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롤즈(Rawls)의 정의론에서 시민들의 자존감 보장과 결사체 민주주의적 발전

        박상혁(Sang Hyuk Park)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7

        Rawls claims that self-respect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social primary good. Corresponding to citizen`s two moral powers, a sense of justice and a conception of good, self-respect has two aspects which are respectively called ``civic self-respect`` and ``individual self-respect.`` To secure civic self-respect and individual self-respect, social bases should be provided. The social bases of civic self-respect include the following two elements: First, the institution of equal citizenship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people should respect each other as equal citizens. The social bases of individual self-respect include the following two elements: First, the institution of equal worth of individual conceptions of good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people should respect other people`s conceptions of good. In Rawls;` theory of justice, civic self-respect has a priority over individual self-respect. But, in Rawls` theory of justice, the institution of equal political right which is essential for civic self-respect is not adequately established. Therefore the civic self-respect is not adequately secured. Therefore, Rawls` argument for the security of self-respect in itself fails. However, his theory has resources for the security of civic self-respect, namely the spirit of the difference principle and the existence of political associations. If we develop these resources within Rawls` theory of justice, then we can develop his theory of justice to include associative democracy, which, in turn, will adequately secure civic self-respect.

      • KCI우수등재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에 대한 비판적 고찰

        목광수(Kwangsu Mok)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0

        롤즈(John Rawls)는 『정의론』(1971/1999a)에서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가장 중요한 기본 재화이며, 자존감 없이는 어떤 것도 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단언한다. 이러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롤즈는 『정의론』에서 태도로서의 자존감과 사회적 기본 재화인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를 구분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자존감의 사회적 기본 재화의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분배해야 하는지도 제시하지 않았다. 롤즈의 이러한 혼동과 설명 부재로 인해 자존감의 사회적토대의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분배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된다. 이러한 논란은 롤즈 정의론의 일관성과 정합성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롤즈 정의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롤즈 『정의론』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적 기본 재화로 간주되는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기본 재화들을 어떻게 분배해야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정의론』에서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내용에는, 롤즈가 제시한 기존의 사회적 기본 재화들과 자존감 확보를 위해 필요한 새로운 사회적 기본 재화가 모두 포함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내용에 해당하는 재화들은 정의의 두 원칙의 협업을 통해 분배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과 규명은 롤즈 『정의론』을 정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로 인해 롤즈 정의론이 가졌던 명료함과 단순함의 미덕이 훼손된다는 문제점도 보여준다. In John Rawls’s A Theory of Justice (1971/1999a), Rawls does not explain w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re and how they can be distributed in his Two Principles. Additionally, in A Theory of Justice, Rawls does not distinguish self-respect, as an attitude, from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s social primary goods. For these reasons, many have been confused and have debated about w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re. This is especially the case when discussing whether material goods belong to thes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nd whether Rawls’s Two Principles can distribute th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re and how they can be distributed using Rawls’s Two Principles. I argue t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include all Rawls’s primary goods, as well as contemporary primary goods contributing to security and cultivation of self-respect. I also argue that Rawls’s Two Principles distribute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For example, the first principle—the equal liberty principle—distributes basic liberties for self-respect, and the second principle—the difference principle—guarantees a social minimum for income and wealth relating to self-respect per the spirit of fraternity. Rawls’s second principle also creates an incentive for efficiency. These arguments respond to critiques concerning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nd they allow for a coherent and consistent understanding of Rawls’s theory of justice. Still, my explanation counters the reputation that Rawls’s theory of justice has the merit of clarity and simplicity in explaining its sophisticated arguments.

