국들을 매달 보태주는 웃지 못할 현실에 대한 뼈아픈 각성도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여기 부처님의 중도(中道) 가르침을 통하여 물질과 정신이 양극단을 달리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고, 연기(緣起)의 가르침을 통하여 오늘날 우리가 맞고 있는 현실 상황의 원인(因)과 과정(緣)과 결과(果)에 대한 바른 분석으로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현실을 바로 볼 수 있는 안목에 도움이 되고, 미래의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계율에 나타난 분노의 정서와 慈愛(mettā)를 통한 치유

        이자랑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8 No.-

        본 논문에서는 율의 학처에 나타나는 분노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악행에 대해 살펴보고, 분노의 주된 치유 방법인 자애(mettā)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위슏디막가(Visuddhimagga)』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불교에서는 분노를 삼독(三毒)이라는 3가지 근본 번뇌 가운데 하나로 헤아리며 그 단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분노는 정서적인 문제이므로 사실상 그 자체가 율의 조문에서 직접적으로 다루어지지는 않지만, 마음을 산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욕이나 폭력, 중상모략 등과 같은 악행을 불러일으키며 자타를 파괴시킬 수 있는, 말하자면, 불교수행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계율의 실천을 방해하는 근본 요인으로써 경계한다. 이와 같이 분노는 불도수행에 있어 반드시 제거해야 할 번뇌인데, 그 치유 방법 가운데 특히 강조되는 것이 바로 자애명상(mettā bhāvanā) 이다. 빨리 경전이나 논서에서는 무진(無瞋)을 자애와 동의어로 표현한다. 이는 분노란 마음에 들지 않는 대상에 대한 반발, 거부이자 불쾌감의 정서이므로, 결국 상대방에 대한 자애로움이나 연민과 같은 감정을 통해 근본적으로 다스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모든 생류에 대한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한 애정과 연민의 마음으로 자신과 모든 생류의 행복을 바라는 자애심을 기를 때 분노라는 악정서는 근본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evil activities derived from anger which appear in Vinayapiṭaka text and to study the specific application of mettā to heal anger with a focus on Visuddhimagga which is considered as the main method of healing anger. In Buddhism, ange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three poisons(三毒), the fundamental afflictions and the elimination of anger is much emphasized. As anger is an emotional problem, it is not mentioned directly in Vinayapiṭaka. However, anger was considered the fundamental cause to hinder the keeping of sīla(戒) and vinaya(律) because it not only distracts our mind but also causes bad activities such as abusive language, violence, and slander. Accordingly, anger should be eliminated in the process of Buddhist practices. Mettā meditation is especially emphasized as a healing method to remove anger. In Pāli treatises, no-anger or non-hatred(無瞋) is used as synonymous with loving-kindness. Anger is a kind of refusal, opposition, or displeasure against the other party. So it suggests that we can overcome such bad feelings with the emotions such as loving kindness or compassion. On the basis of the deep understanding of all living things, when we have the loving-kindness for the all sentient-beings, the ill-emotion of anger will be healed.

