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인가, 돌봄인가, 여가인가? -전일제 임노동자 맞벌이 부모의 시간배분에 대한 젠더 영향과 학력의 조절효과-

        주은선 ( Eun Sun Jo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3

        이 연구는 전일제 임노동자인 맞벌이 부모의 유급노동, 자녀돌봄, 여가에 대한 시간배분을 젠더와 학력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연구 초점은 전일제로 일을 하는 부모의 일, 돌봄, 여가시간에 대한 배분이 전통적인 성역할 이념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와, 시간배분에 대한 젠더 효과가 고학력일 경우에 완화되는지 여부이다. 이에 유급노동시간, 자녀돌봄시간, 여가시간의 비중 각각에 대한 젠더 효과와, 이에 대한 학력의 조절효과 존재 여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시간배분에 대한 젠더 효과와 학력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은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우선 어머니임은 시간 배분에서 유급노동시간 비중을 줄이는 유의미한 요인이 아니지만, 돌봄시간 비중을 높이고, 여가시간 비중을 줄이는 유의미한 영향요인이다. 즉, 젠더는 생산영역 시간인 노동시간 비중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가족시간인 돌봄시간, 개인적 시간인 여가시간 할당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한편 학력은 돌봄시간 비중과 여가시간 비중에 대한 젠더 영향에 조절효과를 갖는다. 고학력일수록 부모의 시간 배분에서 돌봄시간 비중의 젠더 격차는 감소한다. 고학력일수록 여가시간 비중의 젠더 격차는 오히려 커진다. 이에 학력 증가는 양성 모두의 자녀돌봄 참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여 돌봄시간 배분에 대한 젠더 격차를 줄일 수 있지만, 가부장적 성역할 인식을 전면적으로 변화시켜 부모의 일상을 일-삶 균형 제고의 방향으로 포괄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This study investigates time allocation among paid work, child care and leisure of dual earner parents of pre-school child. The focuses of this study are time allocation of full-time dual earner parents which can be affected by traditional gender role ideology, and if the gender effects can be diminished or not. So the analysis were about gender effects in the time alloc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ducation on gender eff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ypothesis are partly corroborated. Even though gender is not effective on paid working time(production time), it affects the time allocation for child care and leisure.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gaps in time share for child care(family time) and time share for leisure(private time). The education has moderating effects on gender effects. When education years getting longer, gender gap in child care time becomes narrow, however gender gap in leisure time becomes wide. Because the education is expected to cultivate the sense of value of child care, it can bring decrease of gender gap in care time. According to the result on leisure time share, the education is not expected to make changes in patriarchical gender role in terms of leisure and it doesn`t contribute work and life balance.

      • KCI등재

        여가시간, 얼마나 움직이십니까? : 여가시간에 이루어지는 성인의 신체활동 수준 분석

        차승은 여가문화학회 2017 여가학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st-frequently reported leisure activities by appling activity intensity of Metabolic Equivalent Task (MET) measure. Also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ho actually practice moderate or vigorous activities in daily lives. From the original sample of 2014 KTUS, this study employed 44,111 diarists, age range of 20-79. We have excluded those who were students and had an illness episodes on diary day. Results show that, on any given day, Korean adults report to perform sedentary and light activities predominantly. Only about 40% of respondents report practice moderate activities as daily routine; the greatest prevalence for reported moderate activities was walking or strolling. Overall average of 4.9% of respondents on weekday and 7.8% and 9.5% on weekends, report any vigorous intensity activity they have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or moderate and vigorous activity revealed that women, adults with lower SES, those who were employed and young adults were least active in their daily lives than their counterparts. Also the result display that care burden, long labor hours, and feelings of fatigue also play a role as an obstacles of practicing moderate or vigorous activity habit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여가시간 동안 수행하는 신체활동의 수준(degree of activity)을 파악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2014생활시간조사원자료 가운데 20세 이상 성인이 작성한 44,111개 일지를 활용하였다. 자료에 나타난 각각의 여가활동은 MET(Metabolic Equivalent Task) 점수를 참고로 격렬한 활동, 가벼운 활동, 일상적 활동 그리고 앉아 있는 행위라는 네 개의 신체활동 유형 중 하나로 분류하였다. 각 신체활동 유형별로 행위자비율과 행위시간을 산출하였고 이에 대한 기술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그리고 교차대응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 성인은 여가시간에 대부분 앉아 있거나, 이동행위와 같은 일상적 활동을 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가 일지를 쓴 당일 가벼운 활동을 수행한 행위자비율은 평일 30%, 주말에는 40% 수준이었고 격렬한 활동의 행위자비율은 주중 4.9%,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각각 7.8%와 9.5% 수준이었다. 둘째, 가벼운 활동과 격렬한 활동의 행위자 여부는 성별, 연령, 교육과 소득수준, 취업여부, 돌봄상황 그리고 신체적 피로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벼운 활동의 경우 평일모델에서 드러난 집단별 차이가 주말모델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격렬한 활동에서는 평일에 비해 주말에 집단별 수행율의 차이가 더 벌어졌다. 셋째, 신체활동과 유급노동시간 그리고 가사노동시간의 관련성을 교차대응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시간제약이 있을 때, 가벼운 활동이나 격렬한 활동은 위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How consumer characteristics moderate time effects on online purchase preference: an empirical analysis