      • KCI등재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정은 한국예술치료학회 2015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자신의 문제를 가정환경의 탓으로 돌리기 쉬운 청소년을 대상으로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 을 때 이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K시에 소재한 O청소년센터에 다니는 중학교 1학년의 청소년 8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통제집단으로는 같은 K시에 소재 한 O공부방에 다니는 중학교 1학년의 청소년 8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2009년 2월 4일부터 2009년 4월 16일까 지 총 14회기에 걸쳐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1∼2회 90분간 실시하였고, 각 집단별 사전 혹은 사후검사 점수를 산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전체 자아존중감과 하위 영역별 자아존중감 별로 변화를 살펴보 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전체 자아존중감에서 유의 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향상된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 중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 중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사후검사의 점수가 사전검사의 점수보다 높게 나왔 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현실치료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전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그 하위요인에서는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입증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if meaningful effects are revealed in improving the self-respect of low income household youths who can easily place blame of their problems upon their household environment when group art therapy that applied reality therapy is conducted for them.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8 youth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ho attend O youth center located in K city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 group, and 8 youths in the first grad of middle school who attend O study room located in K city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t applied reality therapy was conducted 1∼2 times for 90 minutes a week in the total of 14 sessions from February 4 to April 16, 2009,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examined by calculating the pre-and post-test scores of the groups and the chang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otal self-respect and the self-respects of sub fiel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meaningful effects were shown in the overall self-respect of low income households from the group art therapy that applied reality therapy. Second, meaningful effects were shown in the total self-respect, social self-respect and self-respect at home among the sub fields of improved self-respect. However, the score of post-test of self-respect at school revealed to be higher than the score of its pre-test, but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s were not shown. According to such results, the fact that the group art therapy that applied reality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overall self-respect of low income household youths and total self-respect, social self-respect and self-respect at home in its sub-factors was proved.

      • KCI등재

        롤즈의 자존감과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목광수(Mok, Kwang-Su)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롤즈(John Rawls)는 『정의론』(1971)에서 자존감 없이는 어떤 것도 할 만한 가치가 없으며,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가장 중요한 사회적 기본 재화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는 롤즈의 다른 사회적 기본 재화들과 달리, 그 내용이 무엇인지가 명시되지 않아 이에 대한 논란이 많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내용이 다른 재화들과 중복된다는 해석에는 대체로 일치하는데, 이러한 해석은 롤즈 논의가 갖는 단순함과 명료함의 미덕을 훼손한다. 이러한 훼손에도 불구하고 롤즈 논의에서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려면, 이렇게 주장할만한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합당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롤즈의 『정의론』에서 자존감과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역할과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역할과 의미가 롤즈 논의에서 필수적인지, 그리고 만약 롤즈의 논의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에 부족하다면 어떻게 그 의미를 보완할 수 있을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2절에서는 자존감의 의미와 특성을 검토하고 3절과의 관계성 속에서 보완할 부분을 제시하며, 3절에서는 이렇게 보완된 자존감을 토대로 제시된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평등에 관한 문제, 사회적 연합체들의 사회적 연합으로서의 사회에 관한 문제, 자유의 우선성 등의 문제를 실제로 해결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와 규명을 통해, 본 논문은 『정의론』에 대한 체계화된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2000년 전후로 활발하게 전개되다가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해 고착상태에 빠진 분배와 인정 논쟁에 새로운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A Theory of Justice (1971), John Rawls argues that nothing may seem worth doing without self-respect and t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re the most important of the primary social goods. However, Rawls does not define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nd this has created much debate over w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re. Despite this, there is a sense of agreement t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overlap Rawls’s other primary goods. If this is granted, then it is impossible to escape from the critique that this overlap results in the loss of the advantages derived from Rawls’s clarity and simplicity in explaining the sophisticated arguments in A Theory of Justice. Despite this loss, should Rawls include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in the category of primary goods, his reasons for doing so must be explicated. It i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examine the meaning and role of self-respect and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in Rawls’s theories. I will examine the meaning of self-respect as well as the role of self-respect and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s mentioned in the preface of A Theory of Justice. To complete this analysis of the role of self-respect in Rawls’s theories in a systematic and coherent way, I argue that his definition of self-respect should be re-interpreted dynamically and that his theory would benefit from adding self-respect to a hierarchy of other interests. Through these clarifications and claims, I will provid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Rawls"s theory of justice and suggest a new solution to the redistribution-recognition debate that reached a dead end despite active discussion in the early 2000s.

