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9년, 애국과 문화적 지향 사이 - 북경대학(北京大學) 학생 잡지 『국민(國民)』에 대한 재고찰

        김선영 ( Kim Sun Young ) 한국중국학회 2018 중국학보 Vol.84 No.-

        본고는 1919년 1월 北京大學에서 학생 잡지인 『新潮』, 『國故』, 『國民』이 거의 동시에 출현한 현상에 주목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세 잡지를 각각 진보, 보수, 애국의 성향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성향을 지닌 北京大學 학생들을 대표하는 ‘三鼎雜志’로 빗대어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원화된 해석을 극복하기 위하여 그간 연구가 미비했던 『國民』을 중심으로 『國民』과 『國故』의 관계, 『國民』과 『新潮』의 관계를 각각 고찰하였다.이 고찰을 통하여 그들의 관계는 고도의 정치성을 지닌 五四運動 전후로 큰 변화를 겪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에 알려졌던 것과는 달리 잡지 성원들 사이에 시기에 따라서 공통의 구성원이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五四運動이 발생하기 전 『國民』은 일본 유학생 단체인 ‘學生救國會’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과 동시에 『國故』와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는데, 이 시기에 일부 구성원들은 『國民』과 『國故』의 직원을 겸직하기도 하였다. 이와 달리 『國民』과 『新潮』는 五四運動 전에는 학생의 정치에 대한 태도를 둘러싼 분명한 견해차로 충돌하였다. 그러나 五四運動 이후 『國民』과 『新潮』의 관계는 『國民』이 白話文으로 기사를 작성하고, 新文學 작품을 게재하는 방식으로, 동시에 新潮社의 성원들도 『國民』에 직접 본인들의 작품을 싣는 방식으로 관계가 재건되며 이를 통한 상호작용이 발생하였다. 무엇보다 『國民』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잡지사 조직을 개편하고, 잡지내용의 변화를 추구하면서 객관적인 ‘학생 잡지’로서의 조건을 갖추어나가기 시작한다.결론적으로 1919년에서 1920년까지의 1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國民』 『新潮』 『國故』는 정식 사회구성원이 아닌 예비단계의 ‘학생 잡지’였지만 당시 지식계의 정치, 문화, 학술 방면의 주류적인 문제의식을 공유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실제로 일정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이는 1919년에서 1920년이라는 특수한 시기 하에 아직 제대로 자리 잡지 않았던 유동적인 학생 신분의 운용에 의해서 가능하였다. 곧 당시의 ‘학생잡지사의 결성’과 ‘학생 잡지의 발간’ 그리고 ‘해체’는 개별적으로 발생한 ‘사건’이 아닌 특수한 시기적 조건 아래 생성된 ‘현상’이라는 것을 강조할 필요성이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henomena that three each student’s jounal 『XinChao (新潮)』, 『GuoGu (國 故)』, 『GuoMin』 was published concurrently in January 1919 at Peking university. Mostly, earlier studies separated each into the progressism, conservatism and patriotism by their tendency; they often referred as ‘SanDing Journal’, representative of Peking university students with their different orientation. To get through those simply unified interpretation, this paper surveys each relevance of 『GuoGu』 and 『XinChao』 around 『GuoMin』, the periodical which had incomplete studies before.Through this reconsideration, it reveals that their relations had considerable alteration by enduring the profound political May fourth movement; differ from as known, there were common member in separate publisher according to the time. In particular, before May fourth movement 『GuoMin』 had strong bound with oversea students association in Japan ‘Student association of salvation’, in the same time, also kept close relationship with 『GuoGu』. At this period, some of members of 『GuoMin』 and 『GuoGu』 had concurrent position. On the contrary, before the May fourth movement, between 『GuoMin』 and 『XinChao』 they had confliction with obviously different opinion to the political attitude of students. But after the May fourth movement, by writing an article with Colloquial Chinese and publishing work of ‘New literature’, in the same time the member of ‘XinChao’ publisher also enroll their works to 『GuoMin』, the relation with 『GuoMin』 and 『XinChao』 was reconstructed and certain interaction was occurred. Furthermore, through those procedure, 『GuoMin』 made a reorganization to the publisher and pursuit of change in the content of journal, began to qualify for the objective Student Journal.In conclusion, from 1919 to 1920 during the short one year period, 『XinChao』, 『GuoGu』 and 『GuoMin』 were non-official incomplete position as preliminary stage of ‘Student Journal’, still sharing the contemporary awareness with the intellectual in the political, cultural, academic way, actually brought certain influence to the society. What made it possible was that application of floating position of which was unfixed under particular surroundings form 1919 to 1920. Shortly, it need to be emphasize the meaning of that ‘the organization of student publisher’, ‘the issue of student journal’ and their dissolution were not occurred as the individual event, were the phenomena occurred under the special period condition.

