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박완서와 장졔 소설의 서술 상황 비교 연구

        방문정(Pang, Wenting),홍혜원(Hong, Hye-weon)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7 충청문화연구 Vol.19 No.-

        본 논문은 한국을 대표하는 여성 작가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인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와 중국을 대표하는 여성 작가 장졔의 무자를 대상으로 서술 상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작가의 작품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정신적 억압과 상처를 치유해나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그 구체적 구현 방법에 있어 시점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박완서의 소설은 1인칭 서술 상황을 설정하여, 작가가 전쟁과 어머니로부터 받은 상처를 극복해가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경험자아와 서술자아 간의 거리에 의한 비판과 평가의 시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사건에 대한 ‘나’의 내면을 적절히 보여주고 있다. 평생 작가를 억눌렀던 전쟁의 고통과 타자의 욕망에서 해방되는 과정은 결국 자신의 욕망을 직시하고 자유롭게 살아가는 진정한 주체로 거듭나게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1인칭 서술 상황을 기반으로 수행된 내면 묘사와 독백의 서사는 증언과 해방의 차원에서 상당히 유효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장졔의 경우는 사랑의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을 작가적 서술 상황과 인물적 서술 상황의 혼재라는 방식으로 형상화해 냈다. 이때 사랑의 상처는 남성과의 연애와 결혼이 모두 실패하면서 겪게 된 상처이기도 하지만, 또 어머니의 죽음으로 인한 상실의 상처이기도 하다. 더불어 장졔는 .무자.에서 여러 서술 상황을 경우에 따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인물의 행동과 내면을 절실히 드러낼 수 있었다. 이는 장졔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전기(前期) 소설에 비해 확장되었음을 보여주며 포용력 있는 태도를 지니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작가의 작품 모두 여성의 삶을 형상화하는 데 가장 적절한 서술 상황을 선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compares the narrative situation of Korean female writer Park Wan - seo"s novel "Who Ate the Sorrels Having Been So Many?", "Was There The Mountain Really" and Chinese women writer Zhang-Jie"s novel "No words". I can confirm the common process of healing mental oppression and wound in two writers" works. However, the two works were a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point of view in the concrete description method. Park Wan-seo"s novel set up a first-person narrative situation, showing the artist" s process of overcoming wounds from wars and mothers. In particular, the distance between the experiential self and the narrative self actively utilizes the criticism and the viewpoint of evaluation. Thus, it shows appropriately the inside of "I" of various events. The process of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 of the war and the desire of the other, which has suppressed the artist for a lifetime, eventually transforms his desire into a true subject who can face his desires and live freely. In this sense, the narrative of inner depiction and monologue performed on the basis of first person narrative situation is quite effective in terms of testimony and liberation. In the case of Zhang-Jie, the process of healing the wounds of love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mixture of the artist "s narrative situation and the character narrative situation. At this time, the wound of love is a wound that suffered when both love and marriage with a man failed. It is also the wound of loss caused by mother"s death. In addition, Zhang-Jie was able to appropriately reveal the behavior and inner aspects of various characters by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narrative situations in the case of "No words". This shows that the viewpoint of Zhang-Jie is extended to the object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novel. And to have a tolerant attitude. Despite these differences, we can confirm that both writers" works have chosen the most appropriate narrative situation to shape the life of women.

      • KCI등재

        호남 방언과 서사 문체 -사회언어학적 시론

        장일구 ( Chang,Il-koo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8 No.-

        The narrative dialect is not an element of actuality or locality but an essential element relative to the realization of the theme and narration. Especially the speaker’s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politico-economic conditions may influence on the aspects of narrative dialect. In the cases of Jo, Jeongrae’s TaebaeksanmaeK(Taebaek Mountains) or Choi, Myeonghee's Honbul (Soul Light), Honam dialects are adopted as the key features of narrative strategies not as a simple device of actuality. The dialect expressions are related to the creations of character shapes and compose the thematic ideologies. Besides they constitute dynamic narrative-situations and make cultural discourses. Authors may use common language or standard language to compose a fictional narrative. But they have to choose dialect discourses in various situations. Diverse aspects of narrative dialects are the results of the implied-author’s language attitudes to dialect in some pragmatic conditions. Implied-author can control the dynamics in character featuring and narrative-situations. Style effects are produced in this narrative creative process. Han, Seungwon's Heuksando Haneul Gil (The Road-to-Heaven in Heuksan Islands) is an outstanding instance. Dialect representations could not be presented in the fictional context of conversation of the native dialect speakers. Actual author may not represent the actual conversation situation hut make up the fictional discourse condition. Some Lee, Cheongjun’s novels are the examples. Using the common language as narrative discourse, the author can help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narrative. The narrative style, as it were, affects the dynamic reading mechanism. The phases of narrative dialects can be precisely interpreted in diversified reasoning of the stylistic affections of them. Socio-cultural and politico-economic conditions or pragmatic situations of speaker have to be analyzed for a dose inquiry into the dynamic essence of the narrative style.

