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天台의 十二因緣論

        지창규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1 No.-

        The most fundamental doctrine in Buddhism is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十二因緣論) with The Four Noble Truths (四諦). It is because that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appears as a main doctrine with Mahayana Sūtra as well as the early's Sutra.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which is included in most doctrines of Buddhism is interpreted in the respect of Mahayana after converting in the Mahayana Sūtra. In spite of that if you understand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Mahayana Sūtra only with respect of the early's Buddhism, it will be misunderstanding. It was Great Monk T'ien-T'ai (天台大師) in China who realized understanding in the respect of Mahayana on the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Chih-i (智顗) organized entirely a view on the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with those of The Four Noble in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 (法華玄義).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by T'ien-t'ai are not simple interpretations about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on the early day's anagamin but an interpretation which unfolded itself without distinction of Mahayana or Hinayana Sūtra. So to speak, T'ien-'ai put together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early's anagamin or Abhidharma discourse with those of the Arising and Perishing (生滅), he organized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on the emptiness idea of the Wisdom with those of the Non-arising (無生), he made clear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by emphasizing on the mind along with non-substantiality·provisional existence·the middle (空假中) with those of the Innumerable and he explained Twelve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on the Complete and Get into One (圓融) which become non-substantiality ·provisional existence·the middle into one with those the Actionless (無作). That is, he has systematically organized Twelve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with the Arising and perishing·Non-arising·Innumerable·Actionless. Twelve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by T'ien-t'ai are not only to enumerate but also to open revealing (開顯) and contemplate insight into mind. They were made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on the Real Substantial (實相) bear again by opening revealing and revolve into one's mind by contemplating insight into mind (觀心). It means the recovery on the original sense of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As you see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by T'ien-t'ai are worth saying an recreation of those as a different level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early's anagamin. As well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re are at least no theories on Twelvefold Condition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compare with it. 사제와 더불어 가장 기본적인 불교 교리는 十二因緣이다. 십이인연은 붇다의 깨달음이기 때문이다. 초기경전을 비롯하여 대승경전에 이르기까지 항상 등장하는 십이인연을 대승경전에서는 대승적으로 변환시켜 해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대승경전에 나오는 십이인연을 가지고 초기불교의 관점으로만 국한시켜 이해한다면 그것은 오해라고 할 수 있다. 십이인연에 대한 대승적 이해가 어려운 상황에서 그것을 실현한 이는 중국의 天台智顗이다. 智顗는 『법화현의』에서 사종의 십이인연을 통해 일체경의 모든 십이인연설을 정리하였다. 단순히 초기 아함의 십이인연만이 아니라 대승까지도 막론한 십이인연을 모두 받아 들여 네 개의 형식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즉 초기 아함이나 아비달마논서에서 나오는 십이인연을 천태는 生滅의 십이인연으로 묶고 있으며, 반야공사상에 의한 십이인연을 천태는 無生의 십이인연으로 정리하고 있고, 공가중으로 이어지면서 마음을 강조하는 십이인연을 천태는 無量의 십이인연으로 밝히고 있으며, 공가중이 하나로 되는 원융의 십이인연을, 천태는 無作의 십이인연으로 설명하고 있다. 生滅의 십이인연·無生의 십이인연·無量의 십이인연·無作의 십이인연으로 나눈 천태의 십이인연은, 경전과 교설의 특색에 따라 일체의 십이인연을 정리하였다고 할 것이다. 또한 그것을 단순히 나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경전에 근거하여 開顯하고 觀心하고 있다. 開顯함으로써 십이인연을 實相의 십이인연으로 거듭나게 하고, 觀心함으로써 십이인연을 자기 마음으로 돌리고 있다. 십이인연의 본연의 뜻이 되살려진 것이다. 이와 같이 천태의 십이인연은 초기 아함에 머무는 십이인연론과는 전혀 차원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대승 십이인연의 창조적 계승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 KCI등재