      • KCI등재

        통일 후 역사교과서 한국고대사 내용 구성을 위한 검토 -고조선, 고구려사를 중심으로-

        조영광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1

        By analyzing the ancient Korean history descriptions of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and comparing them with South Korean textbooks, we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the post-unification history textbooks. First, the problem with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is that they rely excessively on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on. And the distortion of the Daedong River civilization theory and Gojoseon history, which exaggerated their own history, is also serious. Similarly, Goguryeo history is exaggerated, and Baekje, Silla, and Gaya are described as reduced and passive. Despite these problems, there are several points to be consulted by referring to North Korean textbooks in composing history textbooks for the future unification era. First, it is the division of the period of Gojoseon history. I think it is time for Korean academia to seriously discuss the division of periods in Gojoseon's history. In addition, the period of formation of the Goguryeo state should be earlier than the foundation year according to the Samguksagi and this should be reflected in textbooks. Lastly, it is necessary to reflect and discuss the terms of the Period of South and North Countries, unified Silla, and Later Silla. 북한 역사 교과서의 한국 고대사 서술을 분석하고 한국의 그것과 비교해 봄으로써 통일 후 역사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대하여 시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 역사 교과서가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과하게 사회구성체론에 의존해 서술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자국 역사를 지나치게 과장한 대동강 문화론과 고조선사 서술도 우려가 되는 실정이다. 이와 유사하게 고구려사도부풀려진 측면이 있는 반면, 백제‧신라‧가야는 축소되고 피동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향후 통일 시대의 역사 교과서를 구성함에 있어 북한 교과서로부터 참조해 협의할 부분도 몇 가지 존재한다. 먼저 고조선사의 시기 구분이다. 한국 학계도 이제 고조선사의 시기 구분을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구려 국가 형성 시기를 삼국사기의 건국 기년보다 상향하고 이를 교과서에도 반영하여야 한다. 끝으로 남북국 시대와통일 신라 및 후기 신라 용어에 대한 반성과 협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영화의 출발 기점에 관한 재고찰 : 영화사에서의 ‘1919년론’을 중심으로