      • 청소년의 사이버인권침해 경험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의 차이

        장미,조아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3 No.2

        This study is aimed at (1) explor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self-respect and stress according to youth's experience of damage in cyber human rights, (2) analyz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self-respect and stress according to youth's experience of infliction in cyber human rights.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7 human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at Gyeonggi-province. The measure tool of cyber human rights infliction is 46 question items composed again based on the questionnaire content of internet information use status carried out in 2005, and counselling case collection of cyber libel, sexual harassment in 2004. The measure tool for self-respect was ‘Self-Esteem Questionnaire'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translated by Kim, Mun Ju(1984). The measure tool for stress was the questionnaire on youth's stress factors and experience in which Byeon, Yeong Ju(1995) modified Lee, Jeong Sun(1988)'s measure.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self-respect and stress items, Cronbach's α was enforced, and to explore the gap if self-respect and stress according to experience in cyber human rights infringement, t-verification came into forc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quiry into the difference of youth's self-respect by cyber human rights infringement showed the youth experiencing stalking damage and cyber private information were lower those no experiencing. Also the inquiry into self-respect showed that the youth experiencing stalking infliction were lower those no experiencing. Second, the inquiry into sexual harassment showed that the youth experiencing stalking infliction were lower those no experienc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respect between the youth experiencing in cyber sexual harassment damage and those not. Third, in case of cyber individual information among cyber human rights infringement types, the youth experiencing damage were more highly stressed than those, and those experiencing infliction were less stressed than those not experiencing. Fourth, in case of their own photos obscenely synthesized of cyber sexual harassment types, the youth experiencing that were less tressed than those not. Fifth, the status of youth's cyber human rights infringement is diverse, but higher than expected. 이 연구의 목적은 (1) 청소년들의 사이버인권 피해경험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2) 청소년들의 사이버인권 가해경험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467명의 인문계 고등학생이었다. 사이버인권침해 측정도구는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2005년도에 실시한 인터넷 정보이용실태조사의 설문 내용과 2004년도 사이버명예훼손․성폭력 상담사례집을 기초로 하여 재구성한 46문항이다.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는 Rosenberg (1965)가 개발하고 김문주(1984)가 번안한 ‘Self-Esteem Questionaire'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척도는 변영주(1995)가 이정순(1988)의 척도를 수정한 청소년 스트레스 요인과 경험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문항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실시하였으며, 사이버인권침해 경험여부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인권침해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차이를 조사한 결과, 사이버 개인정보와 사이버 스토킹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피해경험이 없는 청소년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았다. 또한 사이버 개인정보와 사이버 스토킹 가해경험이 있는 청소년도 가해경험이 없는 청소년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았다. 둘째, 사이버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가해경험이 없는 청소년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았다. 반면, 사이버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피해경험이 없는 청소년과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사이버인권침해 유형 중 사이버 개인정보의 경우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피해경험이 없는 청소년보다 스트레스가 높고, 가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가해경험이 없는 청소년보다 스트레스가 낮았다. 넷째, 사이버 성폭력의 유형 중 자신의 사진이 음란하게 합성된 경험의 경우, 이러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스트레스가 낮았다. 다섯째, 청소년의 사이버인권침해 실태는 다양하나 예상보다 높다.

      • KCI등재

        항공기 궤적 예측을 위한 LSTM-based Multi-head Attention을 활용한 Recurrent 네트워크

        김명수,최원익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8 No.3

        Recently, many studies have proposed methods to analyze air traffic flow or predict aircraft trajectories by applying deep learning techniqu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current network using LSTM-based Multi-head Attention to effectively learn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data over time to perform aircraft trajectory predictions. Specifically, we exploit LSTM to focus on the importance of past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value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keys, queries, and values. Extensive experiments using real-world datase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s the multi-head attention-based Bi-LSTM model for specific flights. In the case of latitude prediction, the proposed model reduces the MAE error by 29% for the KAL1253 flight and the RMSE error by 17% for the KAL1209 flight. In the case of longitude prediction, the MAE error for the KAL1253 flight is reduced by 83%, and the RMSE error for the KAL1257 flight is reduced by 82%. 최근 많은 연구들에서 딥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항공 교통 흐름을 분석하거나 항공기 궤적을 예측하는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에 따른 위도, 경도, 고도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학습하여 항공기 궤적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LSTM-based Multi-head Attention을 활용한 recurrent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attention을 적용하는 부분에서 LSTM을 사용함으로써 key, query, value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위도, 경도, 고도 값의 중요성을 예측 모델에 강조하도록 하였다. 실세계 데이터를 이용한 광범위한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이 특정 항공편에 대해서 multi-head attention 기반의 Bi-LSTM 모델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위도 예측의 경우 제안하는 모델이 KAL1253편에 대해서 MAE 기준 29%의 오차를 줄였고, KAL1209편에 대해서 RMSE 기준 17%의 오차를 감소시킨 결과를 보여주었다. 경도 예측에서는 KAL1253편에 대해서 MAE 기준 83%, KAL1257편에 대해서 RMSE기준 82%의 오차가 감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태명원(Myeong-Won Ta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함에 있다. 즉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특히, 최근 강조되고 있는 자아존중감의 변수를 활용하여 자아존중감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심리적 만족과 삶의 질 향상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8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5개월간 서울지역의 시·구청에서 진행하는 생활체육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공원, 운동장 등 공공운동시설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297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노인의 “자기효능감”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노인의 “자기효능감”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자아존중감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는데 있다. 이를 통해 노인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실증적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나아가 관련 기관 및 단체에 반영됨으로써 노인건강증진프로그램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old peoples self-efficacy on the quality of life. In other words, the impact of old peoples self-efficacy on self-respect, old peoples self-efficacy on quality of life, and old peoples self-respect on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in depth.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use the recently emphasized variables of self-respect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self-resp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flesh quality, suggesting ways to lead a happy life by improving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sports-for-all. To achieve this purpose, 297 people aged 60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sports-for-all program conducted by the city and district offices in Seoul for five months from May 1 to September 30, 2018 or who used public sports facilities such as parks and playgrounds were analyzed as subjects for research.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ports-for-all has been shown to affect self-respect. Second, the self-efficacy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ports-for-all has been shown to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the self-respect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affects the quality of life. Fourth,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sports for all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sports for daily life has been identified by using the parameters of self-respect. Through this, it was provided as empirical basic data to establish welfare policies for senior citize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senior citizens by identifying their self-efficacy, self-respect, and quality of life.