        용수의 연기설 재검토 및 중도적 이해

        남수영(Nam, Soo-young)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①‘중론이 주장하는 연기는 상의성의 의미이며, 중론의 목적은 여러 법의 상의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라고 하는 나카무라 하지메(中村元)의 견해와 ②‘상의성의 연기와 팔불연기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면서, ③‘팔불은 동시적이고 상대적인 부정을 통해 양항을 다시 긍정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하는 윤종갑의 견해, 그리고 ④‘팔불의 상반하는 둘을 하나로 묶음으로써, 그 둘 각각의 긍정을 함의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우에다 요시부미(上田義文)의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고, 용수의 상호의존적 연기와 팔불의 연기를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월칭의 언급으로부터 12연기와 상호의존의 연기는 세속제(世俗諦)로서 동일 차원에서 설해진 것이고, 팔불의 연기는 승의제(勝義諦)로서 상호의존의 연기와는 다른 차원에서 설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럴 경우 상호의존의 연기와 팔불의 연기, 즉 세속제와 승의제의 분기점은 무자성과 공성의 개념이 된다. 그런 사실로부터 나카무라 하지메의 견해 ①과 윤종갑의 견해 ②는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2) 상호의존의 연기란 두 개의 사물이나 혹은 여러 개의 사물이 서로 의존해서 성립함을 설하는 것이다. 용수가 상호의존의 연기를 설한 목적은 인도의 대부분의 학파들이 실재로 간주하는 궁극적인 원인을 포함하는 모든 사물이 연기에 의해서 성립함을 밝히고, 다시 그로부터 모든 사물은 연기이기 때문에 무자성과 공성 등으로 설해지는 궁극적 진실인 승의제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3) 팔불의 연기란 연기이기 때문에 무자성인 모든 사물은 불생불멸 등의 여덟가지 특성을 지닌다는 의미이다. 팔불이 설해진 목적은 유자성론에 근거해서 설해지는 여러 학설들의 불합리를 비판하고, 무자성과 공성 등으로 설해지는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4) 팔불의 각각은 동일한 형식으로 설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팔불의 각각은 ‘자성으로서 불생’, ‘자성으로서 불멸’등으로 종결되며, 거기서 불생과 불멸 등 두 항목을 하나로 묶어서 다시 발생과 소멸 등을 긍정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사실들로부터 윤종갑의 견해 ③과 우에다 요시부미의 견해 ④는 올바르지 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5) 팔불은 시종일관 무자성의 개념에 근거해서 설해지고 있고, 그럴 경우 무자성은 비유비무(非有非無)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와 같은 사실로부터 팔불은 비유비무의 중도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팔불의 각각은 자성으로서의 생멸, 자성으로서의 거래, 자성으로서의 일이, 자성으로서의 단상 등 불합리하고 극단적인 견해들을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팔불이 곧 중도라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6) 월칭이 『중송』의 목적으로 제시했던 ‘모든 희론이 멈추어서 길상의 특정인 열반’에 도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고 생각된다. 첫째, 세속제, 즉 상호의존의 연기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둘째, 승의제에 근거해서 팔불이 설해지고, 팔불을 통해서 유자성론에 뿌리를 둔 모든 희론들이 부정되는 동시에, 무자성인 모든 사물의 진실을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셋째, 그런 깨달음을 통해서 무명과 갈애가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고, 마침내 수행자는 ‘모든 희론이 멈추어서 길상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 The present writer raised questions to ①the opinion of Hajime Nakamura(中村元) which the dependent origination(緣起) of Mūla-madhyamaka-kārikāh is the meaning of mutual dependence(相依性) and the purpose of Mūla-madhyamaka-karikah is to reveal the mutual dependence of things, ②the opinion of Jonggap Yun(윤종갑) whic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is same wit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八不), ③which eight negations have the nature of affirming the both items through the coincidently and relatively negations, and ④the opinion of Yoshibumi Ueda(上田義文) which we can write affirmation into the both of two items by joining into one of the contrary two items of eight negations. So the present writer reconsidere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n Mūla-madhyamaka-kārikāh, and confirmed as follow facts. 1)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twelve elements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re said in a same level as belonging to the teaching of unclear meaning scriptures, but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s said in a different level as belonging to the teaching of clear meaning scriptures. So we could know that Hajime Nakamura’s opinion of ① and Jonggap Yun’s opinion of ② have no validity. 2)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is a theory that two or several things, action and actor, pure and impure etc., come into existence in a state of mutual dependence. The present writer thinks that the aim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of Nāgārjuna is to reveal the fact that all things are of no intrinsic nature(無自性), emptiness(空性), dependent designation(假名), and middle-way(中道), because they are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 3)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s a theory that all things as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 have eight attributes of non-production(不生) non-extinction(不滅) etc.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has two aspects of the criticism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and the revelation of the truth of no int rin sic nature of all things. So we could know that the aim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are the negation of the irrational theories about production and extinction etc. based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and the revelation of truth of all things of no intrinsic nature. 4) When we examined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eight negations, we can see each item of the eight negations come to a stop with no-production as intrinsic nature, no-extinction as intrinsic nature etc., but we could not find any case of writing affirmation into the both of the two items, by joining into one the contrary two items of production and extinction etc. So we can know that Jonggap Yun’s opinion of ③ and Yoshibumi Ueda’s opinion of ④ are not correct. 5) The eight negations are described by the conception of no intrinsic nature from start to finish, and the conception of no intrinsic nature used as meaning of non-being and non-not-being(非有非無). Therefore we could know that eight negations must be comprehended by the middle way of no-being and no-not-being. Also because each item of the eight negations are denials to the irrational and extreme opinions of production as intrinsic nature and extinction as intrinsic nature etc.,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the eight negations are exactly the middle way. 6) The meaning of Candrakīrti’s mention which he presented as the purpose of Madhyamaka-śāstra, ‘nirvana with auspicious feature because all of the irrational theories completely stoped’, is as follows. The truth of no intrinsic nature of all things has become known throug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nd every irrational theory based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is refuted by that truth.