        함충범(Ham, Chung Beom)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3

        2000년대 초까지 한국영화사 학계에서는 식민지 시기 조선인들에 의해 제작된 최초의 연쇄극 〈의리적 구토〉에 대한 두 가지 쟁점을 둘러싼 뜨거운 논란이 있었다. 첫째, 이 작품을 최초의 한국영화로 인정할 수 있는가. 둘째, 이 작품이 공연된 1919년을 한국영화 제작사(製作史)의 출발 기점으로 볼 수 있는가. 이는 연쇄극을 영화로 볼 수 있느냐 하는 일반적인 문제로 옮겨진 후,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그 양식 자체를 인정하거나 연극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시도도 펼쳐졌다. 아울러, 〈의리적 구토〉에 관한 논의는 (최초의) 기록영화와 극영화 등에 관한 것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띠기도 하였다. 그리고 2010년대 들어서는 연쇄극의 혼종성에 주목하다가 그 영화적 성격을 중시하는 것으로 담론의 중심이 이동되어 왔다. 그런데, 〈의리적 구토〉가 공연된 1919년이 한국영화의 출발 기점으로 세워진 것은 ‘한국영화 40년’을 지나 ‘50년’을 3년 앞둔 1966년의 일이었고, 여기에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 뒤로 다시 50년이 지났다. 영화사 연구에서 ‘국가’ 단위 분류화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재확인하고, 한국영화사 서술 기준으로서의 ‘민족(성)’이라는 요소의 합리성에 대해 재점검하며, 시대별 주요 사건과 작품에 독립적인 의의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향후 영화사 연구 및 서술의 바람직한 방안을 탐색해 볼 시점이다. Until the early 2000s there was a heated debate in the academia of Korean cinema history over two issues concerning the first kino drama, 〈Fight for Justice(Uilijeog guto)〉 produced by the Koreans in the colonial period. First, can this film be recognized as the first Korean film? Second, is it possible to see 1919, when this work was performed, as the starting point for Korean film (making) history? After the move to the general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kino drama can be accepted as a movie, since the mid - 2000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acknowledge the style itself or to look at it from a theater perspective. In addition, discussions on the 〈Fight for Justice〉 tend to be extended to (the first) documentary film and feature film. And in 2010, the center of discourse has been shifted to focus on the cinematic personality from paying attention to the hybridity of kino drama. However, 1919, when 〈Fight for Justice〉 was performed, it was established as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cinema history in 1966, three years ahead of ‘50 years’ after ‘40 years of Korean cinema’. And there was a background of the times. It has been 50 years since then. We must reaffirm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the ‘nation’ unit classification in the cinema studie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rationality of the element of ‘nationality’ as the standard of Korean cinema histor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desirable methods of research and writing of cinema history by giving independent significance and value to important events and works of the period.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2) - 순종 대 이후와 연대 미상의 왕실발기를 중심으로 -

