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rame de l'univers figuratif dans le récit le clézien

        정옥상 한국프랑스학회 201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4 No.-

        르 클레지오의 이야기세계 속에서 인간의 드라마는 우주의 드라마와 일체를 이룬다. 그의 초기작품 속 작중인물들은 개체로서 혹은 공동운명체로서 그들 삶의 근간을 와해시키고자 하는 온갖 죽음의 위협들과 사투를 벌인다. <조서Le Procès- verbal>, <홍수Le Déluge> <전쟁La Guerre> 등에서 작중인물들의 투쟁대상은 그들 삶과 그들이 속한 세계 자체를 파괴시키고자 위협하는 온갖 혼란스러운 움직임들이다. 그것은 노아의 대홍수나 묵시록을 연상시키며 세계종말의 환상과 결부된다. 종말론적 환상 자체와 투쟁하는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작품 속에서 우주의 4원소, 물 불 공기 대지의 상호작용에 의거한 생멸의 드라마로 형상화된다. 이 드라마에서 4원소는 작중인물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행위주체 (acteur-sujet) 역할을 하며 그 행위주체들은 대부분 불쾌하거나 부정적인 양상을 띤다. 무겁고 혼탁하고 거친 물, 난폭하거나 격렬한 불, 차갑거나 뜨겁고 거센 바람, 그리고 그 적들의 공격 하에 쇠진해가는 대지 등등. 이 논문에서 우리가 acteur figuratif라는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는 4원소들이 작중인물의 의식 속에서 보여주는 양상과 상호작용에 의해 형상화되는 세계와 그것에 의해 연출되는 인간과 우주의 드라마가 바로 르 클레지오의 초기작품들이 보여주는 이야기세계다. 거기서 가장 가공할만한 역할을 하는 행위주체는 물이다. 르 클레지오의 우주 생멸의 드라마에서 중심축은 대홍수의 재앙인 것이다. 그것은 노아의 대홍수처럼 기존세상의 파괴를 전제로 새로운 세상의 탄생을 준비하는 종말론적 재앙으로 묘사된다. 그 재앙은 홍수와 화산폭발이라는 상반되는 이미지의 결합에 의해 카오스의 양상을 띠며 전개된다. 르 클레지오의 주인공들은 이 종말론적 세계의 카오스로부터 벗어나고자 사투를 벌이며 그 투쟁 혹은 전쟁은 물과 불과 공기가 합세하여 대지를 위협하는 4원소간의 투쟁으로 묘사되는 것이다. 거기서 물과 불은 한데 뒤섞여 격렬하고 거칠고 끈질기고 능동적인 공격주체로서 대지를 공격하며 그 공격을 가속화시키고 종결시키는 것은 난폭한 공기다. 르 클레지오의 우주 속에서 대지는 거의 언제나 작중인물과 동일시되는 대상으로서 수동적 양상을 띤다. 그것은 다른 원소들의 영향 하에 부단히 변질되어가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즉, 공격적인 적대자로서의 물에 의해 부패되거나 혹은 난폭한 불(태양)과 공기(바람)에 의해 점진적으로 파괴되어가는 모습으로 환기되는 것이다. 르 클레지오의 드라마는 그처럼 대홍수의 환상과 화산폭발의 영상으로 형상화되는 존재 탄생의 이야기로 시작되어, 그 생명을 무화시키려는 파괴적 움직임과 부단히 투쟁하는 개체적 삶의 이야기를 보여준 뒤, 종국적으로 그 개체적 삶이 무화되는 최후세계의 묘사로 종결된다. 르 클레지오의 주인공들은 결국 카오스의 세계에서 벗어나 모든 것이 선명하고 확실한 세계에 도달하기를 기원한다. 그 세계는 그 어떤 죽음의 위협도 없는 곳, 그 어떤 대홍수나 세계종말의 위협도 없는 곳, 오로지 건조하고 맑은 빛과 가벼운 공기로 가득한 세계로 묘사된다. 르 클레지오의 우주 생멸의 드라마는 결국 존재 (즉, 세계)가 카오스의 물과 불, 무거운 대지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명징하고 순수한 빛, 평화롭고 가벼운 공기의 영역으로 이행하는 드라마인 것이다.

