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

        정운채(Jeong, Un-chae)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3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가 어떠한 의도와 지향을 가진 용어인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치료학의 서사는 장르 및 매체를 넘어선 이해에 도달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둘째, 문학치료학의 서사는 사건보다는 인간관계에 주목함으로써 삶의 문제를 전면에 드러내는 데 역점을 두는 것이다. 셋째, 문학치료학의 서사는 작가 및 독자에 대한 연구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문학치료학의 서사는 설화에서 그 원형성과 활성화의 계기가 잘 포착된다. 다섯째, 서사의 주체는 등장인물의 수만큼 설정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작품 속에 잠복되어 있는 여러 개의 서사를 분석해낼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독자가 동일시하고 있는 서사의 주체가 누구인가를 분석함으로써 독자 수용의 다양성을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해와 공감의 전략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일곱째, 서사의 주체가 문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주목함으로써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모색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intention of using two terms in literary therapeutics which are "epic", and "an agent of epic".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has to be organized in order to get to the heart of the matter in a literary work. Therefore,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is beyond genres and media. Second,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reveals the problems in our lives focusing on relationships rather than an event. Third,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functions as a method for studying an author and a reader. Fourth, prototype of epics and the opportunity of vitalizing epics can be easily seized through folklore. Therefore, folklore should be preferentially studied. Fifth, the number of agents of epic can be established as the number of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Therefore, through the agents of epic, various epics can be analyzed from one literary work. Sixth, after analyzing the agent of epic which the reader identifies oneself with, the diversity of readers" acceptability can be revealed concretely. Therefore, a strategy of understanding and sympathy can be established. Seventh, focusing on an agent of epic can help to find a cause of a problem in the agent of epic not from other. Analyzing how the agent of epic deal with the problems can help to plan the fundamental solution of the problem.

      • KCI등재

        Jangar-un aman ulamjilal-un bagural doroiital-i sudulahu-iin uchir

        D.Taya 한국몽골학회 2022 몽골학 Vol.- No.70

        Epic is one of the worldwide spread oral traditions. Current studies of epics mainly concern the origin and formation of epics influenced by studies of Homer Issue. That is to study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epics based on its written text, taking Greek epic as a model. As to the decline and digression of epics, scholars insist Marx’s viewpoints, specifically, ‘some arts, for instance epics, are accepted by everyone, in this regard, when art production appears as art production, it would not be created same as the ancient classical format which has significant of time in world history’, and consider epics were created in the age of barbarism, and would decline naturally in civilized society. ‘Marx and Engels said Iliad, Odyssey were created in later stage of barbarous society or earlier stage of civilized society, they never said worldwide epics were created in that stage’. For example, Mongolian epics were still prevailing until early 20th century, and some new contents were added then. Some scholars consider epics as the product of ‘a people’s uncivilized stage’ or ‘undeveloped era of art’. In fact, ‘it does not exceed of hundred years since Mongol epics was recorded in scripts the first time. And some are still alive among the people, and some new epics are found till recent days. Mongols have changed and updated the epics with new awareness in various historical stages, instead of remembered the ancient version without any changes.’ While observing the research history of epics, we would find researchers have paid close attention to the origin, development and changes of epics, and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decline of epics. In the article, the author argues the study of decline of Jangar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vanishing history of dead epic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cherishing and spreading existing oral tradition.

      • KCI등재

        Монгол тууль судлалын зарим нэг асуудалд

        노로브냠 한국몽골학회 2016 몽골학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ults of studies on Mongolian epics and problems with the studies in an effor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Studies conducted by western researchers, especially Russian ones, have been given a heavy weight in research on Mongolian heroic epics. A lot of studies approached Mongolian heroic epics from a perspective of the poetics of history or from a standpoint of literature, such as comparing them with other genres of oral literature, investigating their relationship with documentary literature or comparing oral versions with documentary ones. In and after the late 20th century, lots of studies approached these epics from a viewpoint of anthropology or folklore, and the matter of passing heroic epics onto the next generations was highlighted. Korean researchers have already pointed out that there's something wrong with the way that the West looks at East Asian heroic epics by its own standard for western one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recent Korean studies on oral epic poetry were introduced, and it's suggested that the Korean methodology also should be applied to research on Mongolian heroic epics. That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building a theory of oral epic poetry as well. As for another problems with the studies of Mongolian heroic epics, the necessity of the standardization of terms, the necessity of classification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omparison between Mongolian heroic epics and the oral epic poetry of surrounding countries, especially those of East Asian countries, were all suggested. Specifically,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Mongolian and East Asian heroic epics is expected to be instrumental in determining the transition of heroic epics.