        박부자 국립고궁박물관 2023 古宮文化 Vol.- No.16

        본고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과 내용을 소개하는 두 번째 편이다. 첫 번째 편에서 다루지 못한 순종 대 이후의 왕실발기와 연대 미상의 왕실발기 20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긔미윤칠월십뉵 됴셕 샹식ᄇᆞᆯ긔【이십일디】(고궁2419-1)>와 <긔미십월 효덕뎐 망다례 단ᄌᆞ(고궁2419-2)> 2점은 1919년에서 고종高宗, 재위 1863~1907과 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다례에 올려진 음식 목록을 적은 다례발기와 상식발기이다. 1919년 다례발기와 상식발기 중 기존에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던 자료들이다. 따라서 <고궁2419> 두 점의 존재는 고종과 명성황후의 다례 관련 왕실발기가 온전한 자료로써의 가치를 인정받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의ᄃᆡ목록(궁중346)>과 <반상목록(궁중347)>은 1932년에 진행되었던 영친왕英親王, 1897~1970의 둘째 아들 이구李玖, 1931~2008의 돌잔치 때 작성된 복식발기와 기명발기이다.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후대에 작성된 것으로, 왕실발기가 1932년까지도 제작되었음을 실증해 주는 자료이다. 또 표지를 붉은색 바탕에 연꽃 무늬 비단으로 만들어 매우 화려한데,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이와 같이 제작된 예가 없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례단자(고궁2227-2)>와 <다례단자(고궁2227-3)>는 그간 ‘연대 미상’으로 알려져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례단자(고궁2227-2)>는 1896년(고종 33) 7월 27일 명성황후의 다례와 관련하여 진설된 음식을 기록한 것이며, <병신칠월이십칠일 셩빈 별다례 ᄇᆞᆯ긔(장서각1381)>과 내용이 동일한 자료임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다례단자(고궁2227-2)>이 <병신칠월이십칠일 셩빈 별다례 ᄇᆞᆯ긔(장서각1381)>의 수정사항을 모두 반영하여 정서한 최종본임이 확인되었다. <다례단자(고궁2227-3)>도 본 연구에서 1905년(광무 9) 8월 19일에 명성황후의 다례 때 제작된 <을팔월십구일 긔신 홍능 다례 ᄇᆞᆯ긔(1366)>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자료로 추정되었다. 이상에서 두 번에 걸쳐 살펴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는 총 32점이 전한다. 32점 중 한글본이 28점, 한자본이 4점으로 한글본이 압도적으로 많고, 시기상으로는 고종 대의 왕실발기가 9점으로 가장 많은데 이는 모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보유하고 있는 왕실발기와 동일한 양상이다. 현재 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시기가 앞선 1732년(영조 8) 영조 때 왕실발기와 시기가 가장 늦은 1932년 왕실발기가 모두 국립고궁박물관에 전하고 있다. 이중 기명발기가 4점 전하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 950여건 중 기명발기는 40여 점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기명발기 4점은 기명발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constitutes the second segment, providing an introduction to the present condition and contents of the Wangsil Balgi(王室 발기[件記], list of royal items) archive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this second part, an examinat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royal item lists following the reign of Emperor Sunjong (r. 1907-1910) and 20 undated lists that were not covered in the first installment. Amongst the royal item lists written during and after Emperor Sunjong’s reign, a list labelled as Gogung2419 records the food served at a tea ceremony conducted for Emperor Gojong and Empress Sunjong in 1919. In the lists pertaining to 1919, a noticeable absence is found specically in the entries of the month of October, and Gogung2419 corresponds to that missing section. Therefore, the presence of Gogung2419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Wangsil Balgi related to the tea ceremony for Emperor Gojong and Empress Myeongseong, as it serves as a complete and integral source of information. Gungjung 346 and Gungjung 347 are Boksik Balgi(服飾件記,list of attire) and Gimyoeng Balgi (器皿件記, a list of tableware) made in 1932 for the rst birthday banquet for Yi Gu (1931-2005), the second son of Imperial Prince Yeong (1897-1970). As one of the most recently documented royal item lists, it serves as tangible evidence that such records were still being produced until 1932. Additionally, the cover, made of vivid red silk adorned with lotus ower patterns, is exceptionally ornate. Among the extant royal records, there is a notable absence of examples featuring such elaborate craftsmanship, making it particularly noteworthy. Gogung2227-2 and Gogung2227-3 have been known as “date unknown”. 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ogung2227-2 records the food served at Empress Myeongseong's tea ceremony on July 27, 1896, and has the same content as Jangseogak1381.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gung2227-2 is the final version that reflected all the revisions of Jangseogak1381. Gogung2227-3 is also pre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Jangseogak1366, which was issued for the Empress Myeongseong's tea ceremony on August 19, 1905.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ouses a total of thirty two pieces of Wangsil Balgi. Of all the pieces, twenty eight are in Korean and four in Chinese. e number of Korean versions is overwhelmingly large. In terms of its production timing, the largest number of Wangsil Balgi were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with a total of 9. Among the Wangsil Balgi stored in the Jangseogak Archive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re are also more Korean versions than Chinese ones, and the most numerous are those written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Currently, both the earliest of the Wangsil Balgi, written in 1732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 1724-1776) and the latest issued in 1932, are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Four out of thirty-two Wangsil Balgi stor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re Gimyeong Balgi. Considering that there are only forty Gimyeong Balgi out of nine hundred fifty Wangsil Balgi in the Jangseokgak Archive’s collection, the four Gimyeong Balgi in the NPMK’s collection are of important value for conducting overall research on Gimyeong Balgi.