      • KCI등재

        정념의 기호학과 담화 기호학의 상호보완적 고찰 -박경리의 『재귀열』을 중심으로

        홍정표 ( Jeong Pyo Hong ) 한국기호학회 2010 기호학연구 Vol.28 No.-

        Cette etude a pour but d`etudier la semiotique des passions et du discours d`une maniere complementaire. Des les annees 1980 les passions entrent dans le champ des preoccupations de la semiotique et du structuralisme par trois breches differentes. La premiere breche est ouverte par la linguistique de l`enonciation, la deuxieme breche est ouverte par le discours amoureux selon Barthes: Fragments d`un discours amoureux et la troisieme breche est celle ouverte dans la semiotique narrative par la theorie des modalites. En 1979 le premier article de Greimas "De la modalisation de l`etre" laisse entrevoir la possibilite d`une semiotique des passions. Apres avoir fait beaucoup d`efforts grace a ces trois theories, Greimas et Fontanille publient La semiotique des passions en 1991. Dans le deuxieme chapitre, on explique le changement de la methodologie: du parcours generatif(niveau des preconditions, niveau semio-narratif et niveau discursif) aux deux formes complementaires. Dans La semiotique du discours, oeuvre que Fontanille a publie en 1999, il affirme que le parcours generatif doit etre reevalue, et que les textes peuvent etre analyses sous deux formes: les constituants modaux et les exposants tensifs. Aux premiers correspondent la typologie des modalites et la modalisation comme construction de l`identite des actants alors que pour les exposants tensifs les variations graduelles d`intensite et d`etendue expriment des proprietes elementaires de la perception. Ce type d`analyse est ensuite appliquee au texte Jeguyeol. Au troisieme chapitre, sont examines de nouveaux schemas du discours: les schemas tensifs et le schema passionnel. Le deroulement d`une sequence passionnelle obeit a des variations de tensions qui dessinent un schema passionnel canonique que l`on applique au texte. La veuve Sun-Souk aime Young-Mine, le frere cadet de son mari decede qui lui ressemble beaucoup. Mais Young-Mine a une petite amie, Nane-Woo. Lorsqu`elle l`apprend, Sun-Souk se suicide par desespoir. On applique ce processus aux nouveaux schemas du discours. Au quatrieme chapitre, on applique au texte les autres dispositifs et instruments: la sequence modale associee de la jalousie, le parcours fiduciaire et la modalisation veridictoire. Comme dans le texte il y a deux relations triangulaires, on applique a la sequence modale associee la relation triangulaire de Suh Sang-Chul(S1), Ha Young-Mine(S2) et Nane Woo(O). Au cinquieme chapitre on prevoit au moins six types d`affleurement textuel de la passion, en toute independance de sa lexicalisation. Ce sont les codes somatiques, thymiques, modaux, perceptifs, rythmiques et figuratifs. La definition commune a ces six types de codes en fait l`expression de la tensivite, appliquee aux differentes dimensions de la structure discursive. Finalement on trouve les phrases correspondantes aux six codes dans le texte.

      • KCI등재

        형상어(figuratif)와 개념어(thématique)의 기호학-의미론적 분석

        조국형 ( Jho Gook-hyu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6 프랑스어문교육 Vol.22 No.-

        본 논문은 텍스트기호학의 분석에 있어서 텍스트의 서술담화구조 분석(analyse de la structure narrativo-discursive)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텍스트의 의미론적 분석에 관한 논문이다. 텍스트기호학의 의미론적 분석에서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들 중 여러 형상어가 어떤 개념과정을 거쳐서 주제화(thématisation)가 되는 지를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텍스트의 서술담화 구조에는 주인공이 가치목적(objet

      • KCI등재

        기호학-la sémiotique-을 통한 문학텍스트 분석 시도 - 모파상의 단편 『우산』 Le parapluie을 중심으로 -

        노현희 ( Ro Hyun-hi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3 프랑스어문교육 Vol.16 No.-

