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성악연구회 <춘향전>의 공연 양상-1936년 9월 창극 <춘향전>을 중심으로-

        김남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59 No.-

        . 조선성악연구회는 1934년에 창립하였고, 1936년에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창극 제작에 나섰다. 조선성악연구회가 창극 관심을 두게 된 이유는 동양극장 청춘좌의 신창극 <춘향전>에 찬조 출연하면서, 창극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후 조선성악연구회는 1936년 9월 <춘향전>을 제작하여 무대에 올리기까지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다. 하지만 그들은 끝내 <춘향전>을 완성하였는데, 이 공연은 이후 조선성악연구회 제작 창극의 일차적인 완성판에 해당한다. 특히 조선성악연구회의 창극이 이후 한국 창극사의 ‘원형’으로 자리 매김 된다고 할 때, 이 <춘향전> 공연의 의의는 상당하다고 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 공연에 대한 세심한 재구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의의 역시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 그래서 각종 자료와 근거를 바탕으로 1936년 9월 <춘향전>의 공연 양상과 양식적 특질을 해명하기 위해서 구상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춘향전>의 공연 양상을 재구하여 그 창극사적 의의를 논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 김유정 농촌소설에 나타난 ‘향토’ 표상

        이현주 시학과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0 No.31

        이 글은 근대성의 세례를 받고 도시에서 자란 김유정이 당대에 이미 ‘농촌’ 내지 ‘고향’을 표상하는 작가로 자리매김 되고 있는 맥락을 당대의 문학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김유정이 193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현상 공모에 「소낙비」가 1등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김유정은 농촌소설로 등단하였을 뿐 아니라, 1930년대 당대에도 유독 ‘농촌소설’ 작가로 호명되고 있다. 김유정은 1935년 카프 해산을 기점으로 새로운 문학적 모색이 요구되던 시기에 당대의 농민문학과 다른 체화된 고향을 그리며 등장했다. 김유정의 농촌소설은 농촌을 계몽의 대상으로 그리지도 않고, 그 반대로 낭만적 이상향으로만 심미화하지도 않는다. 김유정 농촌소설에는 자본과 식민화의 논리와는 무관한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농촌과 궁핍과 배신으로 얼룩지고 식민지 자본주의로 인해 피폐해진 농촌 현실이 동시에 표상되어 있다. 그런데 1935년 조선일보에 발표된 작품들에는 궁핍과 배신으로 얼룩진 피폐한 농촌 현실이 전경화 되어 있고, 1936년 조광에 발표된 「동백꽃」에는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농촌이 전경화 되어 있다. 김유정이 1935년에 발표한 작품은 대부분 농촌 혹은 산골을 배경으로 하고, 1936년에 발표한 대부분은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936년 이후에 발표된 작품으로 농촌을 배경으로 한 소설은 조광에 실린 「동백꽃」이 거의 유일하다. 「봄·봄」과 「동백꽃」은 근대 지식인이 기억의 재구성을 통해 자신의 심적 위안의 공간으로 삼은 고향 풍경을 그려내고 있다. 이는 잡지 『조광』의 1936년 기획 특집이 견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김유정은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약동하는 향토를 표상한 경우에도 그곳이 ‘서정성’으로만 봉합될 수 없는 공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유정의 농촌 소설 혹은 김유정의 ‘고향’(내지 ‘향토’)는 당대 향토 담론에 틈을 내는 “황폐한 시골, 굶주린 농민”으로 표상된 ‘고향’ 내지 ‘향토’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면모로 인해 김유정의 ‘고향’ 내지 ‘향토’는 1930년대 ‘향토’ 담론이라는 문학적 장으로만 논의할 수는 없게 된다.