      • KCI등재

        도시 지역에서 3.1운동의 전개와 특징

        염복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in urban areas, based on the database built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e database classified as the urban areas in colonial Korea as of 1919, a composition of the twelve boos (府, administrative cities designat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the 23 designated myeons (面, lager townships), and some of the non-designated myeons of a relatively large population, many of them located with railway stations. This paper looks into the categories of the database, including the basic types of the protests, the degrees of violence, the types of participants, the media used in rallies, the temporal developments of the protests, and their usual time-slots of the day.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protests in the cities are students strikes and other activities, mostly done by not-organized individuals. It reflects the fact that most schools were located in colonial cities. As for the degrees of violence in the independent protests, most of the protesters favored non-violent chanting “manse,” a slogan calling for independence to the Government-General, both in urban and rural areas. However, in the cities, damage to property had higher percentages compared to the rural areas, which showed property worth damaging concentrated in urban areas. Participants were mostly composed of Christians, followers of Cheondogyo, a Korean religion, students and farmers across the nation. While Christians participated in similar percentages, regardless of rural or urban areas, students had a greater presence in the city rallies and members of Cheondoist and farmers in non-city areas. Three major media of the March 1 Movement were banners, flyers, and slogans. While banners were favored evenly both in rural and urban rallies, city protesters preferred flyers and their non-city counterparts more heavily depended on chanting slogans. It showed the letter-based network and verbal network co-existed in different spatial zones in colonial Korea. As for the temporal development of rallies, in most cities, they surged in early March, slowed in mid-March, resurged later in the month, and subsided in April. On the other hand, in rural areas, demonstrations gradually gathered momentum all through March, reached a peak in early April and abated from mid-April. In overall, the nation-wide protests started in the cities and gradually spread out into neighboring non-city areas. Whereas the time-slots of rallies were similar in cities or non-cities, in cities, more protests occurred in the afternoon, and in rural areas, they happened slightly darker hours than in the cities. That showed a difference in rhythm of life between cities and non-cities. This analysis is a quantitative one based on the big data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qualitative studies in the future. 이 논문은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도시 지역에서 3.1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징을 살펴본 연구이다. 먼저 1919년 당시 식민지권력이 행정적 도시로 지정한 12개 府와 23개 指定面, 그리고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고 철도역이 입지한 일부 보통면을 도시로 설정했다. 다음으로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의 분류에 따라 3.1운동의 기본 유형, 행동 양상, 주체, 매체, 운동 발발의 시점, 시간대를 살펴보았다. 기본 유형에서 도시의 특징은 학생의 운동인 휴학휴교와 개인적 투쟁이 대부분인 기타활동의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학교가 있는 곳이 곧 도시임을 알 수 있다. 행동 양상은 도시, 비도시를 막론하고 만세가 주류였다. 그런데 도시는 비도시에 비고른 비중인 반면 도시에서는 학생, 비도시에서는 천도교도, 농민의 비중이 확연히 높았다. 깃발, 문서, 구호는 3.1운동의 3대 매체였다. 그런데 깃발은 도시, 비도시를 막론하고 고른 비중인 반면 도시에서는 문서, 비도시에서는 구호의 비중이 확연히 높았다. 이는 당시 조선에서 문자 네트워크와 음성 네트워크가 서로 구분되는 공간에서 기동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운동 발발의 시점을 보면 도시에서는 3월 초순에 급상승, 중순에 하강, 하순에 재상승, 4월 들어 지속적 하강의 곡선을 그린다. 반면 비도시에서는 3월 내내 서서히 상승, 4월 초순 절정, 중순부터 급하강의 곡선을 그린다. 이는 도시에서 시작된 3.1운동이 점차 인근 비도시로 확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운동 발발의 시간대는 도시와 비도시가 비슷하다. 그러나 도시는 오후의 비중이 조금 높으며, 비도시는 야간의 비중이 조금 높다. 이는 두 지역 간의 생활 리듬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분석은 빅데이터에 기반한 운동의 ‘양적 분석’이다. 추후 이를 기반으로 ‘질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민주헌정의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과 제헌헌법의 관계

