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이어트 목표수준이 목표달성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목표시점과 실행의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종철,정형식,김상훈,김영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motivation factors influenced on diet goal attainabilit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we focused on the effect of goal levels(high vs. low) rather than goal progress levels. Also, we postulate that the goal distance and implementation intentions play an essential moder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goal level and goal attainability. We conducted two studies to support our hypothesis. First, participants rated high goal attainability when the goal level was low(vs. high), the goal distance was far(vs. near) and the implementation intentions were low(vs. high). Als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wo-way interactions, study 1 revealed that as goal level decreases, consumers tend to evaluate in more positive manner to the goal attainability regardless of goal distance. On the other hand, when goal level was high(vs. low), participants rated high goal attainability of diet when was goal distance was far(vs. near)(H1). In Study 2, we found that the effect of goal level was differed by implementation inten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2, even if dieters had high(vs. low) level for diet goal, they rate high goal attainability of diet when implementation intentions were high(vs. low)(H2). Finally, we found that the certainty plays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goal level and goal attainability(H3). We may draw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heoretically, we developed a step further in research in goal level and its related studies. 본 연구는 다이어트 맥락에서 다이어트 목표달성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다르게 목표달성에 대한 목표달성정도(goal progress level)에 초점을 두지 않고, 자신의 목표수준(goal level)에 따라 다이어트에 대한 목표달성가능성이 달라지는지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다이어트 목표수준이 목표달성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조절요인으로 다이어트에 대한 목표시점(연구 1)과 다이어트에 대한 실행의도(연구 2)의 효과를 제시하였다. 두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답자들은 다이어트에 대한 목표수준이 높은 경우보다 목표수준이 낮은 경우에 목표달성가능성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응답자들은 다이어트 목표시점이 가까운 경우에 비해 먼 경우에 다이어트에 대한 목표달성가능성을 더 높게 지각하였으며, 다이어트에 대한 실행의도가 낮은 경우에 비해 실행의도가 높은 경우, 다이어트에 대한 목표달성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리고 목표수준과 목표시점 간의 이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감량목표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목표시점에 관계없이 목표달성가능성을 모두 높게 지각하였으며, 감량목표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목표시점이 가까운 경우에 비해 먼 경우, 다이어트에 대한 목표달성가능성을 모두 높게 지각하였다(가설 1). 또한, 목표수준과 실행의도 간의 이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감량목표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다이어트에 대한 실행의도에 관계없이 목표달성가능성을 모두 높게 지각하였으며, 감량목표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실행의도가 낮은 경우에 비해 실행의도가 높은 경우 다이어트에 대한 목표달성가능성을 높게 지각하였다(가설 2). 끝으로 목표수준이 목표달성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목표시점과 실행의도의 효과는 목표달성에 대한 확신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3).

      • KCI등재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전환교육 실행수준과 실행역량에 관한 인식 특성

        김영한 ( Young Han Kim ),강소영 ( So Young Ka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reement, practice, and implementation capacity level of teachers at a special school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best practice of transition education in order to specifically figure out the implementa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at such schools. The subjects include 175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postsecondary teachers at 18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across the nation in 2012. They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had a higher agreement level for transition education than practice level. Second,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had an average level of implementation capacity for transition education and exhibited mutual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implementation capacity factors of transition education. Finally, as for relations between the teachers’ practice recognition level and implementation capacity for transition education at special schools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implementation capacity had more positive relations with the practice level than the agreement level.

