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규모 국제 체육행사로서 올림픽 경기가 국가의 법규범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종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5 스포츠와 법 Vol.18 No.3

        Mega sporting events can be defined by their impacts on the society and state and complexity in organization and delivery channel. I challenge the events which include its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economy, culture, law, politics and they must not be treated as just typical single and simple sports event. The top of the ideology and value system of Olympic games may be deduced from the philosophy of Olympicism. The games are organized under the framework that made by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Olympic spirits as driving forces are strongly impact on the growth of the events. The paper concludes that while the prospect of economic growth is the driving force behind bids for hosting the mega sports event (i.e., Olympic Games), the legacies that follow their hosting are difficult to quantify, prone to political interpretation and multifaceted. Single and multi-sport events of all natures are multiplying, an increasing number of cities and countries want to host such events, and sponsorship is on the rise both in terms of the number of business organizations wanting to be involved as well as the dollar amounts associated with sponsoring event. These statements are especially true for mega sporting events. Such events are traditionally defined as events designated as being a ‘must-see’ event able to attract worldwide publicity. Countries and cities vigorously compete to host sports mega-events because they perceive that doing so will enhance their image and stimulate or boom-up their economies.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necessarily require substantial expenditures on infrastructure, organization and security and critically depend, therefore, on public subsidization. Accordingly, careful attention is paid to the presence of constraints on interest and concerns on the goods and service and on the sources of many side of Olympic business and capital investments. One of the reasons for the increased popularity of mega sporting events is the supposed legacies the events can bring to the host region. These legacies are thought to change or impact the host region arguably for the better.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inner and exterior elements of the event, size of the festival, certain degree of intervention of government or private corporation, and public entities, etc. These range of the political, social, economical, physical and cultural effects comes from sports event can be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on the features of such events and, drawing particular examples from recent Olympic Games which was held over the world cities, it identifies the nature and extent of their impacts on the host country and community. This work analysed many kinds of effect on the society that stemming from the sports and especially legal side of the effects were narrowly examined. Furthermore, my arguments are focused on the review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int of view of the impacts of the mega sports events. 대규모 스포츠 행사로서 올림픽은 경제, 문화, 법, 정치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특징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올림픽 경기를 하나의 전형적이고 단순한 대규모 체육행사로서만 취급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분석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올림픽 경기들은 올림픽주의라고 하는철학으로부터 최고의 이념이나 가치가 도출된다.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정한 엄격한 틀 내에서 경기가 조직되고 올림픽주의라는 정신이 그 성장과 발전에 원동력으로서 영향을 미친다. 대규모 스포츠 행사의 유치는 다양한 혜택을 가져오게 되고 이것은 본질적으로 도시나 지역개발을 위한 정부의 주도권에서부터 사경제 영역의 이익을 얻기 위한 주도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범위에 걸친 이해관계와 관련되어 있다. 그 결과 조직위원회는 갈등이 배제된 다양한 이해관계를다루어야 하는 바 이것은 그들이 아주 복잡한 업무를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대규모 스포츠 행사를 개념 정의함에 있어서 우리는 이 행사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추가할 필요가 있고 내부적인결정인자들은 조직적인 측면에 있어서 복잡성뿐만 아니라 그 행사의 규모와 기간도 포함하고 정부와 사기업, 그리고 공공단체와 같은 다양한 단체의 개입정도도 고려해야만 한다. 대규모 스포츠 행사가 그와 같은 순기능을 실제로 발휘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에의해서 논쟁이 제기되었다. 대규모 스포츠 행사가 유치도시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그 정도가 크고 범위가 다양하며, 이와 같은 행사는 어느 국가이든지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생각이 여러 문헌들에 의해서 지지를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형 스포츠 행사가 우리사회에 미치는다양한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는데 특히 법규범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스포츠 행사가 미치는 영향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반론에 대해서도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 KCI등재

