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립미술관 운영효율성 분석

        주희엽(Joo, Hi-Yeob),김승모(Kim, Seung-Mo) 한국문화산업학회 2012 문화산업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public art museum. Cultural industry has been evaluated as a competitive service industry in the future by the high pace of market size growth. The role of public art museum based in the local cultural industries are so important because of its various support functions as fundraising, exhibition support systems, new market formations, etc. Therefore operational efficiency, some kinds of measurement item, must be considered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art museums as performance management tool.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public art museum, using DEA, tool for measurement of public sector. During the analysis, personal and facilities score were used, but financial score was excluded because of free admission policy and differences in budgeting. Based on this analysis, the deciding factor of the public art museum is location of the museum and because of the artists. Efficient public art gallery where the most outstanding scenic or tourist attractions were located. In addition, a small museum in the center of any particular artist was watching a lot of visitors. Seoul Museum of Art was benchmarked against any organization, This suggests the following, The administrative-oriented planning and operating a large-scale exhibition is attracting. Also Metropolitan Museum of large class siz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nsideration is found to be inefficient.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Quantitative method is applied to an public art gallery. By removing the weight of research, the study was an objective approach. In future research on various aspects of public agencies, DEA has also confirmed that there can be applied.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inction between curators and administrative. The role of curators original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faithfully. Through this work will be higher operating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public art museum. Cultural industry has been evaluated as a competitive service industry in the future by the high pace of market size growth. The role of public art museum based in the local cultural industries are so important because of its various support functions as fundraising, exhibition support systems, new market formations, etc. Therefore operational efficiency, some kinds of measurement item, must be considered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art museums as performance management tool.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public art museum, using DEA, tool for measurement of public sector. During the analysis, personal and facilities score were used, but financial score was excluded because of free admission policy and differences in budgeting. Based on this analysis, the deciding factor of the public art museum is location of the museum and because of the artists. Efficient public art gallery where the most outstanding scenic or tourist attractions were located. In addition, a small museum in the center of any particular artist was watching a lot of visitors. Seoul Museum of Art was benchmarked against any organization, This suggests the following, The administrative-oriented planning and operating a large-scale exhibition is attracting. Also Metropolitan Museum of large class siz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nsideration is found to be inefficient.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Quantitative method is applied to an public art gallery. By removing the weight of research, the study was an objective approach. In future research on various aspects of public agencies, DEA has also confirmed that there can be applied.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inction between curators and administrative. The role of curators original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faithfully. Through this work will be higher operating efficiency.

      • KCI등재후보

        경영자립의 관점에서 본 미술관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대안 모색: 영국과 프랑스의 미술관 법인화를 중심으로

