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작품서사의 개념 체계와 유용성에 대한 해명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3 No.-

        이 논문에서는 문학치료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작품서사이론이 어떤 체계 속에서 형성되어 왔으며, 목표로 하는 바는 무엇인지, 그것의 유용성은 어떤 것인지를 밝히려 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작품서사라는 개념 체계가 형성되어 온 과정을 정리하였는데, 작품서사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관련이 있는 새로운 서사이론에서부터 작품서사 개념을 체계화하게 된 문제의식과, 작품서사의 특성, 기왕의 작품 연구와 작품서사 연구의 차이점에 대해 살폈다. 3장에서는 진단 도구의 개발 논리에 대한 의문점 이라는 논문을 중심으로 작품서사에 대한 오해들을 해명하고 그 유용성을 밝혔다. 이 글에서는 작품서사에 대해 크게 네 가지의 의문을 제기하였다. 첫 번째 의문은 `작품서사와 인생`에 대한 것이었다. 그 글에서는 작품과 인생이 상관이 있다고 해도 될 것을 굳이 작품서사와 자기서사가 본질적으로 같다고 한 것에 의문을 제기했었다. 그런데 그것은 문학치료학에서 작품과 인생의 상동관계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려 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문학치료학에서는 서사를 분석 도구로 삼았고, 서사의 핵심을 인간관계로 봄으로써 문학 연구 자체가 인생의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했음을 밝혔다. 두 번째 의문은 `작품서사와 작가`에 관련된 것이었다. 그 글에서는 작가를 넘어서는 작품서사의 존재를 의심했다. 작품은 작가에 의해 계획되는 것인 만큼 독자는 작가의 의도를 쫓아 감상하기만 하면 된다고 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견해는 작품의 실제 수용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문학치료학에서는 작품은 독자와의 교류 속에 존재하며 또 작가가 한 편의 작품을 생산할 때에도 이야기의 자초지종에 대한 맥락이 먼저 형성된 이후에야 플롯(plot)과 같은 구성을 기획해서 전개시켜 나갈 수 있다고 보고 있음을 밝혔다. 세 번째 의문은 `작품서사와 치료`에 관한 것이었는데, 그 글에서는 문학작품이 종교적 경전이 아닌데 본질을 치료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그런데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작품서사나 자기서사는 작품과 인생을 궁극적으로 규정하는 총체적인 구조나 체계와 유사한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 변하게 되면 행동이나 대인관계에서 큰 깨달음이 따른 다는 것을 밝혔다. 네 번째 의문은 `작품서사와 감동과 위로의 원천`에 대한 것이었다. 그 글에서는 장면, 묘사, 인물의 생각, 표현 등도 감동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런데 문학치료학에서는 문학적 구성요소들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본다. 이것들은 독자들의 정서적 자극을 증폭시키고 몰입을 이끌어 낼 수는 있지만 변화로 이끌 수는 없다고 본다. 한 장면이 감동적인 것은 사실은 장면의 앞과 뒤가 채워지고 맥락을 갖춘 하나의 서사가 환기됨으로써 가능한 일임을 밝혔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ual system and utility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chapter 2, I examine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concept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has been developed for decade. In chapter 3, I answer the questions which Professor. Shin had brought up in Problems in Logic of Diagnosis Means . Professor. Shin brought up four questions. First one is about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life. He has doubts about an intrinsic attribute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He wants to know why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are essentially same. In literary therapeutics, human is literature, human is epic. `literature` is not only understood as `the result of human activity.` ,but `human` itself. It gives new point of view on human. In literary therapeutics, we see our `life` as a `literary work`. So, we can apply same method on both `life` and a `literary work`. Therefore, we can approach to the foundation of our life using same method of approaching to the foundation of a literary work. Second one is about the relevance between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author of the literary work. Professor. Shin has his doubts on existence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He said the literary work is made by intentions of the author, so the readers only have to