        메가 이벤트 디자인에 나타난 문화 비교연구 : 한,중,일 엑스포를 중심으로

        권윤경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velopment plan by comparing the desig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centered on the mega event, Korea, China, and Japan Expo. · Research background: As the awareness of using mega-events as a means of national economic leap, regional development, and national unity is spreading, many countries are competing to attract mega-events. It is true that the results of visual design studies in Korea are incomplete. In the age of culture, research on the design of mega-events in the three Asian countries will have a cultural synergy effect and promote efficient differentiation and image enhancement.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bove all else, has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that it is a research study that compares and converges the ‘mega-event design’ of the three Asian countries as a cultural industry. · Research method: Research method: Step 1: Conduct theoretical methodology and precedent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tep 2: After analyzing mega event design case study through internet data research, Step 3: Implementation method and strategy for quantitative analysis by design type Case analysis and 4th stage: mega-event design, expo strategy direction was established and a design plan was sought. ·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mega-event design development pla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attraction shift from nationalism to the center of the holding city. Second, the offline to online dualization strategy. Third, in mega event design, EIP is a clear cultural message and systemization as a visual design. In this way, future mega-event design development strategies were explored in this study.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not only the role of mega-event design through the realization of cultural identity, but also a design development plan in which abstract spiritual culture is expressed in visual language in formative terms, as the most effective content to inform the world of the identity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and Korea. It will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and the development of mega-event design.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엑스포를 개최한 한국, 중국, 일본 엑스포 디자인과 각국의 문화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벤트 디자인을 개최 도시/주제, 시각 이미지, 국가 전시관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벤트 디자인의 의미와 이벤트 디자인의 개발 사례를 살핌으로써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 연구 배경: 메가 이벤트를 국가 경제의 도약과 지역 발전, 그리고 국민통합 등의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많은 국가들이 메가 이벤트 유치에 경쟁적으로 뛰어 들고 있는 실정이지만, 현재 메가 이벤트(엑스포)에 대한 시각디자인 연구 결과는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문화의 시대에 본 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효율적인 차별화, 이미지 상승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선행 연구와의 차이점: 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을 문화산업으로서 차별화하여 일관되고 강력한 정체성으로 응집시키는 비교/융합 연구의 기초를 구축하여 전체를 통합하고 강화시키는 연구라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연구의 창의성과 독창성이 있다고 하겠다. · 연구방법: 1단계: 문헌 조사를 통해 이론적 방법론 및 선행 연구를 하고, 2단계: 인터넷 자료 조사로 메가 이벤트 디자인 사례 연구 분석 후, 3단계: 정량적 분석에 대한 추진방법과 전략 구사에서 디자인의 유형별 사례분석 그리고, 4단계: 메가 이벤트 디자인인 엑스포 전략 방향 정립을 하여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한, 중, 일 삼국에 나타난 공통점은 개최 도시 부분에서는 수도가 아닌 제2, 제3의 도시에서 개최하였고 해안(강)에 위치하여 경관을 갖추었으며, 시각 이미지 부분에서는 한자 문화와 조화론적 세계관, 자연 친화 사상이 공통 특징이었다. 국가 전시관에서도 유, 불, 도 3교의 정신 문화 기반으로 자연과의 상생과 의미론적 색채 관 등 상징성을 표현하였다. 각 국가의 특성과 함께 자연 친화 사상의 표현이라는 동아시아 삼국의 공통적 요소(사상)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현재의 동아시아 삼국의 메가 이벤트 디자인을 살펴보는 시점에서, 공통점과 차별성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더욱 풍성하고 다채로운 문화 정체성이 담긴 디자인을 보여주어 ‘매력적인 문화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 자료로 하여 향후의 후속 연구로서 문화를 디자인이라는 비 구술적 디자인 언어로 소통함으로써 정서적인 공감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콘텐츠화 방안을 더욱 심층적으로 모색해볼 수 있고, 여기에 더하여 한국의 문화 가치를 실체적으로 구현하여 이루어지는, 엑스포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메가이벤트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메가이벤트 준비과정을 초점으로