      • KCI등재후보

        자전소설의 1인칭 서술상황에 대한 재고 -김연수 「뉴욕제과점」과 권여선 「K가의 사람들」을 중심으로-

        김민선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3 교양교육과 시민 Vol.7 No.-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ider the first-person narrative situation of autobiographical novels that have different effects from the existing point of view theory. The first-person narrative situ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person protagonist narrative and the first-person observer narrative. In the existing point of view theory, the first-person protagonist narrative is clos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reader in that the reader can closely grasp the narrator’s inner self and the first-person observer narrative is far from the narrator in that the main character can vary depending on the observer’s description. However, autobiographical novels have a different effect from ‘general novel’. because they are created based on the writer’s experience and are meaningful in revealing the subject. In the case of the first-person protagonist narrative, the possibility of concealment due to the self-defense mechanism is implied in that it reveals its experience through the narrator, the alter ego of the author. In the case of the first-person observer narrative, the narrator return to the subject through others in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Therefore, the narrative situation of the first-person protagonist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 is more distant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reader than that of ‘general novel’, and the narrative situation of the first-person observer of the autobiographical novel is close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reader than that of ‘general novel’. 이 글은 기존의 시점론과 상이한 효과를 거두는 자전소설의 1인칭 서술상황을 재고하고자 한다. 1인칭 서술상황은 1인칭 주인공 서술상황과 1인칭 관찰자 서술상황으로나눌 수 있다. 기존의 시점론에서 1인칭 주인공 서술상황은 작중독자가 서술자의 내면을 면밀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술자와 독자의 거리감이 가깝고, 1인칭 관찰자서술상황은 주인공이 관찰자의 서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서술자와 독자의거리감이 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전소설은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되며 주체를 드러내는 데에 의미가 있기 때문에 ‘자전소설이 아닌 소설’과는 다른 효과를 거둔다. 1인칭 주인공 서술상황의 경우는 작중작가의 분신인 서술자를 통해 자신의 경험을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자기방어기제⋅자기보호기제로 인한 ‘은폐’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1인칭 관찰자 서술상황의 경우 서술자는 경험주체의 경험 속 타인을 경유하여주체로 회귀한다. 때문에 자전소설의 1인칭 주인공 서술상황은 ‘자전소설이 아닌 소설’ 에 비하여 서술자와 독자의 거리감이 멀어지고, 자전소설의 1인칭 관찰자 서술상황은‘자전소설이 아닌 소설’에 비하여 서술자와 독자의 거리감이 가까워진다

      • KCI등재후보

        독자의 내러티브 이해를 반영한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

        권호창(Hochang Kwon),권혁태(Hyuk Tae Kwon),윤완철(Wan Chul Yoo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9 No.2