      • 김유정 농촌소설에 나타난 "향토" 표상

        이현주 ( Hyunju Lee ) 시학과 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31 No.-

        이 글은 근대성의 세례를 받고 도시에서 자란 김유정이 당대에 이미 ‘농촌’ 내지 ‘고향’을 표상하는 작가로 자리매김 되고 있는 맥락을 당대의 문학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김유정이 193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현상 공모에 소낙비 가 1등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김유정은 농촌소설로 등단하였을 뿐 아니라, 1930년대 당대에도 유독 ‘농촌소설’ 작가로 호명되고 있다.김유정은 1935년 카프 해산을 기점으로 새로운 문학적 모색이 요구되던 시기에 당대의 농민문학과 다른 체화된 고향을 그리며 등장했다. 김유정의 농촌소설은 농촌을 계몽의 대상으로 그리지도 않고, 그 반대로 낭만적 이상향으로만 심미화하지도 않는다. 김유정 농촌소설에는 자본과 식민화의 논리와는 무관한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농촌과 궁핍과 배신으로 얼룩지고 식민지 자본주의로 인해 피폐해진 농촌 현실이 동시에 표상되어 있다.그런데 1935년 조선일보에 발표된 작품들에는 궁핍과 배신으로 얼룩진 피폐한 농촌 현실이 전경화 되어 있고, 1936년 조광에 발표된 동백꽃 에는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농촌이 전경화 되어 있다. 김유정이 1935년에 발표한 작품은 대부분 농촌 혹은 산골을 배경으로 하고, 1936년에 발표한 대부분은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936년 이후에 발표된 작품으로 농촌을 배경으로 한 소설은 조광에 실린 동백꽃 이 거의 유일하다. 봄,봄 과 동백꽃 은 근대 지식인이 기억의 재구성을 통해 자신의 심적 위안의 공간으로 삼은 고향 풍경을 그려내고 있다. 이는 잡지 『조광』의 1936년 기획 특집이 견인한 것으로 판단된다.하지만 김유정은 서정적이고 생명력이 약동하는 향토를 표상한 경우에도 그곳이 ‘서정성’으로만 봉합될 수 없는 공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유정의 농촌 소설 혹은 김유정의 ‘고향’(내지 ‘향토’)는 당대 향토 담론에 틈을 내는 “황폐한 시골, 굶주린 농민”으로 표상된 ‘고향’ 내지 ‘향토’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면모로 인해 김유정의 ‘고향’ 내지‘향토’는 1930년대 ‘향토’ 담론이라는 문학적 장으로만 논의할 수는 없게 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xt through which Kim Yoo Jung-who received modern baptism and grew up in a city-had emerged as the quintessential author representing "rural area" or "hometown,"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setting at the time. The author of this article highlights the fact that Kim Yoo Jung virtually began her career after her work, Sonakbi(「소낙비」), was awarded first prize atthe 1935 Chosun Ilbo’s "Shinchun Moonye Contest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Kim Yoo Jung not only began her career with a rural novel, but she was also known as a writer of "rural novels" in the 1930s. Since the KAPF Dispersal in 1935, a new literary perspective was being demanded in the literature field. Kim Yoo Jung emerged in the literary scene with a novel that illustrated rural communities in a different way from other rural literature (novels) at the time. She did not depict rural communities as a subject of enlightenment nor did she aestheticize them as romantic utopia. Her novels construe rural communities as both lyrical and vigorous environment unaffected by capitalism and colonialism as well as ravaged and shattered environment tainted with rampant poverty and betrayal, and devastated by capitalism and colonialism.Interestingly, her novels published in Chosun Ilbo in 1935 draw light on the brutal reality of rural environments tainted with poverty and betrayal, while the Dongbaek Flower(1936. 5) published in Chogwang in 1936 portrays the rural environment as a lyrical and lively place. Most of the novels Kim Yoo Jung published in 1935 take place in a rural setting or remote mountain villages, and most of the novels published in 1936 occur in an urban setting. The Dongbaek Flower is the only novel published after 1936 that takes place in a rural setting. The Spring, Spring(「봄봄」) and Dongbaek Flower both illustrate the process of a modern intellectual reconstructing his memories of his hometown as his emotional fortress and solace. This is presumed to b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specially featured in the 1936 Chogwang.