        황인식(In-sik Hwang)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6 No.3

        새로운 영역과 의제까지의 확장되며 변화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의 패러다임 속 에서도 그 희소성 및 상징성 측면에서 여전히 주목받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올림픽, 전국체육대회와 같은 메가이벤트(mega-event) 자원봉사이다. 본 연구는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메가이벤트가 진행되기 이전 준비과정에서 참여동기와 관리(교육훈련)가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의지에 한 영향력을 갖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자원봉사센터에서 ‘제 100회 전국체육대회 및 제39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준비과정에서 실시한 자원봉사자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참여동기 중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는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의지와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가이벤트 진행과정 상의 관리(교육훈련) 중 사전교육 이해만족은 자원봉사 지속의지와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동기의 관점에서 보다 세심한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 이와 함께 메가이벤트 준비과정 상에서 관리(교육훈련)의 노력이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의 지속의지를 제고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결과는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이해를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이들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 제고에 있어 필요한 새로운 지식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통한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메가이벤트 자원봉사의 준비과정을 어떻게 운영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a paradigm shift in volunteering covering new areas and agendas, the thing to note is Mega-event volunteering, such as the Olympics and the National Sports Festival.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volunteers in Mega-event how motivation and management (training) impact the continuance will consist of Mega-event volunteering in the preparation process before the Mega Event is held.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the survey of volunteers in the 100th National Sports Festival and the 39th National Sports Festival for the Disabled’ was conducted by the Seoul Volunteer Center to prepare the ev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irst, altruistic motivation and selfish motivation among the factor of volunteering motivation affect the continuance will consist of Mega-event volunteering positively. Second, the understanding of pre-education among management (training) in the mega-event proc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ance will of Mega-event volunte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volunteers in Mega-event’s volunteer need more careful understanding and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long with enhancing the continuance will of volunteers to participate in management (training) efforts in the Mega-event preparation process. This study’s result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new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volunteers in the Mega-event, and the new knowledge base needed to enhance their continuance will consist of volunteering.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knowledge on how to operate the preparation process for Mega-event volunteering to spread the philanthropic culture through the activ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국제적 대규모 행사의 유치 경쟁에 따른 파급 효과의 왜곡 구조 사례 연구

        변창흠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4

        In recent years, many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competed against each other to attract mega-events like the Olympic Games, EXPO etc. as a means of place-marketing and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these mega-events cannot always guarantee success in regional development and, in some regions, such mega-events have been the cause of fiscal deficit and uneven development. This articl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hosting and implementing such events. It examines the real effects of the mega-events in Korea by comparing the cases of past events, such as the Incheon World City Festival, F1 Car Racing Games as well as future events like the 2012 Yeosu EXPO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Special attention is devoted to the fiscal aspect of these events: official budgets, audits, and reports of revenues and costs are examined. Analyses of these cases show that these events have often failed to fulfill their goals. Causes of these failures include lax planning, optimistic budgeting and exaggerated claims by chiefs of local governments seeking visible outcomes during their terms. In such cases, mega-events have often led financial deficits.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plans of future events, examining current progress and comparing their cases with similar past events in other countrie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and the role of agencies engaged are similar in most events, but their effects on the regional development are different. This study thus suggests that regional context and region’s capability of utilizing the events and facilities be examined before bidding and hosting such mega-events and that regional governments conduct prudential planning prior to hosting such events. 최근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장소마케팅과 지역개발의 수단으로 경쟁적으로 올림픽경기대회나 세계박람회와 같은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위하여 경쟁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행사는 항상 지역발전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며, 어떤 행사는 재정적자와 불균형발전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논문은 대규모 행사의 유치와 집행의 구조를 분석하여 파급효과가 어떻게왜곡되는지를 대규모 행사의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분석하고자 한다. 사례 대상이되는 대규모 행사로는 인천세계도시축전, F1 자동차경기대회, 2012 여수세계박람회, 2018평창 동계올림픽경기대회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공식적인 예산서나 감사 결과서, 수입과 비용을 담은 계획서를 주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사례 연구를 통해 대규모 행사는 당초의 유치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패의 원인으로는 임기 내 가시적인 성과를내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느슨한 계획, 낙관적인 예산 전망, 과장된 명분 등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 연구에서 대규모 행사는 결국 지방자치단체의재정적자를 유발해내는 반면 파급효과는 크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대규모 행사의 유치구조와 집행체계는 유사하지만 지역발전효과는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전에 지역의상황이나 유치 후에 건설된 시설의 활용가능성을 미리 검토하고, 대규모 행사의유치에 대해 신중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국제적 대규모 행사의 유치 경쟁에 따른 파급 효과의 왜곡 구조 사례 연구