      • KCI등재

        구사론주 세친(Vasubandhu) 緣起觀의 연속과 불연속

        박창환(PARK, chang-hwan)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38 No.-

        세친은 『구사론』단계에서부터 십이지연기의 식을 結生識으로 이해하는 유부의 입장을 비판한다. 『구사론』에서 세친은 12지연기의식을 유부처럼 결생식(의식)으로 보지 않고 업행(업의 행위)이 추동하는 힘 때문에 촉발되는 六識의 흐름(vijñānasantati)으로 본다. 여기서 세친이 말하는 '육식의 흐름'은 전생을 떠나 중유를 매개 로 다음 생까지 연결되는識相續이기 때문에 중유단계의 결생식을 포괄하는 것이다. 세친의 이러한 견해는 또한 식의 흐름을 조건으로 현세의 명색에서부터 새로운 생명의 잉태가 시작된다고 본다(식연명색)는 점에서 이미 결생식에서부터 현생이 시작되었다고 보는 유부와 대립한다. 이 경우 식은 유부에서처럼 새로운 생명의 탄생(결생)이 아니라 탄생 직전까지의 업상속을 유지하는 '매개자 혹은 원인' 역할로 이해된다. 식의 역할이 '새로운 생과의 결합'(결생)이라는 연기의 결과적 측면에서 새로운 생으로의 연결적 매개자로 변한 것이다. 이는 12지연기에서의 식의 역 할과 관련하여 중요한 것을 시사한다. 유부 입장에서 1 2지연기로 표현되는 생사윤회 과정의 주요 매개체는 오온이다. 오온이 윤회하는 것이다. 따라서 식지의 식은 다만 이 유전과정의 오온의 상태 즉, 결생은(관용적으로 결생식)을 나타낸다. 반면 구사론주 세친의 종국적인 입장은 윤회의 매개를 오온의 상속(흐름)이 아니라 육식의 상속으로 본다. 세친의 『연기경석』은 "과거업에 의해 훈습된 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기존의 육식설을 이론적으로 한층 강화한다. 본고는 세친의 識說이 『구사론』과 『연기경석 』을 통해 어떤식으로 진화해 나가는지를 세친 사상의 '점진적 발전 모델'에 의거해 설명한다. Th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pratītyāsamutpāda) has generally been accepted as one of the central teachings of the Buddha since the inception of Buddhism. The earliest form of Dependent Origination is embodied in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Over the course of time, however, an interpretation of the specific workings of each link of the causal chain varied depending on the Buddhist school. Sarvāstivādins came to understand the causal chain as symbolizing the causal sequence of three-time periods (past, present and future) that sentient beings undergo, impelled by their actions (karma). That is to say, they viewe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s an endless process of causation through which sentient beings, consisting of five aggregates, die, get reborn, grow, and die again. W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is, in their perspective, the five aggregates which constitute a human being. Within this interpretative scheme of the chain of Dependent Origination, each link such as ignorance (avidyā) was no longer literally considered as ignorance per se, but as a symbolic representative of the five aggregates that go through the recycle process. This Sarvāstivāda interpreta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is specifically called 'the theory of a state (avasthā) [of five aggregates]', which means that it is after all the five aggregates which undergo the twelve causal chain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is respect, the Sarvāstivādadins interpreted 'conditioned by karmic activities (saṃskāra), consciousness (vijñāna) arises', as representing that 'conditioned by a given state or stage of five aggregates, the main feature of which is karmic activities in the rebirth process, there arises another given state of five aggregates which feature consciousness.' This kind of understanding was led to as a result of this five aggregates-centered interpreta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AKBh), Vasubandhu provides two irreconcilable accounts of the causal chain; one is the standard Sarvāstivāda interpretation as outlined above and the other is a Sautrāntika critique of it. In the Sautrāntika (scripturalist) view,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does not represent developmental states or stages of a rebirth process that the five aggregates go through, as Sarvāstivādins argue. For them, the meaning of each link of the chai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symbolic, but as literal. Thus, the above example should be reinterpreted as 'conditioned by karmic activities, [the stream of] consciousness arises [thus effected]', which emphasizes the actual role of each link in the causal chain. Thus Sautrāntika understanding further developed in Vasubandhu's post-AKBh Yogācāra-leaning texts such as the Pratītyasamutpādavyākhyā (PSVy), which resulted in his eventual interpreta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a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ālayavijñāna (storehouse consciousness). What this essay aims to explore is how Vasubandu's view of Dependent Origination changes through his major texts such as AKBh and PSVy; more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 conditioned by karmic activities, consciousness arises' (saṃskārapratyayaṃ vijñānam) and shows how Vasubandhu developed a consciousness-based interpretative scheme of Depedent Origination over time. Thereby it attempts to shed some new light on the transformative character of Vasubandhu's ideologies epitomized in his AKBh and post-AKBh texts. This will help us clear up some of the mischaracterizations of Vasubandhu, either as an originally Mahāyāna Yogācārin as argued by some of the modern scholars, or as a sudden or dramatic convert to Mahāyāna as depicted by Param