      • KCI등재후보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설정을 위한 예비적 검토

        정운채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agnostic epics in order to establish problem items for the epic of self tes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ruit of this paper is selecting the diagnosic epics, and establishing standards on the basis of wholesome epics. <The Liver of Son and Stepmother>(the epic of dividing parents), <Sun and Moon, Brother and Sister>(the epic of pushing parents), <My Own Good Fortune>(the epic of recovering parents), <Bridge and Mother>(the epic of protecting parents), <Whip and Virgin>(the epic of dividing the opposite sex), <Fox Jewel>(the epic of pushing the opposite sex), <Woman’s Beauty and King’s Counselling>(the epic of recovering the opposite sex), <Bathing with Beautiful Woman>(the epic of protecting the opposite sex), <Tears of Husband’ Soul>(the epic of dividing mate), <Tiger’s Eyebrows>(the epic of pushing mate), <A Centipede Woman>(the epic of recovering mate), <Generous Husband>(the epic of protecting mate), <Cow and Roof>(the epic of dividing children), <Young Son and Old Father>(the epic of pushing children), <A Firewood Seller and Borrowing a Good Fortune>(the epic of recovering children), <A Daughter-in-law Becomes a Mother-in-law>(the epic of protecting children) are those. Second, another important fruit of this paper is analyzing the diagnostic epics by systematic concepts. Self and world, principle and desire, confidence and doubt, pursue and transcendence are those systematic concepts. Third, another important fruit of this paper is arranging the diagnostic epics into six paragraphs. On this base we will be able to establish problem items for the epic of self test. 이 논문의 목적은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설정을 위한 전제들을 점검하고 진단서사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번 논의의 가장 중요한 성과는 뭐니 뭐니 해도 열여섯 개 서사영역 각각을 진단하는 데 필요한 진단서사를 서사영역별로 하나씩 선정한 것이고, 또한 서사 전개의 결과 인간관계의 주체가 궁극적인 성공에 이르고 있는 건강한 서사를 선정하여 진단서사의 기준으로 내세운 것이었다. 부모가르기서사의 <간 뺏길 뻔한 전처 아들>, 부모밀치기서사의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부모되찾기서사의 <내 복에 산다>, 부모감싸기서사의 <효불효 다리>, 이성가르기서사의 <역적 누명과 회초리>, 이성밀치기서사의 <여우 구슬>, 이성되찾기서사의 <여색 멀리하는 신하 깨우친 임금>, 이성감싸기서사의 <여인과 목욕하고 금부처가 된 남자>, 배우자가르기서사의 <고부곡어황천>, 배우자밀치기서사의 <호랑이 눈썹>, 배우자되찾기서사의 <지네 각시>, 배우자감싸기서사의 <도량 넓은 남편>, 자녀가르기서사의 <지붕에 소 올리기>, 자녀밀치기서사의 <칠십생남비오자>, 자녀되찾기서사의 <복 빌린 나무꾼>, 자녀감싸기서사의 <장모가 된 며느리> 등이 그것이다. 둘째, 다음으로 중요한 성과는 선정된 진단서사를 나(self)와 세상(world), 법칙(principle)과 소망(desire), 확신(confidence)과 의혹(doubt), 추구(pursue)와 초극(transcendence) 등의 개념 체계에 따라 분석한 것이다. 예컨대 부모가르기서사의 <간 뺏길 뻔한 전처 아들>의 경우 인간관계의 주체로 부각될 수 있는 인물은 전처 아들이고, 대상으로 주목할 인물은 계모인데, 전처 아들의 주요한 관심은 모진 ‘세상’과 엄숙한 ‘법칙’이고, 계모를 대하는 시선에는 ‘확신’이 있으며, 계모와의 관계를 통하여 기존 가치를 ‘추구’하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셋째, 또 하나 중요한 성과는 선정된 진단서사들을 모두 여섯 개의 단락으로 정리하여 동일한 기준과 비중으로 문항을 설정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놓았다는 것이다. 서사 전개의 구체적인 장면에서 생겨나는 세부 사항들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대체로 비슷한 국면에 초점을 맞추어 줄거리를 정리한 것은 장차 마련할 문항들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효자 호랑이’ 설화의 사회서사와 소통의 철학