      • KCI등재

        영화 <미몽>과 1936년의 경성

        염복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2

        Mimong(Sweet Dream, 1936), the oldest talkie film made in the Korean language in existence, became an instant target of many researchers in its cinematographical plot and methods when it first came to light. This article, based on former studies in film history, crossexamined several significant places in the colonial capital of Joseon depicted in the film with historical materials. As Sweet Dream dealt with a run-away modern girl, it showed some modern landmarks of Keijo. This paper found eight places that were fairly accurately identified with other photos of the tim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film as a text of reading city rather than film history and pursued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today’s Seoul.

      • KCI등재

        두 번의 연행, 일곱 편의 조사 자료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4 No.-

        본 연구는 1936년 8월 31일 사리원 경암산 아래 광장에서 벌어진 봉산탈춤에 대한 조사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이때의 봉산탈춤 연행은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그 관심만큼 여러 조사 자료들이 산출되었다. 필자는 바로 이 조사 자료들에 주목한다. 1936년 봉산탈춤연행과 관련된 조사 자료들에 대한 섬세한 검토를 수행하려는 것이다. 관련 조사 자료들의 특징과 관계가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라 필자는 기대하고 있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36년 사리원에서의 봉산탈춤 연행과 관련된 조사 자료들은 총 여덟 편이다. 이 조사자료들은 크게 참여 관찰기와 채록 자료로 대별할 수 있다. 참여 관찰기로는 무라야마 지쥰의 참여 관찰기와 스텐 베리만의 참여 관찰기가 있다. 이 두 참여 관찰기 사이에 영향 관계는 전혀 없다. 채록 자료로는 오청 채록본, 오청 일어번역본, 구자균 필사본, 송석하 채록본, 최상수 채록본, 임석재 채록본 등이 있다. 그런데 오청 일어번역본, 구자균 필사본, 송석하 채록본, 최상수 채록본 등은 오청 채록본을 바탕으로 번역 · 필사 · 전재 등을 한 2차 가공자료들인 것이다. 따라서 채록 자료들은 크게 오청 채록본 계열과 임석재 채록본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상 채록 자료는 오청 채록본과 임석재 채록본으로 대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또 다른 연구 과제들을 제기한다. ‘오청 채록본과 임석재 채록본의 섬세한 비교 연구’, ‘참여 관찰기의 비교 연구’, ‘봉산 구읍 연희자들 주도의 봉산탈춤 존재 연구’ 등이 그것이다. 이 연구들은 본 연구의 과정에서 산출된 것이며, 동시에 문화 정치학적 논의와 깊게 연관되는 것이다. 이렇게 1936년 봉산탈춤 연행에 대한 조사 자료의 특징과 관계 정리라는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 달성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연구 과제들이 생성되었다. 어쩌면 본 연구의 본래 목적이 여기에 있었다고 할 수도 있다. 연속되거나 새롭게 떠오르는 과제들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본 연구가 자리 잡은 것이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materials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took place on August 31, 1936, in the plaza beneath Mt. Gyeongam in Sariwon. That performance drew a lot of interest. As a result of this interest, a number of research materials were produced. I pay attention to those research materials, which were reviewed delicat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s among those research materials. To sum 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a total eight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the 1936 Bongsan mask dance-drama performance at Sariwon. Those materia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and oral records. In the category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y, there are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of Jijyun Murayama and that of Stern Bergman. No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were found. As for the oral record materials, there are Cheong Oh’s oral records, Cheong Oh’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Ja-gyun Gu’s transcript, Seok-ha Song’s oral records, Sang-su Choe’s oral records and Seok-jae Im’s oral records. It should be noted that Cheong Oh’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Ja-gyun Gu’s transcript, Seok-ha Song’s oral records, and Sang-su Choe’s oral records are secondary processing materials which were transcribed, translated, and reprinted based on Cheong Oh’s oral records. Therefore, the oral record materials related to the 1936 Bongsan mask dance-drama performance are divided into the oral records of Cheong Oh and the oral records of Seok-jae Im. In fact, the oral records are mainly divided into those of Cheong Oh and Seok-jae Im. These study results have led to the initiation of other studies. Those are “A comparative study of the oral records of Cheong Oh and Seok-jae Im,” “A comparative study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diaries,” “A study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is led by performers in the old town of Bongsan.” The studies have been produc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and they are connected with cultural politics discussion. Based on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the arrang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materials of the Bongsan mask dance-drama that took place on August 31, 1936, in the plaza beneath Mt. Gyeongam in Sariwon, various research projects have been created. Maybe, the original purpose of this study may be said here. This study was established in a prior study to study the emerging study assignments in earnest.

