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모형이론의 교육적 함의(含意)

        김환남(Kim, Hwan Na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 No.3

        지식 표상으로서 정신모형의 본질과 정신모형의 구성과정에 대한 문제는 중요한 교육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정신모형은 새로운 과제가 주어지거나 새로운 환경 혹은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이를 해석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기기억에 저장된 지식과 과제로부터 이끌어낸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사람들의 정신 내에 형성되는 대상에 대한 역동적이고 구조화된 표상이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학습은 학습내용을 자신의 인지구조 내에 수용하여 정신모형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조작, 평가, 수정을 통하여 모형을 보다 정교화하고 확장시켜가는 순환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이며, 교수는 초보자인 학습자의 정신모형이 전문가의 정신모형으로 발달하도록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학습의 과정을 촉진하고 격려하는 활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정신모형이론은 사람들이 단편적 사실이나 개별화된 지식이 아니라 정신모형을 통해 학습하고 사고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타의 이론들에 비하여 영역 특성적 지식의 획득과 과제 수행의 인지적 프로세스, 해당 영역에서의 전문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이론적인 요소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정신모형이론과 모형중심 교수-학습에 대한 소개와 전반적인 연구경향에 대한 리뷰를 통하여 정신모형이론의 교육적 함의를 밝혀내고자하였다. The mental model as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mental model building have an important significance for education. The mental model is a dynamic and structured representation formed in the working memory by combining information stored in long-term memory with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task to analyze the situation and solve problems when a new task is given or a new environment or situation is faced: learning is a series of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building a new mental model by adapting what is learned to the cognitive structure. The theory of the mental model is useful and important in education, in that a person doesn't learn fragmented or particular knowledge; rather he or she acquires knowledge and perceives it through a mental model. The mental model also provides theories that explain more specifically than those of psychology about the acquisition of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the cognitive process of task performance. The mental model affects the way people perceive objects and behave, and it is directly related to learning and problem-solving. Mental model theories focus on an integrated and organized knowledge structure and the mental mode as its representation, whereas the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is oriented to individual or de-structured knowledge acquisition and correct knowledge retrieval. Learning is an extension of the mental model and is a successive, revolving process of mental model building, operation, assessment, and modification. Teaching is an activity that provides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ates the learning process on order for learners to develop from an elementary mental model to an expert mental model. Thus, teaching needs to be reorganized to guide students towards forming more sophisticated and extended mental models through the process of mental model building, operation, assessment, and modification.

      • KCI등재

        통합적 접근이 필요한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이해: 현상론적 초안과 국면 분석을 통한 식 현상에 대한 정신모형 탐색

