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의 새로운 가능성

        서계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Music video has it's root at the avant-garde film which experimented new visual language in the past, and today music video has become a field of experimenting new media language. Most of new media languages are made by evolving from traditional narration and they are the very languages of music video. Some critics remarked that "Music video comes to have the richest contents when it does not try to imitate movie clumsily, and when it does not attempt to record the features of singers." What they meant is that the most ideal one is conceptual music video expressing theme in visual-auditory way. By its nature animated music video is the most suitable media to match with conceptual music video. Historically ‘Skeleton Dancing’ and ‘Fantasia’ produced by Walt Disney, as well as ‘Yellow Submarine’ made by the Beatles were regarded as trailer of music video. Contemporaries at end of 20th century could meet through MTV the animation music video of post-modern style which covered nearly all animation techniques available. Of such music videos, the good ones deliver theme audio-visually and intuitively. In the 21st century, 3D animation music video which adopts 3D special effects will become a further conceptualized music video, expressing new sense of space. If animation exposes its own characteristic as new media language, breaking away from narrow-minded prejudice that it is just a cartoon film, and unless it forgets that its origin is synesthesia art in which visual and auditory senses are mixed in harmony, then such animation will be able to play the role of producing high-level music video. 뮤직비디오는 과거에 새로운 시각언어를 실험했던 아방가르드 영상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오늘날 뉴미디어의 언어를 실험하는 장이 된다. 전통적인 서사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는 뉴미디어의 언어는 바로 뮤직비디오의 언어이기도하다. 비평가들은 "뮤직 비디오가 졸렬하게 영화의 흉내를 내지 않고, 가수의 모습을 기록하려고 들지 않을 때, 애니메이션의 전통에 설 때 그 내용이 가장 풍부하다."고 말한다. 주제를 시청각적으로 표현하는 컨셉츄얼한 뮤직비디오가 될 때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이다.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는 자체 성격상 컨셉츄얼한 뮤직비디오에 가장 적절한 매체이다. 역사적으로 월트 디즈니의 해골의 춤, 환타지아, 그리고 비틀즈의 옐로우 썸머린을 뮤직비디오의 예고편으로 볼 수 있다. 20세기 말, MTV를 통해서 다양한 애니메이션기법이 총망라된 포스트모던 스타일의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들은 서사에서 벗어나 직관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앞으로 21세기에는 3D특수효과가 사용된 3D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가 가상공간에 음악적 상상력을 펼칠 것이다. 애니메이션이 만화영화라는 편협한 편견에서 벗어나서 뉴미디어의 언어로서 자신의 특징을 드러낸다면, 그리고 뮤직비디오는 자신의 태생이 시각과 청각이 어우러지는 공감각예술임을 잊지 않는다면, 수준 높은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뮤직비디오를 이용한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김경숙,라혜민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Recently, the need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foreigners is being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learners of Korean and because students who are exposed to many kinds of media expect various method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o be used. Therefore, a diversity of Korean teaching methods have been studied and suggested to meet the greater number of students and their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new way to activate the i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a foreign language. This is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Korean music videos, given that Korean music videos have currently increased the influence of Korean abroad, especially for young people, through the mass media. Music videos promote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and interest needed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provide amusement for the younger video generation of learners. Also, the videos show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 practical Korean language that takes place in actual life and can improve the four functions of language, includ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s paper studies teaching methods of Korean and Culture as a foreign language by utilizing Korean music videos. It aim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at and how music videos could be useful and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advanced learners, who are willing to learn about Korean society and language. It does this by examining utilization effects and selection criteria of music videos, and suggesting way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using music videos. In this study, firstly, the necessity and objectives of the research on measures for language using music videos are shown. Secondly, the benefits of music videos are examined, questions about lessons utilizing music videos are raised,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collect and select music videos are examined. Finally,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contents to find effective teaching measure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sing music videos, the stages of teaching activity and lesson plans applicable to practical lessons are suggested. 최근 한국어 학습자들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한국어⋅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다매체 시대에 노출된 학습자들의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다양한 방법의 한국어⋅문화교육이 연구되고 제안되고 있다.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화 교육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중매체 중에서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뮤직비디오를 이용하여 한국어⋅문화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뮤직비디오는 젊은 영상 세대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과 심리적인 면에서 흥미를 증진시키고 즐거움을 주며, 실제 상황을 제시하여 목표어를 제공하고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뮤직비디오가 그 사회와 언어를 배우려는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학습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뮤직비디오의 활용 효과와 선정 기준을 살펴본 뒤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방안의 연구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다음으로 뮤직비디오의 활용 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살펴보고, 뮤직비디오 수집과 선정 시 그 기준과 유의점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뮤직비디오를 통한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 진행 활동과 수업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뮤직비디오의 음악적 공간과 영상적 공간의 관계 분석에 관한 제언