      • KCI등재

        화엄 교학에서의 연기(緣起) 개념

        고승학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화엄 교학 전통에서 연기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고찰하고 단일해 보이는 이 전통 내에 다양한 연기 개념이 존재하였음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불교의 연기 개념이 시간의 흐름을 중시하여 고통의 발생과 소멸이 특정한 조건에 의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면, 대승불교의 공 개념은 현상계의 모든 사물들이 상호 의존하고 있다는 직관을 가지게 하였고 연기로부터 시간성을 탈각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화엄 교학의 진여연기와 볍계연기, 그리고 성기 개념은 여기에 사물의 발생론적 근원을 추구하는 중국적 사유가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법장이 체계화한 화엄 교학에는 자종의 우월성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노골적으로 드러나 있고, 중중무진으로 특징지어진 법계연기를 설명하기 위해 『화엄경』의 전체 문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새로운 그러면서도 복잡한 이론 틀을 도입하여 이론을 위한 이론을 개진한 듯한 느낌을 준다. 다른 한편으로 이통현이 인과동시로서 화엄 일승을 규정하면서 제시한 중관적 논리 전개와 의상이 성기 개념을 논하면서 여래장사상과의 화회를 시도한 사례들로부터 우리는 화엄 교학 전통 내의 연기 개념이 지난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tracing the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pratītyā-samutpāda) was developed in the tradition of Huayan scholasticism. It also intends to reveal that diverse interpretations on the concept were presented within the seemingly unitary tradition. Whereas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 in early Buddhism emphasized the passage of time and showed that the arising and cessation of suffering was dependent upon a specific condition, the notion of emptiness(śūnyatā) in Mahāyāna Buddhism led to the intuition of the interrelatedness of every object in the phenomenal world, thereby excluding temporality from dependent origination. Combined with this atemporal notion of emptiness, the Chinese penchant for finding the generative origin of thing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uch Huayan theories as dependent origination of suchness,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and nature origination. However, Huayan scholasticism as systemized by Fazang (643-712) is rather biased, openly touting its superiority to other schools. It also gives the impression that its theories just serve for the sake of theories. When Huayan masters explicate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characterized by the idea of "repetition ad infinitum," they often introduced new and complicated theoretical frames without considering the whole context in which certain key concepts occur in the Flower Garland Sutra. On the other hand, we can confirm the existence of diversities in the Huayan tradition from examples such as Li Tongxuan's (635-730) adoption of Mādhyamika logic for the definition of the simultaneity of cause and result, and Uisang's (625-702) reconciliation of Tathāgata-garbha thought and the philosophy of nature origination.