        안필연 유럽문화예술학회 2018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9 No.1

        Seeking any kind of independence in art museum management is generally thought to damage publicness. Since publicness is regarded as the value that comprises the base of an art museum’s existence, financial independence as a big part of management independence is placed on the back burner in art museum administration. That being said, the publicness required of art museums in the 21st century is obvious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Thus, the matter of compatibility between publicness and management independence is no longer a matter of choice. We have to become aware of a rapid change in the ecosystem pertaining to a problem in order to approach it. The concept of publicness, an inviolable value of an art museum, is changing more than anything else. As demand by those who enjoy culture and art is diversified, art museums have become unsatisfied with its conventional roles of preservation, research, and education. The conflict between publicness and management independence is increasing as a gradual reduction of public funds works as a factor to stimulate management independence in art museums. England and France have sought after management independence and publicness through the conversion of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into corporations. Both nations have run art museums in the form of corporations with autonomy even though a distinction exists in terms of concrete methods. They guarantee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art museums through a strategy of incorporation as the solution to tackling the two contrasting assignments of publicness and management independenc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model for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management independence that is intrinsic, innovative, and functional. It is time to make a more forward-looking endeavor to overcome hardships through alternatives for management independence and understand urgency in reality such as the reduction of public funds. For this 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hat a variety of subject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world of art engage in a process of discussion and exploration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일반적으로 미술관에 있어서 경영자립은 공공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공공성은 설립주체와 상관없이 미술관의 존립근거가 되는 가치이기에, 경영자립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재정자립은 미술관 행정의 우선순위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21세기의 미술관에게 요구되는 공공성은 과거의것과는 분명하게 다른 성격의 것으로, 공공성과 경영자립의 양립문제는 더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게되었다.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이를 둘러싼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를 인식해야 한다. 우선 미술관의침범할 수 없는 가치인 공공성 개념이 변하고 있다. 문화와 예술에 대한 문화향유자의 요구가 다양화되면서, 미술관도 보존과 연구, 교육 등의 전통적인 역할에 머물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더해 점진적인 공적 자금의 축소가 국공립미술관의 경영자립을 재촉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공공성과 경영자립 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는 추세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과 프랑스는 이미 국립미술관의 법인 전환을 통해 경영자립과 공공성을 도모해 왔다. 구체적인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양국은 미술관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법인의 형태로 미술관 운영을 하고 있다. 공공성과 경영자립의 대립하는 두 과제를 관통하는 해법으로서 법인화라는 경영자립 전략을 통해 미술관의 자율성 및 독립성을 오히려 보장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영국과 프랑스의 경영자립 전략을 참고하여 우리만의 고유하고 혁신적인 동시에 기능적인 국공립 미술관의 경영자립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지원금의 축소라는 추세적 현실의 급박함을 인식하고, 경영자립의 대안을 통해 난관을 헤쳐 나가는 보다 전향적인 시도가 필요할 때다. 이를 위해서는 논의와 모색의 과정에 예술계 안팎의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와 소통이 전제되어야 한다

      • KCI등재

        베이징 고궁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사적 각도를 중심으로-