        Le but de ce travail est de présenter, non la théorie sur la sémiotique du texte littéraire, mais un essai d'analyse d'une nouvelle de G. de Maupassant, relativement courte,Le Parapluie, par l'application de la sémiotique comme la "science qui étudie les textes, manifestés dans les énoncés d'une écriture donnée", d'après A. J. Greimas et L'école de Paris. Dans la nouvelle édition des oeuvres de Maupassant dans la collection de La Pléiade en 1974,Le Parapluie est présenté comme un "conte qui, en ses implications, est significatif d'une société marquée par l'essor du capitalisme." Et le parapluie n'y est pas de son usage habituel pour les personnages : pour l'un signe de considération, pour l'autre un capital. Ainsi l'auteur observerait, "avec lucidité, une dégradation des valeurs qu'il traduit sous un aspect farcesque." Ce travail consiste donc à savoir, par l'application de la méthode d'analyse sémiotique, si l'on arrive au même résultat du sens du texte, ou si celui ci contient d'autres réseaux de sens qui échapperaient à sa lecture rapide et historico sociale, et par là à présenter un des instruments d'analyse du texte littéraire qui pourrait conduire aux sens imprévus qui s'y cachent. Par l'analyse des programmes narratifs et discursifs, et des parcours figuratifs des différents éléments du texte, on arrive à constater que s'y décrit un itinéraire d'une quête de soi de l'héroine, de la réalisation de sa nouvelle identité de 'nature androgyne', parallèle à celle de l'objet parapluie. Le texte invite ainsi le lecteur à déchifrer toujours les multiples réseaux de ses sens.

      • 요한 묵시록의 여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이혜정(Lee, Hyejeo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2 No.-

        이 글은 가장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성경 텍스트들 가운데 하나인 요한 묵시록에 대한 기호학적 독서에 기여한다. 성경 연구 분야에서는 새로운 독서와 해석의 제안이 될 것이고, 기호학이라는 특수학문 분야에서는 성경 텍스트들과 관련해 몇몇 새로운 측면을 탐구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제1장은 요한 묵시록에 대한 전반적 개관과 독서를 위한 문제 제기에 해당한다. 요한 묵시록의 핵심 메시지는 어려움에 처한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위로와 희망인데, 그것만으로는 성경의 다른 텍스트들과는 다른 요한 묵시록만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설명 부족이라는 문제가 남는다. 이 문제와 관련해 특히 12장은 전투 이야기 안에서 흥미로운 변화가 나타나 있을 뿐 아니라 그 형상들의 놀이가 책 전체와 연관되므로 중요하다. 제2장에서는 요한 묵시록에 대한 독서의 실제가 다루어진다. 이러한 독서 실제는 특히 요한 묵시록 전체 안에서 12장의 여인(그리스어로 γυνη)을 중심으로 등장하는 여인의 형상들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 제자벨(2장), 여인(12장), 거대한 창녀(17장), 어린양의 신부(19장과 21장). 제3장은 여인의 형상에 대한 독서에서 나타난 요구사항들과 변화들에 대한 평가이다. 요한 묵시록 안에서 중요한 것은 여인의 정체보다는 여인이 맺고 있는 관계이며, 요한 묵시록의 여인은 이 세상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우상 혹은 우상들에 미혹됨으로부터 벗어나 하느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도록 오늘 우리를 재촉한다. 요한 묵시록의 여인은 그렇게 하느님과의 만남에로 우리를 초대한다. 우리의 작업은 사실 기호학이라는 새로운 이론이나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언제나 독서와 해석을 촉구하는 성경에 대한 기호학적 독서를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작업은 우리를 뜻밖의 모험으로 이끌 것이며, 우리는 그로 인해 언제나 놀라고, 상상하며, 텍스트와 담론의 작용들을 읽고 싶어 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창조를 위한 영적인 여정을 계속할 수 있게 될 것이다. Ce travail contribue à une lecture sémiotique du livre de l’Apocalypse, qui est l’un des textes bibliques les plus argumentés. Dans le champ des études bibliques, il s’agira de renouveler la lecture et l’interprétation. Dans la sémiotique comme discipline spécifique, il s’agira d’exploiter certains aspects nouveaux en fonction de la particularité des textes bibliques. La première partie concerne à donner l'aperçu global et lancer le problématique pour la lecture du livre de l'Apocalypse. Le message central de l'Apocalypse est le réconfort et l'espérance pour les Chrétiens en difficulté. Or il reste le problème du manque de l'explication sur la particularité de son texte, qui n'est pas le même par rapport aux autres de la Bible. Concernant à ce problème, le chapitre 12 est important, parce qu'il y a une transformation intéressante dans le récit de guerre, mais aussi le jeu des figures qui est en lien avec l'ensemble du livre. Dans la deuxième partie, on traite une pratique de la lecture de l’Apocalypse. Cette pratique de la lecture est pour analyser surtout les figures féminines qui se manifestent autour de la femme(γυνη en grec) du chapitre 12 dans l'ensemble de l'Apocalypse : Jézabel(ch.2), femme(ch.12), grande prostituée(ch.17) et épouse de l'Agneau(ch.19 et ch.21). La dernière partie s'est donnée pour évaluer les exigences et les évolutions apparues dans la lecture des figures de la femme. L'importance n'est pas l'identité de la femme, mais la relation dans laquelle est elle. La femme de l'Apocalypse nous précipite aujourd'hui à échapper du tromperie de l'idole ou des idoles existant en formes diverses dans ce monde et écouter la Parole de Dieu. Elle nous invite ainsi à la rencontre avec Dieu. L’objectif de notre travail n’est pas en effet de proposer une nouvelle théorie ou méthodologie sémiotique, mais une pratique sémiotique de la Bible qui est toujours au service de la lecture et de l'interprétation. Cela nous conduira à une aventure inattendue où il nous faudra toujours tenter de surprendre, d’imaginer, d'écrire les opérations du texte et du discours. Par là, nous continuerons notre parcours spirituel pour une création nouvelle.