appreciate the literary work by following the author`s intention. However, in his view, the actual interaction between the literary work and the readers wasn`t concerned. The literary work can only be in existence with interacting with the readers. The third one is about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a cure. Professor. Shin has his doubts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really a cure. From the literary therapeutic point of view, the original function of literature is a `cure`. In literary therapeutics, `epic` is defined as `the story of a formation, a crisis, and a recovery in human relation`. Human relation is the core of epic. So, we focus on our `epic` when we have a problem in our life. The reason we have problem is because of our epic. When the epic of self has a problem, it will affect our life too, expecially human relation. The fourth one is about a source of being moved. Professor. Shin said that a scene, description, and an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can be the source of deep emotion. However, in literary therapeutics, those elements are not enough. Those elements cannot change the readers fundamentally. When we can organize the epic of literary work, we can be moved by the epic.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와 문학연구의 새 지평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21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가 문학연구에서 어떠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은 텍스트 차원의 서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를 통하여 말하고자 하는 바의 서사에 초점을 맞춘다. 둘째, 작품이나 인생은 텍스트로서 세 개의 선이 충분히 이어지지 않은 삼각형 그림에 해당하고, 작품서사나 자기서사는 서사로서 우리들 마음속에서 메꾸어 이어진 삼각형에 해당한다. 셋째, 인생은 자기서사 가운데 현실성을 획득한 것이 표출된 것이다. 넷째, 작품은 인생으로 표출된 자기서사가 작품서사로 전환되어 발현된 것, 인생으로는 표출되지 못한 자기서사가 작품서사로 전환되어 발현된 것, 자기서사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자기서사와 다른 작품서사가 발현된 것 등의 경우가 있다. 다섯째, 작품서사는 작품에 대한 인지도식의 역할을 하며, 자기서사는 인생에 대한 인지도식의 역할을 한다. 여섯째, 하나의 작품에는 등장인물의 수만큼 많은 서사의 주체가 있으며, 그만큼 많은 서사가 얽혀 있다. 일곱째, 서사의 주체가 동일시의 대상이어서는 안 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effect 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and the study of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focuses on beneath the text not on the surface. Namely, it places the focus on the meaning of the text. Second, `a literary work` or `one`s life` are considered as text which are on the uncompleted triangular form, whereas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are on the connected triangular form in our mind. Third, only `the epic of self` which acquired reality can be expressed as life. Fourth, there are three ways of making `a literary work`: in case of expressed `the epic of self` changed to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case of unexpressed `the epic of self` changed to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in case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unlinked to `the epic of self` manifested under the permission of `the epic of self`. Fifth, while `the epic of literary work` takes a role as cognitive diagram for `a literary work`, `the epic of self` takes a role as cognitive diagram for one`s life. Sixth, the number of agents of epic can be established as the number of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Hence, multi-epic can be composed from one text. Seventh, One shouldn`t identify oneself with the agent of epic.