        조계해,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Background and Purpose) The museum is a rallying point for human civilization, where historical relics are housed and where human culture is studied. In particular, it is a place with scientific,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and even educational meanings. Against this backdrop, the museum should not only be a space for displaying historical relics, but also for cultural exchange among viewers.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The Palace Museum is one of the most visited museums in the world, so there are a lot of public service spaces in the museum. The Palace Museum has a rich history and culture, so in order to promote the culture of the Palace Museum and experience the life of the Palace Museum, the public service space has a very close connection with the narrative concep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strategy of museum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Methodology) Firs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and spatial types of public service space in the museum,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nd second, the elements of narrative concept and narrative space design are theoretically examined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design. And third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the analysis model is proposed. In particular, this study carries out field survey and theoretical research with the Chinese Palace Museum as its scope,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pace design by targeting four public service spaces set up by the Palace Museum. And present strategies for narrative space design.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our selected cases show that the general public service space almost has the attributes of commercial space, among the three components, the museum cultural symbol (culture) has the highest degree of fit, and the distribution of public service attributes (publicity) and spatial function (functionality) is slightly different. In the design of narrative space, the emphasis on space plot (scene) is the highest. The space theme (logicality) and language symbols (complexity) also appear as important features. (Conclusion)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from the two aspects of the museum's public service space and narrative space design, and obtains six characteristics: culture, publicity, functionality, scene, logicality and complexit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four public service Spaces of the Palace Museum in Beijing shows that the six elements can be us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and basic features of the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of the museum. In the futur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considered to be helpful in the study of the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design in the museum and related fields, which can be applied as meaningful materials.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은 인류문명의 집결지로 역사적 유물을 소장하고 인류문화를 연구하는 장소이다. 특히 과학적 가치, 역사적 가치, 예술적 가치 등을 두루 갖추고 교육적 의미마저 내재하고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박물관은 역사적 유물을 전시하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관람자들과 문화 교류를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베이징 고궁은 세계 문화유산으로 세계에서 가장 관광객이 많은 박물관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박물관 내에 많은 공공 서비스 공간이 있다. 고궁박물관은 역사와 문화가 풍부하기 때문에 고궁문화를 알리고 고궁생활을 체험하기 위한 공공 서비스 공간은 서사적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향후,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디자인의 발전방향과 전략을 위해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필요성과 공간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구성요소와 특성을 도출하고, 둘째, 서사적 개념 및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요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서사적 디자인의 특성을 추출한다. 그리고 셋째, 이상의 고찰을 통해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특히 본 연구는 중국 고궁박물관을 범위로 하여 실사와 이론연구를 실시하고, 고궁박물관이 설치한 공공 서비스 공간 4곳을 대상으로 하여 서사적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전략을 제시한다. (결과) 선정된 4사례를 분석해 보면 일반 공공 서비스 공간은 거의 다 상업 공간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3가지 구성 요소인 박물관 문화 기호(문화성)는 가장 적합도가 높고 공공 서비스 속성(공공성)과 공간 기능(기능성)의 분포에는 차이가 좀 있다. 그리고 서사적 공간디자인에서는 공간플롯(장면성)의 중시도가 가장 높고, 공간주제(논리성)과 언어기호(복잡성)도 중요한 특성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문는 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과 서사적 공간 디자인 두 가지 측면에서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 디자인의 특징을 연구하여 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문화성, 공공성, 기능성과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장면성, 논리성, 복잡성 총 6가지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베이징 고궁박물관 내 4개 공공 서비스 공간을 분석 사례로 분석한 결과 6요소는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의 평가 기준과 기본적인 특성을 갖는 요소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본 논문의 연구 성과가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과 관련 분야의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어 유의미한 자료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 논문(論文) : 공립 박물관의 역할과 소속 학예연구원의 제문제 연구 -강원도내 공립 박물관을 중심으로-

