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道统之争与政统之争:两宋时期的一桩公案

        汤勤福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1 중앙사론 Vol.0 No.34

        Confucian orthodoxy is an illusory concept. During the Song Dynasty, the dispute of Confucian orthodoxy was a debate which occurred in internal Confucianism. Actually it contained two contents: the dispute of Political orthodoxy and the dispute of Academic orthodoxy. Generally it begins in Xi Feng period, the debates mainly existed among the Luo school, the Shu school and the Xin school, or it happened between the Luo school and the Shu school; after Yuan You period, the debates among these schools of thought still existed; at the end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Xin school basically quitted from the stage of debate; although the Shu school had been revived in the early Southern Song Dynasty, lacking worthy successors, so it withdrew from the competition. The dispute of Confucian orthodoxy was on the Academic orthodoxy rather than the Political orthodoxy. The debate between Zhu and Chen and Ye‐Shi’s theory of Confucian orthodoxy were the important parts of Academic orthodoxy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 Prohibition of Parties in Qing Yuan period hit and suppressed the Chen Zhu’s system and other schools of thought, but it wasn’t the dispute of Confucian orthodoxy. After NingZong Jia Ding period, some elites such as Chen‐Hao, Chen‐Yi and Zhu‐Xi restored the reputation, and Chen Zhu’s system had been approved by law in order to be passed down from one generation to another. Thus, the further development of Confucianism had been restrained, and which was bad for its development. The debate between Zhu and Chen and Ye‐Shi’s theory of Confucian orthodoxy had some positive significance in active thinking of that time and promoted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 KCI우수등재

        고려후기 이제현의 정치사상 연구

        김민우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4

        Yi Je-hyeon designed the orthodoxy to promote the dynasty’s legitimacy and prevent the usurpations. This orthodoxy sets the mandate of heaven and the public mind as the standard, and prohibited usurpations. It wa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ruling classes since its early period, while accepting the view of Yuan scholars. And he regarded ancient China monarchs as ideal and emphasized their virtues. However, it did not fully accept the opinions of Yuan scholars or neo-Confucianism. Also he presented virtues of the king which inherited the perception of the Confucian since the early Goryeo. Meanwhile he insisted on the neo-Confucian self-cultivation of the king, but still presented traditional method. Next he insisted that the bureaucrat should serve their king with loyalty. Also he argued that a premier should support politics, but it did not mean that premier should lead the whole politics. He’s fundamental idea of king and bureaucrat relationship is that of early Goryeo. He also affirmed scholar who had classical learning and maintained moral conduct as bureaucrats’ virtue. However without that virtue, they could be highly evaluated if they were perform their bureaucracy faithfully according to their own talents. His political thought was based on the conventional thought in Goryeo, and accepted neo-Confucian ideologies, selectively. 본고는 이제현의 정치사상에 내재된 성리학적 요소를 강조하여 평가해온 종래의 연구를 보완하고, 그의 정치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제현은 왕조의 정통성을 고취하고 찬탈을 방지하고자 정통론을 고안하였다. 그의 정통론은 천명과 인심을 기준으로 하고 찬탈을 금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고려지배층의 전통적인 관념을 바탕으로 원 성리학자의 견해를 충돌 없이 수용한 것이었다. 또한 이제현은 이제삼왕을 통해 성리학이 긍정하는 군주의 덕목을 표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이 원 성리학자의 견해를 전적으로 수용하거나 철저하게 성리학에 입각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그가 제시한 국왕의 덕목은 고려전기 유학자들의 인식을 계승한 것이었다. 나아가 성리학적 군주수신론을 제기하는 동시에 고려전기적 군주수신론도 여전히 존중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그는 신료는 충성으로 군주를 보좌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군주가 어린 나이로 즉위하면 재상이 보좌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다만 이것이 재상이 정치를 주도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었다. 그에게는 군주와 신료가 함께 통치해야 한다는 고려전기의 군신관념이 본질적인 것이었다. 나아가 그는 경명행수지사를 긍정하였지만, 그 외에도 각자의 재능에 따라 직분에 충실하면 높게 평가하였다. 이러한 이제현의 정치사상은 원 간섭기의 현실 속에서 왕조의 존속과 정상적인 정사 시행을 바랐던 그의 고민이 담긴 것이었고, 고려전기 이래의 정치이념을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 성리학의 요소를 선택적으로 수용한 것이었다.