        작가의 내러티브 창작을 지원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은 일반적으로 작가가 생산하고 필요로 하는 정보의 관리와 상업적 성공을 거둔 내러티브 텍스트에 대한 분석에 주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내러티브 창작 과정에서의 독자의 적극적 역할이 간과된다. 작가는 독자의 반응이나 기대를 예상하여, 이를 충족시키거나 배반하면서 내러티브를 구성한다. 사건 전개에 따른 독자의 이해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작가의 활동은 내러티브 전체의 미학적 완성도와 연관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의 내러티브 구조 모델과 인지과학의 ‘사건 색인 상황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독자의 이해와 관련된 내러티브의 다차원적 특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는 창작 지원 시스템 설계를 제안한다. 먼저 사건을 기본 단위로 하여 그 속성을 설정하고 내러티브의 두 시간축에 유기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실제 영화의 내러티브에 적용하여 전체 구조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독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 모델 차원들의 연속성을 시각화하는 방안과 정보처리 요구량으로써 인지적 복잡도를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사례 영화에 대해 시각화한 결과를 내러티브의 특성과 작가 지원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A variety of writing support systems focus 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or the feature analysis of the commercially successful narrative texts. In these approaches, the reader’s role in the narrative creating process is overlooked. During a writing work, an author anticipates the reader’s response or expectation to the narrative and he/she organizes the narrative either along or against the prediction about readers. Assessing and controlling the reader’s comprehension in the development of events influences the aesthetic quality of the narrative. In this paper, we suggest a writing support system to visualize and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a narrative text related to the reader’s comprehension, which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model and the event-indexing situation model. Under the development of the support system, we designed an interactive framework to create events as the basic units of story and arrange them onto both story- and discourse-time axes. Using this framework, we analyzed the organization of events about an actual film narrative. We also proposed both the continuity of the situational dimensions and the cognitive complexity as the characteristics to affect the reader’s comprehension, hence we devised a method to visualize and evaluate them. This method was applied to the actual film narrative and the result was discussed in the aspect of the features of the narrative and wiring support strategies.

      • KCI등재

        단편소설 서사기법으로서의 3S 플롯

        박덕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3

        This paper proposes the 3S plot as a valid methodology for short-story narrative techniques. The 3S plot is an application of three elements represented by English words starting with s, namely situation, space, and stage, which are combined in a short story. To explain the principle, I analyzed Hwang Soon-won’s “Hak Crane” and Oh Henry’s “20 Years Later,” followed by novels that represent each regiment, such as Lucky Day (Hyun Jin-gun, 1924), When Buckwheat Flowers Bloom (Lee Hyo-seok, 1936), Two Generations Who Suffered (Ha Geun-chan, 1959), Mujin Travel (Kim Seung-ok, 1964), Way to Sampo (Hwang Seok-young, 1973), and Father’s Land (Im Chul-woo, 1981). In the 3S plot, situation refers to an intensive present time with past ev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narrative in which short stories are aggregated. Space is built by adding specificity and a sense of reality as a site where events take place. Stage refers to the dramatic scene in which the case is resolved—especially at the end—and its effect. Short stories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 3S plots that provide specificity and reality, while the character is highlighted based on situations that strengthen concentration by aggregating past events in the current situation. In such a 3S plot, it is not reasonable to only state past events without considering the time condition of the present or to present situations in which the intervention of past events is weak. In addition, the 3S plot is explained more flexibly when the space reveals aspects such as space movement or distribution of places and when the stage effect seems to be insignificant due to an open ending that does not show a clear solution to the case. 이 논문은 단편소설 서사기법의 유효한 방법론을 3S플롯을 제안한다.3S플롯은s로 시작하는 영어 단어 곧situation(상황),space(공간),stage(무대) 등을 응용한 것으로 이 세 요소가 한 편의 단편소설에서 적절하게 결합한 것을 뜻한다.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황순원의 「학crane」과 오 헨리의 「20년 뒤TheTwentyYears」를 필두로 각 연대를 대표할 만한 소설인 「운수 좋은 날」(현진건,1924),「메밀꽃 필 무렵」(이효석,1936),「수난 이대TwoGenerationsWhoSuffered」(하근찬,1959),「무진 기행」(김승옥,1964),「삼포 가는 길」(황석영,1973),「아버지의 땅」(임철우,1981)을 예로 들었다. 3S플롯에서situation은 단편소설의 응집된 서사가 특히 과거 사건을 품은 현재적시간으로서의 집약적 상황이 된 상태를 의미한다.space는 사건이 벌어지는 현장으로서의 구체성과 실재감을 부가하면서 구축된다.stage는 특히 종결 부분에서 사건이해결되는 극적 장면과 그 효과를 가리킨다.즉 단편소설은 과거사건을 짧게 전개되는현재 상황에 응집해 집중력을 강화한situation을 기초로 사건이 전개되면서 인물이부각되는 동안 구체성과 실재감을 주는space를 제공하고 거기에stage로 극적 효과를 얻는 3S플롯으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3S플롯에서 현재라는 시간 조건을 기반하지 않은 채 과거 사건만 주로 진술하는 식이거나,아니면 과거사건의 개입이 미약한 현재적 정황만을 펼치는situation은 합당하지 않다.또한 공간이동이나 장소 분산 등의 면모를 드러내는space인 경우,사건의 분명한 해결을 보이지 않는 열린 결말로stage효과가 미미하게 느껴지는 경우 등에 대해서는 보다 탄력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설명했다.