        김규호 ( Gyu Ho Kim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우리나라에 근대적 의미를 담은 박물관이 들어온 지 100년이 되었고, 지금 우리나라 박물관은 1,000개 시대가 멀지 않았다. 박물관 1,000개 시대는 공립박물관 수의 증가도 한 몫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립박물관 학예연구사들의 수급의 적정성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 등 제문제를 다루어 공립박물관 운영에 도움을 주고자 작성되었다. 본 논문은 강원도에 있는 11개 공립박물관을 위주로 작성하였으며, 필요에 따라서 전국 공립박물관의 통계자료를 인용하였다. 강원도내에는 지금도 공립박물관, 미술관, 문학관 등의 건립을 추진하는 곳이 여러 곳 있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거의 대부분의 자치단체에서 박물관 건립을 추진하였으며 지금은 대부분의 시군이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공립박물관이 없는동해, 철원, 횡성 등도 박물관 건립이 가시화 되는 걸로 알고 있다. 중요한건 건립이후의 문제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초 공립박물관 건립 당시는 경영수익을 염두에 두고 수익을 올려 자치단체의 재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건립된 박물관은 하나도 없다. 공립박물관은 문화복지 공간으로서의 공공의 목적이 크다. 따라서 건립이 전부라는 인식을 버리고 최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운영을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제 박물관은 단순히 역사, 민속, 고고자료를 전시하는 지역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공간의 차원을 지났다. 미래의 콘텐츠를 담아낼 뿐만 아니라 자료수집, 전시, 교육, 연구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박물관의 세가지 요소는 건물, 자료, 인력이다. 아무리 훌륭한 건물에 훌륭한 자료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운용할 인력이 뒷받침이 안 된다면 이는 무용지물이다. 박물관은 최초에는 수집과 전시에 많은 기능이 집중되었지만 지금은 연구와 교육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 인력 중에는 여러 전문인력이 존재하지만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curator이다. 즉공립박물관에서는 학예연구사인 것이다. 도내 공립박물관에는 대부분이 1~3명의 학예연구사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박물관 시설유지관리, 운영, 해설, 교육, 연구 등 박물관의 모든 영역에 관여한다. 물론 직원 수가 적다보니 겪어야 하는 상황들이다. 공립박물관은 자치단체의 관리감독을 받더라도 대외적으로 보았을 때는 독립기관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박물관의 운영과 관련하여서는 박물관 담당자의 책임과 역할을 존중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재 박물관장이 존재하지 않는 여러 박물관의 조직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공립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은 다른 무엇보다도 공공성의 강화이고, 공공성의 강화는 학예인력의 전시, 교육, 연구에 대한 전문성을 보장해 주는 것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In Korea, it has been 100 years to introduce modern museums and now there are almost 1,000 museums, which also helped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museum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uggestions to properly operate public museums in Korea by researching related issues such as the adequacy of demand and supply of curators in public museums, work environment given for curators to maximize their abilities, and so on. The study was conducted mainly within 11 public museums in Kangwon and quoted statistical data from domestic public museums. In Kangwon, there are still several agencies that are promoting establishment of a public museum, art gallery, or literature museum. Since the execu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most local governmental bodies tried to set up museums in community and also most cities or counties are operating them. Donghae, Cholwon, Hoengseong, and other cities that haven``t had public museums now initiated the project to establish.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to think about post-establishment plan. At the initial phase of construction, there were no public museums that make profits based on their lucra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support to local governments. Public museums are designed to be used for public as a cultural welfare space. Therefore, it needs to be viewed in long-term to operate these museums properly to achieve the initial goals after establishment. Now, museums contain the meaning beyond a space simply exhibiting history, folklore, or archaeological materials to represent its locality. It should be a place to include conte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data collection, education, and research. The 3 components of museums are building, bequest, and manpower. It is meaningless to have a great building and precious data without suitable personnel to operate. Museums at the initial phase were focused on data collection and exhibition whereas on research and education nowadays. The most professional personnel needed in museum industry are curators. Curators are the most essential manpower for public museums as well. There are 1~3 curators assigned for public museums within a province and they are involved in almost every areas like facility management, operation, interpretation, research, etc. however they are forced to do due to the lack of manpower. A public museum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institute even though it is controlled by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and roles of museum personnel should be respected when it comes to the museum operation. Furthermore, the organization of museums that don``t have a director should be supplemented properly. The roles and functions for public museums are to enhance publicity, and it starts from securing curator``s expertise for exhibition, education, and research.