      • KCI등재

        메를로-퐁티와 세잔

        신인섭(In-Sup Shin)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6

        현상학적 철학은 예술을 사유에 이를 수 있는 의미를 지닌 하나의 표현 형태나 언어로 해석하려 한다. 예술작품이 표상을 넘어서는 한, 예술이 물질성 편에 남아 있는 한, 예술이 종래와 같은 종류의 언어가 아닌 한, 내재적 의미는 여전히 살아있는 것이다. 하지만 예술이 진화함에 따라 의미의 내재성은 이제 의문시되고 있다. 특히 현상학적 반경 내의 철학자들이 집착하는, 예술에 이를 수 있는 진리의 위상 역시도 의혹을 사고 있는 것이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생트 빅투아르 山 모티브를 되새김질하는, 세잔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철학적 분석을 예술 일반에도 적용해야 할 것인가? 예술이 어떻게 은밀하고 뿌리 깊은 지각의지 내지 지각에 대한 심층탐구 의지를 통해 스스로를 규정하는 지를 가늠해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한국화에 대한 기억

        김경연(Kim Keongeyu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2 No.-

        Lee Sook-ja(1942- ) is one of representative painter in Korean Coloured painting. She also had written many articles and books on Korean Modern Painting. So far, study of Lee Sook-ja is based on written datas such as documentary records, criticism and press report by writers and critics. This writing is showing that oral history can offer different point of views on existing study of painters against written datas. Lee Sook-ja found out “legitimacy of Korean coloured painting” and realized the concept of “Hankookhwa” at this time on her thesis about the research of modern oriental painting for Hong-ik graduate school. Thru her oral statement about the thesis, we can understand the process that the concept of “Hankookhwa” in early 1970’s is understood by a certain artist’s subjective judgement and imprinted on her inner world. In 1973, Lee Sook-ja came into conflict with masters since she was given the term “ Hankookhwa” to her paintings in her first exhibition. The term of “Hankookhwa” in 1970’s is related with the fight for hegemony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It is shown thru the conflict with between masters Chang Woo-sung, Cheon Keong-ja who object using the term and Lee Sook-ja. Rising painters named their paintongs as “ Hankookhwa” against painters of middle standing who kept academic style. Therefore, the term of “Hankookhwa” is not a clearly defined. Rising painters are using this term with various meanings. In 1970, it had multi-layered meanings according to Sookja.Lee’s oral history about the conflict against the term. It was possible thru her voice records with turbulent emotions and criticism, which can not be found in historical written records. Lee Sook-ja is remembering that she has devoted her entire career to research on Hankookhwa since the first exhibition. Mostly plain texts described her works as “Hankookhwa”. Her memory about previous works affected the most of critics. On the contrary, oral history analyze the memory of painters. According to above, it is given various possibilities on painter studies viewed in this historical making the term “ Hankookhw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