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어 텍스트에서의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양상

        이은경(Yi, Eun-gyeong)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4 No.-

        본고는 구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양상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선행 체언과 관련된 양상을 검토하였는데, 선행 체언이 명사인 경우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비율이 높았으며, ‘의존명사 > 일반명사 > 고유명사’의 순으로 비실현 비율이 나타났다. 3장에서는 후행 서술어와 관련된 양상을 검토하였다. ‘보다, 먹다, 가다’ 등이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비율이 높은 서술어로 분석되었고, 선행 명사구와 후행 서술어 사이의 개재 어절의 수가 0~2일 때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비율이 높았다. 4장에서는 후행 어미와 관련된 양상을 검토하였는데,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비율은 ‘연결어미 > 전성어미 > 종결어미’의 순으로 나타났다. 5장에서는 담화의 특성과 관련하여 목적격 조사의 비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aspects of the non-occurrence of objective case marker in Korean spoken texts.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non-occurrence of objective case marker and sentence elements.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non-occurrence of objective case marker and types of preceding noun phrase. When preceding words is a noun, the frequency of non-occurrence of objective case marker is high.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non-occurrence of objective case marker and characteristics of following predicates. When the number of words between preceding noun phrase and following predicate is 0~2, the frequency of non-occurrence of objective case marker is high. In chapter 4,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non-occurrence of objective case marker and types of following ending. When following endings is a connective ending, the frequency of non-occurrence of objective case marker is high. In chapter 5,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non-occurrence of objective case marker and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

      • KCI등재

        한국어 구어 교육을 위한 조사 ‘이/가’의 실현 및 비실현에 관한 연구

        오선영 한국어의미학회 2018 한국어 의미학 Vol.61 N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new method of marker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spoken languages by analyzing the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of the markers i/ka in learner error corpus and spoken language corpus. Maintaining the position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requires spoken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spects that are realized in spoken language education and their related problems.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a clear differentiation is required in phenomena where markers do not appear, and that education on markers must be conducted on these grounds. The phenomena in which markers fail to appear include ‘those that do not need markers(ellipsis),’ ‘markers that have been left out(omission),’ and ‘those that have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whether markers are inserted or deleted(occurrence and non-occurrence). This research first reviews what errors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make regarding i/ka through methods of learner error corpus, and identifies complementary measures to aid learners studying markers in the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Korean spoken language corpus and identifies how native speakers of the Korean language use i/ka. It identifies situations where the markers are used in normal everyday life, the form of use and the meanings they portray. This research focuses primarily on: the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of the markers i/ka and identifies if this has significant meaning; the methods on how to provide spoken language education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i/ka; and proposing a direction for marker education that reflects the nature of the Korean spoken language.

      • KCI등재

        한국어의 격조사와 초점 -주격과 대격을 중심으로-

        김민국 ( Kim Min-gook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연구에서는 ‘초점’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의 의미ㆍ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그 실현과 비실현 양상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가’와 ‘을/를’은 격을 표시하는 동시에 ‘주제-초점’ 구조에서의 신정보인 가로초점을 표시한다. ‘이/가’와 ‘을/를’은 세로초점의 실현과도 관계가 있다. 하지만 ‘이/가’와 ‘을/를’에 의한 세로초점은 발화 맥락에 따라 수의적이고 가로초점에 늘 겹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초점의 본질은 결국 가로초점이다.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가로초점에 세로초점이 겹쳐 나타나면 다양한 의미가 나타난다. 이러한 의미는 ‘이/가’와 ‘을/를’에 관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들 조사의 의미로 볼 수는 없다. ‘이/가’와 ‘을/를’이 세로초점만을 표시하는 경우는 이른바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에서 나타난다.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이 나타내는 ‘강조’의 의미는 세로초점의 핵심인 대안집합과의 대조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가’와 ‘을/를’은 그 실현을 통해 초점을 표시해 주지만 초점의 유무에 따른 필수적 실현 여부에는 차이가 있다. ‘이/가’는 주어에 초점이 놓이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하지만 ‘을/를’은 목적어에 초점이 놓이더라도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 주어의 문법화 정도가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격과 대격의 비대칭적 실현 양상은 주격과 대격의 비실현형이 서로 다른 문법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을 말해 준다. 주격의 비실현은 주격과 대립 관계를 이루므로 Ø 표지의 실현으로 해석되지만 대격의 비실현은 단순한 격표지의 비실현으로 볼 수 있다. 주격의 대립형으로서의 Ø 표지는 ‘이/가’의 이형태보다는 ‘이/가’, ‘께서’와 구별되는 또 하나의 주격 표지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러나 주격 표지로서의 Ø는 그 기능이 ‘이/가’와의 대립을 통해서 소극적으로만 드러나기 때문에 주격 조사로서의 지위는 불완전한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aim to find semantic or pragmatic function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in Korean focusing at focus and to argue the issues concerning their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i/ka and ul/lul mark case and syntagmatic focus. It seems that i/ka and ul/lul have relevance to paradigmatic focus which is so-called contrastive focus. However paradi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marker is optional and always involves syntagmatic focus. Thus the essential function of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is syntagmatic focus. There are several meanings when synta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pluses paradigmatic focus. But these meanings are not conventional meaning of i/ka and ul/lul and 'emphatic' function of i/ka and ul/lul comes form contrast in alternative set. Thus i/ka and ul/lul have in common in that focus marking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at their obligation. i/ka must occur in focus subject but ul/lul does not have to occur in focus object. This aspect seems to result from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subject. Asymmetric occurrence of i/ka and ul/lul shows that non-occurrence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has difference grammatical status. Non-occurrence of nominative can be interpreted zero marker but non-occurrence of accusative is simply non-occurrence of case mark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