      • KCI등재

        서사 시점의 역학과 공간 형식

        장일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7 No.-

        The perspective or point of view is an index of relativity. A phenomenon could be recognized and represented as various shapes or figures from perspectives. Perspective is the dynamic mechanism of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and the narrative perspective is as well. Narrative perspective is the clue device of narrative dynamics that creates various narrative effects and communicative discourses. From implied author to reader the narrative agents perform dynamic roles and constitute the narrative worlds with relativity. The hermeneutic gap would be created in the constitutional process and communication of fictional narrative. So called spatial form of narrative would be constituted in the end. Narrative perspective is the key device of the dynamics in fictional spaces. This perspective dynamics is the standpoint of positive understanding of various recent Korean novels. In this essay I interpret the dynamic spatial mechanisms of perspective in Kim, Jong-gwang’s Nakseo-munhanksa(i.e. Graffiti-literary history) as a clue sample text.

      • KCI등재

        소설과 영화의 플롯 짜기 양상 고찰: 「영자의 전성시대」와 그 영화화를 중심으로

        오영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9 No.-

        This study focused on novels and movies, both of which have a literary trait, being based on literary imagination, and a narrative trait, both being composed of a series of even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pects of plotting in accordance with the narrator and the audience by focusing on Sun-jak Cho’s Yeongjaui jeonseongsidae, first published in the literary magazine Saedae in 1973, and the eponymous movie, directed by Ho-sun Kim and released in 1975. The novel Yeongjaui jeonseongsidae, which is portrayed through the protagonist’s point of view and the movie Yeongjaui jeonseongsidae, which follows the camera’s sight, display characters in different situations depending on the narrator. People are the main agents in the novel, which develops through the protagonist’s point of view and expresses the characters’ emotion and thoughts. In the movie,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ve is centered on the visualization of external situations through action, which is captured through a machine, the camera. As such, the same scenes are displayed through two different narratives in the novel and movie, Yeongjaui jeonseongsidae, depending on the narrative point of view and the plotting. Each of the novel and movie Yeongjaui jeonseongsidae, shows distinctive narrative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role of the audience. In the case of the novel, a narrative strategy of providing points for interpretation enabled the audience to decipher the meanings themselves. This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strategic plotting of Changsu and Yeongja’s narrative and the placing of points for signification. The movie presents a tragic love story and appeals to the audience’s sympathy while delivering a sketch of the occupations of the era. Such narrative strategies of the novel and movie lead to the plotting of two respective and different endings of the two narratives. 본고는 문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는 문학적 특성과 사건의 구성이란 서사적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소설과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그 가운데 1973년 ≪세대≫ 120호에 발표된 조선작의 「영자의 전성시대」와 1975년에 개봉된 김호선 감독의 <영자의 전성시대>를 텍스트로 삼아 시선 주체와 수용자 역할에 따라 나타나는 플롯 짜기의 양상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작중인물의 시선을 통해 구현되는 「영자의 전성시대」와 카메라의 시선으로 제시되는 <영자의 전성시대>는 시선 주체에 따라 상이한 인물적 상황이 나타난다. 인물의 눈을 통해 제시되는 「영자의 전성시대」는 인간이 시선의 주체로 나타나며 인물의 정서와 심리가 드러난다. 반면, <영자의 전성시대>는 카메라라는 기계의 시선에 의해 행위를 통한 외부적 상황의 장면화가 서사의 중심을 이룬다. 이와 같이 시선 주체의 작용에 의한 플롯 짜기에 의해 「영자의 전성시대」와 <영자의 전성시대>는 같은 삽화가 각기 다른 서사적 구성으로 나타난다. 또한, 「영자의 전성시대」와 <영자의 전성시대>는 수용자 역할에 따라 각각 다른 서사 전략이 나타난다. 「영자의 전성시대」의 경우, 의미에 대한 해석 지점을 통해 수용자로 하여금 능동적 해석을 통해 의미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사 전략을 지닌다. 그것이 가능한 것은 소설이 창수와 영자의 서사를 전략적으로 배치하는 플롯 짜기를 통해 수용자로 하여금 이에 대한 의미화 지점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영자의 전성시대>는 동정심에 근거한 수용자의 공감대를 서사의 전략으로 내세운다. 영화는 비련의 애정담을 통해 동정심에 호소하는 가운데 당대 직업군을 삽화로 제시하며 수용자의 공감대를 얻고자 한다. 이러한 소설과 영화의 서사 전략은 같은 삽화를 지닌 두 서사물이 각기 다른 결말로 이르는 플롯 짜기로 나타난다.