      • KCI등재

        급진 정통주의의 인간 이해와 성만찬 정치체에 관한 연구

        김승환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본 연구는 세속화를 통해 구축된 근대적 인간 이해와 정치 이해를 비판하고 급진 정통주의 입장에서 대안을 제시한다. 합리적 이성을 토대로 하는 근현대의 자율적 인 간은 스스로를 신의 자리에 위치시켰다. 상호 이익을 전제로 사회적 계약 관계를 맺 는 인간들이 구성한 정치체 역시 종교의 자리를 대체하는 듯 보이지만 오히려 종교를 패러디한 것에 불과했다. 근대 국가는 종교가 제시한 구원을 독점하고 스스로를 신성 화(sanctification)시키기 시작한다. 하지만 초월적 영역을 상실한 사회와 인간은 궁극 적 가치와 삶의 의미를 잃어버렸고 결국 세속화는 허무주의와 탈신성화된 사회를 초 래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급진 정통주의 신학은 세속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세속화 이 전의 기독교 전통을 탐구한다. 급진 정통주의는 근대가 잃어버린 초월성과 관계성을 중심으로 인간 이해와 정치체 구성을 새롭게 시도한다. 급진 정통주의 신학은 세속화된 인간 이성과 세속사회의 욕망을 해결하기 위해 예 전을 주목한다. 인간은 무엇인가를 욕망하며 예배하는 예전적 동물이다. 자율적인 단 독자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인 존재와의 관계안에서 참된 진리와 성품을 형 성할 수 있다. 인간 사회의 진정한 정치체는 성만찬을 중심으로 하는 초월성과 관계성이 회복된 공동체이다. 그리스도의 몸으로 구성된 신자들의 상호 연합과 희생적 환 대는 이 땅의 정치체가 구현할 수 없는 진실한 것이다. 성만찬은 종교 행위로 국한 되지 않으며 새로운 사회를 향한 비전과 연대를 가능하게 한다. 급진 정통주의자들은 근대적 이원론에 사로잡힌 세속화를 비판하고 존재의 의존성 과 신성에의 참여성을 강조한다. 허무주의와 물질주의에 향하는 세속을 비판하며 존 재의 신성함을 그리스도를 통하여 회복하려 한다. 그러한 인간이 모여 있는 성만찬적 대안 정치체는 올바른 것을 예배하며 연대하는 공동체로서 세속 사회의 대안적 모델 이 된다. This study criticizes the Modern dualist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political systems and suggests altern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Radical Orthodoxy. Secularized modern humans have separated themselves from God through rationality and autonomy. And the Modern state was formed through the social contract theory agreed by autonomous selves. It seems to replace religion, but it is actually just a parody of the Religion. In this situation, Radical orthodoxy explores early Christian traditio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ecular. Radical orthodoxy attempts to understand human nature and the political body, focusing on the transcendence and relationship that modern times have lost. It pays attention to the liturgy to solve secularized human reason and the desires of secular society. Humans are liturgical animals that worship while longing for something. Throughout the Eucharist, humans experience God and participate in the character of God. The Eucharist embodies a true political body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secular politics. In this liturgy, humans experience a society that is reconciled and uni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hris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존 롤즈(John Rawls)의 정치철학의 형성에서 기독교적 유산에 대한 연구 ―후기 롤즈의 『만민법』과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의 비교