      • KCI등재

        자기서사' 발견과 동일성 회복의 글쓰기: 최인호의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연구

        서덕순(Seo, Duk-Soon)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이 논문은 문학치료학만의 독특한 개념인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개념을 인문학적 맥락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문학치료학이 작품분석의 방법론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설화뿐만이 아니라 만화나 게임과 같은 서사 유형 또한 문학치료학의 '진단서사'로 유용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인호의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는 만화적/게임적 서사 구조가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작품의 주인물이 만화적/게임적 서사를 '진단서사'로 활용하여 '자기서사'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 서사'로 나아가는 과정이 작품의 주 내용을 이루고 있어, '서사지도' 개념을 활용하여 작품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서 '작품서사'로 기능하는 다양한 서사들, 즉 친구 H의 이야기, P교수의 이야기, <세일러문>과 <파워레인저> 이야기들은 모두 K에게 '진단서사'로도 기능한다. K는 소설의 전개 속에서 분절적 지점마다 이러한 '진단서사'를 접하면서 자신에게 내재된 '자기서사'와의 거리감을 표명하면서 그에 공감하거나 혹은 반감을 느낀다. H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반감을 느끼고 P교수의 이야기에는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면서 일종의 서사지도를 형성하게 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심리적 이상을 발견하는 식이다. 여기서 K의 심리적 이상이란 주변의 인물들이 빅브라더의 명령에 의해 자신을 속이고 있다는 일종의 망상증인데, 다양한 '작품서사'를 접하는 가운데 주변의 인물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이 잘못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문제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발견함으로써 K는 '완전한 나'를 회복할 기회를 얻게 된다. 그 기회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기원으로의 회귀를 의미하기도 하고 '기원'과 원형적으로 닿아있는 '죽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작품서사'로 등장했던 수많은 주변 인물들과 작별하고 K는 죽음, 혹은 재탄생을 맞이한다. 이는 인지하지 못했지만 K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던 '자기서사'의 완결이자 새로운 '자기서사'로의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수많은 주변 인물들의 등장은 '자기서사'의 경험적 재구성이며 이를 통해 K의 분열적 정체성은 경험을 통합하는 '서술적 정체성'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find a possibility as to whether literary therapy can be utilized as methodology of literary work analysis by reinterpreting a concept of 'epic of self' and 'epic of literary work', a peculiar concept only in literary therapy, from humanistic context. Also, this paper proposes a viewpoint that a narrative type such as a cartoon or game as well as a folktale can be utilized as 'diagnosis epic' in literary therapy. In Choi Inho's 『Familiar Others' City』, cartoon/game-style epic structure is positively utilized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comprise of the process in which main characters discover 'epic of self' by using cartoon/game-style epic as 'diagnosis epic' and, through this, proceed into 'healthy epic', so that this is convenient to analyze by utilizing a concept of 'epic map'. In 『Familiar Others' City』, various epics which function as 'epic of literary work', that is, all of a story of friend H, a story of professor P, stories of <Sailormun> and <Power ranger>, etc. function to K as 'epic of literary work'. K, as he contacts such 'diagnostic epic' at every segmental point through development of a novel, expressing a sense of distance from 'epic of self' inherent in self, sympathizes with or feels hostility to it. Feeling hostility toward H's story and recognizing professor P's story as it is, he forms a kind of epic map and finds his psychological ideal in it. Where, K's psychological ideal is a kind of reticulosis that persons around him deceives self by order of Big Brothers, in the midst of contacting a variety of 'epics of literary work', he gets to realize that it is not persons around him but the very himself who was wrong. By discovering causes of problems from self, K gets to have an opportunity to be able to recover 'complete self'. The opportunity, as examined before, means a reversion to the origin, and also means 'death' connected to 'the origin' circularly. Departing from lots of persons who appeared as 'epic of literary work', K greets death or re-birth. Though not realized, this can be completion of 'epic of self' inherent in the self of K and a turning point of new 'epic of self'. Appearance of lots of surrounding figures is experiential re-composition of 'epic of self' and, through this, the segmental identity of K is able to proceed to 'identité narrative' of integrating experiences.