        Zhen Li,Lin Huang 한국마케팅학회 2014 ASIA MARKETING JOURNAL Vol.16 No.3

        In this paper, we posit that time-related effects (i.e., the importance of saving time) on patronagepreference for shopping online will be moderated by consumer characteristics. To explore thesemoderating effects, we empirically examine the moderating rol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n therespective effects of shopping-time-saved and delivery on online purchase preference. On the basis ofanalyses performed on data gleaned from an Internet-based survey,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imeeffects related to both shopping-time-saved and delivery on online purchase preference are morepronounced for consumers who are male, young, and more starved for time. In addition, the effect ofdelivery time on online patronage preference is amplified by disposable income, but attenuated byonline shopping experience. Through our analyses, we also find that Japanese consumers value deliverytime to a greater degree than Chinese and American consumers do.

      • Hedge Fund Managers’ Quadratic Moderation of the VIX to One-Month Prior PTFSIR Returns: A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to Hedge Fund Market Timing Behavior Per Investment Styles

        Joung Keun Cho 한국재무학회 2019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5

        다양한 헤지펀드 스타일 지수의 2003 년 1 월부터 2016 년 12 월까지 월간자료 분석을 통해, 특정스타일 헤지펀드 (emerging market 및 equity long-short)에서 전월 단기이자율시장 트렌트추종형요인 (PTFSIR)은 직전월 CBOE VIX 지수 변화량 조절변수에 따라 그 조건부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Emerging Market, Equity Long-Short, Fund of Hedge Funds, Global Macro, Multi-Strategies, 및 commodity trading advisors 등 Barclays 헤지펀드 스타일지수에 대한 Conditional Process Model 과 Factor Risk Model 분석을 결합한 특징을 가진다. 특히, 당월 헤지펀드지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절대적인 영향을 행사하는 당월 시장초과수익률을 제외시키고 직전월의 단기이자율시장 트렌트추종형요인 및 직전월의 주식시장 내재변동성지수의 월간 변화량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조절효과 (Moderation) 모형을 구성하여, 기존 선형모형 대비 헤지펀드 매니저의 직전월의 시장모멘텀, 직전월 VIX 지수의 월간 변화량 정보의 소화를 통한 위험자산 Exposure 의 Tilting Process 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Behavioral Science 에서 널리 활용되는 1 개 또는 그 이상의 조절변수가 존재하는 경우의 Conditional Process Model 과 투자분석에 활용되는 Factor Risk Model 을 결합하여 글로벌 헤지펀드 시계열자료에 적용하는 최초의 시도를 통해 시장위험요인의 다양한 헤지펀드 스타일 지수분석에서 Liquid Alternative Hedge Fund Collection Pool 로 실질적인 분석을 확장하는 Moderation 효과의 변화에 대한 검증을 Manager 의 Factor-Tilting Activity 에 대한 Adaptive Modeling Framework 을 통해 제시한다. 조절된 과거 단기이자율시장 트렌트추종요인의 월간 VIX 변화량 조절효과 분석 결과, 헤지펀드는 그 투자스타일별로 펀드 매니저가 단기이자율 트렌드 요인에 근거한 위험자산 Exposure 조절에서 주식시장 내재변동성 변화량 정보를 Process 하는 정도가 상이하였으며, 이는 스타일별 Factor- Controlled Alpha Decay 와 변동성 매개효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일부 확인이 가능하였다. One-month prior return of primitive trend following strategy on the short-term interest rate (PTFSIR)’s a direct effect on the current performance of certain hedge fund investment styles depends quadratically on the size of the returns of one-month prior Chicago Board of Options Exchange implied volatility index (“VIX”) as a moderator. This manuscript advances the quantitative behavioral science literature by applying financial timeseries for estimating and making inferences about the conditional process model with a moderator. Consistent with our view that hedge funds exhibit different levels of skills in exploiting the information contents of equity implied volatilities, we document substantial heterogeneity of processing one-month prior quadratic volatility returns by altering their risky asset exposures across hedge fund investment styles. We subsequently apply the same analytical framework to three different collections of individual liquid alternative hedge funds to test if a primitive trend following strategy on the short-term interest rates’ effect on hedge fund strategy returns is linearly moderated by the volatilities of the returns of one-month prior VIX and the corresponding hedge funds’ dynamic risky asset and factor exposure management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A Conditional Volatility Feedback Moderation Modeling to the Market Timing Behavior Per Hedge Funds’ Investment Styles