        김기호 ( Kim Kee-ho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7 神學과 宣敎 Vol.5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1942)와 후기 롤즈의 역작 『만민법』(1999)을 상호간에 비교하여 청소년기의 기독교적 사유가 후기 정치철학의 핵심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청년 롤즈는 신정통주의 신학적 영향을 받았으며, 신의 형상으로 지어진 인간의 존엄성과 삼위일체를 반영한 공동체를 중심으로 죄와 믿음의 관계를 분석한다. 비록 그가 종전(終戰) 후에 청소년기에 가졌던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의 핵심적인 기독교 가치들은 후기 롤즈의 정치 철학에서 보다 세속적인 모습으로 재연되고 있다. 특별히 『만민법』의 `원조의 의무`는 선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에 담긴 가치를 반영한 것이다. 롤즈는 평생 인류의 역사와 사회제도의 근본적 부정의와 뿌리 깊은 악을 제거하는 것에 일관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탈형이상학적이었던 공정으로서의 정의관과는 달리, 롤즈는 『만민법』에서 다시 악의 문제, 기독교 정전론, 인간의 본성론같은 형이상학적인 주제를 조심스럽게 다루고 있다. 청년 롤즈의 사상은 유신론에 근거한 도덕적 실재론이었다면, 후기 롤즈는 합리주의적 이신론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20세기에 가장 탁월했던 정치철학자 존 롤즈의 사상이 기독교적 배경에서 태동되었다는 사실은 그의 정치철학이 더욱 풍부한 사상적 배경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John Rawls`s early religious beliefs guided the development of his later political philosophy. By first analyzing A Brief Inquiry into the Meaning of Sin & Faith, I argue that the young Rawls`s embrace of Neo-orthodoxy shaped his later philosophical view of human dignity and that the central themes of his undergraduate thesis reappear in secular forms in his philosophical development, despite his abandonment of Neo-orthodox beliefs soon after World War II. I will trace out the changes of Rawls`s view on his own religion through a comparison of his main works: from the young Rawls`s Neo-orthodox beliefs to the later Rawls`s rationalistic deism. In the mature Rawls`s political philosophy, I will show that the secular Rawls still holds the Good Samaritan`s ideals such as fraternity, mutual respect, love, and justice as the motivat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his two principles of justice and the duty of assistance. My conclusion is that even though Rawls gave up the basic beliefs of th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he never abandoned the religious motivations that he held in his adolescence. Both the young Rawls`s theological work and the mature Rawls`s philosophical thought share the view that there are deep inequalities and other great evils in society and human history. As a solution, while the young Rawls appeals to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through overcoming sin by faith, through A Theory of Justice (1971), Political Liberalism (1993), and The Law of Peoples (1999), Rawls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the realistic utopia of a well-ordered society that will eliminate the great evil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just social institutions. Moreover, I showed that, contrarily to his declared rejection of metaphysics in his theory of justice, Rawls engaged with metaphysical themes such as human nature, theodicy, moral motivation, and the problem of evil throughout his career, from his senior thesis to his later works. In conclusion, I compare young Rawls with later as Rawls transformed from Neo-orthodoxy into Rationalistic deism, nevertheless emphasizing that Christian values continued to motivate his work until the end.

      • KCI등재

        선진시대 도통(道統) 의식 검토 -순자(荀子)의 도통 의식을 중심으로-

        이연정 ( Lee Yun Jeong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6

        선진 유가는 ‘도’를 가치 이상의 기준으로 삼아 이를 수호하며 비판 정신을 표현하였다. ‘도’ 는 철학 사상의 근저에 흐르는 정신 근간이자 핵심 내용이다. 우리는 도통 계보를 통해 도의 전승 과정을 파악하고 있지만, 그 계보가 담고 있는 ‘도’ 의 내용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는 듯하다. 도통 의식은 유가사상철학사에서 유학이 지향하는 정신의 전승 과정에서 확립되어 시대별 가치 이상과 이념을 대표한다. 선진 유가의 도통 의식은 공자의 도에 대한 계승 여부에 따라 상반되는 평가를 받는 맹자와 순자로 대표한다. 이러한 평가는 학문적 흐름을 계승한 학통(學統)의 측면에서는 이견이 없으나 정치양상으로 나타나는 정통(政統)에 입각하면 객관적인 검토가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이에 공자의 도가 지시하는 바와 맹자와 순자의 도통 의식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 작업은 유가 선진유학자들의 당면한 현실에서의 각자의 학자적 고민과 함께 시대정신을 표출하는 사상가로서의 면모를 파악하고 유가 철학에 대한 현대적 조명을 시도하는 의미 있는 과정이 될 것이다. Pre-Qin Confucianism held 'dao' (the Way) as the ideal value to pursue, and took a critical stance for its protection. Dao lied at the base of its philosophical thought and formed the core content. While we usually attempt to understand the transmission of the dao based on the Confucian orthodoxy of its genealogy, we do not seem to pay sufficient attention to how it had been conceived along the line of succession. The consciousness of the Confucian orthodoxy,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pirit that its followers aspired to achieve through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Confucian thought, represented the ideal value and ideology of each epoch. The pre-Qin notion of the Confucian dao is exemplified by Mencius and Xunzi, who receive opposite evaluations depending on their inheritance of Confucius's doctrine. Although this assessment may not invite disagreement in terms of the academic orthodoxy (學統) of the flow, it appears to warrant an objective examination when it is considered on the premise of the political orthodoxy (政統) manifested in political facets. Thus, my paper probes into Confucius's instruction on the dao and the conceptions of Mencius and Xunzi about the tradition of its transmission. I hope that this endeavor is a meaningful attempt by clarifying how each of the pre-Qin Confucians, as a scholar and thinker, grappled with the reality of the times they lived in and understood the spirits of the eras, and also illuminating on Confucian philosophy in the contemporary context.