        김수용 한국헌법학회 2019 憲法學硏究 Vol.25 No.1

        비교헌정사적으로 근대 민주국가는 봉건질서를 타파하고자 하는 민주시민의 탄생과 민주시민에 의한 시민혁명 발발, 민주시민들을 대표하는 의회 조직, 의회에서 민주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헌법 제정, 헌법에 입각한 민주국가 수립, 민주국가를 실현할 구체적인 법령 마련, 헌법 제정과 실천 과정에서 미흡했던 내용을 반영한 헌법 개정 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1919년 4월 11일에 건립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도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탄생하였다. 즉 1919년 3.1혁명 이전에 민주시민들이 탄생하였고, 그들이 중심이 되어 1919년 3.1혁명을 일으켰다. 1919년 4월 10일 저녁 10시경에는 민주시민의 대표자들이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을 개원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1919년 4월 11일에 대한민국헌법(대한민국임시헌장)을 제정하였다. 1919년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은 1919년 4월 대한민국헌법에 따라 1919년 4월 11일에 건립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법령 등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1919년 9월 11일에는 1919년 4월 대한민국헌법 이후 미흡한 내용들을 반영하여 제1차 헌법 개정을 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은 총 5차에 걸쳐 개정이 되었는데, 해방 이전 마지막 개정은 1944년 4월 22일에 이루어졌다. 1944년 대한민국헌법은 제61조에서 헌법 개정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 7월 17일에 공포된 제헌헌법(1948년 대한민국헌법)은 1944년 대한민국헌법을 개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헌법 제정 절차에 따라 새롭게 제정되었다. 그러나 1944년 대한민국헌법과 1948년 제헌헌법은 기본편제가 유사한 점, 두 헌법 모두 제1조에서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규정하고 있는 점, 1948년 7월 7일 국회 본회의에서의 대한민국 정체성 논쟁과 결정 내용 등을 종합할 때, 1948년 제헌헌법은 헌법 제정 절차에 따라 제정되었지만 실질은 1944년 대한민국헌법의 개정 또는 전면 개정이라고 할 수 있다. On April 11, 1919, the first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was enacted and was promulgated in Shanghai, China. The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says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Republic of Korea of 1919”)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in the course of the March 1st Revolution caused by democratic citizens.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was revised five times until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last Constitution(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was revised on April 22, 1944.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enacted on July 12, 1948 and was promulgated on July 17, 1948. On August 15, 1948,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Republic of Korea of 1948”)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The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also says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like that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On July 7, 1948, the National Assembly of 1948 decided the identity of Republic of Korea of 1948 as follows. “We, the people of Korea, proud of a resplendent history and traditions dating from time immemorial, upholding the great spirit of independence, as manifes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cours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now at this time engaged in reconstructing a democratic, independent country are determined.” In other words, the Republic of Korea of 1919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on April 11, 1919, then it was re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on August 15, 1948. In summar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made by new process even though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had the process of revision. But I think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the revised constitu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based on the deci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f 1948 on July 7, 1948, the same Article 1 of two Constitutions(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and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and the similar formation of two Constitutions, etc.

      • KCI등재후보

        임시의정원·임시정부의 권위가 제헌헌법· 정부수립에 미친 정치적 영향에 대한 고찰

        채진원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1 지역과 정치 Vol.4 No.1

        Was the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 spirit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was connected with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been preserv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n 1948 and establish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liberation? To what extent was it kept? the reason for asking such a question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camps where the so-called “Foundation Day debate” came out. in the background of this 'Foundation Day debate', the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 spirit of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nected with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were consistently established after the liber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n 1948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t seems that it is because they cannot properly convince them that they are continuing, or they cannot share their perceptions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ccept the spirit of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tic republicanism based on Hannah Arendt's view of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American Republican Revolution and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constitutional foundation of the constitutional power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and the view of its realization in 1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impact of the 1948 Constitutional Constitution and government establishment by the Provisional Assembl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linked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provisional legislature and the political authorit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established in 1919 on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in 1948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1919년 3·1운동과 연결되는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은 해방이후 1948년 제헌헌법을 만들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도 지켜졌을까? 어느 정도로 지켜졌을까? 이런 질문을 던지는 이유는 이른바, ‘건국절 논쟁’이 나온 진영간의 인식차이와 갈등 때문이다. 이런 ‘건국절 논쟁’이 나오게 되는 배경에는 1919년 3·1운동과 연결되는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이 해방이후 1948년 제헌헌법을 만들고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까지 일관되게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제대로 설득하지 못하거나 서로 인식을 공유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글의 목적은 미국의 공화주의 혁명과 건국모델의 헌법적 토대인 ‘헌법제정권력의 권위’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시각을 기초로 하는 헌정주의와 민주공화주의 정신의 관점을 수용하여 1919년 3·1운동과 연결된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가 1948년 제헌헌법과 정부수립에 미친 정치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즉 1919년 탄생한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의 정치적 권위가 1948년 제헌헌법과 그에 따라 탄생한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미친 영향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1919년 목포 4.8독립만세운동의 전개과정과 주요인물