        변창흠(Byeon, Chang-Heum)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4

        최근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장소마케팅과 지역개발의 수단으로 경쟁적으로 올림픽경기대회나 세계박람회와 같은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위하여 경쟁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행사는 항상 지역발전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며, 어떤 행사는 재정적자와 불균형발전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논문은 대규모 행사의 과도한 유치 경쟁이 파급효과를 어떻게 왜곡시키는지를 대규모 국제행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례 대상이 되는 대규모 행사로는 인천세계도시축전, F1 자동차경기대회, 2012 여수세계박람회, 2018평창 동계올림픽경기대회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공식적인 예산서나 감사 결과서, 수입과 비용을 담은 계획서를 주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사례 연구를 통해 대규모 행사는 당초의 유치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패의 원인으로는 임기 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느슨한 계획, 낙관적인 예산 전망, 과장된 명분 등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 연구에서 대규모 행사는 결국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자를 유발해내는 반면 파급효과는 크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대규모 행사의 유치구조와 집행체계는 유사하지만 지역발전효과는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전에 지역의 상황이나 유치 후에 건설된 시설의 활용 가능성을 미리 검토하고, 대규모 행사의 유치에 대해 신중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years, many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competed against each other to attract mega-events like the Olympic Games, EXPO etc. as a means of place-marketing and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these mega-events cannot always guarantee success in regional development and, in some regions, such mega-events have been the cause of fiscal deficit and uneven development. This articl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hosting and implementing such events. It examines the real effects of the mega-events in Korea by comparing the cases of past events, such as the Incheon World City Festival, F1 Car Racing Games as well as future events like the 2012 Yeosu EXPO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Special attention is devoted to the fiscal aspect of these events: official budgets, audits, and reports of revenues and costs are examined. Analyses of these cases show that these events have often failed to fulfill their goals. Causes of these failures include lax planning, optimistic budgeting and exaggerated claims by chiefs of local governments seeking visible outcomes during their terms. In such cases, mega-events have often led financial deficits.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plans of future events, examining current progress and comparing their cases with similar past events in other countrie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and the role of agencies engaged are similar in most events, but their effects on the regional development are different. This study thus suggests that regional context and region’s capability of utilizing the events and facilities be examined before bidding and hosting such mega-events and that regional governments conduct prudential planning prior to hosting such events.