        손석춘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2 No.-

        이 논문은 사회서사 이론으로 ‘효자 호랑이’가 등장하는 두 편의 설화를 분석하고 그에 담긴 소통의 철학을 탐구했다. <호랑이로 변한 남편> 설화에서 남편은 비범한 능력을 얻었지만 ‘어머니 구원’―‘민중 구원’―에 실패한다. 부부가 서로의 심층에 자리한 사회서사를 인식하지 못한 채 소통마저 시도하지 않음으로써 벌어진 비극에서 우리는 두 가지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첫째, 독선적 실천서사의 경계다. 실천서사를 심층에 지닌 남편은 아내에게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설득하지 않았다. 물론 아내가 순종서사에 사로잡혀 있기에 쉽지 않겠지만, 그럼에도 아내가 왜 그런가에 대한 이해와 사랑으로 소통해야 옳았다. 설화에서 우리는 민중의 고통스런 현실을 바꾸려면 주체 스스로 성찰을 통해 독선적 실천서사를 벗어나야 하고, 지배질서에 포획되어 있는 사람들이 서사변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적극적이면서도 열린 소통이 필요하다는 민중의 세계관을 읽을 수 있다. 둘째, 굴종적 순종서사의 성찰이다. 아내는 ‘밤’에 남편이 ‘호랑이’로 변하는 모습을 보았는데 ‘인간’으로 돌아왔을 때 소통하지 않았다. 심층에 지닌 굴종적 순종서사가 위험한 까닭이다. 양반계급 체제에서 사회화되며 가슴 깊은 곳에 똬리 튼 순종 서사가 결국 민중 자신에게 어떤 고통을 빚어내는지 깨우쳐 준다. 누구나 자신의 심층에 어떤 사회서사가 자리하고 있는지 내면의 자기서사와 접속하고 성찰해야 한다는 소통의 철학을 발견할 수 있다. 독선적 실천서사와 굴종적 순종서사의 문제점과 그들 사이의 소통 부족이 파국을 불러일으킨 교훈이 <호랑이로 변한 남편> 설화에 담겨 있다면, <효자가 된 호랑이 형님> 설화는 실천적 사회서사가 불러올 수 있는 변화를 담고 있다. 두 설화에 담긴 소통의 의미는 지금도 민중의 고통이 이어지는 데서 찾을 수 있다. 그 고통을 해결하려면 굴종적 순종서사와 독선적 실천서사를 벗어나 민중 스스로 소통에 나서야 한다. This essay analyzed two tales featuring the ‘filial tiger’ using the ‘social-epic theory’ and explored the philosophy of communication contained in the analysis.. In “The Husband Who Turned into a Tiger”, the husband has extraordinary abilities. However, he fails to ‘save his mother’ and ‘save the people’. The couple failed to recognize each other’s deep social-epic and did not even attempt to communicate. We can find two current meanings in this tragedy. First, it is a caution against self-righteous practices-epic. The husband has a deep practice-epic. However, he did not communicate his actions to his wife. This was not easy because the wife had obedience-epic. Nevertheless, it was correct to communicate with the wife with understanding and love. In order to change the painful life of the people, the subject must escape from the self-righteous practice-epic. Active and open communication is needed so that people in the dominant order can also participate in change. Second, it is a reflection on humiliating obedience-epic. After seeing the husband turn into a 'tiger' at night, the wife never communicated. This is why the obedience-epic located deep within is dangerous. It reflects how the obedience-epic engrained through socialization in the aristocratic class system eventually causes pain to the people themselves. Everyone should connect and reflect on their inner self-epic to see what kind of practice-epic is located deep within them. The problem of the self-righteous practice-epic and the humiliating obedience-epic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brought about the catastrophe. If the lesson is contained in the tale of “The Husband Who Turned into a Tiger”, the tale of “The Tiger Brother Who Became a Filial Son” contains the positive changes that the practice-epic can bring about. The current meaning of the lesson contained in the tale of the ‘Filial Tiger’, which consists of two tales in the first and second part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people’s suffering continues even today. In order to alleviate the pain, people must communicate on their own, breaking away from the humiliating obedience-epic and the self-righteous epic.