      • KCI등재

        고향의 발견, 호명된 ‘영서(嶺西) - <봄·봄>, <동백꽃>과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

        이현주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72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Lee Hyo-seok and Kim Yu-jeong, who grew up in cities and so adopted urban sensibilities after being baptized by modernity, came to be writers who represented the local lyricism and homeland trends. This article begins by describing how ‘Yeongseo’, the home of Lee Hyo-seok and Kim Yu-jeong, was the soci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in which their literary texts were produced.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Yeongseo’, or homeland, as shown in Spring & Spring, Dongbaek flower, and Buckwheat Season in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published journals.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Lee Hyo-seok’s and Kim Yu-jeong’s novels set in rural villages which were published in Chogwang in connection with the journal’s special Homeland project in 1936. Chogwang, which was founded in November 1935 as a comprehensive popular magazine, conducted four special Homeland projects in 1936 which were centered around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to the symbols of homeland or rural villages that appear to Kim Yu-jeong’s and Lee Hyo-seok’s works. Chogwang’s special Hometown projects in 1936 are believed to have inspired the locality and lyrical natures of Spring &Spring(December1935),Dongbaekflower(May1936),and BuckwheatSeason(October1936).LeeHyo-seokandKim Yu-jeonghavebeencalledrepresentativesoflocallyricism because of their desire and struggle to clarify their position in the literary world. Thisarticleexploresthejournal’ssocialandhistorical environment, focusing on Kim Yu-jeong’s Spring & Spring and Dongbaek flower and Lee Hyo-seok’s Buckwheat Season.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Spring & Spring, Dongbaek flower, and Buckwheat Season in the context of other works of Kim Yu-jeong and Lee Hyo-seok, which were published in Chogwang during this period but were not based on ‘Yeongseo’ or rural villages. 이 글은 근대성의 세례를 받고 도시에서 성장한 도시적 감수성의 이효석과 김유정이 ‘향토적 서정성’ 내지 ‘고향’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 된 맥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이효석과 김유정 문학의 경우, 고향 ‘영서’가 문학 텍스트의 사회적‧역사적인 생산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고 있다. 특히 <봄·봄>, <동백꽃>, <모밀꽃 필 무렵>에 나타나 있는 ‘영서’(혹은 고향) 표상이 지닌 의미를 출판 매체(잡지)라는 당대 텍스트 생산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조광지에 발표된 이효석과 김유정의 ‘농촌’ 배경 소설이 지닌 의미를 1936년 조광 고향 기획 특집과 연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합대중잡지를 표방하고 1935년 11월 창간된 조광이 1936년 네 차례에 걸쳐 진행한 ‘고향’ 특집 기획은 김유정과 이효석의 나타난 ‘고향’ 내지 ‘농촌’ 표상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으로 작동하고 있다. 조광의 1936년 고향 기획 특집은 <봄·봄>(조광, 1935. 12), <동백꽃>(조광, 1936. 5)과 <모밀꽃 필 무렵>(조광, 1936. 10)의 향토성과 서정성을 추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이효석과 김유정이 ‘향토적 서정성’을 형상화한 대표적 작가로 불리게 된 저변에는 문단에서 입지를 확고하게 하고 싶어 했던 두 작가의 욕망과 분투도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은 김유정의 <봄·봄>, <동백꽃>과 이효석의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발표 지면이 어떻게 텍스트의 사회적·역사적인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이 시기 조광에 발표된 ‘영서’(혹은 농촌) 배경 작품이 아닌 다른 김유정과 이효석의 작품들과의 맥락 속에서 <봄·봄>, <동백꽃>, <모밀꽃 필 무렵>을 살펴보는 것은 이후 과제로 남겨 놓는다.