      • KCI등재

        원초적 자기서사의 형성과 마더 텔러 -문학예방치료를 위한 시론-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한국문학연구에서 문학치료라는 개념이 구상된 지 20년이 지났으며, 정식으로 문학치료학회를 만들어 본격적 학문의 장을 형성한 지도 10년이 넘었다. 이론 구축과 진단 도구 개발 측면에서 이룩한 문학치료학의 성과는 상당하다. 문학치료학은 `문학의 본질이 치료`라는 점을 명시하고, `원초적 사건을 다시 경험하게 함으로써 경험을 반복 조정하는` 치료 과정을 제안하며, `자기서사의 발견과 개선`을 목적으로 삼는다. “자기서사를 온전하고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일”을 위해 `작품서사`를 핵심도구로 사용한다. 문학치료학의 핵심은 `변화`이다. 이 `변화`는 `현재 건강하지 않은 자기서사`를 전제로 한다. 지금의 문학치료는 건강하지 않은 마음을 관심의 주된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제는 문학치료의 범주를 문학 예방치료로 확대할 때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초기 자기서사 형성에 작품서사가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서사적 지지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문학의 치료적 강점은 일반 사람들의 건강한 자기서사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기에 이루어지는 원초적 자기서사 형성에 참여하는 작품에 대한 새로운 독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독법이 장르론적, 사회사적 시각에 경도된 것이라면, 새로 발견할 독법은 자기서사의 형성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준 높고 건강한 서사일 것이다. 이러한 서사의 발견을 위해 문학치료 연구자는 `부모서사`를 내면화해야 한다. 강한 `부모서사`를 내면화한 문학치료 연구자를 `마더 텔러`라 부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서사적 존재라는 사실에 공감한다. 인간이 그 자체로 하나의 `책`이 된다는 인식도 늘어나고 있다. 작품서사나 다른 사람의 자기서사는 나의 자기서사가 형성되고 성장하는 데 깊게 관여한다. 이제 자기서사 형성기에 작품서사가 가동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단계에 이른 것이다. 이것은 문학치료연구자의 자세를 치료자가 아닌 예방가로 넓히는 일이다. 문학치료연구자는 아이들이 접하는 작품에 대한 기존 해석을 성찰하고 아이의 자기서사에 유용한 새로운 독법을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문학연구자, 문학교육자와 연계하여 새로 발견한 독법이 실제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이야기`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cept of literary therapy was formulated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was formally established to shape the arena of study in earnest. Literary therapy has produced considerable results in terms of constructing theories and developing diagnostic tools. Literary therapy specifies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therapy” and it suggests a therapeutic process to “regulate experience repetitively by making one`s experience a basic event again.” Literary therapy aims to “discover and improve the epic of self.” “The epic of work” is used as a key instrument to “[change] the epic of self to be complete and healthy.” The core of the literary therapy is a “change.” Such a change assumes “the epic of an unhealthy self today.” Literary therapy is mainly interested in the unhealthy mind. However, it is now time to expand its definition, to encompass literary preventative therapy, since the epic of work has a great effect on the initial human epic of self, in relation to “narrative support.” Moreover, the advantage of literary therapy is its ability to contribute to shaping a healthy the epic of self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ew reading should therefore be provided for works that participate in shaping a basic epic of self in childhood.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is biased toward the genre and social history of literary therapy, new literature should contain healthy narratives, in order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pic of self. To discover such narratives,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have to internalize the “Father and Mother epic.”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who internalizes a strong “Father and Mother epic” may be called a “Mother-teller.” Today, many people sympathize with a fact that humans are narrative beings. There is increased recognition that humans become books by themselves. The epic of work or the epics of others` selves are deeply influential on the shaping and growth of one`s own epic of self. Now is the time to establish methods to operationalize the epic of work in the period of the epic of self. This would expand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roles from therapists to preventers.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should reflec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s to which children are exposed, and consider new useful readings for children`s epics of self. Additionally, literary researchers and educators should make an effort to actively “spread” these new readings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education.

      • KCI등재

        `작품서사`개념의 분화, 확대와 오용 양상

        범효춘 ( Beom Hyo-cho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3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학의 `작품서사`개념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문학치료연구 에 발표된 글을 중심으로 문학치료학의 발전과 함께 생성된 신 용어개념 중, `작품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그 분화와 오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문학작품의 `작품서사`란 줄거리 개념보다 더 근원적인 것으로, 작품의 저변에서 구조화되어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작품으로 형상화된 서사”, “문학작품의 바탕에서 작품을 운영하는 서사”이며, 문학치료의 치료와 진단의 도구로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다양한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 용어들은 문학치료학에서 정립해가고 있는 개념과 대비하여 종종 다소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작품서사`개념의 확대와 분화 생성의 양상이며, 또 하나는 `작품서사`개념의 오용의 양상이다. 먼저 문학치료 연구자들의 새로운 연구에는`이미지서사` `수업서사` `무용서사`와 같은, 문학작품의 `작품서사`와 동급의 위치에 해당하는 새로운 서사개념을 생성하여 `작품서사`의 의미를 기존의 `작품서사`, 즉 문학작품의 `작품서사`보다 더 큰, 포괄적인 개념으로 상향 확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작품서사가 가진 성격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하여 `단주서사`와 `서번트 리더십서사` `미래민족사관서사`와 같은 `작품서사의 하위개념`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서사개념과 서사용어들이 분화되어 파생되고 있다 문학치료연구자들의 연구에서 `작품서사`의 개념이 오용되고 있는 사례의 대부분은 `작품서사`를 그 개념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거나. `텍스트`나 `작품` 또는 `핵심내용`등의 의미로 혼돈한데서 비롯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changing pattern of using terms of LiteraryTherapeutics especially focused on the terms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As Literary Therapeutics has been developed, the terms and idea of the Literary Therapeutics are adapted to other various areas. I tried to find out the changed or wrong term use in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the papers of 『Journal of Literary Therap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atternof changed term`the epic of literary work` could be categorized by three types. First, the concept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extended to the higher level,`the epic of the work` by using the terms of the same level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such as `the epic of a film`, `the epic of dance work` and `the epic of classroom lesson`. Second, the concept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specialized to the lower levelby using the terms, such as `Dan-Joo epic`, `leadership epic` and `the nationalistic view of history for the future and the epic`. Third, in several studies, there are some confusions in using terms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 think they derive misunderstanding from the original meaning of`the epic of literary work` as `text`, `core idea` or `narrative`.