      • KCI등재후보

        존 롤즈(John Rawls)의 정치철학의 형성에서 기독교적 유산에 대한 연구 ―후기 롤즈의 『만민법』과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의 비교

        백충현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7 神學과 宣敎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John Rawls’s early religious beliefs guided the development of his later political philosophy. By first analyzing A Brief Inquiry into the Meaning of Sin & Faith, I argue that the young Rawls’s embrace of Neo-orthodoxy shaped his later philosophical view of human dignity and that the central themes of his undergraduate thesis reappear in secular forms in his philosophical development, despite his abandonment of Neo-orthodox beliefs soon after World War II. I will trace out the changes of Rawls’s view on his own religion through a comparison of his main works: from the young Rawls’s Neo-orthodox beliefs to the later Rawls’s rationalistic deism. In the mature Rawls’s political philosophy, I will show that the secular Rawls still holds the Good Samaritan’s ideals such as fraternity, mutual respect, love, and justice as the motivat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his two principles of justice and the duty of assistance. My conclusion is that even though Rawls gave up the basic beliefs of th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he never abandoned the religious motivations that he held in his adolescence. Both the young Rawls’s theological work and the mature Rawls’s philosophical thought share the view that there are deep inequalities and other great evils in society and human history. As a solution, while the young Rawls appeals to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through overcoming sin by faith, through A Theory of Justice (1971), Political Liberalism (1993), and The Law of Peoples (1999), Rawls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the realistic utopia of a well-ordered society that will eliminate the great evil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just social institutions. Moreover, I showed that, contrarily to his declared rejection of metaphysics in his theory of justice, Rawls engaged with metaphysical themes such as human nature, theodicy, moral motivation, and the problem of evil throughout his career, from his senior thesis to his later works. In conclusion, I compare young Rawls with later as Rawls transformed from Neo-orthodoxy into Rationalistic deism, nevertheless emphasizing that Christian values continued to motivate his work until the end. 본 논문의 목적은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1942)와 후기 롤즈의 역작 『만민법』(1999)을 상호간에 비교하여 청소년기의 기독교적 사유가 후기 정치철학의 핵심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청년 롤즈는 신정통주의 신학적 영향을 받았으며, 신의 형상으로 지어진 인간의 존엄성과 삼위일체를 반영한 공동체를 중심으로 죄와 믿음의 관계를 분석한다. 비록 그가 종전(終戰) 후에 청소년기에 가졌던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의 핵심적인 기독교 가치들은 후기 롤즈의 정치 철학에서 보다 세속적인 모습으로 재연되고 있다. 특별히 『만민법』의 ‘원조의 의무’는 선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에 담긴 가치를 반영한 것이다. 롤즈는 평생 인류의 역사와 사회제도의 근본적 부정의와 뿌리 깊은 악을 제거하는 것에 일관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탈형이상학적이었던 공정으로서의 정의관과는 달리, 롤즈는 『만민법』에서 다시 악의 문제, 기독교 정전론, 인간의 본성론같은 형이상학적인 주제를 조심스럽게 다루고 있다. 청년 롤즈의 사상은 유신론에 근거한 도덕적 실재론이었다면, 후기 롤즈는 합리주의적 이신론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20세기에 가장 탁월했던 정치철학자 존 롤즈의 사상이 기독교적 배경에서 태동되었다는 사실은 그의 정치철학이 더욱 풍부한 사상적 배경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남당 한원진의 도통(道統) 개념 -정통, 학통의 결합과 정치로의 지향-