      • KCI등재

        뮤지엄 공공성 강화 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디자인 경향 연구

        고혜란 ( Hyeran Ko ),최정아 ( Jeong Ah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의 문화공간은 문화적 공공성 실현을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개방된 공공공간으로 역할이 변모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과거 폐쇄적이던 뮤지엄은 대중을 위한 문화교류와 소통의 장인 개방적인 문화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뮤지엄 공공영역을 강화하기 위해 뮤지엄 내 오픈스페이스를 확대하며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하는 추세다. 본 연구는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에 주목하며 향 후 뮤지엄 공공성 강화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간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논의를 위해, 뮤지엄에 따른 공공성, 오픈스페이스, 계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공간 구성측면에서 공간의 개방성과 기능의 연계성, 공간 이용 측면에서 물리적 개방의 접근성과 공간의 쾌적성으로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특성을 정리하여 분석의 틀을 도출해 사례분석을 진행 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첫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는 수직벽면과 수평의 천장면의 시각적 투명성은 외부 자연요소를 유입해 휴식의 편의공간으로서 분위기를 형성하여 박물관 피로감을 완화한다. 둘째, 이는 평소엔 휴식을 위한 편의공간으로 이용되며 가변적으로 전시공간, 교육공간으로 활용되어 뮤지엄 공공영역을 강화한다. 셋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는 뮤지엄 건물의 중심 이동공간과 가변적 공간프로그램의 장소로 활용되어 관람객들에게 자연스러운 시각적 인지와 일상적 접근을 지원한다. 넷째, 이는 전시공간과 교육공간의 가변적인 활용은 공간에 동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지속적인 체류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계단형 오픈프페이스가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요소로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뮤지엄 공공성 강화를 위한 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제언은 이와 같다. 첫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 수직벽면은 투명한 소재를 활용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외부로 확장시켜 자연요소를 유입하기 위해 개방형 혹은 반개방형 계단으로 디자인하고, 수평적으로는 부가형의 계단형태로 디자인해야 한다. 둘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는 뮤지엄 층별 위치한 편의공간, 교육공간, 전시공간에 인접하여 층별 뮤지엄의 공공영역과 기능적 연결을 지원해야한다. 셋째, 이는 뮤지엄의 입구공간이나 중심공간에 위치하여 뮤지엄의 개방된 중심이동공간으로 관람객들의 접근을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뮤지엄 계단형 오픈스페이스는 투명한 수직벽면 및 수평 천정면을 적용해 심미적으로 쾌적한 동적인 공간을 형성하여, 편의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뮤지엄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물리적 요소로서 계단형 오픈스페이스의 공간디자인 경향을 파악하고, 공공적 특성 및 가치를 확인하는 기초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times, the role of the cultural space of a city has been changing to open public space where people can encounter culture in their daily lives to enhance the public’s cultural character . The open space in a museum has been expanded to strengthen the public space of the museum by making a stair-shaped open space. This study focused on the stair-shaped open space of a museum and proposes a design for such an open space as a strengthening factor of a museum’s public character. (Method) The study used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the public character of a museum (i.e., open space and stairs) in the discussion of the stair-shaped open space as a space element for strengthening a museum’s public character. We categorized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ed stairs. We then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ir-shaped open space for strengthening museums’ public character based on the openness and connectivity of functions in the aspects of space composition and the approachability of physical openness and the amenity of the space in the aspect of space usage, and we analyzed the examples. (Results) First, the visual transparency of the vertical wall and horizontal ceiling surfaces of the museum’s stair-shaped open space introduces external natural elements to form an atmosphere of a rest area to alleviate museum fatigue. Second, the open space is usually used as a convenient space for relaxation and as an exhibition space and educational space to strengthen the public domain of the museum. Third, the stair-shaped open space is used as a center-movement space of the museum building and a place for conducting various space programs to provide visitors with a natural visual perception and daily access. Fourth, the open space provides a flexible and dynamic atmosphere i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spaces and encourages continued stay.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a stair-shaped open space design to strengthen museums’ public character. First, the space should be located in an open space inside a museum and be open visually and physically to allow people’s access. Second, the museum’s stair-shaped open space should support functional connection with the public domain of the museum, adjacent to the convenient, educational, and exhibition space located on the museum’s floor. Third, it should be located at the museum's entrance space or central space to facilitate visitors’ access to the museum's open central space. Fourth, the museum’s open space should be installed with transparent vertical walls and a horizontal ceiling to form an aesthetically pleasing dynamic space for convenien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a stair-shaped open space is that it is connected to the features of space, is guaranteed to offer physical openness, and is comfortable.