        이상윤(Sang-Yoon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1

        뮤직비디오는 영상보다 음악이 중심이 되기 때문에 영화와 같이 영상 중심의 유형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징과 다르게 접근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뮤직비디오의 음악과 영상의 결합에 의한 특별한 공간적 관계를 분석적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음악과 영상의 공간 이론들을 고찰해보고, 이러한 이론들을 뮤직비디오 작품의 분석에 응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를 다루었다. 첫째, 뮤직비디오의 영상에 나타나는 공간 흐름의 무작위적인 나열 현상이 음악의 박절과 같은 질서 있는 시간 구조에 의하여 영상의 공간적 시간화가 형성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둘째, 뮤직비디오에서 음악 및 영상의 공간이 서로 일치하는가의 여부는 노래와 가수 이미지 간의 립싱크 여부로 결정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뮤직비디오에서 발생하는 시간성에 관한 문제가 음악과 영상의 공간적 특징을 규정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일정한 스토리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뮤직비디오의 디제시스적 공간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뮤직비디오의 음악과 영상의 공간 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들을 통하여 뮤직비디오의 음악과 영상의 공간적 관계 분석은 시간성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뮤직비디오의 스토리 세계가 의미하는 특징도 공간적 분석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점이라는 것을 고찰하였다. The analysis of music video differs from film analysis because music is more important than moving image in music video in comparison with film. In this researc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represen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space and visual space are analysed in music video. Before the analysis of music video"s spatial characteristics, each theory of the musical space and moving image"s space is researched. And then these theories are applied to analys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usic and visual image are analysed in music video. Firstly, when the movement of visual spaces cannot have spatial and temporal continuity, the temporal characteristic of music such as musical rhythm may apply to the temporal editing about the arrangement of moving image"s spaces. The singer"s character in the moving image of the music video can give spatial consistency to the temporal discontinuity of visual spaces. Secondly, lip-sync or non-lip-sync between vocal character image in the moving image and the song"s vocal sound in music video determines coincidence or incoincidence between the musical space and the visual space in music video. This means that temporal matter of music video defines characteristics of musical and visual spaces. Thirdly, diegetic space of music video can be determined by the narrative world of music video, that can give effect to the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usic and moving image in music video. The analysis of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moving image in music video is closely related with the music video"s temporal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of narrative world of music video is considered for the analysis of music video"s spaces.

      • KCI등재

        음악산업의 매체전환과 뮤직비디오 제작 양상의 변화

        이종훈(Lee, Jong Hoo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1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1