      • KCI등재

        3인칭대명사 ‘그’에 관한 소고

        박재희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This paper examined the origin of ‘ku’ as a 3rd person pronoun in the comtemporary Korean. In the previous studies,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hen writ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Dong-In Kim started with using ‘ku’ as a 3rd perosn pronoun in their writings. Unlike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paper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ronouns which are included in closed-classes and close to a grammatical category rather than lexical categor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sisted that the reason that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as not because the efforts of certain writers but because commonly used by normal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particular, ‘ku’ was selected a 3rd person pronoun in three demonstrative pronouns ‘i, ku, tye( ‘je’ in the modern Korean). The proposal of this paper is based on two reasons. First reason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nouns and second reason is the change of narrative methods in the early 20 century from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speaker-hearer oriented situation) to the context- focused situation. In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the demonstratives ‘i, ku, tye (je in the comtemporary Korean)’ or ‘a unified forms with demonstratives and nouns’ are commonly used as pronouns but in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these forms cannot be used pronouns. The narrative style in Korean was dramatically chan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instance, the ending maker ‘-r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were less us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Instead, the ending marker ‘-d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were more used from the same times. The change of writing style caused people to find a new 3rd person pronominal word. Thus, among ‘i, ku, tye(je)’, this paper proposed that Korean people selected ‘ku’ as a new 3rd person pronoun because it contained a neutral meaning. 본고에서는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이는 ‘그’의 기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20세기 초에 김동인을 비롯한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그’를 3인칭대명사로 쓰게 되면서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설명하여 왔다. 그러나 인칭대명사가 문법 범주에 가깝다는 점과 폐쇄류(closed-class)에 속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된 것이 일개인의 노력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20세기 초 언중들의 필요와 동의에 따라 선택되어진 결과로 보았다. 본고에서는 지시대명사 ‘이, 그, 뎌(현대 국어 ‘저’)’ 중에서 ‘그’가 20세기 들어 인칭대명사로 선택된 까닭을 (i)한국어에서 대명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어휘들의 특성과 (ii)개화기에 나타난 서사체 서술 방식의 변화를 들어 설명하였다. 즉 한국어에서 대명사는 화맥적 상황(화자와 청자가 전제된 상황)과 문맥적 상황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국문 서사체 서술 방식이 화자와 청자를 전제로 한 ‘-라’ 종결어미 문장에서 사건 서술 중심이 ‘-다’ 종결어미 문장으로 변환되었고, 이에 따라 화자와 청자가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3인칭 대상을 지칭할 수 있는 대명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15세기 이래로 화자와 청자를 중심으로 한 서사체 서술 방식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여 왔던 ‘이, 그, 저’ 중에서 가장 중립적인 성격을 지닌 ‘그’가 선택되어 언중들의 동의를 얻어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3인칭대명사 그에 관한 소고

        박재희 ( Jae Hee Bak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This paper examined the origin of ‘ku’ as a 3rd person pronoun in the comtemporary Korean. In the previous studies,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hen writ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Dong-In Kim started with using ‘ku’ as a 3rd perosn pronoun in their writings. Unlike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paper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ronouns which are included in closed-classes and close to a grammatical category rather than lexical categor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sisted that the reason that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as not because the efforts of certain writers but because commonly used by normal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particular, ‘ku’ was selected a 3rd person pronoun in three demonstrative pronouns ‘i, ku, tye( ‘je’ in the modern Korean). The proposal of this paper is based on two reasons. First reason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nouns and second reason is the change of narrative methods in the early 20 century from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speaker-hearer oriented situation) to the context- focused situation. In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the demonstratives ‘i, ku, tye (je in the comtemporary Korean)’ or ‘a unified forms with demonstratives and nouns’ are commonly used as pronouns but in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these forms cannot be used pronouns. The narrative style in Korean was dramatically chan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instance, the ending maker ‘-r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were less us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Instead, the ending marker ‘-d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were more used from the same times. The change of writing style caused people to find a new 3rd person pronominal word. Thus, among ‘i, ku, tye(je)’, this paper proposed that Korean people selected ‘ku’ as a new 3rd person pronoun because it contained a neutral meaning.