      • KCI등재

        공격성을 중심으로 읽는 설화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와 건강한 서사로의 길 내기를 위한 서사지도 구축

        김혜미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89 No.-

        This study is a basic work to design a media over-immersion VR literature therapy program. Among the media over-immersion factors, epics showing aggression were selected and discussed in literary therapeutics. In the fork tale "Betting With Strength and Worried About Brother," the younger brother was set as an agent of an epic. The younger brother's aggressive behavior was explored through the literary therapeutics concepts of "principle" and "desire." In "Betting with Strength and Worried About Brother," the younger brother is born strong, but his sister is stronger. The younger brother behaves aggressively by murdering his older sister. He expresses his aggression by principlizing his desire. The aggression revelation process eventually kills the older sister, an act that reflects the strongest from of the younger brother's aggression. In this study, the younger brother, who has aggressive tendencies, was set as an agent of an epic, and an aggression control method was explored. For this purpose, an epic map was constructed. First, we searched for an epic featuring an aggressive character like the younger brother. Next, the propose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ggression of an agent of an epic was explored. First, we explored and analyzed tales involving others' attempts to control the younger brother's aggression. Next, we explored and analyzed a story in which the younger brother controls his aggression through his own will. These are "Brother-In-Law's Treason Plan" and "Betting With Strength and the Sister Who Became Maitreya," respectively. However, the characters failed at principlizing their desires, and desire was put in the realm of desire. Aggression was controlled accordingly. In this study, three stories were compared and examined with a focus on aggression, and the branch point of the epic was explored. An epic map was then constructed that facilitated choosing different paths in the same problem situation. Changing the epic of the self begins with choosing a different path at the epic's branch point.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to help alleviate aggression through epic map guidance. 본 연구는 미디어 과몰입 VR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미디어 과몰입의 요인 중 공격성을 보여주는 설화를 선정하여 문학치료학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구비설화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에서 남동생을 서사의 주체로 보고, 남동생의 행동을 문학치료 서사이론의 ‘법칙’과 ‘소망’의 개념을 통해 공격성이 발현되는 원리를 탐색하였다.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는 공격성을 가진 인물인 남동생이 더 비범한 능력을 가진 누이와의 관계에서 공격성을 전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서사라고 할 수 있다. 남동생은 자기 소망을 법칙화시켜 소망이 법칙의 영역 안에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격성을 발현하게 된 것이다. 공격성을 발현하는 과정은 누이를 죽이는, 공격성이 가장 강력한 형태로 드러나게 되기도 하지만. 결국은 자기 자신까지 파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적 성향을 가진 남동생을 서사의 주체로 보았을 때, 공격성을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서사로의 길 내기를 가능하게 할 서사지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남동생과 같이 공격성을 가진 인물이 나타난 서사를 탐색하고 그 서사의 주체들이 공격성을 제어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먼저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의 남동생과 같이 공격성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 등장하지만, 타의에 의해 소망을 법칙화하지 못하고 소망을 소망으로 견지하고 있는 경우로 설화 <역적모의한 장사와 여자 겁탈한 장사>를 선정하였다. <역적모의한 장사와 여자 겁탈한 장사>는 공격성을 가진 인물인 의형제가 자신들보다 더 힘세고 비범한 인물을 만나 공격성을 제어하게 되는 서사이다. 의형제는 사람들에게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여 자기 소망의 법칙화가 될 수 있도록 조정하여 소망이 상대에게 절대성을 발휘하도록 만들었다. 하지만 의형제가 자신들보다 보다 더 힘 센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서사의 분기점에서, 소망을 그대로 소망으로 간직하게 되는 사건을 맞이하여 타의에 의해 공격성을 발현하지 않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의 남동생과 같이 공격성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 등장하지만, 자의에 의해 소망을 법칙화하지 않고 소망을 소망으로 견지하고 있는 경우로 설화 <오뉘 힘내기와 미륵이 된 누이>를 선정하였다. <오뉘 힘내기와 미륵이 된 누이>는 공격성을 가진 인물인 남동생이 더 비범한 능력을 가진 누이와의 관계에서 스스로 공격성을 제어하게 되는 서사라고 할 수 있다. 남동생은 자기 소망을 법칙화시키기 않고, 소망이 단지 소망의 영역 안에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공격성을 발현하지 않게 된 것이다. 공격성을 스스로 제어하는 과정은 결국 새로운 생명의 창조행위까지 이어져 자의에 의해 공격성을 발현하지 않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을 중심으로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 <역적모의한 장사와 여자 겁탈한 장사>, <오뉘 힘내기와 미륵이 된 누이>를 비교하여 살펴보고, 서사의 분기점을 탐색하였다. 서사의 분기점을 통해 공격성향을 보이는 동일한 문제 상황에서 건강한 방향으로 가는 서사지도를 구안하였다. 자기서사의 변화는 서사의 분기점에서 이제와 다른 길을 선택함으로써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문학치료 프로그...