      • KCI등재

        연속적인 극한호우사상의 발생을 가정한 거대홍수모의

        최창현,한대건,김정욱,정재원,김덕환,김형수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1

        최근 연속적인 태풍에 의한 일련의 극한 호우 사상으로 홍수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인명과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 호우 사상으로 인해 발생한 극한홍수를 거대홍수라고 정의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극한 호우 사상이연속적으로 발생 될 수 있음을 가정하여 가상의 거대홍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최소 무강우 시간 결정(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방법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강우의 시간 간격을 결정하였으며, IETD에 의해 산정된 시간 간격 안에서 호우사상을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거대홍수를 모의하였다. 즉, (1) 기록된 극한 호우 사상의 연속적인발생 (2) 기왕 자료를 기반으로 빈도해석에 의해 산정된 설계 호우 사상의 연속적인 발생을 가정하여 거대홍수를 모의하였다. 연속 호우 사상으로 인한 거대홍수는 단일 호우 사상으로 인한 일반 홍수에 비해 6∼17%의 홍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의 호우 사상으로 인한 홍수량에 비해 뒤에 오는 호우로 인한 홍수량의 증가는 많지 않지만, 연속적인 호우는 두 번의홍수피해를 가져오므로 가상의 거대홍수로 인한 홍수 피해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이 가상의 강우시나리오를 통해 예상하지 못한 연속적인 홍수 재해와 같은 비상 상황에 대비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recent, the series of extreme storm events were occurred by those continuous typhoons and the severe flood damages due to the loss of life and the destruction of property were involved. In this study, we call Mega flood for the Extreme flood occurred by these successive storm events and so we can have a hypothetical Mega flood by assuming that a extreme event can be successively occurred with a certain time interval. 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time interval between continuous events in order to simulate Mega flood. Therefore, the continuous extreme rainfall events are determined with IETD then Mega flood is simulated by the consecutive events : (1) consecutive occurrence of two historical extreme events, (2) consecutive occurrence of two design events obtained by the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We have shown that Mega floods by continuous extreme rainfall events were increased by 6-17% when we compared to typical flood by a single event. We can expect that flood damage caused by Mega flood leads to much greater than damage driven by a single rainfall event. The second increase in the flood caused by heavy rain is not much compared to the first flood caused by heavy rain. But Continuous heavy rain brings the two times of flood damage. Therefore, flood damage caused by the virtual Mega flood of is judged to be very large. Here we used the hypothetical rainfall events which can occur Mega floods and this could be used for preparing for unexpected flood disaster by simulating Mega floods defined in this study.

      • KCI등재

        Mega Sport Event and Social Capital: A Host Community Perspective Comparison in Korea and the US through Social Conflict Theory

        Seong-Hee Park,Michael Cottingham,Won-Jae Seo 한국유통과학회 2018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9 No.9

        Purpose – The current study is to compare the cognition of stakeholders on hosting a mega sports event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o understand their cognition and perceptual conflict towards hosting a mega sports event, the study employed conflict theory. Furthermore, the study reviewed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 mega sports ev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f homogeneous sampling,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criterion-based selection approach were used to collect interview data from key stakeholders who have been involved in hosting a mega sports ev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depth interview transcripts were reviewed multiple tiems after transcription to extract concepts and meanings that were pertinenet to the experience involving hosting a mega sports event. Further member checks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the results. Results –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stakeholders of Korea have a strong desire for positive economic effects of a mega sports event, compared to those in the United States who are more concerned in enhancing the public interests and concerns. Second, in Korea, various socio-political issues emerged at the same time and conflicts among multiple stakeholders have aggravated the situations to coordinate the issues. This was because legal system supporting socio-trust has not been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major stakeholders of the United States consisted of community members who have socio-trust and networks. Thereby these social resources have been found playing a key role in building social capital that assists the stakeholders to coordinate the current issues and to solve them. Conclusions –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cognition and perceptual conflict of stakehoders in a mega sports event. Social capital has beend found as a key catalyst to increase a network and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In order to enhance social capital in managing a mega sports event hosted in Korea, legal systems that establish network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stakeholders need to be developed. Furthermore, the systematic guideline needs to be developed, organizing the sub-committe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takeholders and the categorized common needs.