      •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CRISIS Factors of School Violence Behavior of Adolescents in KOREA

        Choi Bong-jun,Kim Byung-tae J-INSTITUTE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 Disaster Vol.1 No.1

        These days, adolescents’ school violence behavior increases significantly, and levels of violence behavior tends to be higher so that it becomes a serious social issue. Taekwondo training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prevent school violence behavior.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which the self-respect formed through Taekwondo training can make. Also the effect of self-respect on aggressiveness and school violence behavior is inspected closel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of 472 students, including teenagers attending middle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is analyz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0.0. With significance level of p<.05,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elf-respect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social self-respec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raining. In the effect of self-respect on aggressiveness, domestic self-respec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in-direct aggressiveness bu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aggressiveness and physical aggressive-ness. Social self-respec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irect aggressiveness, negative aggressiveness, physical aggressiveness and irritable aggressiveness. Overall self-respec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inguistic aggressiveness, indirect aggressiveness and irritable aggressiveness. In the effect of self-respect on school violence behavior, overall self-respec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al violence behavior and physical violence behavior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xual violence behavior. Social self-respect was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exual violence behavior, relational violence behavior and physical violence behavior. To raise awareness of the value of Taekwondo training, this study should be generalized as a study with samples taken nationwide to consider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More meaningful results can be de-duced by conducting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Taekwondo trainees about Taekwondo participation.

      • KCI등재

        긍정감정으로서의 행복

        강용수(Kang Yong S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7 No.-

        이 연구는 자존감을 행복감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인간의 근본감정으로 간주하고, 그것과 관련해 수치, 증오, 가책 등 연관된 감정의 층위를 분석함으로써 자존감의 의미를 사회철학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자존감은 ‘객관적인 목록’으로서의 행복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타자와 비교함으로써 형성되는 상대적 주관적인 감정으로서 타자의 ‘좋음’(덕)에 대한 긍정과 인정이 없이는 획득될 수 없는 행복감이다. 이 논문은 행복과 감정의 관계를 고려하여 행복의 조건을 ‘자존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자존감(self-respect, self-esteem)은 행복감을 구성하는 최소 조건으로 개인적으로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관계에서 인정과 존경을 통해서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자존감이라는 자기긍정적 정서는 ‘좋은 것’을 둔 무한경쟁 속에서 발생하는 시기심(envy)에 의해 파괴되고 훼손된다. 행복감정은 좋음과 관련해 자기존재의 긍정(pride)과 타자존재의 긍정(admiration)으로 구성되고, 자존감은 좋음과 관련한 자부심(pride)과 옳음과 관련한 자기-옳음(self-rightness)의 결합이다. 이 글은 우선 자존감과 시기심에 대한 철학사적 논의를 통해 그러한 감정의 기원과 기능에 대해서 다루고, 정의와 관련해 자존감과 시기심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시기심의 극복의 가능성을 롤즈의 정의론과 니체의 행복의 철학에서 찾고자 한다. This study regards self-respect as the most important human emotion of happiness and analyzes the level of related emotions such as shame, hate, and guilt in relation to it. Self-respect is a relative subjective feeling formed by comparing with the other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happiness as an ‘objective list’, and it is a feeling of happiness that cannot be attained without affirmation and recognition of the other’s ‘good’. This paper considers the condition of happiness in ‘self – respec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emotion. Self-respect is not a personal condition that is a minimum condition of happiness, but can be secured through recognition and respect in social relationships. However, self-positive emotions of self-respect are destroyed and destroyed by envy that occurs in infinite competition with ‘good’. Happiness is composed of the pride of self-existence and the admiration of the other being in relation to goodness, and self-respect consist of pride in relation to goodness, and consist of self-rightness to rightness. This article first deal with the origins and functions of such emotions through the discussion of philosophical history on self-esteem and envy, crit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pect and envy in relation to justice (J. Rawls),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envy from the philosophy of happiness (F. Nietzsche).