      • 루마니아 구비 서사요(口碑 敍事謠) 연구

        김정환(Kim, Jeong-hwa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루마니아의 구비서사시는 역사적 서사시의 경우 전통적 서사시의 경향을, 그리고 비(非)역사적 서사시의 경우는 문학적 서사시의 특징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유형적 측면에 있어서 루마니아 구비서사시는 영웅과 의적을 위한 서사의 노래, 이야기 시, 발라드, 전설이나 일화와 같은 서사적 이야기 등을 내포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역사적․非역사적 사건과 그에 관련된 영웅을 노래한다는 점에서의 ‘보편성’과 영웅 서사요, 의적 서사요, 이야기 시, 발라드(譚歌) 그리고 서사체 이야기에 나타나는 ‘특수성’을 지닌 루마니아의 구비서사시는 신비적․신화적 서사시 또는 그러한 내용을 담은 구술적 서사시체로부터 발원되어 일반적으로 영웅 서사요, 의적 서사요 그리고 민중 봉기를 담은 노래로 발전하였다. 크게 운문체과 산문체의 형태로 나뉘어지는 루마니아 구비서사시의 두 범주는 테마적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표현 방법의 범주에서도 명확히 선을 긋기가 쉽지않다. 일반적으로 루마니아 구비서사시는 광의의 의미에서 볼 때 운문 서사시체(Epice în versuri)와 산문 서사시체(Epice în proză)로 분류되며, 협의의 의미에서는 환상적․신화적 서사시, 영웅 서사시, 역사적 의적(義賊) 서사요, 산문체의 발라드 등을 하위갈래로 가지는 서사요(cântecul epic)로 이 해된다. 루마니아의 구비 서사요는 신화와 역사의 경계에 머물며 ‘금기에 대한 침해와 반사적 지탱의 주제적 유형과 같은 강제적 기능을 가진 신비적노래’와 ‘괴물과의 싸움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영웅의 태도에 관계된 신비한내용’의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This work centers on how epic songs of initiation in Romanian epic are constructed and how these epic songs figure in the larger Romanian narrative tradition. Romanian oral epics show the tendency of traditional epic in the case of the concept of historical epic and in other case, that is in the case of non-historical epic it shows the tendency of literary epic. Also, in the aspect of style, Romanian oral epics show us very diverse figures which include some kinds as epic songs for hero or chivalrous robber, narrative poetry, ballads, epic tales like legends or anecdotes etc. Traditionally, Romanian oral epics maintained two main characteristic s:‘universal validity’ which praise highly heroes related with historical events or non-historical events and ‘particularities’ which appeared in the heroic epic songs, chivalrous robber's epic songs, narrative poetry, ballad, epic tales. Under these characteristics, Romanian epic songs originated in the narrative epic which contains contexts as in the fantastic (mysterious) epics or mythic epics and these developed into various genre like the epic songs for hero, chivalrous robber or public revolt etc. Two categories of the Romanian oral epics which include the literary style in verse and in prose are very difficult to define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from a thematic point of view or a expressive point of view. In spite of this analytic difficulty, it is possible to divide Romanian oral epics, in the larger sense, into the Epic in verse and the Epic in prose, and in the narrow sense Romanian epic is generally represented by epic songs as the heroic epic song, historical chivalrous robber's epic song, fantastic or mythic epic and narrative ballad. Romanian epic songs have two distinguishing marks which were lo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myth and history:the ‘mysterious content’ which concerned the hero's attitude as it comes into view to the struggle with the monster and the ‘fantastic song’ which has the compulsory function as infringing on taboo or typical theme.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와 문학연구의 새 지평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21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가 문학연구에서 어떠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은 텍스트 차원의 서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를 통하여 말하고자 하는 바의 서사에 초점을 맞춘다. 둘째, 작품이나 인생은 텍스트로서 세 개의 선이 충분히 이어지지 않은 삼각형 그림에 해당하고, 작품서사나 자기서사는 서사로서 우리들 마음속에서 메꾸어 이어진 삼각형에 해당한다. 셋째, 인생은 자기서사 가운데 현실성을 획득한 것이 표출된 것이다. 넷째, 작품은 인생으로 표출된 자기서사가 작품서사로 전환되어 발현된 것, 인생으로는 표출되지 못한 자기서사가 작품서사로 전환되어 발현된 것, 자기서사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자기서사와 다른 작품서사가 발현된 것 등의 경우가 있다. 다섯째, 작품서사는 작품에 대한 인지도식의 역할을 하며, 자기서사는 인생에 대한 인지도식의 역할을 한다. 여섯째, 하나의 작품에는 등장인물의 수만큼 많은 서사의 주체가 있으며, 그만큼 많은 서사가 얽혀 있다. 일곱째, 서사의 주체가 동일시의 대상이어서는 안 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effect 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and the study of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focuses on beneath the text not on the surface. Namely, it places the focus on the meaning of the text. Second, `a literary work` or `one`s life` are considered as text which are on the uncompleted triangular form, whereas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self` are on the connected triangular form in our mind. Third, only `the epic of self` which acquired reality can be expressed as life. Fourth, there are three ways of making `a literary work`: in case of expressed `the epic of self` changed to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case of unexpressed `the epic of self` changed to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in case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unlinked to `the epic of self` manifested under the permission of `the epic of self`. Fifth, while `the epic of literary work` takes a role as cognitive diagram for `a literary work`, `the epic of self` takes a role as cognitive diagram for one`s life. Sixth, the number of agents of epic can be established as the number of characters in a literary work. Hence, multi-epic can be composed from one text. Seventh, One shouldn`t identify oneself with the agent of epic.