      • KCI등재

        임권택의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조응관계

        김영빈 ( Kim Young-b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문학치료학은 문학이 인간의 실존성을 다룬다는 관점에서 문학과 인간을 동일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삶에 적용되는 `자기서사`와 문학에 적용되는 `작품서사` 개념을 기초로 한 문학치료학이 발전되어왔다. 또한 문학치료학은 서사예술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수용성을 가지며 영화치료학에도 유효하다. 이때 서사 주체가 창작자일 경우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다. 임권택이 격변의 한국현대사를 관통하며 성장한 후 우연의 인과로 영화감독이 되어 보여주었던 삶과 작품과의 관계는 문학치료학이 규정하는 자기서 사와 작품서사와의 밀접한 조응관계를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1962년에 <두만강아 잘 있거라>로 감독 데뷔한 후 11년 동안 삶에 대한 긍정의 전망이 없는 가운데 만든 50편의 영화들은 자기의지의 작동이 없는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 생의 반려를 만나 세계관의 변모를 거친 이후 만든 작품들은 그에 걸 맞는 서사 양상의 변모를 보여주었다. 임권택의 1980년대와 그 이후는 그의 삶의 궤적과 <짝코>, <길소뜸> 등의 작품에서 보이듯, 수십 년 동안 단련하고 성장해온 그의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결정이라 할 수 있다. 삶에 대한 긍정, 성숙된 세계관으로 회피와 유랑의 근원이었던 한국현대사를 정시(正視)하면서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등가적 개선을 이룬 것이다. 성장기로부터 오늘날까지의 그의 삶과 작품이력은 문학치료학의 네가지 영역과 네 가지 수준의 서사척도의 조건과 특질들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In literary therapeutics, a human being is considered literature. The epic theory of literary therapeutics has two main concepts, “the epic of self”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From a literary therapeutics perspective, a human life is organized by the epic of self, and literary work is realized by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se two concepts can be useful for film therapy, especially when the agent of the epic is the creator themselves. The relation between Im Kwon-taek`s life and his films show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the epic of self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Ever since his directorial debut in 1962, he only made hopeless stories for 11 years. However, after his view of the world changed, he showed a positive outlook on life through his films such as Two Old Men, Mismatched Nose and Kilsodeum. An improvement in the epic of self influenced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change in Im Kwon-taek`s films verified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his epic of self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His life and film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epics and epic scales in literary therapeutics.

      • KCI등재후보

        서사의 힘과 문학치료방법론의 밑그림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4 고전문학과 교육 Vol.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ower of epic and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literary therapy on the basis of the power of epic.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the core of literature is epic. All the literary works of the other genres are interpreted through epic. Second, the power of epic is exercised in several ways. The epic of literary work gives us a hint that can help to solve the problem, or makes us regret our mistakes, or makes us perceive a truth. Third, the methodology of literary therapy is established. The core of the methodology is that the epic of literary work changes the epic of self. There are three grades of process changing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At first grade, the epic of literary work supplements the epic of self, at second grade, strengthens the epic of self, and at third grade, unifies the epic of self.