      • KCI등재

        동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스토리텔링 비교 연구 -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이종호 ( Lee Jongho ),김남일 ( Kim Namil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2 No.-

        이 논문은 원작 동화 <강아지똥>과 각색 애니메이션 <강아지똥>을 스토리 층위에서 사건-의미의 계열화 양상과 서술 층위에서 시점-초점화 양상과 작가-감독의 관념적 태도의 상관성 등으로 나누어 두 텍스트 간의 스토리텔링의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건-의미의 계열화 과정에서는 원작 동화와 각색 애니메이션이 동일하게 ‘만남-헤어짐’의 반복 원리와 ‘강아지똥’의 ‘민들레꽃-되기’의 원리를 통해 자기-극복, 또는 자기 변용의 과정을 서사화하고 있다. 각색 애니메이션 영화의 결말 부분은 원작 동화의 그것보다는 아이-어른 모두에게 모든 것이 귀하며 높고도 무한한 꿈을 꾸라는 메시지의 전달력을 높이려는 스토리텔링의 전략에 따라 ‘민들레-씨들’이 드넓고 높은 하늘을 날아가는 사건-의미를 롱 테이크의 부감 쇼트로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있다. 한편, 서술 층위에서는 내포작가-서술자가 주로 ‘강아지똥’의 행위와 내면, 그가 경험하는 ‘만남-헤어짐’의 반복적인 사건-의미를 계열화하여 제시하는 3인칭 선택적 전지 서술상황의 ‘반성자-인물’의 서술방식을 따르고 있다. 또한 전지적 태도의 작가-서술자가 주로 ‘관심-초점(interest-focus)’의 ‘강아지똥’을 초점화하여 그의 외양과 발화, 내면 등을 서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물이 초점화한 것을 3인칭의 서술자가 대신해 서술해 주는 방식을 따르고 있는데, 이는 내적 초점화에서 이종서술로 이행하는 방식으로써 실제로는 1인칭 서술과 다름없는 표면적인 3인칭 서술에 해당한다. 각색 애니메이션 영화 역시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특성에 부합하는 조형적 예술미와 카메라-서술자의 다양한 앵글 사이즈와 각도, 특히 움직임이 없는 ‘강아지똥’과 ‘흙덩이’, ‘민들레’를 고려한 속도감 있는 커트 편집 등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통해 원작 동화와 차이-화를 이루면서 ‘강아지똥’의 ‘민들레-되기’, ‘민들레 꽃-되기’, ‘민들레 씨-되기’의 자기-극복 혹은 절대적 탈영토화의 선을 그려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original fairy tale Dog Poop and the adapted animation film Dog Poop by dividing them into story level and narrative level. First, at the story level, the animated film adaptation maintains the same story as the original fairy tale. In the process of self-overcoming escape is epic through the repetition principle of 'meeting-parting' and the principle of 'becoming a dandelion flower' of 'dog poop'. The ending part of the adapted animated film is a long-take, long-taken perspective shot, which stimulates the audience's imagination by showing the meaning of 'dandelion-seeds' flying in the wide and high sky. This is different from the ending of the original fairy tale. On the other hand, at the narrative level, the original fairy tale is described in the narrative style of the ‘reflector-character’ in the third person selective omniscience narrative situation. In addition, the omniscient writer-narrator mainly focuses on 'dog poop' of 'interest-focus' to describe his appearance, speech, and interior. In this process, the narrator in the third person narrates what the character focuses on. This narrative style is actually a superficial third-person narrative that is no different from the first-person narrative. In an animated film adaptation, the out-of-frame camera-narrator utilizes storytelling strategies such as various angle sizes and angles, and fast-paced cut editing. This strategy draws the line of self-overcoming or absolute deterritorialization of ‘becoming a dandelion’, ‘flowering-dandelion’, and ‘becoming a dandelion seed’ of ‘dog poop’. This is the result of embodying the ideal attitude of the writer-dir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