      • KCI등재

        자립논증파(自立論證派)의 십이연기 해석 연구- 제쭌 최끼곌첸의 티벳어본 『연기(緣起)의 총의(總義)』를 중심으로 -

        신월숙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The main source of this study is the General Meaning of Dependent Origination(緣起의 總義, rten 'brel spyi don/), which is written by rje btsun chos kyi rgyal mtshan of Tibet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s a view of the Middle Way Autonomy school(Svātantrika, rang rgyud pa) on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terpretation of each link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based on the text and to broaden the horizons of research on the twelve link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that provide an interpretation of each link of the twelve links. The outline of each paragraph is as follows. First, this paper raises a counterargument to the case of using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pratītyasamutpāda) interchangeably by citing evidence such as Clear word Commentary on the Fundamental Verses of the Middle Way(中觀根本頌註釋 顯句, dbu ma rtsa ba'i 'grel pa tshig gsal/) written by Candrakīrti(zla ba grags pa/). Second, it demonstrates that the General Meaning of Dependent Origination is the view of the Middle Way Autonomy school based on the evidence that the General Meaning of Prajñā(般若의 總義, phar phyin spyi don/) was written mainly on Araya Vimuktisena('phags pa rnam grol sde/) and Haribhadra(seng ge bzang po/)’s treatises that belongs to the Autonomy school. Third, it presents the interpretation of each link of the Twelve links through the General Meaning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at the same time additional explanations are added by referring to various treatises to help understand the contents. Also the Middle Way Autonomy school and the Middle Way Consequence school(Prāsaṅgika, thal 'gyur ba) have somewhat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som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each link. Therefore, it compares and analyzes them based on the authority of various commentaries on Nāgārjuna(klu sgrub/)’s Root Verses on the Middle Way(中觀根本頌般若, dbu ma rtsa ba'i tshig le 'ur byas pa shes rab/).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s a core doctrine of Buddhism. However, it is more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the entire content than any other doctrine. Therefore, it is an urgent priority to resolve the question by exploring diverse literature.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is. 본 연구의 주요 텍스트는 15~16C에 티벳 제쭌 최끼곌첸이 십이연기에 관하여 자립논증파의 견해로써 저술한 『연기의 총의』이다. 본 연구는 이 논서에서 십이연기 각지의 해석을 제시하고, 십이연기에 관한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십이연기 각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모두 세 단락으로 구성한다. 단락별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십이연기와 연기를 혼용하는 사례에 대하여 월칭(月稱)의 『중관근본송주석, 현구(中觀根本頌註釋, 顯句)』 등의 전거를 들어 반론을 제기한다. 둘째, 『반야(般若)의 총의』가 자립논증파에 속하는 성해탈군(聖解脫軍)과 사자현(獅子現)의 논서를 중심으로 저술하였다는 전거를 토대로, 『연기의 총의』가 자립논증파의 견해임을 논증한다. 셋째, 『연기의 총의』를 통해 십이연기 각지에 대한 해석을 제시함과 동시에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논서를 참고하여 부연 설명을 덧붙인다. 또한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는 십이연기 일부 해석에 대해 다소 이견을 보인다. 따라서 용수(龍樹)의 『중관근본송반야(中觀根本頌般若)』에 대한 여러 주석서의 전거를 바탕으로 이를 비교․분석한다. 십이연기는 불교의 핵심적 교리이다. 하지만 이 전체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다른 어떤 교리보다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문헌을 탐구하여 의문을 풀어 가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본 연구가 이에 일조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립논증파(自立論證派)의 십이연기 해석 연구 - 제쭌 최끼곌첸의 티벳어본 『연기(緣起)의 총의(總義)』를 중심으로 -