      • KCI등재후보

        작품서사 분석을 통한 <진달래꽃>의 `역겨워`와 <가시리>의 `선하면`에 대한 이해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이 작품 분석에 어느 정도의 효용성이 있는지 시험하고, 또한 어떠한 방향의 논의에서 그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작품서사의 분석이 시가작품을 이해하는 데 얼마나 유용한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과 고려시대의 시가 <가시리>의 작품서사를 분석하였다. `님`이 `나`를 떠나서 다른 사람에게 갔다가도 `나`에게 되돌아오기를 기원하고 있는 시적 상황과 인물구조를 주목할 때 <진달래꽃>과 <가시리>의 작품서사가 온전히 드러나 있는 설화작품으로 <지네각시>를 들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지네각시>의 서사 전개를 세심하게 살피면서 특히 지네각시의 특성을 주목함으로써 <진달래꽃>의 `역겨워`와 <가시리>의 `선하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그 결과 <진달래꽃>의 `역겨워`는 구렁이의 허물이나 지네의 허물과 관련되는 말이고, <가시리>의 `선하면`은 지네각시를 놓아주지 않는 구렁이의 집착과 관련되는 말임을 알 수 있었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이 텍스트 차원의 작품 분석에서도 유용하다는 사실을 입증하려면 앞으로 좀 더 많은 사례가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장차 어떠한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하는 것이 좋을지, 그리고 시가작품 분석에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를 가늠해보았다는 의의는 인정해도 좋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tility of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for analyzing literary works. Analyzing the epic of literary work can contribute for understanding fundamental problems in literary works. In this paper, analyzing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especially applied on poetry. Analyzing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useful for getting to the heart of the matter in poetry. First of all, the epic of <Azalea Flower> by So-Wal Kim and Korean classical poetry <Would You Leave> were analyzed. With applying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same structure of human relation can be extracted from both poems. In both poems, there are two main characters in the circumstance of separation. One of the characters is letting the other leave for another woman and wishing him to come back soon. Focusing on the circumstance of separation and the structure of human relation, <A Centipede Woman> can show the epic of <Azalea Flower> and <Would You Leave> wholly. Then, the meaning of two phrases from both poems which are `역겨 워(be disgusted)` in <Azalea Flower> and `선하면(be annoyed)` in <Would You Leave>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ng with <A Centipede Woman>. As a result, `역겨워(be disgusted)` in <Azalea Flower> is related to the cast-off skin of the large snake or the centipede in <A Centipede Woman>, and `선하면(be annoyed)` in < Would You Leave > is related to the attachment of large snake toward the centipede woman. In order to prove the utility of theory of epic for analyzing literary works, more case studies should be accumulated in the future.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this paper shows the utility of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for analyzing poetry to some degree.

      • KCI등재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에 입각한 창작이론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에 입각한 창작이론을 수립하는 데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창작과정은 작가의 자기서사에 입각하여 작품서사를 구성하고, 이 작품서사를 바탕으로 작품이 창작된다는 것이다. 둘째, 창의성이란 진실을 더 잘 드러낼 수 있는 새로움이다. 따라서 `서사의 주체`와 `서사의 갈림길`에 대한 탐색이 창의성 획득의 핵심이 된다. 셋째, 좋은 작품은 건강한 서사를 구현한 작품이다. 건강한 서사를 구현한 작품은 `흥관군원(興觀群怨)`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넷째, 작품의 수정은 `작품(텍스트)` 차원의 수정 못지않게 `작품서사` 차원의 수정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creation theory based on th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creation, an author forms the epic of literary work based on his or her epic of self. Then based on this epic of literary work, literary work is created. Second, creativity means novelty which can reveal the truth well. Therefore, searching for `an agent of epic` and `turning point of epic` is the core of obtaining creativity. Third, great literary work embodies healthy epic. And this great literary work can demonstrate the power of `heung(興), gwan(觀), gun(群), won(怨)`. Forth, not only in a `text` level, but also in `the epic of literary work` level, modifying literary work should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