        이기영 한국지구과학회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teachers' mental models about eclipse phenomena to investigate their understandings on the earth science concept need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wo different contexts on 30 secondary and 36 primar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nts, and analyzed phenomenological primitives(p-prims) and facets of causal explanations about eclipses. Based on this study, we identified four different levels of mental models about eclipses. Four mental models were categorized as (1) Screening model, (2) Orbital plane model, (3) Hybrid model, and (4) Shadow cast model. Screening model is a flawed mental model, orbital plane model is an incomplete correct mental model, and shadow cast model is a scientifically correct mental model. Hybrid model, composite of two or more mental models, use multiple mental models simultaneously. Orbital plane model was the most widespread mental model i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group, whereas screening model was used frequently in primary group.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mental model could be determined by the level of facet and p-prims. We confirmed context sensitivity of the mental models and perceive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pproaches to promote progression of mental models.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enhanc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ssociated with eclipse phenomena are also discussed here.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과적 접근이 필요한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이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식 현상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정신 모형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는 30명의 중등 예비 지구과학 교사와 36명의 초등 예비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정신 모형의 분석을 위해서 서로 다른 맥락의 질문지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응답 및 질문지를 토대로 한 심층 면담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론적 초안과 전략적 국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식 현상에 대해 예비 교사들은 4개의 서로 다른 수준의 정신 모형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1) 차폐 모형, (2) 공전궤도면 모형, (3) 혼성 모형, 그리고 (4) 그림자 모형. 차폐 모형은 결함이 있는 모형이며, 공전궤도면 모형은 불완전한 모형, 그림자 모형은 과학적으로 옳은 모형이다. 혼성 모형은 두 개 이상의 정신 모형을 동시에 사용한다. 중등 예비 교사의 경우는 공전궤도면 모형이 40%로 가장 우세한 반면, 초등 예비 교사의 경우는 차폐 모형이 67%로 가장 많았다. 국면의 수준이 정신 모형의 수준을 결정하며, 국면의 수준은 현상론적 초안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정신 모형의 상황 의존성을 확인하였으며, 식 현상에 대한 낮은 수준의 정신 모형들이 개념적 모형으로 바뀌기 위해서는 광학과 기하학이 통합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 모형의 규명을 통한 예비 과학 교사의 주제 특정적 교과교육학 지식의 향상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대학 팀 학습에서의 협력적 자기 효능감,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만족도, 팀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정한호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mental model and cooperative self efficacy for group work, and the effect of the shared mental model on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isting related studies,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was devised to explain the team performance derived through team learning at the university. In order to select research subjects suitable for the study purpose, in this study, based on the team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e systematically explored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self efficacy on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he influence of two types of shared mental model on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was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a) group work organized within the same university, b) teachers college students(sophomore and above), and teacher training course students(senior and above)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ooperative self efficacy for group 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task related sharing mental model and the team member related sharing mental model, but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directly affect satisfaction. Second, the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both types of shared mental models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Third, the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all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In addition, collaborative self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through the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were discussed to make college team learning to be activated in a desirable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정신모형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그리고 공유정신모형이 만족도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팀 학습을 통해 도출되는 팀 성과를 설명하는 가설적인 연구모형을 구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팀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팀 학습에서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력과 두 가지 유형의 공유정신 모형이 만족도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팀 학습 경험이 3회 이상이며 팀 학습을 수행 중인 대학생(286명)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편의표집을 수행하였으며, a)동일 대학 내에서 구성된 팀 학습만 대상, b)사범계열은 2학년이상, 교직과정생은 3학년 이상인 예비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과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은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두 가지 유형의 공유정신모형은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 만족도는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을 매개로 만족도,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대학 팀 학습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포츠 지도자 멘탈코칭모델(MENTAL) 및 멘탈코칭 프로그램 개발

        이영실(Lee, young sil),이경화(Lee, Kyunghwa) 한국평생교육학회 2020 평생교육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지도자에게 적용하기 위한 체계적인 멘탈코칭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멘탈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멘탈코칭 프로그램의 목표는 스포츠 지도자가 멘탈코칭 방법을 습득하여 지도자의 역할과 전문성을 증대시키고, 선수의 잠재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스포츠 지도자 멘탈 코칭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도출한 후 멘탈코칭모델(MENTAL)을 개발하여 1차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멘탈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2차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여 완성시켰다. 멘탈코칭모델, 즉 MENTAL은 코칭프로세스의 체계적인 대화법을 적용하여 실행력을 향상시키도록 개발된 것으로, Measuring(상황파악), Encouraging(동기부여), Needs exploring(요구탐색), Targeting(목표설정), Acting(실행), Learning(배움)의 6단계이다. 이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멘탈코칭 프로그램의 구성은 멘탈코칭의 기본원리, 멘탈코칭모델, 팀 멘탈코칭, 멘탈코칭의 습관화의 4개 영역으로 구성이 되었으며, 스포츠 지도자의 멘탈코칭 능력을 향상시키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 멘탈 코칭모델(MENTAL)과 멘탈코칭 프로그램의 타당도는 확인되었으므로, 이는 스포츠 지도자가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atic mental coaching model for sports leaders and based on this, develop a mental coaching program. The goal of the mental coaching program is to maximize a leader’s role and expertise. To achieve this goal, the leaders learn how to implement the mental coaching method and to help derive the player’s potential. For this purpose, the mental coaching model and mental coaching program were reasonably developed and validated.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 and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groups of experts. The mental coaching model (MENTAL) was developed to implement the method of systematic dialogue in coaching procedures. The mental coaching model (MENTAL) was developed to implement the method of systematic dialogue in coaching procedures. The mental coach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mental coaching model, and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consists of four areas such as the basic principle of mental coaching, mental coaching model, team mental coaching, and the habituation of mental coaching. Its feature helps and allows leaders to improve their mental coaching abilities and also it is very useful and convenient utilizing on site. Mental coaching model and program have been developed reasonably. Mental coaching model and program have been developed reasonably. The mental coaching program could be applied as an effective program for sports leaders to coach athletes on the field.