      • KCI등재

        교사들이 지각한 교사로서의 개인적 특성과 교수ㆍ학습 실행의 수준

        오은순(Oh Euns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사들은 자신의 개인적 특성이 어느 수준이며 교실에서의 교수ㆍ학습 실행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인식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이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답한 교사들은 개인적 특성 모두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다만, 학생에 대한 기대수준에서는 타 지역 교사에 비해 읍면지역 교사들이 낮은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학생의 발달과 학습에 대한 이해 능력에 대해서는 낮은 경력 교사에 비해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교수ㆍ학습 실행에 있어서도 설문에 응답한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다만,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과 질문에 있어서는 대도시2가, 내용에 적합한 학습 과제와 활동, 학습 주제에 적합한 교수법 활용에 있어서는 학업성취도 상 집단이, 그리고 평가에 있어서는 대도시1이 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학습참여 독려에 있어서는 읍면지역 집단이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eachers’ traits and instruction-learning implementation perceived b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rvey was the method 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in the basis of the National School Achievement Test result. The 177 teachers were selected from the highest 5th level and the lowest 5th level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most of the respondents are in the higher level of the teachers’ traits. However, in terms of teacher’s expectations to students, teachers in suburban districts show a lower level of expectation than the other district groups. And teachers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show higher level of expectation than the other teachers, in terms of 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learning of the students’. Secondly, most of the respondents are in the higher level of instruction and learning implementation. Especially, in terms of teacher-student/ student-student interaction, teachers in metropolitan city 2 shows a higher level of interaction than the other district groups. And in terms of learning tasks and activities customized to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for learning themes, teachers of the schools with high achievement shows higher level than low achievement groups. In terms of evaluation, teachers in metropolitan city 1 show higher level than other district groups. However, teachers in suburban district have significantly lower level in terms of encouraging engagement compared with the other district groups.

      • 공공기관 기후변화 적응정책 집행 영향요인 분석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박기정(Ki-Jeong Park) 한국공기업학회 2023 공기업논총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in public institutions at the policy execution level.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and execu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in public institutions, concrete implications were derived.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key factors that affect the execution level of specific adaptation polici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Finally, an analysis method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etailed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ere identifi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surveys showed that whether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were reflected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daptation measur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is higher when climate adaptation measures are pursued by accommodating the demand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at there is great practicality in developing customized measures for each region due to the nature of such measures. The result that regions with poor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greater interest in related measures have a higher level of implementation implies a need for pursuing environmentally friendly projects that are more locally tailored, rather than uniform adaptation measure programs. Policy directions should be shifted towards increasing the interest of local communities in climate change. Second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higher the understanding of the implementation guidelines related to adaptation measures at the headquarters, the higher the level of implementa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for adaptation measure managers at the branch office is less than three years, the guidelines related to adaptation measures at the headquarters should be written in a way that is easy for frontline staff to understan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ducation and promotion at the headquarters to enable staff to easily understand adaptation measures. Currently, related education mainly consists of seminars and academic conferences for top managers involving headquarters staff and experts, so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education for branch office staff, taking into account the opinions of in-depth interview experts. Overall,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experiential education and promotion activities for branch offices and local residents. 본 연구는 최일선 현장 지사 조직 단위의 적응대책 집행수준을 분석함으로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지역사회와 높은 연관성을 갖고 수립·집행되기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이행 담당자로서 정책 추진상황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최일선 지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양적 분석을 하였으며,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상위 조직을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정책 집행 최일선 조직의 사업 및 관리시설 여건, 조직현황, 정책 이행에 대한 모니터링 여부 등이 기후변화 적응정책 집행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집행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양적 조사 결과 적응대책 이행과정 시 지역주민 의견의 반영 여부가 집행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여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추진하는 경우 집행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이며, 적응대책의 특성상 지역별 맞춤형 대책이 큰 실효성이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주민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부족한 인식을 개선하고 관련 대책에 많은 관심을 가진 지역일수록 집행수준이 높아진다는 결과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획일적인 적응대책 사업보다는 지역 친화적인 환경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강력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이 선회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적응대책 관련 본사의 이행지침 이해도가 높을수록 집행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와 더불어 지사의 적응대책 담당자 평균 근무 기간이 3년 미만임을 고려하면 본사의 적응대책관련 지침은 일선 담당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작성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담당자들이 적응대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사의 교육과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관련 교육은 주로 본사의 담당자와 전문가들을 참여시키는 상위 관리자에 대한 세미나와 학술대회 위주로 되어 있다는 심층 면접 전문가의 의견을 고려하여 지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전체적으로 고려했을 때 지사와 지역주민에 대한 체감형 교육 및 홍보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적응대책은 단순히 예산만 투입하고 계획만 수립한다고 해서 성과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적응대책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이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중·장기적인 기후변화 적응대책 효과성 평가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하다.