      • KCI등재

        메가이벤트 개막식 퍼포먼스의 도상학적 분석 -영국과 한국의 올림픽 개막식을 중심으로-

        홍장선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2 No.-

        국가 차원에서 준비되는 대규모 이벤트인 메가이벤트는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다. 메가이벤트 가운데서도 식전 행사인 개막식 퍼포먼스는 세팅된 국가의 이미지를 전 세계로 전달하는데 좋은 도구이자 수단으로 널리 사용된다. 개발도상국은 말할 필요도 없고, 선진국 역시 메가이벤트의 행사를 통해서 자국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역사나 문화 요소 가운데, 민족의 우수성을 한 번에 표출한 수 있는 스토리를 통해 거대 담론을 전달하는 매개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의 국제적 메가이벤트 가운데에서,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개회식과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회식을 대상으로 두 개의 올림픽 개막식에서 어떤 국가 이미지가 어떠한 방식으로 상징화 되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런던 올림픽 개막식과 평창 올림픽 개막식의 퍼포먼스를 대상으로, 이를 보려는 자와 전달하려는 자의 교차지점을 욕망의 충돌지점으로 인식하고, 두 욕망이 근대성의 스펙타클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할 것이다. 메가이벤트 퍼포먼스는 일치하지 않는 두 욕망을 이어주는 통로를 모색하지만, 실제는 대상의 입장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해석을 진행하게 된다. 보여지는 것과 보려하는 것, 전달하려는 것과 전달되는 것은 주체의 타자화, 타자의 주체화와 같은 복잡한 현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서, 미술사 연구방법인 파노프스키의 도상학을 통해 메가이벤트의 퍼포먼스 현상을 전(前)아이코노그래피 단계 - 아이코노그래피 단계 - 아이코놀로지 단계로 구분해 분석할 것이다. 메가이벤트의 스토리를 하나의 거시적인 이미지로 구성해서 파노프스키의 도상학을 통해 국가간, 민족간, 역사간, 문화 간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다. 각각의 영역에서 분석해 본 다각적인 해석을 통해 영국과 한국의 차이점에 대한 단계별 본질과 실질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The mega-event, a large-scale event prepared by the state,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world. Among mega events, the opening ceremony performance, a pre-ceremony event, is widely used as a good tool and a means to convey the image of a leading nation around the world. Not to mention developing countries, developed countries are also promoting their own excellence through mega events. Among the el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the excellence of the people is used as a means of conveying a big message through contents that can express at once.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national image was symbolized at the opening ceremonies of the two Olympics, with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2 London Summer Olympics an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respectively, among the recent international mega events. As for performances at the opening ceremony of the London Olympics an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PyeongChang Olympics, the intersection of those who want to see and those who want to convey is perceived as a collision point of desire, and analyzes what the desire of the two means in terms of the spectacle of modernity. Mega event performance seeks a way to connect two different desires, but in reality it is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arget. What is seen and what is being seen, what is being delivered and delivered, provides complex phenomena such as typography of the subject, and self-reliance of the batter. To analyze this phenomenon, we used the Iconography of Panofsky, a method of research in art history, and we will analyze the performance phenomena of mega events by dividing them into the Pre-Iconography stage - Iconography stage - Iconography stage. The story of the mega event is composed of one macro image, and the analysis between countries, peoples, histories, and cultures is carried out through Panofsky's Iconography. Through various interpretations analyzed in each area,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nature of the step-by-step differences between Britain and Korea.

      • KCI등재

        메가 이벤트의 개념에 따른 연구동향 분석 : KCI 관광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손선미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2018 이벤트 컨벤션 연구 Vol.14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concept of a mega event and analyze the trend of mega event research on published article in KCI tourism journals and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total of 123 articles, which were related to Mega Event, Olympics, World Cup and World Fair(EXPO) were collected for the content analysis. Result- Findings showed that researches on the mega event were much performed, but a few studies have identified mega event. On the basis of a review of existing definitions, this paper defined a mega event as follows: events of huge investments at the central government, involvi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ing a transformative effect on the hosting city, and attracting all of the world people.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mega events have been studied mainly on three subjects as national image, event impact, and visitor behavior. Conclusions- Finally the discussion proposes more arguments on the concept of mega event and on the subject of study.

      • KCI등재후보

        메가이벤트(Mega-Event)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지역주민의 참여행동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김미경 ( Mi Kyung Kim ) 관광경영학회 2010 관광경영연구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behavior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success of mega-event. As the determinants of residents` participation behavior in mega-event, resi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perception of effects of mega-event were tested in this study.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residents in Daegu, which will be held IAAF International Championships in 2011.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wo types of participation behavior in Mega-event were classified: participation in preparation process and participation during the event. Regarding resi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resident`s interest in athletic sports affect both types of participation behavior in mega-event. The study also reveals that residents` perception of positive economic, social, cultural impacts of the event affect both types of participation behavior. Residents` perception of negative environment impact also affect their particip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residents to perceive the positive effects of mega-event. It helps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event by themselves which is an importance factors of successful mega-ev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