      • KCI등재

        인터렉션디자인 개발을 위한 효용적 사용자 멘탈모델의 추출 및 시각화 기법

        박영목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Mental model is user's working model. It is when a user manipulates an equipment or system, we can observe one of user's usual experience and response such as 'this should be it!' or 'it should be handled this way'. To UI or UX Architecture, all the possible references are considered within the mental model, and this is the basic essential of designing an usebility. However, it is actually hard to find how can content and image is reflected to user's mental model. The reasons are that mental model is not yet fully studied concept or process, therefore, the way of finding the method of extracting and structuralizing is undefined. The following research is a proposal for developing a method of extracting and structuralize user's mental model with interview. To achieve this, first we established a range of extracting mental model's meaning, time and area, and made a target on extracting and structuralize user's prior knowledge and manipulation before user interacts with products or equipments. By using a proposed method of extracting and structuralizing various users and subject's mental model, the UI and UX Architecture will become an important and flexible application. 멘탈모델은 사용자의 작업모델이다. 어떤 기기나 시스템을 조작할 때에 ‘이렇게 될 것이다’ 혹은 ‘이런 순서로 조작할 것이다’와 같은 일종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전략이다. UI혹은 UX설계에 있어 거의 모든 문헌에 이 멘탈모델을 배려하라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성을 설계하는데 있어서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그러나 멘탈모델을 배려하라고는 했지 정작 사용자의 멘탈모델이 어떤 내용과 모습을 하고 있는지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는 멘탈모델이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개념이며 작용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실제적 설계나 개발을 위한 추출과 시각화하기 위한 방법이 없음에도 그 이유가 있다. 본 연구는 실제적 인터렉션 설계과정에 사용가능한 사용자의 멘탈모델을 인터뷰를 통하여 추출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추출하는 멘탈모델의 의미적, 시간적, 영역적 범위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조작하기 이전에 조작하고자하는 제품 혹은 기기 등에 대하여 이미 알고 있는 사전지식과 조작절차지식을 그 추출 및 시각화 대상으로 하였다. 제안하는 추출 및 시각화 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용자와 대상에 대한 멘탈모델이 추출되면 인터렉션 설계에 중요하고 유용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모바일 정신건강 앱 이용에 관한 연구정보-동기-행동 능력 모델의 적용