        신월숙 ( Shin Weol-su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본 연구의 주요 텍스트는 15~16C에 티벳 제쭌 최끼곌첸이 십이연기에 관하여 자립논증파의 견해로써 저술한 『연기의 총의』이다. 본 연구는 이 논서에서 십이연기 각지의 해석을 제시하고, 십이연기에 관한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십이연기 각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모두 세 단락으로 구성한다. 단락별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십이연기와 연기를 혼용하는 사례에 대하여 월칭(月稱)의 『중관근본송주석, 현구(中觀根本頌註釋, 顯句)』 등의 전거를 들어 반론을 제기한다. 둘째, 『반야(般若)의 총의』가 자립논증파에 속하는 성해탈군(聖解脫軍)과 사자현(獅子現)의 논서를 중심으로 저술하였다는 전거를 토대로, 『연기의 총의』가 자립논증파의 견해임을 논증한다. 셋째, 『연기의 총의』를 통해 십이연기 각지에 대한 해석을 제시함과 동시에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논서를 참고하여 부연 설명을 덧붙인다. 또한 자립논증파와 귀류논증파는 십이연기 일부 해석에 대해 다소 이견을 보인다. 따라서 용수(龍樹)의 『중관근본송반야(中觀根本頌般若)』에 대한 여러 주석서의 전거를 바탕으로 이를 비교·분석한다. 십이연기는 불교의 핵심적 교리이다. 하지만 이 전체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다른 어떤 교리보다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문헌을 탐구하여 의문을 풀어 가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본 연구가 이에 일조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main source of this study is the General Meaning of Dependent Origination(緣起의 總義, rten 'brel spyi don/), which is written by rje btsun chos kyi rgyal mtshan of Tibet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s a view of the Middle Way Autonomy school(Svātantrika, rang rgyud pa) on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terpretation of each link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based on the text and to broaden the horizons of research on the twelve link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that provide an interpretation of each link of the twelve links. The outline of each paragraph is as follows. First, this paper raises a counterargument to the case of using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pratītyasamutpāda) interchangeably by citing evidence such as Clear word Commentary on the Fundamental Verses of the Middle Way(中觀根本頌註釋 顯句, dbu ma rtsa ba'i 'grel pa tshig gsal/) written by Candrakīrti(zla ba grags pa/). Second, it demonstrates that the General Meaning of Dependent Origination is the view of the Middle Way Autonomy school based on the evidence that the General Meaning of Prajñā(般若의 總義, phar phyin spyi don/) was written mainly on Araya Vimuktisena('phags pa rnam grol sde/) and Haribhadra(seng ge bzang po/)’s treatises that belongs to the Autonomy school. Third, it presents the interpretation of each link of the Twelve links through the General Meaning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at the same time additional explanations are added by referring to various treatises to help understand the contents. Also the Middle Way Autonomy school and the Middle Way Consequence school(Prāsaṅgika, thal 'gyur ba) have somewhat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som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each link. Therefore, it compares and analyzes them based on the authority of various commentaries on Nāgārjuna(klu sgrub/)’s Root Verses on the Middle Way(中觀根本頌般若, dbu ma rtsa ba'i tshig le 'ur byas pa shes rab/).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s a core doctrine of Buddhism. However, it is more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the entire content than any other doctrine. Therefore, it is an urgent priority to resolve the question by exploring diverse literature.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is.

      • KCI등재

        실유론자들의 불상부단설에 대한 용수의 비판

        남수영 ( Soo Young Nam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30

        Nagarjuna has established the madhyamaka-thought by succeeding the Sunyata thought of Prajna-paramita-sutra. The logical base of his madhyamaka thought is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he explains the dependent origination through eight kinds of denial in the dedicated verses of Mula-madhyamaka-karika, his most important work. He said that the eight kinds of denial, non-origination, non-extinction, non-destruction, non-permanence, non-identy, non-differentiation, non-coming, and non-going, are the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origination. By the way there is a verse in the Mula-madhyamaka-karika of Nagarjuna as follow. `For [someone] assuming an existent thing, there is no eternalism or nihilism. Since this existence is the continuity of the originating and stopping of causes and products. 21-15)` Following the above quoted verse, I gave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ravya-sat-vadins of Sarvastivadin and Sautrantika, same as Nagarjuna, admit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as truth, and look around their theory of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Nagarjuna`s critique on their theory of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and finally the real aspect of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which Nagarjuna has presented. And I finally ascertain the following facts. The Dravya-sat-vadins of Sarvastivadin and Sautrantika tried to prove their theory do not violate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which is fundamental teaching of Buddha, by accepting the theory of momentariness and of continuity of the created dharma. On the other hand, Nagarjuna pointed out that Dravya-sat-vadins` theory finally falls in eternalism or nihilism, by presenting of `contradiction of circular origination` and `contradiction of nihilism` etc., and attempts to explain the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through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in himself. The purpose of Nagarjuna`s critique is make clear that everything is dependent origination, no nature, sunyata, and middle way, by confuting all dravya-sat-vada at that time. And the reason of his making clear that everything is dependentent origination, no nature, sunyata, and middle way is to help people realize the life of no-attachment and great freedom, which is the Nirvana. Nagarjuna has reinterpreted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through dependent origination, pointing out the errors of the theory of non-permanence and non-destruction which dravya-sat-vadins presented. We should understand his critique on this line of connection.