      • KCI등재

        특수학교 중・고등부 특수교사의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행 인식 및 실행도 분석

        조현주,박윤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2 No.3

        본 연구는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학교 중·고등부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인식을 파악하고 중·고등부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과정 실행도에 따른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각 실행 집단이 실행 인식에서 가지는 특징을파악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전국특수학교 중·고등부 특수교사 22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기술통계 및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교육과정 이해 및 실행 인식과 재구성 실행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중·고등부 교사 모두 기본 교육과정 해당 학년군 내용을 그대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고등부 교사가 생활기능과 진로와 직업교육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는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실행 및 재구성지원 요구는 중·고등부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실행도 집단 간 실행인식의 차이는 비실행 집단이 다른 상위 수준의 실행 집단에 비해 교육과정 실행 인식 영역전반에 걸쳐 낮은 실행 인식 수준을 나타냈다. 이러한 특수학교 중·고등부 특수교사의 기본교육과정 실행 관련 인식의 특징을 토대로 중등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및 교육과정재구성 역량 강화, 교사교육 자료와 연수 홍보 및 확대, 과정별·학년별 전문적 학습 공동체운영 등을 통한 인식 및 실행도 제고 방안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operating under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in terms of perception. A total of 222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an online survey.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group differences analysis,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a major result, first, among the three sub-areas of perception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the percep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reconstruction were moderate. The demand for support about the implement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was high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based on the level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non-executing groups showed a lower level of perception for implementation in all sub-areas of perception compared to other higher levels of executing group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pecial schools, ways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teachers for curriculum literacy and reconstruction, promote the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materials and workshops, and operat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each course and grade level were discussed to improve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 KCI등재

        자폐성 장애 학생의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한 교육적 지원 요소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박현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the implementation level of instructional factors using circumscribed special interest For this purpose, 294 special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were survey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nstructional factors using circumscribed special interest. was ‘very important’, bu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slicely lower than the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 of instructional factors using circumscribed special interest, the degree of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mplementation level.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education of participants. In other words, the longer the teaching career and the higher education,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higher.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이 연구는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한 교육적 지원 요소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정도는 어떠한지,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정도는 교사의 연령이나 성별, 교직 경력,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혹은 교육기관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특수교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본 설문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제한된 특별한 관심을 활용한 교육적 지원 요소가 자폐성 장애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행 수준은 ‘비교적 잘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전반적으로 중요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실행 수준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변인에 따른 중요도 인식수준과 실행수준을 살펴본 결과 중요도 인식에서는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 교직경력, 최종학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에 반해 실행 수준에서는 교직 경력과 최종학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직경력과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실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기관의 특성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교육실행에 관련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20세기 초기 한국어 대우법 연구사