        최성환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69 No.-

        Mokpo is a place that developed into a representative commercial city of Jeollanam-do after their port opening in 1897. While it has a strong image of being an ‘exploitation por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 should also be given on its anti-Japanese movement aspect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related to this. In particular, there is not a single thesis that has been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This articl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kpo case by observ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at occurred in Mokpo in 1919 along with the central figures who led it. The first attempt was on March 20th in Mokpo and full-scale protests occurred on April 8th and April 9th. The prepar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were analyzed based on detailed historical records and a total of 24 central figures were looked into. Focus was placed on the activities of Namgoong Hyuk, Gang Seok Bong, and Seo Gi Hyeon, who had not been given focus before, and data through which the scale of the protest could be estimated was presented. Characteristics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in Mokpo analyzed through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cientized activists of various classes joined together to raise the movement. Second, it was an independence movement in which the Mokpo civil society took part in. Third, it is a case that show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acceptance of modern culture and the growth of anti-Japanese sentiment. Fourth, it was a turning point that produced anti-Japan activists. Fifth, it was not a one-time act but it continued on into the year 1920 and 1921 and that spirit continued on. Sixth, there was a religious group that led anti-Japanese movements such as activities of the Chosun National Association[朝鮮國民會] and the Ilshimhwae[一心會] centered around Yangdong Church. 목포는 1897년 개항 이후 전라남도의 대표적인 상업도시로 발전한 곳이다. 일반적으로 ‘일제강점기 수탈항’이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항일운동의 측면에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글은 1919년 목포에서 발생한 독립만세운동의 전개과정과 이를 주도한 중심인물들의 면모를 살펴서 목포 사례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목포에서는 3월 20일에 최초 시도가 있었고, 본격적인 시위는 4월 8일에 일어났다. 구체적인 사료를 토대로 준비와 전개과정 등을 분석하였고, 총 24명의 중심인물을 파악하였다.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남궁혁·강석봉·서기현 등의 활동상에 주목하였고, 시위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목포지역 1919년 독립만세운동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화된 다양한 계층의 활동가들이 힘을 합쳐 일으켰다. 둘째, 목포 시민사회가 함께한 독립만세운동이었다. 셋째, 근대문물의 수용과 항일의식의 성장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넷째, 항일 운동가를 배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섯째,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1920년과 1921년에도 지속 되어 그 정신이 계승되었다. 여섯째, 양동교회를 중심으로 일심회, 조선국민회 활동 등 항일운동에 앞장서는 신앙인 그룹이 존재했다.

      • KCI등재

        1919년 『요미우리신문』의 조선 관련 보도의 특징

        박은영(Park, Eun-you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0

        3·1운동은 1910년 한일 강제 병합 이후 오랫동안 식민지 조선에 관한 보도에 무관심했던 일본 언론 매체의 지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사건이었다. 따라서 일본의 주요 신문이 3·1운동과 식민지 조선에 관해 어떻게 보도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1919년 일본이라는 시공간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유효한 주제이다. 한편 미디어 담론이라는 것은 해당 사회의 국가적․사회적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개별 매체의 성격과 글을 쓰는 언론인의 차원까지 모두 종합하여 형성된다는 점에서, 각 매체적 특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요미우리신문(讀賣新聞)』이라는 매체적 특성에 주목하면서 여기에 게재된 조선 관련 보도 내용을 살펴보았다. 요미우리신문은 창간 이후 수차례의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문예신문으로서의 정체성과 부인부록으로 대표되는 여성 친화적 신문 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1919년 요미우리신문의 조선 관련 보도에서도 볼 수 있는 이 매체의 특징이었다. 즉 요미우리신문은 당시 지배적인 콜로니얼 언설과 문법에 따르면서, 동시에 문화적·여성적 관점에서 식민지 조선을 보도하려는 자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식민지 조선에 대한 양면성이 잘 드러나고 있던 매체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개별 매체에 주목하면서 그 특성이 지면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일본 언론 사회의 식민지 조선에 대한 언설 구조를 이해하는 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rch 1st Movement was the event that aroused much attention from the Japanese media who had been indifferent to reports about Colonial Chosun since 1910. Thus, looking at how major Japanese newspapers reported on the March 1st Movement and Colonial Chosun, is a valid topic in understanding the time and space of Japan in 1919. On the other hand, media discourse is formed by synthesizing both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media and the level of journalists who write, while being affected by national and social influences. In this paper, I paid attention to the media called Yomiuri Shimbun(讀賣新聞) and reviewed the contents related to Chosun published here. Yomiuri Shimbun is now Japan’s leading newspaper with the world’s largest circulation.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however, it was a newspaper that was published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intellectual power of the people, away from political issues. When reviewing the articles related to Chosun in Yomiuri, it showed the attitude to report Colonial Chosun from the cultural and feminine perspective while following the dominant colonial discourse and grammar at the time. In this respect, Yomiuri Shimbun showed both sides about Colonial Chosun.