        K-Pop의 괄목할 만한 성장에는 뮤직비디오가 크게 기여하였다. K-Pop을 비롯한 한류가 더욱 세계 속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뮤직비디오와 음악산업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004년을 분기점으로 음악산업에서는 음반에서 음원으로 이동하는 매체의 대전환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음악산업의 매체구조변화와 뮤직비디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1990년대에 이루어졌던 뮤직비디오에 대한 대규모의 투자가 2000년대 초반에 들어와 갑자기 줄어들었다. 그리고 스튜디오 세트 유형의 뮤직비디오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뮤직비디오 유형의 변화는 매체구조의 변화와 뮤직비디오 유형화의 관계 작용에 대한 분석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다. 매체 빅 크로스로 인하여 싱글 음원 발매의 확산, 종합음반사의 쇠락과 음원유통 사업자의 부상, 음악산업 수익모델의 다변화와 엔터테인먼트 기획사의 성장, 낮아진 시장진입 장벽 등의 환경변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졌고 뮤직비디오는 스튜디오 세트 제작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스튜디오 세트 유형은 경제적, 시간적으로 효율적이며 대자본의 투입 없이도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음원을 중심으로 하는 시장에서 요구하는 신속성과 경제성, 효율성 등에 부합한다. 향후의 뮤직비디오는 매체가 발달하고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더욱 다양성이 증가하고, K-Pop의 세계시장 진출이 확대되면서 점차 많은 자본이 들어가는 대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The music video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markable growth of K-Pop. In order for the Korean Wave including K-Pop to go further into the worl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videos and the music industry is needed. In 2004, the media in the music industry of Korea changed dramatically from record to sound source like mp3, online streaming.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the media structure of the music industry and music videos in Korea. The large-scale investment in music videos made in the 1990s suddenly declined in the early 2000s. And studio type music video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hange in the type of music video needs to be explained by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the media structure and the type of music video. Due to the media’s Big Cross, eChanges such as the spread of single music releases, the decline of general record companies and the rise of music distribution companies, the diversification of the music industry’s profit model, the growth of entertainment agencies, and the lower barriers to market entry were made rapidly. The studio type music video is economically and time-efficient and it can be produced stably without the input of large capital. So it is suitable for the speed, economy, and efficiency required by the market centering on music industry. In the future, as various media emerge, music videos become more diverse, and as they enter the global market, it can be expected that large-scale investments will gradually be made.

      • 현행 음악영상물 심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임효준 언론중재위원회 2017 미디어와 인격권 Vol.3 No.2