      • KCI등재

        변화하는 문화환경과 미술관의 공공성 문제

        조선령(Cho Seon-ryeong) 현대미술사학회 2007 현대미술사연구 Vol.22 No.-

        This essay suggests a way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public interest of the Art museum under the changing cultural situations. The concept of Art museum as public institution, tracing back to the inauguration of the Louvre where the nationalized collection from Aristocrats and royal family was opened to the public without entry fee, has diverse meanings, such as the preservation of Art work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he reinforcement of public Accessibility, the educational effort for the visitors to learn About the value of high Art, and etc. With the changing cultural situations for recent thirty years, new rules of the Art museum and new meanings of its public interest have been emerging. Nowadays, the Art museum is no longer regarded as the institution for collecting and researching Art works, but as the place for entertainment where visitors enjoy diverse cultural programs. and the meaning of the public interest of the Art museum is largely focused on popularity. While Western Art museums have Already undergone many variations, Korean counterparts just begin to change. Facing different requirements to be fulfilled in one breath, Art museums in Korea have experienced errors and difficulties. This essay seeks a way to define the public interest of the Art museum by relying on two theories. One is cultural economics, and the other is politics. These theories ask on what ground supporting art by the government could be justified, and present the Answers. First, According to cultural economists, Art has non-user benefit, that is, the value which has some effects on those who don’t participate in Artistic Activities directly and causes the reluctance of the private investment. In result, demand Always exceeds supply in the supposed free market. So supporting Art by the government could be justified. Second,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liberalist perfectionism,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help its people develop their Autonomy. Art is one of the effective means to meet the task because it doesn’t force people but invite them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e public values of Art explained by these theories could be identified as the contents of the public interest which the Art museum should support. Based on these theories, the public interest of the Art museum could be understood as the intersected field of popularity and professionalism. The former without the latter leads to populism, and the latter without the former leads to elitism. After criticizing the blockbuster exhibitions which are recently all the fashion in Korea by the same principle, this essay wants to designate the conditions of the successful museum exhibition in the light of the public interest by presenting two examples from MoMa. The first sample is the exhibition “Manet and the execution of Maximilian”(2006-2007), and the second one is “Machine Art”(1934). By linking the inner issues of Art to the outer ones, and by making the museum the place for social discussions. two exhibitions increase the public values of the art museum.

      • KCI등재

        한국 공립박물관 설립의 구조적 난제와그 해결 가능성: 예천박물관 설립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완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4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structural problems found in local governments’ establishment of public museum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m. To address the goal, this study investigated ways to build and operate public museums efficiently based on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public museums in Korea and the cases experienced by this researcher. In Korea, the problem of lacking in curators and budgets for public museums has been raised since the early 1990’s continuously, but it has not been solved even in the situation that public museum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the local autonomy system was implemented. Besides, despite the recent operation of the museum-related system by the Ministry of Culture, the poor operation of public museums has not gotten any better. The fundamental cause of this problem is the lack of national benefits or sanctions that would make local governments become interested in public museums. Accordingly, to re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Ministry of Culture which are the operating entities of public museums, this researcher proposes to reorganize laws and systems and to link the results of evaluating public museums to the government’s supportive system with state funds. This will make local governments operate public museums normally in order not to lose the budgets provided by the government. It will also elicit active cooperation from local governments in promoting policies and systems for museums in Korea afterwards. 이 연구는 자치단체의 공립박물관 설립과정에 나타난 구조적 난제를 살펴보고, 그 해결 가능성을 제안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공립박물관의 상황과 문제점, 연구자가 경험한 사례를 중심으로 공립박물관의 설립과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검토하였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초부터 제기된 공립박물관의 학예사와 예산 부족 문제가 지방자치제 이후 공립박물관이 급증하는 상황에서도 해결되지 않은 채 지속되었다. 또한 최근 시행된 문화체육관광부의 박물관 관련 제도 운용에도 불구하고 공립박물관의 부실 운영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자치단체가 공립박물관에 관심을 둘 만한 국가의 혜택이나 제재가 부재했기 때문이었다. 이에 연구자는 공립박물관의 운영 주체인 자치단체와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계를 재정립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공립박물관을 평가한 결과를 정부의 국비 지원 제도와 연동하자고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자치단체는 정부에서 지원되는 예산을 손해 보지 않기 위해서라도 공립박물관을 정상적으로 운영하게 될 것이다. 또한 향후 한국 박물관에 대한 정책과 제도를 추진하는 데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협력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박물관·미술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방향에 대한 재성찰