        안순태,이하나 한국언론학회 2018 한국언론학보 Vol.62 No.6

        Although the positive effects of mobile applications on health care have been well-documented, little is know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one’s intention for using a mental health application. Given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mental health illnesses and high suicide rates, mobile applications are a promising too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es in Korean societ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and social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the mental health app use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A total of 228 men and women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the information factor (ex. level of mental health knowledge) did not show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intention to use the mental health app. The motivation factor (ex. social support, subjective norm, and attitudes toward mental health app use), however, demonstrated both indirect and direct influences. Further, behavioral skill (ex.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motivation and intention to use the app. Also, this study expanded the model by adding a cultural variable (ex.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TSPH).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ATSPH and intention to use the app.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mobile app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es by promoting individual and social motivation for mental health intervention. 건강관리에 대한 모바일 앱의 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정신건강 앱 이용의 활성화 요인을 탐색한 연구는 미흡하다. 한국 사회의 높은 자살률과 정신질환 증가율을 고려했을 때, 모바일 앱은 정신건강 관리와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 능력 모델을 토대로 정신건강 앱 이용에 미치는 개인적, 사회 심리적 요인들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조사에는 총 228명의 성인 남녀가 참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분석 결과, 정신건강 앱 이용 의도에 대한 정보 요인(예, 정신건강 지식)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정신건강 앱 이용에 대한 동기 요인(예, 사회적 지지, 주관적 규범, 정신건강 앱 이용 태도)의 직접 효과 및 간접 효과가 모두 나타났다. 행동 능력(예, 자기 효능감)은 동기와 앱 이용 의도 사이를 매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동 능력 모델에 문화적 변인인 정신과 상담/치료에 대한 태도를 추가하였으며, 해당 변인은 앱 이용 의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 이용 및 정신건강 중재 방안으로서 개인적, 사회적 동기의 촉진과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태도가 중요함을 지적한다.

      • KCI등재

        판의 경계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 분석

        박수경 한국지구과학회 200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판의 경계에 대한 그리기와 면담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모형의 유형별 분석 준거를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충돌형, 섭입형, 발산형 판의 경계에 대한 그리기 과제와 개별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판의 경계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의 유형은 소박한 모형(naive model), 불안정 모형(unstable model), 인과적 모형(causal model), 개념적 모형(conceptual model)의 4가지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정신모형에 대한 분석 준거는 판과 맨틀을 구분하는지, 판과 하부 맨틀의 이동을 파악하는지, 판의 경계 지형의 특징을 인식하는지, 맨틀의 대류와 지형의 특징을 관련짓고 있는지 등의 요인이다. 판의 경계에 대한 ‘소박한 모형’과 ‘불안정 모형’을 지닌 학생들은 맨틀의 대류와 지형의 생성원인을 관련짓지 못한 반면, ‘인과적 모형’과 ‘개념적 모형’을 지닌 학생들은 판의 경계에서 맨틀 대류와 지형의 생성과의 인과 관계를 인식하고 있었다. 정신모형 유형에 따라 지식 획득의 방법에 관한 학생들의 믿음을 조사한 결과, 소박한 모형과 불안정 모형을 지닌 학생들은 외부적인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criterions of each type of mental models on the plate boundaries and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mental models on these concepts. The 11th grade student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draw the collisional, convergent, and divergent boundaries and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he drawings and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mental models on the plate boundaries were classified as 'naive model', 'unstable model', 'causal model', and 'conceptual model'. The criterions for analyzing the mental models were the differentiations of the lithospheric plates and the mantle, the explanations of the motion of the plates and lower mantle, the demonstrations of topographical features of the plate boundaries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mantle convection and the topographical featur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tudents holding 'the naive model' and 'the unstable model' were unable to relate the mantle convection and the three boundaries. In contrast, the students holding 'the causal model' and 'the conceptual model' were able to explain that the mantle convection causes the three boundaries. Also, the types of epistemological belief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mental models. Students holding the naive model and the unstable model tended to rely upon the external authorities.

      • 팀 학습행동과 공유멘탈모델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동선(Kim, Dong-Sun),김문중(Kim, Moon-Jung)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조직의 팀학습행동과 공유멘탈모델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공유멘탈모델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 팀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자동차정비 사업소의 588명의 응답 설문지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팀 학습행동 중 성찰적 의사소통만이 과업모델과 유의한 관계가 있고, 실험 및 지식 성문화는 과업모델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그리고 팀 학습행동의 실험, 성찰적 의사소통 및 지식성문화는 팀모델과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멘탈모델과 팀 성과간의 관계에서는 과업모델과 팀모델 모두 팀 성과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팀 학습행동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팀모델만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유멘탈모델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팀 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업모델과 팀모델 모두 팀 성과 간의 관계에서 팀 효능감이 큰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조절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eam learning behavior(experimentation, reflective communication, and knowledge codification) on team performance through shared mental model. It als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mental model(SMMs) and team performance. The 588 respondents, working in domestic automobile repair offices indicate their perceptions of team learning, shared mental model, team efficacy, and team performance rating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flective communication of team learn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taskwork-related SMMs(the task model) and that the all three factors of team learn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work-related SMMs(the team model). Shared mental models(the task and team model)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And Shared mental models mediated the effect of team learning behavior on team performance. Finally, Team efficacy mediated the effect of shared mental models on team performance. Specially, the groups of high team efficacy indicated the more mediating effects than the groups of low team efficacy.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for research and practices was discussed.