        This study is conducted as part of a project to change the current “media products–oriented vertical regulation system” to “media product–oriented horizontal regulation system,” following a previous study. In the latter system, once media products have gone through a regulating institution, which can sufficient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the said products, they can be distributed through all other media without the imposition of additional regulation. The current music video rating system takes on a dualistic approach depending on media distribution. In case of a music video that will be distributed by media, except through broadcasting, the Korea Media Rating Board gives the rating.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a music video that will be distributed by broadcasting media, each broadcasting company gives a rating. In the latter case, a music video that has already received a rating does not have to be rated again if it will be distributed by other media such as the Internet. For the Korea Media Rating Board’s rating system, the concept of a music video is narrowly shaped by its contents and production or subject to be distributed. The rating procedure is fast-tracked for music videos unlike for other video types, but the rating standards and the effects are the same. For a broadcasting company’s rating system, there are three types of rating units, and one of them does not have any legal basis. The rating team is small, but the rating procedure takes 1–2 days. The rating standards and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for a normal broadcasting program. The current music video rating system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general, different rating systems are applied to a music video that is distributed through the broadcasting media and other media, and several institutions regulate the same music video repeatedly. With regard to the rating system of the Korea Media Rating Board, the problems include the narrowing rating system for the content and the subject of the production or distribution, the long period needed for legal processes and appeals, the rating system being implemented using the same standard for video products, and the failure of doing part rating or contentrating. With regard to the rating system of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s, the problems include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s’ rating practices that are not prescribed by laws, the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s’ performance of separate ratings for the same material, and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s post-reregulation. The following are the improvements in the current music video rating system,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videos. In general, the music video rating system should be based on “a prior voluntary regulation by a producer and a supportive post-regulation by a civilian institution.” During the maintenance of the current system, the Korea Media Rating Board should rate all the music videos in any form and shorten the period for the legal processes and appeals, as well as practice a part-rating system or a content-rating system. A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 should not give an “unqualified” decision, and the subject of the rating should be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Broadcasters Association or a similar institution. In addition, a post-regulation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Korea Media Rating Boar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its 2017 work plan, “promoting a policy to change the prior-rating system to a voluntary rating and post-management system.” The said work plan is in line with the fundamental improvements suggested by this study and should be welcomed. 현행 음악영상물 심의제도에는 문제점이 여럿 존재하는바, 전반적으로는 방송매체로 유통을 시작하는 음악영상물과 그 외의 매체로 유통을 시작하는 음악영상물 간에 별도의 심의제도가 적용되는 점, 여러 주체에 의한 심의가 중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점 등이 문제이다. 영상물등급위원회의 등급분류의 경우, 내용이나 제작ㆍ유통의 주체, 방송사업자의 등급분류를 거쳤는지 여부에 따라서 심의 대상이 달라지고, 법정 처리기한 및 구제절차에 걸리는 기간이 길며, 비디오물과 동일한 기준과 방식으로 심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부분심의의 시행 및 내용등급의 활용이 되지 못하고 있어 문제이다. 방송사업자의 등급분류의 경우, 지상파 방송사업자는 법률에 근거하지 않은 형태의 심의를 행하고 있고, 개개의 방송사업자로 심의 주체가 분산되어 있으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의한 사후심의 역시 중첩적으로 행해지고 있어 문제이다. 음악영상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면, 전반적으로는 심의의 구조를 제작자의 사전 자율심의 및 단일한 민간기관의 보조적 사후심의로 통일시킬 필요가 있다. 현행 심의구조가 유지되는 동안에도 영상물등급위원회 등급분류의 경우 모든 형태의 음악영상물을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고, 법정 심의 기간을 단축시킬 필요가 있으며, 부분심의 방식과 내용등급제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방송사업자 등급분류의 경우 법적 근거 없는 ‘방송 부적격’ 판정을 해서는 안 되며, 한국방송협회 등으로 심의 주체를 통일시킬 필요가 있고, 사후심의의 주체 역시 영상물등급위원회로 함이 타당할 것이다.

      • 음악 콘텐츠의 영상적 소통방식 : 원더걸스의 ‘Nobody’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김정우 한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2009 소통과 인문학 Vol.9 No.-

        Music video is the way of video-communication of music contents. Every communication has a goal, and the goal of music video is to arouse the intense impression of the music contents, through expanding the experiences that are given form the music contents. 「Nobody」 is the most popular song of WonderGirls. And the music video for 「Nobody」 won the prize of the best music video of 2008 by MKMF. This music video has 2 ways of expanding the experiences of 「Nobody」. First one is the strategic organization of the music video. There are 2 types of music video. They are cinema-type which focused on story and photograph-type which focused on image. In this music video, 2 types are arranged in a row, so the people who enjoyed this music video finds a flow without the time of boring. Second one is 4 ideas for expanding the experiences used in the music video. They are Cinderella motif, instinctive images that are use in photograph-type music video, various angle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each character, and identifying WonderGirls who are on air with the Cinderella who appeared in the music video.

      • KCI등재후보

        초창기 한국 뮤직비디오의 경향에서 서태지와 아이들의 뮤직비디오가 차지하는 의미와 위치 :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 "하여가" 뮤직비디오 분석을 중심으로