        양해승(Liang, Hai Sheng)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본고는 『역대한국문법대계』에 나온 20세기 초기 대우법에 관련된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대우법의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의 설정, 창립, 계승 및 발전, 확립에 대한 역사적인 흐름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알다시피 현대한국어의 대우법체계는 상대대우법, 주체대우법, 객체대우법 세 가지로 나눠져 있다. 대우법 실현방법은 주로 굴곡적, 파생적, 어휘적 방법이 있다. 위와 같은 대우법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에 따라 『역대한국문법대계』에 나타나는 대우법 이론을 고찰해 한국어 대우법 연구의 초창기, 계승 및 발전시기, 확립시기 등 세 시기로 구분하여 설정했다. 이런 시기 구분 설정 기준은 한국어 대우법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라 정한 것이다. 주시경(1910)까지는 한국어 대우법 연구의 초창기라고 본다. 이 시기에 한국어 대우법에 대한 인식이 최초로 생겼다. 김규식(1909, 1912)은 처음 한국어 상대대우법의 체계 및 등급, 그리고 실현방법을 인식했고, 주시경(1910)은 상대대우법뿐만 아니라 처음 한국어 주체대우법의 체계,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을 인식했다. 그리고 한국어 대우법의 틀을 초보적으로 체계 있게 짰다. 주시경(1910) 이후부터 최현배(1937) 이전까지는 한국어 대우법 연구의 계승 및 발전시기라고 본다. 이 시기에 한국어 주체 및 상대 대우법의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에 크게 기여한 학자는 김희상(1911, 1927), 김두봉(1916, 1922) 등을 들 수 있다. 최현배(1937)부터 정렬모(1946)까지는 한국어 대우법 연구의 확립시기라고 본다. 최현배(1937)에서는 주체 및 상대 대우법의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에 대한 연구가 한 번 더 깊어지고 체계적으로 세분화되었다. 정렬모(1946)에서는 객체대우법을 처음 인식했다. 정렬모(1946)까지는 한국어 대우법의 삼분 체계가 완전히 이뤄졌고 각 체계의 높임 등급뿐만 아니라 실현방법도 거의 다 인식되었다. 본고는 『역대한국문법대계』에 나타난 20세기 초기의 한국어대우법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학자들의 한국어 대우법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라 위와 같이 세 가지 시기로 나눠 한국어 대우법의 체계화, 높임 등급 및 실현방법의 역사적 흐름을 자세히 밝혀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s the system of Korean Respect Study"s respect level classifi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s creation period, inheritance and development period, and establishment perio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Korean Respect Study"s theory which appeared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Korean Grammar Through The Ages”. The Korean Respect Study is divided into Listener Respect, Subject Respect and Object Respect;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is mainly divided into Inflectional Method, Derivative Method and Vocabulary Method. This paper is based on these basic theories. I have studied further about the Korean Respect Study"s theory shown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Korean Grammar Through The Ages”, and I try to divide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s Korean Respect Study"s research history into Creation period, Inheritance and Development period, and Establishment period. This kind of division is based on the level of recognition to Korean Respect Study"s theory, and I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Until Ju Si-gyeong (1910), it was the Korean Respect Study"s creation period. Jim Kyu-sik (1909, 1912) first discovered Korean Listener Respect"s level classifi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Ju Si-gyeong (1910) not only first discovered Subject Respect"s level classifi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but also first systematized the Korean Respect Study, establishing the framework of Korean Respect study at a preliminary level. 2. During between Ju Si-gyeong (1910) and Choi Hyeon-bae (1937), it was the Korean Respect Study"s inheritance and development period. In this period scholars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Korean Respect Study were Jim Hui-sang (1911, 1927: Refining Korean Listener Respect Method) and Jim Du bong (1916, 1922: Discovering more implementation methods of Korean Respect Way). 3. From Choi Hyeon-bae"s work (1937) to Jeong Ryeol-mo (1946), it indicated the full establishment of the Korean Respect Study"s system. Choi Hyeon-bae (1937) not only classified the Korean Respect Study"s methods according to respect level in a more in-depth way and found more implementation methods, but also comprehensively systematized the Korean Respect Study"s implementation methods and respect level. and Jeong Ryeol-mo (1946) first found Korean Object Respect Metho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Korean Respect Study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s above, and investigates in-detail the Korean Respect Study"s level classifica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 KCI등재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수준과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의 관계