      • KCI등재

        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중장기적 발전방향 조사를 위한 연구

        박경민,이상민,노성원,서용진,최원석,황태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4 신경정신의학 Vol.53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al directionsof mental hospitals. Methods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composed of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10 psychiatrists,literature and case investigations, and development of models for medium- and longtermdevelopmental model.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consisted of constructed interviews withseven professionals.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whichwere sent to members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etc. Data were analyzed usingfrequency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we were able to make three models : communitymodel emphasizing linkage between mental hospitals and community, specialization modelstressing specializations of mental hospitals, and extension model highlighting extensions of theroles of the mental hospital. In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two of the seven professionals gave aspecial preference for the community model, one for the specialization model, and two for theextension model. In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the community model and the specializationmodel were the most favorite models, and the extension model was the least favorite model. Conclusion Three developmental models could be used in planning of the medium- and longtermdevelopmental directions of mental hospitals, although each model needs to be embodiedin order to work in practice. 비록 지역사회모델, 전문화모델, 확대모델이 실제로 현실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화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요구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으나 모두 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중장기적인 발전방향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 같다. 지역사회모델은 당위적으로 옳고 현실적으로도 반드시 필요한모델로서 이를 실현하고 꾸준히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공식적인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함으로써치료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문화모델은 중독정신의학과 노인정신의학에서 특히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고, 특히 대형정신병원의 경우 교육 및 수련을 포함한 보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 모델은 일정한 조건만 갖춰진다면 가장 빨리 현실에적용되고 발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확대모델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정의했던 것보다 더 세분하고 구체적이 될 수 있도록 개념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 분야에 적절히 준비된 사람들은 이 모델을 중장기적인 발전방향으로 충분히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이모델을 중요한 발전의 축으로 삼기 위해서는 전문의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생물학적 치료에 대한 강조뿐만 아니라 이모델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교육하고 수련하는 데에도 더 큰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정신병원의 중장기적 발전발향을 확립하기 위한 활발한 논의의시작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팀 학습행동과 공유멘탈모델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동선(Kim, Dong-Sun),김문중(Kim, Moon-Jung)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조직의 팀학습행동과 공유멘탈모델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공유 멘탈모델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 팀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자동 차정비 사업소의 588명의 응답 설문지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 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팀 학습행동 중 성찰적 의사소통만이 과업모 델과 유의한 관계가 있고, 실험 및 지식 성문화는 과업모델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그리고 팀 학습행동의 실험, 성찰적 의사소통 및 지식 성문화는 팀모델과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멘탈모델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과업모델과 팀모델 모두 팀 성과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팀 학습행동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팀모델만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유멘탈모델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팀 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업모델과 팀모델 모두 팀 성과 간의 관계에서 팀 효능감이 큰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조절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eam learning behavior(experimentation, reflective communication, and knowledge codification) on team performance through shared mental model. It als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mental model(SMMs) and team performance. The 588 respondents, working in domestic automobile repair offices indicate their perceptions of team learning, shared mental model, team efficacy, and team performance rating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flective communication of team learn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taskwork-related SMMs(the task model) and that the all three factors of team learn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work-related SMMs(the team model). Shared mental models(the task and team model)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And Shared mental models mediated the effect of team learning behavior on team performance. Finally, Team efficacy mediated the effect of shared mental models on team performance. Specially, the groups of high team efficacy indicated the more mediating effects than the groups of low team efficacy.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for research and practices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