        이상윤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6 No.2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2년 당시 그들의 음악으로만 충격을 준 것이 아니라 그들의 이미지적인 요소로도 대중가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92년은 국내 대중가요의 흐름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준 시기인데, 댄스 음악이 등장하면서 대중가요의 흐름은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 그 흐름이 바뀌었다. 특히 앨범의 발매에 맞추어 홍보 수단으로서 뮤직비디오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된 시점도 바로 이시기이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초기 뮤직비디오들은 음악의 리듬을 화면으로 강조하여 음악의 박절이 화면 구성의 바탕이 되고, 특히 "환상속의 그대"의 뮤직비디오는 당시 상황에서 드물게 서사성(Narrativity)을 강조하였으며, 뮤직비디오를 음악의 홍보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뮤직비디오의 완성도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본 논문은 서태지와 아이들의 초기 뮤직비디오의 분석적인 접근을 통하여 1992년에 시작된 초창기 한국 뮤직비디오의 경향에 이들의 뮤직비디오가 어떠한 의미와 위치를 가지는지 연구하였다. Back in 1992, Seotaiji and Boys were noted not only for their music, but was also a huge influence on K-pop culture for their image-making. 1992 was an year of big changes in mainstream K-pop music, in which the advent of dance music set the trend of K-pop from audio-based to video-based. At this time, music videos were produced at full-scale as the main method of promotion sales. The early music videos of Seotaiji and Boys accentuated the rhythm of music through video images in which the meter of music created a basis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ry, as viewed particularly in the music video of "Huansangsokui Gudae"(환상속의 그대) wherein emphasis was put on to narrativity, overall optimizing the quality of the music video as it was the most effective promotion tool. This paper is a analytical research on the early music videos of Seotaiji and Boys with a discussion on what significance and standing their music videos have in the flow of early Korean Pop music videos beginning from 1992.

      •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뮤직비디오를 이용한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김경숙 ( Kyeong Sook Kim ),라혜민 ( Hyea Min Ra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9 No.-

        최근 한국어 학습자들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한국어·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다매체 시대에 노출된 학습자들의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다양한 방법의 한국어·문화교육이 연구되고 제안되고 있다.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화 교육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중매체 중에서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뮤직비디오를 이용하여 한국어·문화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뮤직비디오는 젊은 영상 세대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과 심리적인 면에서 흥미를 증진시키고 즐거움을 주며, 실제 상황을 제시하여 목표어를 제공하고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뮤직비디오가 그 사회와 언어를 배우려는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학습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뮤직비디오의 활용 효과와 선정 기준을 살펴본 뒤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뮤직비디오를 활용한 한국어·문화교육 방안의 연구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다음으로 뮤직비디오의 활용 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살펴보고, 뮤직비디오 수집과 선정 시 그 기준과 유의점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뮤직비디오를 통한 실제 수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 진행 활동과 수업지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need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foreigners is being emphasized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learners of Korean and because students who are exposed to many kinds of media expect various method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o be used. Therefore, a diversity of Korean teaching methods have been studied and suggested to meet the greater number of students and their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new way to activate the i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s a foreign language. This is a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Korean music videos, given that Korean music videos have currently increased the influence of Korean abroad, especially for young people, through the mass media. Music videos promote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and interest needed i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provide amusement for the younger video generation of learners. Also, the videos show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 practical Korean language that takes place in actual life and can improve the four functions of language, includ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s paper studies teaching methods of Korean and Culture as a foreign language by utilizing Korean music videos. It aims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at and how music videos could be useful and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advanced learners, who are willing to learn about Korean society and language. It does this by examining utilization effects and selection criteria of music videos, and suggesting way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using music videos. In this study, firstly, the necessity and objectives of the research on measures for language using music videos are shown. Secondly, the benefits of music videos are examined, questions about lessons utilizing music videos are raised,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collect and select music videos are examined. Finally,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contents to find effective teaching measure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sing music videos, the stages of teaching activity and lesson plans applicable to practical lessons are suggested.