      • KCI등재

        불교와 四象醫學의 病因論 비교

        김진무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8 No.-

        불교는 기본적으로 ‘괴로움을 여의고 즐거움을 얻음[離苦得樂]’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런데 모든 괴로움 가운데 이른바 ‘病苦’는 직접적으로 부딪는 것으로 가장 치열한 괴로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괴로움을 여의고 즐거움을 얻게 하는데 있어서 불교에서는 필연적으로 이른바 ‘醫學’적인 방법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이러한 까닭에 불교에서는 ‘大醫王’의 名法이 나타난 것이고, ‘藥師如來’의 本願이 발현된 것이라고 하겠다. 또한 그에 따라 역대로 의학과 관련된 경전들과 論著들이 출현했고, 그 가운데 다양한 病因論 및 治病論 등이 담겨져 있다. 四象醫學은 근대시기에 東武 李濟馬(1837-1900)에 의하여 제창된 의학이론으로, 흔히 四象體質論이라고도 칭해진다. 四象醫學은 기본적으로 周易的 우주관을 바탕으로 하고 性理學的 이해에 다시 근대의 새로운 人間․身體觀을 개진하여 독특한 四象構造를 이루어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상구조로부터 형성된 四象醫學이 그 이전의 韓醫學과 차별되는 점은 무엇보다도 ‘人間’에 대한 깊은 이해가 담겨있다는 점이라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佛敎의 의학적 측면에서 전개된 病因論과 四象醫學에서 제시하는 病因論을 서로 비교하여 그 접점을 논구하였다. 불교와 四象醫學의 病因論으로부터 기본적인 구도가 상당히 유사성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우선, 불교와 사상의학 모두 이 세계를 주관과 객관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교에서는 六根과 六境의 十二處로 이 세계를 규정하는데, 이는 바로 우리 존재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 세계를 규정하는데, 四象醫學에서도 역시 주관적인 ‘身心’과 객관적인 ‘事物’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주관과 객관으로 二分시키고, 다시 ‘주관’에 있어서 불교에서는 진리의 세계인 ‘實四大’와 生死와 病苦의 세계인 ‘假四大’의 두 차원으로 분류하는데, 四象醫學에서도 역시 ‘耳目鼻口․肺脾肝腎’의 ‘好善․惡惡․知․賢’ 등의 善端을 지닌 부분과 ‘頷臆臍腹․頭肩腰臀’의 ‘邪心․怠心․愚․不肖’ 등의 惡德을 일으키는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이러한 분류에서도 불교와 四象醫學의 유사성을 엿볼 수 있다. 더욱이 불교에서 ‘四大不調’를 病因論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보다 중요한 원인은 바로 ‘眞理에 대한 無知’로서 철저하게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는다면 病苦와 生死의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제시하니, 바로 ‘마음’의 문제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이는 四象醫學에서도 유사한데, 인간의 ‘壽․夭’를 ‘修養’과 연결시키고 있으며, 가장 중요한 病因을 ‘心火’로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역시 ‘마음’의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측면이 불교와 사상의학의 병인론으로부터 엿볼 수 있는 대체적인 유사성이라고 하겠다. Buddhism starts from the 'removal of suffering and attainment of happiness' 離苦得樂 at base. Especially the suffering of diseases among others is said to be most intense as it affects us directly. Thus Buddhism inevitably give rise to a certain medicinal method in an attempt to eliminate suffering and acquire pleasure. That is why the Buddhist excellent method of 'Great Lord of healing' 大醫王 and great vows of Medicine Tathāgata 藥師如來 were manifested. Buddhist scriptures and treatises related to medicine also made appearances a lot, which contain various causes and remedies of the diseas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四象醫學 is a medical theory advocated by Dongmu Lee Jema (1837-1900), otherwise called the 'Sasang constitutional theory' 四象體質論. This medicine presents 'Sasang typology' 四象構造 based on the view of the cosmos as described in Yijing 易經 and Neo-Confucianism further expressing a modern view of human beings and their bodies. The distinctive feature that separates Lee's medicine from previous oriental medicine lies in the former's deep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is paper investigated a nexus of the Buddhist and Sasang typological etiologies. We can get a sense that both etiologies are fairly similar in their basic schemes. First, both comprehend the world as a rel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Specifically, Buddhism defines the world as twelve sense fields 十二處 including the six sense organs 六根 and their six objects 六境, which is a defini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our existences; Sasang medicine also classifies it into the subjective 'bodily mind' 身心 and objective 'matters' 事物. Second, Buddhism once again divides the 'subject' into the real four great 實四大, ie., the world of the truth, and the provisional four great 假四大, ie., the world of life and death, disease and suffering; Sasang typology also categorizes it into parts of virtuous causes 善端 - e.g. virtue-favoring 好善, vice-avoiding 惡惡, knowledge, wisdom, etc such as ear, eye, nose and mouth 耳目鼻口, and lungs, spleen, liver and kidneys 肺脾肝腎 - and vicious causes 惡德 - e.g. wrong thoughts 邪心, laziness, stupidity and inability不肖 such as chin, breast, navel, and belly 頷臆臍腹, head, shoulder, waist and hip 頭肩腰臀. Such classifications reveal a similarity between them as well. Third, Buddhism states the 'incongruity among the four great elements' 四大不調 as the cause of a disease, but more importantly it suggests that one can be free from the sufferings by eliminating the ignorance of the truth and then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which is attributed directly to the problem of 'mind'. Sasang medicine is not different from this scheme as it connects the problem of longevity and premature death with spiritual cultivation while regarding 'mental fire' 心火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a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