      • KCI등재

        서사의 다기성(多岐性)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3 No.-

        이 논문의 목적은 서사의 다기성이 문학연구에서 어떠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사의 다기성(多岐性)이란 서사가 진행되는 동안 요소요소마다 서사의 분기점(分岐點)들이 있고, 이 분기점에서 다른 서사로 나아갈 수 있는 서사의 갈림길들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문학치료학적 견지에서 볼 때 하나의 서사에 대한 이해는 그 서사에 대한 공감(共感)이며 공명(共鳴)이다. 따라서 그 서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서사와 공명할 수 있는 동일한 서사가 우리 내면에 이미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셋째, 서사를 기억한다는 것은 서사가 진행되는 동안 만나게 되는 서사의 분기점들에서 어떠한 서사의 갈림길을 선택해나갈 것인지를 기억하는 것이다. 넷째, 서사는 하나의 시뮬레이션(simulation)이다. 우리들에게 서사가 중요한 것은 서사의 분기점에서 서사의 갈림길을 선택해 나갈 적에 어떠한 상황이 전개될 것인지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서사가 시뮬레이션으로서의 구실을 제대로 해내기 위해서는 그 서사와의 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서사와의 거리를 확보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될 수 있으면 많은 서사들을 기억하는 것이다. 여섯째, 문학연구자로서 우리들은 세상에서 벌어지는 각종 현상들에 대해서도 서사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안철수와 박원순 현상은 <복 빌린 나무꾼>의 서사로 설명해볼 수 있고, 부(富)의 재분배나 기업의 사회적 기여의 문제는 <소작농이 치성하여 유지한 최부자>의 서사로 바라볼 수 있는 것이다. 일곱째, 서사의 다기성은 문학연구에 두 가지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다. 하나는 작품의 의미에 대한 보다 깊은 성찰에 이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작품의 위상을 분명하게 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시뮬레이션 자체의 의미를 깊이 천착할 수 있다는 것과, 다른 시뮬레이션들과 두루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verify the important role of divergence of epic in the study of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vergence of epic refers to turning points of epic. Progressing epic has several branch points which have a possibility of turning into a different epic. Second, from a literary therapeutic view, understanding epic is same as sympathizing and resonating of that epic. In order to underst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epic of self which can resonate with the epic of literary work should be built inside. Third, remembering the epic means remembering the choice from a turning point of epic. Forth, epic is a simulation. It can show us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after the choice from a turning point of epic. Fifth, to make epic to function properly, a distance from that epic should be secured. Remembering as many epic as possible is the way of securing a distance. Sixth, as a literature researcher, we need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and phenomena with epic. For instance, `Dr. An and Mayor. Park`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with the epic of < A woodcutter who borrowed fortune >, and `redistribution of wealth` can be explained with the epic of < A tenant`s devout prayer and a rich landowner >. Seventh, divergence of epic can open a new horizon of literary researches in two ways. First of all, it can lead us to a deeper way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literary work, and clear the status of literary work. In other words, it can make us to pursue the meaning of simulation itself, and make possible to compare with other simulations widely.