        조정근 성균관대학교 경영연구소 2019 자산운용연구 Vol.7 No.1

        A direct effect on the current performance of certain hedge fund investment styles by the one-month prior return of primitive trend following strategy on the short-term interest rate (PTFSIR) depends quadratically on the size of the returns of the one-month prior implied volatility index (“VIX”) as a primary moderator. To investigates empirically whether the past return of implied volatility information can explain the dynamic factor exposures of hedge funds over time, this manuscript advances the quantitative behavioral science literature for making inferences about the conditional process model with a quadratic moderator. Consistent with our view that hedge funds exhibit different levels of skills in exploiting the information contents of equity implied volatilities, we document substantial heterogeneity of processing one-month prior quadratic volatility returns by altering their risky asset exposures across hedge fund investment styles. We subsequently apply the same analytical framework to three different collections of individual liquid alternative hedge funds to test if the PTFSIR factor’s effect on hedge fund strategy returns is linearly moderated by one-month prior return volatilities of the VIX and the corresponding hedge funds’ dynamic risky asset and factor exposure management implica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시간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운동시간의 조절효과

        이유진,황선환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3 No.4

        In the current study, we analyzed how leisure time of adolescents, which helps them to live a healthy life, affects their happiness. The raw data of ‘KCYPS 2018’ presen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for the study. Employed statistic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24.0 version. The leisure time of adolesc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and exercise time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In particular, in the high leisure time group, exercise time had a stronger effect on happiness. What influences happiness is not how much leisure time they have, but how much exercise they do in a given leisure time.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dolescents with the desired direction of leisure and life, leisure education on the nature of leisure and how to utilize the leisure time is necessary.

      • KCI등재

        안정대륙권역의 중규모지진에 의한 근단층지반운동의 모델링

        김정한,김재관 한국지진공학회 2006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0 No.3

        이 논문에서는 안정대륙권역(Stable Continental Regions, SCRs)에서의 중규모 지진에 의한 근단층지반운동(Near Fault Ground Motion, NFGM)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한다. 근단층지반운동은 큰 진폭의 장주기 속도 펄스를 갖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속도 펄스를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그 주기와 진폭을 지진의 규모와 단층거리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안정대륙권역에서는 관측 자료가 빈약하여 지진데이터로부터 이 관계식을 직접 유도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간접적인 접근법을 채택하였다. 속도 펄스의 주기와 진폭은 단층파열의 상승시간과 파열속도의 함수임이 알려져 있고 활성구조권역(Active Tectonic Regions, ATRs)에 속하는 미국 서부지역에서는 실험적 공식이 확립되어 있다. 안정대륙권역에서의 상승시간과 단층파열속도의 지진규모에 대한 함수관계는 WUS와 CEUS에서의 자료를 비교하여 도출하였다. 이 관계식들로부터 안정대륙권역에서의 NFGM의 속도 펄스의 주기와 진폭을 지진규모 및 단층 거리에 대한 관계식으로 유도하였다. 안정대륙권역에서의 NFGM의 가속도 시간이력은 추계학적으로 생성된 원역지진지반가속도에 새로운 관계식에 의한 속도 펄스를 중첩하여 얻어진다. 적용 예제로서 탄소성 단자유도 시스템의 근단층지반운동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modeling new fault ground motion due to moderate size earthquakes in Stable Continental Regions (SCRs) for the first time. The near fault ground motion is characterized by a single long period velocity pulse of large amplitude. In order to model the velocity pulse, its period and peak amplitude need be determined in terms of earthquake magnitude and distance from the causative fault. Because there have been observed very few new fault ground motions, it is difficult to derive the model directly from the recorded data in SCRs. Instead an indirect approach is adopted in this work. The two parameters, the period and peak amplitude of the velocity pulse, are known to be functions of the rise time and the slip velocity. For Western United States (WUS) that belongs active tectonic regions, there art empirical formulas for these functions. The relations of rise time and slip velocity on the magnitude in SCRs are derived by comparing related data between Western United States and Central-Eastern United States that belongs to SCRs. From these relations, the functions of these pulse parameters for NFGM in SCRs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earthquake magnitude and distance. A time history of near fault ground motion of moderate magnitude earthquake in stable continental regions is synthesized by superposing the velocity pulse on the for field ground motion that is generated by stochastic method. As an demonstrative application, the response of a single degree of freedom elasto-plastic system is studied.