      • KCI등재

        민주 시민성의 조건으로서 성숙한 자기 관계: 타자 인정에의 욕구의 교육적 지위를 중심으로

        곽덕주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This paper is to aim to claim that one of the urgent things for educators to do to cultivate democratic citizenship among the Korean youth now is to try to recover their sound self-relations. Having suffered too long from high competition, the Korean youth are saturated with their sense of superiority or inferiority as the source of their emotional and moral troubles. To make this claim soundly grounded, I attempt to clarify the educational status of one’s desire to be recognized or highly regarded by others, which lies behind all those negative self-relations in today’s youngsters.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First, it examines Axel Honnet’s theory of recognition ethics that defends the educational values of one’s desire to be recognized by others as an legitimate moral basis of our moral obligations to recognize others. His theory is educationally insightful in enumerating three distinctive self-relations that can be educationally or morally cultivated for mature self-relations: self-confidence, self-respect, and self-esteem. I emphasize here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self-respect and self-esteem for democratic education in Korea since the confusion between them has caused many unjust school practices in Korea includ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 students with poor academic scores. Secondly, I reconstruct Frederic Neuhauser’s reinterpretation of Rousseau’s concept of amour-propre, a desire to be highly regarded by others, which takes some ambivalent attitude toward one’s desire to be recognized by others. Neuhouser’s discussion here has a merit in showing how one’s desire to be recognized by others can be dangerous, yet, needs to be educationally guided by adults rather than dismissed in education since we (post-)moderns cannot help desiring it. His reformulations of Rousseau’s educational project is presented to show how this can happen as well as how self-respect and self-esteem can be cultivated in such a way as to be made compatible in one’s personhood. This means that the youth can be fostered as a good citizen by being led into mature self-relations, in which self-respect and self-esteem are intertwined in tension as well as in support to each other.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cultivation of self-respect is urgent and critical to democratic citizenship in Korea now and that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is not in itself dangerous but needs to take some caution with educational care to be made compatible with the cultivation of self-respect in the Korean youth, which is the very condition of a good democratic citizenship. 본 논문은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다원적 민주주의 사회에서 함양되어야 할 시민성을 비판적 능력이나 공동체적 연대에서 찾기보다는, 이것의 함양을 방해하는 아이들의 정서적 도덕적 곤란의 원천으로서 지나친 경쟁문화의 결과로 초래된 우월감과 열등감 같은 부정적이고 왜곡된 자기 관계의 회복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것의 회복을 위해 이러한 부정적 감정 뒤에 있는 ‘타자 인정에의 욕구’의 교육적 지위를 평가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평가를 위해 먼저 타자 인정에의 욕구를 긍정하며 세 가지 자기 관계 인정을 말하는 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 윤리를 살펴보며, 오늘날 우리 사회의 민주 시민 교육에서 특별히 중요할 수 있는 ‘자기 존중’과 ‘자부심’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타자 인정에의 욕구의 위험성을 말하는 루소의 교육론을 재해석하는 노이하우즈(Frederic Neuhouser)의 논의를 재구성하며, 그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교육적으로 순기능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본 논문에서 보이고자 하는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자부심과 자기 존중은 개념적으로 구분되며 후자는 근대적 자아의 고유한 특성으로서 민주 시민 교육을 위해 교육적으로 성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자부심은 그 자체로 나쁜 것은 아니며 오히려 인간 행복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교육적으로 보호될 필요가 있지만, 우리 사회와 같은 과열 경쟁 사회에서는 위험한 자기 관계의 양태로 빠지기 쉽기 때문에 교육적으로 특별한 주목이 긴급히 요청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