      • 용수의『중송』에서 고통의 발생과 소멸

        남수영(Soo-young Na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2 불교와 사회 Vol.4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용수가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사성제와 삼보가 모두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이유와 그가 무자성론에 근거해서 설명하는 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송』및 그에 대한 월칭과 청목의 주석을 중심으로해서 살펴보았다.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은 인연(因緣)을 기다리지 않고 결정되어 있으며,자성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므로 유자성론에서 여러 법의 발생과 소멸은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으며,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심으로 하는 사성제도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다. 또한 유자성론에서는 사성제가 성립하지 못하기 때문에 삼보도 성립하지 못한다. 한편 용수의 『중송』에서 고통의 발생은 공성의 비자각 → 희론의 발생 → 분별의 발생 → 번뇌의 발생 → 업의 발생 → 고통의 발생으로 설명되고 ,고통의 소멸은 공성의 자각 → 희론의 소멸 → 분별의 소멸 → 번뇌의 소멸 → 업의 소멸 → 고통의 소멸로 설명된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과 용수의 무자성 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의 개념은 인연의 부정,인과의 부정,생멸의 부정을 내포하기 때문에,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이 모두 힘들어지지만, 용수의 무자성론에서는 일체법이 비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발생을 설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소멸을 설명하는 것도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수에게 일체법의 무자성성과 공성을 자각하는 것은 고통을 소멸하고 열반을 성취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그리고 무자성성과 공성에 대한 자각은 연기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얻어진다. 즉 연기인 사물은 무자성이고, 공이고, 가명이고, 중도인 것이기 때문에, 존재성과 비존재성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행자는 일체법이 연기의 결과물이라고 하는 진실을 깨달음으로써, 모든 사물들이 마치 석녀의 딸처럼 무자성이고 공인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자각에 의해서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차례로 소멸하고 나아가 윤회의 고통도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송』에서 발견되는 세 종류의 연기설과 공성의 자각, 그리고 열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세속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12연기설과 상호의존적 연기설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고 공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또한 수행자는 승의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팔불연기설을 통해서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는 그런 깨달음을 통하여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소멸하고, 윤회의 고통도 소멸한 ‘길상(吉i洋)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The present writer has examined the reason as to why Nāgārjuna asserts that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hree jewels are destroyed in the self nature theory of Sarvāstivāda, Nāgārjuna's explanation of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ased on the no-self nature theoty centered on Mūlamadhyarnaka-kārikā as well as in the commentaries of Candraldrti and Pirigala of this article. In summary, they are as follows. The Sarvāstivāda says that the self nature of dharma is determined to not wait for a cause and condition, and never change. Therefore, the self nature theoty of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dharmas and the four noble truths, which are the explan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If the four noble truths can not be established, the three jewels also can not b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the non awareness of emptiness → the 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appearance of action → the appearance of suffering.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 awareness of emptiness → the dis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dis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dis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disappearance of action →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n Mūlamadhyarnaka-kārikā of Nāgārjuna. The comparison of the two explanations of Sarvāstivāda and Nāgārjuna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shows the following facts. The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the conception of self nature contains the negation of cause and condition, the negation of cause and effect, and the neg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However, Nāgārjuna can explain the 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non-being to all dharmas, but can explain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being to all dharmas. Therefore,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the most important requisite for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and for the achievement of nirvāna. Further,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obtained by the awarenes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ll of the dependent originated things can not have self nature of being or non being, because they are non self nature, emptiness, provisional name, and the middle way. The disciplinant becomes aware that all things are non self nature and empty, similar to a barren woman's daughter by the awareness that all things are output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nd through that awareness, the amplification cation, the mistaken idea, the affliction, the action disappear one by one; his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s last. The relation of the three kinds of theories on dependent origination, the awareness of emptiness, and nirvana is as follows. The highest truth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become known by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interdependent origination, which are suggested by the mundane truth. Also, the disciplinant becomes more clearly aware of the highest truth by the eightfold negation dependent origination, which is suggested by the highest truth. Finally, he obtains auspicious nirvana by clear awareness, in which amplification, mistaken idea, affliction, action, and the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