        노진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us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preschools and to explore seve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preschool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packets were distribu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out South Korea, and 12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implementation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s a resul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most frequently implement strategies in ‘organiz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s’. They generally implemented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at the medium level or below the medium level.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ased on certain variables: (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sponses to appropriate behaviors and challenging behaviors’ according to teacher age.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organiz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 according to teacher experience. (3) Except for ‘responses to appropriate behaviors and challenging behaviors’ and ‘organiz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categories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Also,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management’ and ‘support’. Furthermore, ‘institution type’ was the best predictive of implementing strategies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pre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ways to facilitate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early childhood setting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수준을 알아보고 이러한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각 지역에 있는 유아교사를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28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 부분에서 가장 높은 실행을 보이고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들을 보통 혹은 그 이하의 수준으로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었다. 이러한 실행 수준은 변인별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적절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대한 반응’에서의 실행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라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 에서의 실행이 다르게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라 ‘적절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대한 반응’,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을 제외한 모든 범주에서의 실행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리’와 ‘지원’ 영역 간에 상관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기관유형이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에 가장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을 유치원 현장에서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경력과 담당유아연령에 따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수준 및 요구

        조숙영 ( Suk Young Cho ),이용주 ( Yong Joo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본 연구는 누리과정 담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행수준과 누리과정 운영 시 요구에 대하여 경력과 담당유아연령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바람직한 실행을 위한 현직교사교육과 연수, 교재교구, 프로그램 개발 등 누리과정 정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도·강원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3-5세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담임교사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에 의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구인타당도, 평균검정과 t 또는 F값 산출, Scheffe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경력에 따른 영역별 내용의 실행수준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담당유아연령에 따른 영역별 내용의 실행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3년 미만의 경력이 낮은 교사집단에서 가장 높은 실행수준을 보였다.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실행 시 7-9년의 경력을 지닌 교사가 가장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으며, 3, 4세 교사가 5세 교사 보다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on settling the Nuri curriculum as in service teacher education, training, teaching material,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roper practice of the Nuri curriculum for age of 3-5 by investigating the implementation level and demands of teachers on contents by area of the Nuri curriculum. To do so,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on 315 homeroom teachers who practice the Nuri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for 3-5 years located in Seoul, Gyunggi-do, and Gangwon-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nstruct validity, mean test, t or F value calculation, and Scheffe post hoc using SPSS WIN 18.0. First,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contents by area according to the work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very sub domain, bu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contents by area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 group with low work experience of less than 3 years showed the highest implementation level. Secondly, teachers with 7-9 years of work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demand in the Nuri curriculum by age of 3-5, and teachers for 3-4 years of age showed higher demand compare to the teachers for 5 year olds.

      • KCI등재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유수정 ( Soo Jung Yoo ),강문숙 ( Mun Suk Kang ),김석우 ( Suk Woo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 광역시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만5세 누리과정 담당 교사 94명을 대상으로 관심도 설문지(Hall, George, Rutherford, 2001)를 누리과정 관심도 내용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 차,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관심은 무관심으로 낮은 관심을 보였으며,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있었으나, 교사의 연령, 경 력, 학력, 소지자격, 학급규모, 학급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누리과정 실행은 각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변인별 누리과정 실행수준의 차이는 근무기관, 학력, 학급규모, 학급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rn and implementation level of the Nuri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ncern and use accordingly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o analyze teachers` concern of the Nuri curriculum,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And to analyze the 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t-test, one way ANOVA and scheffe posttest were used. All these analyses were done with SPSS win 18.0.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outcomes. First, a major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rn level about the Nuri curriculum belonged to the 0 stage (perceptive concern). Then 1st stage (informational concern), 2nd stage (personal concern), 3rd stage (managerial concern) and 6th stage (refocusing concern)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There were no teachers who had concerns in the 4th (consequential concern) and 5th stages (collaborative concern). Second, the group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rn levels about the Nuri curriculu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implementation leve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Nuri curriculum are shown in descending order as follows: educational material,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educational objective, educational evaluation, and theoretical basis & characteristics. Fourth,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implementation leve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Nuri curriculu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ype, educational level, class size, and class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