        양지연(Yang, Ji Yeon)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40

        한국에서 박물관·미술관은 지난 20여 년간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며, 이는 박물관·미술관 건립ㆍ운영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에 힘입은 바 크다. 박물관·미술관 공적 지원에 대해서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서 국가와 지자체의 책임을 명시하고 있으나, 박물관·미술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역할, 방향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논의는 미약했다. 박물관ㆍ미술관 정책의 패러다임이 양적 확충에서 질적 발전으로 전환되어야 함이 요구되고 있는 이 시점에 박물관ㆍ미술관 공공지원의 현황을 성찰해보고 미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박물관ㆍ미술관의 정의와 문화예술 공공지원의 정당성 논점을 재검토 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박물관·미술관은 공공재ㆍ가치재로서의 위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비영리성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소득 분배 정의와 문화복지의 논리에서 사회의 문화적 부를 축적하고 이를 향유할 수 있는 구성원의 수와 계층, 역량을 증대하는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공공지원이 초래할 수 있는 박물관ㆍ미술관의 자율성과 자생력 약화의 역기능을 최소화하는 것도 다시 생각해 볼 지점이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수행되어 온 주요 박물관ㆍ미술관 지원정책을 검토하기 위해 박물관 확충과 공립박물관 건립 지원, 국립박물관·미술관 건립 운영, 사립박물관· 미술관 전문인력 지원, 공사립박물관 사업지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들을 검토해 볼 때, 향후 박물관·미술관 공공지원의 방향으로서 박물관ㆍ미술관이 지속 가능성을 갖고 항구적으로 존립하기 위한 네 가지의 상호 연관된 측면-콘텐츠ㆍ전문인력·관객개발·재정기반-에서 중장기적 방향성을 수립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박물관·미술관 고유 기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수집과 보존, 연구에 대한 지원정책 강화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공공지원의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해 박물관ㆍ미술관의 설립, 운영, 성과의 전 과정에서 박물관의 평가와 모니터링, 컨설팅이 선순환적으로 작용하는 시스템의 정착이 중요할 것이다. 향후, 이와 같은 공공 지원에 대한 근원적인 논의를 지속함으로써 박물관ㆍ미술관 지원정책의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방향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number of museums in Korea has dramatically increased last 20 years. Such a growth of museums was facilitated in large by government policy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public and private museums. However, it is recognized that the quality and visitorship of museums in general have not sufficed to justify the public support of museums. Also public support through direct funding has tended to be allocated based on general externalities of museums, rather than on the analytic and rational justifications of public support for museums. This study purported to examine theoretical justifications for public support of the museum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explore directions for public support of the museums that justify rationales for public funding of museums. Based on a more rigorous and theoretical analysis of justification of museum support, the public funding for museums could be developed and used to enhance the quality and competency of museums and strengthen their sustainability. To this end, first, the paradigm of government museum policy should be shifted from quant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development. Second, public funding needs to be allocated to advance fundamental functions and roles of museums. Finally, the through evaluation system and consulting of museum need to be incorporated to stress the rationales and accountability of public funding for museums.