      • 후소회(後素會)의 일제강점기 활동

        송미숙(Song Mi-Suk)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6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4 No.-

        후소회는 일제 강점기였던 1936년 창립한 국내 최초의 채색화 그룹이다. 또한 2015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최장수 회화 그룹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후소회의 결성과 일제 강점기의 활동에 관해‘후소회전시회(이하 후소회전)’와 ‘조선미술전람회(이하 조선미전)’에 출품한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한 글이다. 후소회의 스승이었던 김은호는 그림이 회화보다는 서화로 인식되던 1912년, 초상화가로 등단했다. 그는 전통 채색기법에 서양화의 사실적 사생과 명암, 그리고 화려하고 세밀한 일본화를 수용하여 한국 채색화의 근대화를 연 화가였다. ‘서화협회’ 활동과 ‘조선미전’, ‘일본제국미술전람회’ 입상 등으로 화단에서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그의 화실이었던 낙청헌에 청년 화가 지망생들이 모여들었다. 1936년 마침내 그의 문하생들은 후소회라는 동문모임을 결성하기에 이른다. 창립 회원은 백윤문, 김기창, 장우성, 한유동, 조중현, 장운봉, 이유태 등이다. 후소회원들은 후소회전과 조선미전 등에 작품을 발표하며 채색화단의 신진세력을 형성하게 된다. 동문전인 후소회전은 해방 전까지 6회, 해방 이후에는 2015년까지 총 44회의 전시를 열었고, 조선미전에는 후소회 창립 이전부터 해방 이전인 1944년까지 참여하였다. 후소회전은 회원들이 실험적인 작품을 출품했던 전시였다. 조선미전에 비해 자율성이 보장됐던 동인전에 채색화의 다양한 시도를 감행하여 작품을 출품하였는데 이것은 해방 후 수묵이나 추상화로 전향했던 회원들의 다양한 작품 성향에 바탕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내 유일의 관전이었던 조선미전 참여는 후소회원들이 평가를 받기위한 무대였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일본인 화가들이 주류를 이루었던 조선미전에서 후소회원들의 성과는 주목할 만하다. 비록 현실의식과 회화기법의 미숙함으로 일본화의 소재 및 내용이나 양식상의 친연성이 보이는 경향도 있으나 1940년대 들어오면서 단일시점에 의한 투시원근법을 적용하여 사실묘사에 주력하였고, 맑은 색채의 사용으로 일본적인 색채와 거리를 두며 개별성을 주었다. 특히 김기창, 장우성, 이유태 등은 모두 여성인물화로 조선미전에서 두각을 나타낸 회원들로 같은 명제에 미묘한 차이점을 보이며 변화하였다. 그들이 각자의 방법으로 인물의 특징을 살리면서도 동작을 자연스럽고 사실적으로 묘사를 하는 등의 새로운 인물화를 창출하려 모색했던 것이다. 창립이후 후소회는 동양화에서 우위에 있었던 수묵화단과 균형적인 발전을 이루며 채색화단을 이끌었다. 특히 일제강점기 후소회의 전람회 활동으로 일부 평론가들이 채색화의 확장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낼 정도로, 일본화가들이 기득권을 가졌던 채색화 부분에 국내인들의 범주가 넓어진 것은 의미있는 성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손기정의 스포츠내셔널리즘