      • KCI등재

        배달의민족과 모빌리티 서비스 브랜드의 오리지네이션

        홍동표,이재열 한국경제지리학회 202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5 No.4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Baedal Minjok(BaeMin) has grown to be a dominant mobility platform operator in food delivery sector in South Korea and what roles its brand and branding have played in the process, drawing on the idea of origination. For the purpose, BaeMin is considered as a typical platformized mobility service provider and origination is framed to be an appropriate analytical lens for the business sector. For the origination conception, unlike mainstream neoclassical theory and concepts, is able to deal fairly well with the issues of imperfect competition, imperfect information, and monopolistic brand rent, which are apparent in today’s platformized mobility services. Drawing evidence from textual data, empirical analysis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discursive and symbolic dimensions of BaeMin’s socio-spatial biography. It is found that national origination underpinning ethnicity comprises an important pillar of BaeMin’s brand and branding. Another form of place-based origination is also observed to matter, especially in the varied relation between the mobility service brand’s owner and consumers. However, this configuration of BaeMin’s brand origination has yet to be fully stabilized, as it has faced with serious challenges including brand vandalism and anti-brand movement especially since its merger to German food delivery platform giant Delivery Hero in 2020. This origination crisis moment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a series of contractions intrinsic to so-called ‘platform capitalism’. 본 연구는 브랜드와 브랜딩에 초점을 맞춰 국내 최대 음식배달 서비스 플랫폼 배달의민족(배민)의 성장과시장지배 과정을 ‘오리지네이션’ 관점에서 분석한다. 배민은 플랫폼화된 모빌리티 서비스의 한 가지 사례로, ‘오리지네이션’은 그러한 서비스 브랜드에 적합한 개념적, 이론적 탐구 프레임으로 간주된다. 여러 가지 한계를표출한 신고전적 접근과는 달리, 오리지네이션은 오늘날의 플랫폼화된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나타나는 불완전경쟁, 불완전정보, 독과점적 ‘브랜드 지대’의 현안을 다루는 대안적 프레임으로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배민 브랜드의 오리지네이션 분석은 다양한 텍스트 자료에 근거해 이루어졌고, 분석에서는 배민의 사회·공간적 일대기에결부된 담론적, 상징적 측면에 특히 주목했다. 이를 통해, ‘민족성’에 기초한 국가적 오리지네이션이 배민 브랜드와 브랜딩의 중요한 축임을 확인했다. 다른 한편으로, 브랜드 소유주로서 배민이 촉진하고 소비자가 동참하는 장소기반의 오리지네이션 형태도 파악했다. 그러나 이러한 지리적 결합과 오리지네이션은 온전하게 정착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초국적기업에 합병되고 금융화 과정에 노출되면서, 기존의 오리지네이션은 심각한 도전적 상황에 놓이게 되었고 브랜드 반달리즘(vandalism)이나 반브랜드 운동에 대한 취약성도 높아졌다. 이러한오리지네이션의 위기적 상황은 오늘날 ‘플랫폼 자본주의’가 조성한 모순과 연관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중론송』의 팔불연기는 연속적인가, 불연속적인가

        조종복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y there are double-sided perspective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and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chapter 26th vādaśāṅgaparīkṣānāmaṣaḍvimśatitamam prakaraṇam of his book Mūlamadhyamakakārikā, Nāgārjuna described anuloma and paṭiloma of the traditional pratītyasamutpāda theory,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a simple manner without expressing any of his personal interpretations. Unlike in the previous 25 chapters where the eight negations were explained, Nāgārjuna never used the word emptiness or śūnyatā-artha in the 26th chapter. The traditional pratītyasamutpāda theory of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its appearance, contradicts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Scholars have always had vastly different views on how Nāgārjuna interpreted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Mūlamadhyamakakārikā. Why? It is because mādhyamika basically denies the intrinsic nature(svabhāva) of dharma, and Nāgārjuna did not add any of his own interpretations of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chapter 26th. This study wants to prove that the reason why there are multiple perspectives around the relations between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and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is because of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intrinsic nature(svabhāva). Nāgārjuna’s eight negations denies the intrinsic nature as a substance whil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support the intrinsic nature as being absent with substance. 연기설은 불교 사상사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그중 팔불연기는 용수의 대표적인 저술인 『중론송』(Mūlamadhyamakakārikā)의 귀경게에서 不生ㆍ不滅, 不常ㆍ不斷, 不一ㆍ不異, 不來ㆍ不去의 팔불로써 연기를 수식하여 설명한데서 팔불연기로 불리게 된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팔불연기가 십이연기와의 관계에서 연속ㆍ불연속의 이중적 시각으로 관찰되는 이유를 살피는 것이다. 용수는 『중론송』 제25장까지는 계속하여 결과는 조건이 만드는 것도 아니고, 조건 아닌 것이 만드는 것도 아니라고 하는 부정어법으로 팔불연기를 말한다. 이는 용수가 인과의 공성을 주장한 것으로, 십이연기에서 각 지분이 조건과 결과가 되는 동시에 결과와 조건이 되는 관계를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중론송』 제26장 「십이연기의 고찰」에 가면 자신의 견해를 전혀 첨부하지 않은 채 기존의 십이연기를 그대로 기술한다. 용수가 무자성의 팔불연기를 설하는 『중론송』에서 초기불교에서 등장하는 십이연기를 별도의 장으로 주석 없이 그대로 첨부 한 것에 대해 학자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린다. 본고에서는 십이연기와 팔불연기의 관계에서 여러 가지 시각으로 관찰되는 이유가 自性(svabhāva)에 대한 개념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자성은 팔불연기에서 실체로서는 부정되지만, 십이연기에서 실체적 함의가 없는 자성은 施設(prajñapti)로서 긍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