      • KCI등재

        파리長書運動의 기원과 在京儒林

        서동일(Dong-il Se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0

        在京儒林은 1919년 3월 고종황제의 國葬이 벌어지던 서울에 체류하면서 유림의 독립청원운동(파리長書運動)을 기획하고 추진했던 유림인사들을 가리킨다. 金昌淑, 金丁鎬, 李中業, 柳濬根, 林敬鎬, 成泰英 등이다. 이들이 항일운동에 적극 나서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 논문은 재경유림의 탄생과정에서 파리장서운동의 역사적 기원을 찾아보고자 했다. 파리장서운동의 기원을 재야의 보수유림 내부뿐만 아니라 재경유림이라는 외재적 요인에서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제2장에서는 고종의 국장을 참관하기 위해 상경했던 지방유림이 각종 항일운동에 참여한 사실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재경유림이 발의한 독립청원운동(파리장서운동)이 다른 형태의 항일운동에 비해 설득력을 갖게 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런 움직임을 주도한 재경유림이 어떤 인물로 구성되었고 어떤 배경에서 성장하였으며 어떤 정치적 성향을 지닌 인물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재경유림 및 그 협력자들이 펼친 대외활동 가운데 특기할 만한 항일운동 즉 1890년대 말부터 전개된 비밀결사운동, 1905년 전후에 시작된 독립운동근거지 개척운동, 1918년 고종망명계획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재경유림의 입장에서 본 파리장서운동의 前史에 해당한다. 제4장에선 재경유림과 지방 보수유림이 어떤 접점에서 파리장서운동에 협력하게 되었는지를 기술했다. 이 연구를 통해 파리장서운동은 을미사변 이후 재야 보수유림 내에서 증폭된 항일의식과 함께 재경유림이 1890년대 말부터 진행해 온 반일(항일)운동에서 역사적 遠因을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 고종의 급서와 3 · 1만세운동이 돌발적인 近因으로 작용한 것이라는 접근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In 1919, an strange independence movement, named Pari Jangseo Undong(巴里長書運動: so called the 1st Confucian Independence Movement), was led by a numerous Korean conservative confucian. The confucian more than 100 asked the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in Paris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imperial japan. But, it was a strange scene because the conservative confucian who had been regarding the western people as a babarian. Definitely, they were different with the traditional confucian. If so, did they really admitted the western as a civilized. The answer is NO. There were several persons who helped their considering. They are named Jegyeong Yurim(在京儒林: the confucian who had been stayed in Seoul) Pari Jangseo Undong seems to be a accidentally happened movement. But, it was a designed activity and had a clear historical background. What is ‘designed’ and ‘historical’? Let’s look over the origin of Pari Jangseo Undong and the role of Jegyeong Yurim. Jegyeong Yurim came of good families, learned under the good teachers. They learned both confucianism and western sciences differently from 137 conservative confucian participated in this movement, and they are very positive in anti-imperial Japan movement in the influence of family, fellows and the teachers. They, first, established a secret society to reform and strengthen Daehan Jeguk(大韓帝國: the Great Han Empire, 1897-1910). But, the efforts were failed because imperial Japan made Daehan Jeguk to semicolonialism after 1904 and strongly suppressed Korean politician. They decided to make a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outside the nation like Manchuria, Russia, etc, in the other hand, preparing to refuge emperor Gojong to China. But, this plan was also failed for the sudden death of emperor Gojong. In this background, Jegyeong Yurim faced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Understanding Jegyeong Yurim is very important problem. It shows what conditions the aim of Pari Jangseo Undong were formed by, and why 137 conservative confucian participated in this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