        송재혁 ( Song Jae Hyeok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남당 한원진(南塘韓元震, 1682~1751)은 주자 이후 유학의 도가 동방으로 옮겨와 이이(李珥), 송시열(宋時烈), 권상하(權尙夏)로 이어졌다고 생각했다. 그는 스승인 권상하의 행장에서 비록 권상하가 평생 벼슬을 하지 않아 송시열과 같은 사업의 공로는 없었지만, 전현들의 학문을 잇고 이를 발전시켰다는 이유로 도통(道統)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그리고 한원진은 자신이 언급한 도통의 계보를 잇기 위해 평생 노력을 경주했다. 불교와 양명학과 같은 이단, 그리고 같은 주자성리학 내에서도 퇴계학파, 낙학파에 대한 그의 격렬한 비판은 그러한 노력의 실천이었다. 기존 연구에서 김태년은 “입정학(立正學)”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이러한 한원진의 사상을 설명하고 있다(김태년, 2006). 그의 연구는 한원진의 행적을 “학문적 권력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한원진이 일생동안 끊임없이 보여준 정치로의 지향을 고려한다면, 그가 얻고자 했던 권력은 단순히 학문적인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그는 송시열의 도통에 대해 설명하면서, “천지를 위해 마음을 세우고 생민을 위해 도를 세워, 성대한 사업을 더불어 다툴 수가 없었다.”고 표현하면서 정치적 업적의 측면을 강조했다. 한원진은 이이와 송시열을 본받아 현실정치를 꿈꾸었으며, 이후 실제로 권력으로의 지향을 끊임없이 보여준 인물이었다. 이 글에서는 도통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실록과 문집에 나타난 한원진의 행적을 순차적으로 추적한다. 그가 사용한 도통의 개념은 이이와 송시열이 그랬던 것처럼, 정치적 업적의 측면인 정통(政統)과 학문적 측면인 학통(學統)이 결합된 것이었다. 한원진은 당대의 군주였던 영조(英祖)를 설득하는 데 실패하고 결국 권상하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지만, 항상 이이, 송시열과 같은 정치가가 되고자 하는 정치적 지향을 품었던 인물이었다. Han WonJin(韓元震, 1682~1751) believed that after the death of Zhuxi(朱熹) Confucian Dao(the Way) had been transmitted to those scholars in Joseon(東方) including Lee Yi(李珥), Song SiYeol(宋時烈), and Gwon SangHa(權尙夏). As an academic successor of Gwon SangHa, he wrote in Gwon's eulogy that Gwon was one of the transmitters of the daotong(道統) despite the fact that Gwon had never served in the government as Song SiYeol had. Through his whole life, Han made effort to transmit the daotong of the teachers he mentioned. This is why Han strongly disapproved of other schools of neoconfucianism, not to mention heresies including Buddihism and Yangming school. While explaining Han’s thought using the concept of “Lizhengxue(立 正學)”, Kim TaeNyeon’s work does not go further than arguing Han intended to “seize the academic power.” Considering Han’s lifelong orientation to politics, however, his ultimate goal should be more than that. Han wanted to work in real politics and kept trying to hold political power. The supporting evidence is that Han honoured Song SiYeol’s outstanding political achievement, saying Song was the one“make up his mind for the world, build the dao for the people, so there is no one who can compete with him in those great works.” This paper reviews Han’s life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daotong. Han’s concept of the daotong, similar to those of Lee Yi or Song SiYeol, is the combination of Zhengtong(political orthodoxy, 政統) and Xuetong(academic orthodoxy, 學統). Although Han failed to persuade the then king Youngjo(英祖) and followed suite of Gwon SangHa, he always dreamt of becoming politicians like Lee Yi and Song SiYeol.