      • KCI등재

        뮤직비디오 의상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 연구

        도희(Heuy Do),양숙희(Sook Hi Yang) 한국복식학회 2004 服飾 Vol.54 No.3

        Music videos provide for many others images, alluring the audience to fall in another emotional world while the sexual images shown in them suggest new images of man and woman. Today, men`s images are being interpreted from various viewpoints. As interests in men`s fashion are visualized through music video clothing, not only juveniles who want to be identified with the music video images but also adults try to imitate them and proceed to wear the clothing obliterat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and creating new image of men.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male images shown in the music videos particular their clothing produced between 2000 and 2002. The results of thi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Since beginning of the human history men`s image has been characterized by patriarchal system, capitalism, bourgeois class which emerged after industrial revolution and other main-document socio-cultural phenomena such male image are shown in the music video as conservative and dominant image. 2. However, due to the post-modern culture, the power began to be decetralized, while feminism and men`s liberation movement gain stength. As a result, women or heterosexuals began to regard men as sexual objects and such a phenomenon is featured as sexual bisexual or decadent images in the music videos. 3. On the threshold of the 21st century music videos have begun to creatively describe men`s life their social conflicts dreams and hopes and death and thereby, feature men`s such images as being destroyed in view of existentialism. The numerous creative men`s images interpreted in this way are featured in many music video works only to create playful cyborg or deminic images using the senses. After all men`s images are featured in the music video costumes in diverse ways ranging from the conventional images to acquiescent images. In addition various male images are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videos to be re-created a new. The young men in the our modern age and to imitate or apply such images to create their own images or individualistic styles. All in al men`s image can be fixed no longer but divesified and fragmented in the new age.

      • KCI등재

        국내 뮤직비디오의 크리에이티브 분석 연구 -2018 유튜브 인기 뮤직비디오 중심으로-

        백재훈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4

        The traditional media-centered environment has been reorganized into online and mobile one, forming a smart ecosystem. With the recent increasing popularity and interest in K-pop, music videos are briskly distributed in this new restoration er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method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video in social media platforms in the content aspects and present ideas and directions of differentiated expressive strategies by analyzing the major background in visualization. To this end, it selected ten music videos that were the most popular in 2018 when such videos were announced by domestic YouTube sites and looked at the visu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methods of cont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methods of music video were divided into dramatized type and image-centered type. What is worthy of notice is that symbolic and metaphorical narrative expressions were preferable in dramatized type, and at the same time, transmedia storytelling utilizing various media was appearing. In image-centered type, standardized construction and patterns were used. In visual analysis, the background of popular music videos was divided into set filming and location, and set filming centering around more than one large set was preferred. In location, overseas filming with ocean as background was prevalent.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expression tendency of the recent most popular music video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means for understanding the changed media ecosystem, developing effective contents utilizing music in global market, and drawing creative strategies for music video. 기존 전통 미디어 중심의 환경은 온라인과 모바일 위주로 재편되며 새로운 스마트 생태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더불어 최근 K-pop에 대한 인기와 관심이 증가하며 뮤직비디오는 새로운 중흥기를 맞이하여 활발히 유통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인기 뮤직비디오가 어떤 크리에이티브를 가졌는지를 내용적인 면에서의 전개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고, 시각화에서 주요한 배경 분석을 통해서 차별화된 표현 전략에 관한 아이디어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유튜브 사이트에서 발표한 2018년 가장 인기 있었던 10개의 뮤직비디오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콘텐츠의 시각적 표현 특성과 전개 방식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뮤직비디오의 전개 방식은 드라마타이즈형과 이미지 중심형으로 양분되고 있었다. 주목할 만한 것은 드라마타이즈형에서는 상징적이며 은유적인 서사 표현이 선호되고 있었고, 더불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형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미지 중심형에서는 정형화된 구성과 유사한 패턴이 활용되었다. 외형적 분석에서 인기 뮤직비디오의 배경은 세트 촬영과 로케이션 촬영으로 나뉘었고, 한 개 이상의 대형 세트를 중심으로 스튜디오 촬영이 로케이션보다 선호되었다. 로케이션의 경우 바다를 배경으로 한 국외 촬영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2018년 가장 인기 있었던 뮤직비디오를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해 변화한 미디어 생태계를 이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음악을 활용한 효과적인 콘텐츠 개발과 뮤직비디오 제작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