      • KCI등재

        주돈이(周敦?) 철학의 천인합덕(天人合德) 해석과 시중(時中)사상

        이난숙 ( Lee Nan Sook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퇴계학논총 Vol.29 No.-

        본 논문에서는 주돈이(周敦?: 1017~1073) 『通書』에 포함된 天觀, 人觀 및 時中觀을 고찰하여 그의 `天人合德 해석에 담긴 의미와 특징`을 해명하였다. 천관은 천도와 천덕에 대한 해석이다. 인관은 인간과 人道에 대한 해석이며, 시중관은 『주역』을 관통하고 있는 `時中`에 대한 주돈이의 해석 관점을 의미한다. 『통서』에 내포된 세 가지 관점을 살펴본 결과, 첫째 천관은 `誠`의 해석이 핵심이다. `성`은 천도이고 聖人之本이며, 聖, 五常, 克己復禮, 無爲, 寂然不動으로 해석된다. 더불어 주돈이는 노장사상의 `無事`와 `무위`로 誠을 해석하였다. 이 `성`이 바로 성인이 실천할 천덕이다. 주돈이는 수양방법론으로 적(寂: 寂然), 정(靜: 主靜, 靜虛), 무(無: 無事, 無爲, 無欲)를 포함시켰다. 이것은 『太極圖說』에서 주돈이가 인간의 존재론적 근원을 `태극`으로 설명하면서, `무극`의 근원성을 버리지 못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둘째, 주돈이는 성인, 군자, 대인, 소인 등 유가적 인간관을 가졌다. 성인은 최고의 완성된 인격체이며, 주돈이 인간관에서 핵심적인 의미가 있다. 그는 人極으로 仁義中正과 主靜이 인도의 중심임을 말한다. 그리고 中和, 愼動, 中節, 無事, 無欲 등이 성인이 실천할 덕목이라 했다. 나아가 성인지도와 시중지도의 경지에 이르는 방법으로 특히 고요함[靜]과 삼감[愼]을 강조했다. 셋째, 주돈이의 시중관에서 `동적 평형`은 소홀히 취급되었다. 음양, 강유, 동정 의 대대성 가운데 靜과 陰이 근원적이라는 수양론적 사유를 가진다. 따라서 變·化와 `변역의 역리`, `時의 역동적 변화` 및 `時勢에 따른 동적 균형`을 시중의 해석에 반영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靜, 虛, 止를 강조한 `中`의 철학에 근원을 둔다. 따라서 `不易`과 `中正` 사상에 집중한 철학으로 평가할 수 있다. 주돈이 철학에서 `천인합덕 해석`은 도가철학과 유가철학의 천관이 융합되어 있다. 유학적 인간관 및 인도관에 집중하여 `성`의 천도를 천덕으로 실천해야 함을 주장하며 유가적 도덕윤리관을 발현하였다. 즉 주돈이는 도가사상을 용융해 자신만의 유가철학을 발양한 도학자로 중국사상사에서 道學에서 理學으로 새롭게 전환되는 시대를 이끈 학문적 의미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of the Moral Harmony of Heaven-Human Unity and the Moderation of Time-Space on Zhou Duny(周敦?)i`s Philosophy in 『Tongshu(通書)』. After analysis of the three perspectives(天觀·人觀·時中觀) mentioned in 『Tongshu』, Firstly, the centre of Zhou Dunyi`s perspective on heaven and its laws is sincerity(誠). According to Zhou Dunyi, sincerity is the principle mechanism of sky and its moral laws. This sincerity is defined by the existence of qualities such as principle of the Great Spirit administered by great saint, sanctity, benevolence and wisdom, restrain to self and return to the rites, non-action and peace with no motion. At one hand, Zhou Dunyi includes the ideas of Lao-tzu while defining sincerity through non-action and no motion. This sincerity became the morals of heaven to be followed by the great saint. Zhou Dunyi included `ji`, `jing` and `Wu` in self-discipline methodology. Secondly, Zhou Dunyi`s perspectives on human consists confucian views on human such as great saint, virtuous person, great man, amoral man etc. The most respected personality named as great saint is at the center according to Zhou Dunyi`s view on human. Zhou Dunyi considered renyizhongzheng and self-discipline regulated through Renji as the center of human morality. Zhou Dunyi proclaimed diverse qualities to be practiced by the great saint such as moral values, neutralization in accordance with moral standard, careful act, correct moderation, no desire and altruism. Thirdly, In Zhou Dunyi`s moral values for time and space, balance of change(動的平衡) was dealt as basis. Zhou Dunyi emphasized on self-discipline based on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rigidity and softness, serenity and yin. Therefore, while emphasizing on change or the fundamentals of 『Zhouyi』 followed by dynamics of change in time and space, elastic balance of time and space and balance of change were not central concept by Zhou Dunyi. It can be concluded that Zhou Dunyi`s analysis of heaven-human unity infused heaven and its laws recorded in the moral and ethical philosophy of Taoism and Confucianism. Zhou Dunyi focused on confucian human values and perspectives on human. Furthermore, Zhou Dunyi proclaimed to practice mechanism of heaven with its moral laws through moral interpretation for virtue of the heaven`s sanctity. In terms of academic significance, it can be said that the philosophy of Zhou Dunyi changed the philosophical discourse from Daoism to Neo-Confucianism.