      • KCI등재

        정재학파定齎學派 위정척사론의 대두와 성격

        설석규(Sul suk-kyu) 한국국학진흥원 2004 국학연구 Vol.4 No.-

        이 글은 한말韓末 영남유림嶺南儒林의 보편적 경향으로 자리 잡고 있던 위정척사론衛正斥邪論의 사상적 근거를 추적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정제定齊 유치명柳致明의 계보와 학문경향을 검토한 것이다. 16세기 이래 영남유림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에 의해 정립된 리기수승론理氣隨乘論의 성리학적性理學的 세계관世界觀에 토대를 두고 그들의 현실인식과 대응자세를 확립했다. 그러나 퇴계학의 수용에 대한 내부의 시각차로 인해 퇴계학파退溪學派는 각각의 계보를 형성하며 분화分化되었다. 그 가운데 서애계西厓系와 학봉계鶴峯系가 양대兩大 계파系派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유치명은 학봉계에 계보적 연원을 두고 있었다. 김성일金誠一의 학문적 계보를 잇는 학봉계는 서애계가 현실에 다소 유화적으로 대응한데 비해 집권 서인(노론)세력과 우율종사 논쟁을 전개하며 정권의 정통성正統性 시비是非를 야기하는 등 상대적으로 현실에 비판적 면모를 보여주었다. 학봉계의 이러한 분위기가 결과적으로 한말 제국주의 열강의 침탈에 대응한 정재학파 위정척사론 형성의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유치명의 세계관이 선善ㆍ악惡, 정正ㆍ사邪의 분별에 확고한 이분법적 사고보다는 가치분별을 전제로 한 탄력적 측면이 엿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정재학파의 위정척사론은 극단적인 외세배격을 전제로 한 배타적 국수주의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다. This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the genealogy and academic tendencies of Jeongjae Yu Chi-myeong in order to trace back the origin of the theory to defend orthodoxy and reject heterodoxy, which was the dominating philosophy among the Youngnam Confucians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nce the 16the century, the Confucians in the area had based their efforts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decide the responding attitudes on the Yi-Gi Suseung Theory, which was part of the Neo-Confucianism and established by Toegye Yi Hwang. But they got to differentiate from each other forming their own genealogy due to the differences in viewing the acception of the Toegye philosophy. Among them, the Seoae School and Hakbong School constituted the opposing axes. Yu Chi-myeong belonged to the latter school. Succeeding the academic traditions of Kim Seong-il, the Hakbong School was different from the Seoae School, which tended to be somewhat gentle about the reality, in that it revealed relatively critical aspects of the reality by developing arguments on Wooyuljongsa(牛栗從祀) against the Seoin(Noron) in power and criticizing the current regime for lack of legitimacy. That kind of sentiment of the school served a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to defend orthodoxy and reject heterodoxy of the Jeongjae School, which tried to fight against the Great Powers invading Chosun in the later days. The Jeongjae School's theory to defend orthodoxy and reject heterodoxy maintain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exclusive nationalism, which insisted on the extreme rejection of foreign influences, in that Yu Chi-myeong s views of the world was rather flexible based on the values distinction instead of focusing on the dichotomous ideas with explicit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and right and wrong.

      • “五德终始”说之终结 -兼论宋代以降传统政治文化的嬗变-

        劉浦江 경주사학회 2011 경주사학 Vol.34 No.34

        以阐释政权合法性为目的的五德终始说建立在对宇宙系统的信仰之上,经过宋代儒学复兴的冲击,被宋儒以道德批评为准则的正统论取而代之。但五运说的残余影响仍长期存在,直到明代,朝野间仍在继续讲求德运。五运说在宋代所面临的危机并不是一个孤立的现象,而是中国传统政治文化的一种共同境遇。宋代知识精英对五运说、谶纬、封禅、传国玺等传统政治文化进行了全面的清算,从学理上消解它们的价值,从思想上清除它们的影响。宋儒的政治伦理观念在当时是高调的、前卫的,但到元明清时代就变成了普世的价值观。传统政治文化的这一变迁轨迹,向我们指引了宋元明清时代思想史的基本走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