        주동진,김진형,김성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이 연구는 현 시대를 살다간 손기정의 사진 속에서 스포츠내셔널리즘을 찾아본 것이다. 손기정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난 조선의 마라톤 선수였다. 그는 1936년 베를린올림픽에 출전하여 세계기록을 갱신한 최고의 영웅이었다. 그런데 감격스러운 우승의 시상대에 올라선 그의 모습은 마치 단두대에 올라 온 죄인처럼 비참한 모습이었다. 조선(Korea)의 국민들은 세계 제패를 한 마라톤의 영웅, 손기정을 통하여 감격과 함께 조선의 자부심을 가졌지만 한편으로 죄인과 같은 손기정의 우승 장면으로 인하여 항일정신과 독립운동의 계기를 가지게 되었다. 日章旗抹消事件이 바로 그러한 예이다. 이 연구는 2시간 30분대를 최초로 깨뜨린 세계기록 갱신자보다 일제에 대항한 고개 숙인 슬픈 영웅, 그 ‘침묵의 항거’ 그리고 세계 곳곳에 사인한 ‘손긔졍과 Korea’ 그리고 ‘한반도 그림’, 이러한 그의 흔적들을 새롭게 평가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sports nationalism in Sohn Kee-chung's photos. He was Chosun(Korea)'s marathon runner born in the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He was a hero who joined in the marathon competition in the 1936 Berlin Olympics and broke a world record of marathon. However, in the victory stand, he seemed to feel miserable like a criminal stood in guillotine. The people of Chosun had a pride in the full flush of triumph by way of Sohn Kee-chung, a hero who won the marathon champ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of Chosun inspired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due to his stand similar to a criminal. The erasion of the national flag of Japan in his news photo is a good example. In short, this study is to examine 'silent resistance' of a drooping sad hero who resisted the Japanese Empire, not as first champion who broke a time of about two hours and thirty minutes in marathon, and also to reevaluate his traits such as his autographs, '손긔정(Sohn Kee-chung's Korean name) and Korea', and 'the drawing of Korean peninsula' by him.

      • KCI등재

        石川淳の『白描』論

        李忠奎 대한일어일문학회 2013 일어일문학 Vol.59 No.-

        Japanese militarism expands, and Jun Ishikawa of the writer publishes “Hakubyou” serially in the middle when the brake does not work. He put opposition to convention thought in the root of the literature from “misfortune of Chosuke” of the novel in the first half year. Thereafter the resistance for the thing such as politics, power, order, the community is described clearly, and “mind exercise” is used for his literature as a password of the exercise. Of course a process discovering unfamiliarity to reproduction is vividly pictured in hand Kinkichi Tuzumi of the chief character here by such mind campaign-self-knowledge. I am exposed at a limit tied up by again humanitarian morals without group and they who escaped from Russia including the Liipina wife of the painter led by Dr. Klaus as a person surrounding Kinkichi being got over from the present while flower Bukichi Hanagasa doing not spare help behind does selfknowledge. I regret that I failed to bring up Keiko Itusyoku entrusted late to him with as a Japanese. On the other hand, Keiko aims at the overseas escape in form to part from the uncle of a Japanese relative inheriting a trait or talent. In Daisuke Sakari, he reviews self according to “a law of the space” as a painter from the ground world, and another person of consequence has the morality that is incompatible with current Japan and does the own judgment. He chooses a flower shade as an exhibition written as mind of the self-knowledge as an observer. It was the fact that a child was born to him with a big opportunity of the suicide. By the way, this work had control and the demand of the system, too, and expression did not have the freedom. However, the author resists it well while showing it as if I follow the system by the technique such as “a mechanism” and “the deception”. However, many ideas do not notice the technique of the author and find an advantage of a thing close against the system or the Japanese culture. Because it is a method to deceive a partner, both “the mechanism and” “the deception” hold misfortune forced to expression of the form that contacted with the system by. It must be read as form to completely agree in the system if I have a look. Jun Ishikawa finished writing this work daringly while assuming such a risk. It may be the duty of the literary person to try until I can resist it. However, the word “the Beijing conquest” of Kinkichi makes a reader and completely causes misunderstanding. It may be not to obtain that it stop. In brief, this work did not show an advantage of the Japanese culture and did not follow the power system. When the author groped for possibility opposed to disgusting militarism as perspective here and there in living hand Kinkichi Tuzumi, summer can be called it in 1936. And I fixed my eyes on it if China, Beijing were most suitable as a place of possibility. It is not the thing in the idea, and Beijing is not the ideal ground. It is only a place of new departure that must fight by self-examination of Kinkichi. It may be said that it was the “Hakubyou” that is important to have finished writing the misunderstanding of the reader fearlessly while hiding the intention of such an author in the space between the 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