      • KCI등재

        공립미술관의 법적 정의에 대한 재고찰

        김지훈 한국법제연구원 2021 법제연구 Vol.- No.60

        Museums and Art Museums Act was enacted in Nov. 30th, 1991, that was basically rooted in Museums Act passed in 1984 and substituted it. For the first time the newly enacted law manifested the legal conception of art museum but also public municipal art museum. According to Art Museums Act of 1991, public municipal art museum is established and run by local government. Museums Act defined the public municipal museum is the museum local authority founded. Museums and Art Museum Act is differentiated from its predecessor for stressing the managerial conception on public municipal art museum. After its legislation, the definition of public municipal art museum has never revised. Its legal conception changed only one time, when Museums Act was abolished and Museums and Art Museums Support Act adopted. In contrast, the definition of art museum has been modified twice until 2020, although they were not dramatic. In this study, I pose a question consider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legal definition of public municipal art museums. The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a variety of changes soci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after the enactment of the Art Museums Act. In accordance with Museums and Art Museums Support Act, public municipal art museum is conceptualized by 4 key words; art museum, local autonomous body, foundation, and management. Based upon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art museum and local autonomy, and the reality of it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I examine the extent how far its legal definition is suitable to embrace the public municipal art museums in practice. 1991년 11월 30일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미술관에 대한 공식적인 법적 개념이 처음으로 제시되었다. 해당 법률에 의하면 공립미술관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운영하는 미술관으로서 공공미술관의 일종이다. 이후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은 수차례 개정되며 박물관과 미술관에 대한 개념도 조금씩 수정되었으나 공립미술관의 정의는 제정 이후 단 한 차례도 변경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공립미술관의 법적 정의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이 제정된 이후 한국 사회는 사회적·경제적·정치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여 왔다. 이러한 변화 사항을 현재의 공립미술관에 대한 법적 개념은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의하면 공립미술관의 법적 개념의 핵심어는 ‘미술관·지방자치단체·설립·운영’이다. 미술관의 역사적 변천과 지방자치, 현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관 설립과 운영 실태를 바탕으로 공립미술관의 법적 정의의 적합성을 살펴본다. 그 결과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미술관”으로서 공립미술관의 개념 수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립과학관 유형 및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권순관,김용승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3 조형미디어학 Vol.26 No.4

        제1세대 과학관부터 제4세대 과학관에 이르면서 과학관은 지역특화 및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공간으로서 일상생활 속의 과학관이라는 방향으로 과학관이 지역산업과 연계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과학문화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사이언스 리터리시가 강조되게 된다. 이런 변화는 정부에서 주도하는 과학관 기본계획에서도 나타난다. 제3차 과학관 기본계획에서는 지역과학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강화 및 공, 사립과학관의 인력 및 컨설팅지원 등이 있었고, 제4차 과학관 기본계획에서는 지역균형 서비스를 위한 체험공간의 확충 및 소외계층 등의 서비스 공간 확대로 지역의 공립과학관의 지원확대가 주요 이슈였다. 이처럼 정책적으로 공립과학관의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석, 박사 및 학술연구 분야에서는 지역 공,사립과학관의 연구가 전무한 상태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규 공립과학관을 확충에 집중하기 보다는 기존의 공립과학관을 다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과학관중 60%를 차지하는 공립과학관을 중심으로 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실증적 연구를 위해 공립과학관 중 2018년에서 2019년 2년 동안 가장 많은 관람객이 방문한 과학관을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시작은 먼저 공립과학관을 테마관광형, 교육중심형, 지역참여형 그리고 산업연계형의 4가지로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연구대상 과학관을 선정해 실증연구한 후, 유형별 특징을 정의하여 각 공립과학관을 유형 특징에 맞게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science museums to the fourth generation of science museums, science museums are hybrid spaces that play regional and social roles, and science literacy will be emphasized where science museums can connect with local industries and benefit everyone. These changes can also be seen in the government-led Science Museum master plan. The 3rd Science Museum Basic Plan included strengthening cooperation networks with local science museums and supporting human resources and consulting by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while the 4th Science Museum Basic Plan expanded support from local public science museums by expanding experience spaces for balanced regional services and service spaces for the underprivileged. As such, the role of public science museum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policy,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by local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in the field of master's, doctoral, and academic research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ecause it was thought that a policy alternative to revitalizing existing public science museums was needed rather than focusing on expanding new public science museums. This study was conducted around public science museums, which account for 60% of science museums, and targeted the most visited science museums in the two years from 2018 to 2019 for empirical research. The start of the study is to first classify public science museums into four types: themed tourism type, education-oriented type, regional participation type, and industry-linked type, select science museums by type and conduct empirical research, and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so that each public science museum can be systematically and prac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