      • KCI등재

        방과후 방치시간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급 비교 및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수경(Su-Kyung Oh),김서현(Seohyun Kim),양은별(Eunbyeor Sophie Yang),정익중(Ick-Joong Chung)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사회과학연구 Vol.34 No.3

        Over the past decad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Korean children is reported to be lower than the global average. To understand this occurrence in the context of daily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care time on subjective happiness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ata from the 10th (2015) and 13th (2018)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for the analysis; 443 elementary school and 380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ere examined by appl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ayes (2013) PROCESS macro.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data analysis. No significant effect of after-school self-care time on subjective happiness was determined among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gender of the studen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ter-school self-care time and subjective happiness on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reased after-school self-care time resulted in decreased subjective happiness of boys but increased levels of subjective happiness among girls. Contrarily, no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observed at the middle school level.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recommend the need for gender-specific interventions, specific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subjective happiness during after-school self-care time.

      • KCI등재

        국내 상장기업의 연구개발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SG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류찬하,천동필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3 혁신기업연구 Vol.8 No.2

        In recent years, ESG investing by foreign institutions has become a major issue not only abroad but also at home. In 2022, the number of domestic institutions signing the UN Principle of Reasonable Investment (PRI), a global responsible investment network, is expected to reach 24, more than doubling from 2020, forcing companies on the receiving end of institutional investment to look at ESG differently. In recent years, companies have been pursuing sustainable innovation through R&D investments to improve their ESG performance.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in Korea and abroad focus on the effects of ESG ratings and R&D investments on corporate performance individually, and the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ir interac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are limited to focusing on the effects on corporate valu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ESG ratings and corporate innovation through R&D investment on financial performance using a time-lagged sample of listed companies in 2020.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ESG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confirming that a firm's R&D investment strateg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significantly affects financial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level of non-financial ESG. This study builds on previous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R&D investment and ESG and further examines various aspects of financial performance,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and help companies establish financial strategies. 최근 해외 기관들의 ESG 투자는 해외뿐만 아닌 국내에서도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2022년 글로벌 책임 투자 네트워크인 UN PRI(Principle of Reasonable Investment)에 서명한 국내 기관의 수는24개로 2020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면서, 기관들에게 투자를 받는 입장인 기업들은 ESG를 바라보는시각이 달라질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에 최근 기업들은 ESG 성과를 높이기 위해 연구개발투자를 통한 지속가능한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ㆍ외적으로 이뤄진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ESG 등급과 연구개발투자가 개별적으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이들의 상호작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하고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20년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ESG 등급과 연구개발투자를 통한 기업혁신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시차를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ESG가 연구개발투자와 재무성과의 관계에 양(+)의 조절효과가 나타내어,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전략이 비재무적 성과인 ESG 수준 향상에 따라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연구개발투자와 ESG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다방면적인 재무성과를 추가적으로 살펴봄에 따라, 더욱 포괄적인 분석 결과 제공과 기업의 재무적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