      • KCI등재

        자기서사' 발견과 동일성 회복의 글쓰기: 최인호의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연구

        서덕순(Seo, Duk-Soon)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이 논문은 문학치료학만의 독특한 개념인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개념을 인문학적 맥락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문학치료학이 작품분석의 방법론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설화뿐만이 아니라 만화나 게임과 같은 서사 유형 또한 문학치료학의 '진단서사'로 유용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인호의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는 만화적/게임적 서사 구조가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작품의 주인물이 만화적/게임적 서사를 '진단서사'로 활용하여 '자기서사'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 서사'로 나아가는 과정이 작품의 주 내용을 이루고 있어, '서사지도' 개념을 활용하여 작품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서 '작품서사'로 기능하는 다양한 서사들, 즉 친구 H의 이야기, P교수의 이야기, <세일러문>과 <파워레인저> 이야기들은 모두 K에게 '진단서사'로도 기능한다. K는 소설의 전개 속에서 분절적 지점마다 이러한 '진단서사'를 접하면서 자신에게 내재된 '자기서사'와의 거리감을 표명하면서 그에 공감하거나 혹은 반감을 느낀다. H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반감을 느끼고 P교수의 이야기에는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면서 일종의 서사지도를 형성하게 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심리적 이상을 발견하는 식이다. 여기서 K의 심리적 이상이란 주변의 인물들이 빅브라더의 명령에 의해 자신을 속이고 있다는 일종의 망상증인데, 다양한 '작품서사'를 접하는 가운데 주변의 인물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이 잘못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문제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발견함으로써 K는 '완전한 나'를 회복할 기회를 얻게 된다. 그 기회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기원으로의 회귀를 의미하기도 하고 '기원'과 원형적으로 닿아있는 '죽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작품서사'로 등장했던 수많은 주변 인물들과 작별하고 K는 죽음, 혹은 재탄생을 맞이한다. 이는 인지하지 못했지만 K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던 '자기서사'의 완결이자 새로운 '자기서사'로의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수많은 주변 인물들의 등장은 '자기서사'의 경험적 재구성이며 이를 통해 K의 분열적 정체성은 경험을 통합하는 '서술적 정체성'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find a possibility as to whether literary therapy can be utilized as methodology of literary work analysis by reinterpreting a concept of 'epic of self' and 'epic of literary work', a peculiar concept only in literary therapy, from humanistic context. Also, this paper proposes a viewpoint that a narrative type such as a cartoon or game as well as a folktale can be utilized as 'diagnosis epic' in literary therapy. In Choi Inho's 『Familiar Others' City』, cartoon/game-style epic structure is positively utilized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comprise of the process in which main characters discover 'epic of self' by using cartoon/game-style epic as 'diagnosis epic' and, through this, proceed into 'healthy epic', so that this is convenient to analyze by utilizing a concept of 'epic map'. In 『Familiar Others' City』, various epics which function as 'epic of literary work', that is, all of a story of friend H, a story of professor P, stories of <Sailormun> and <Power ranger>, etc. function to K as 'epic of literary work'. K, as he contacts such 'diagnostic epic' at every segmental point through development of a novel, expressing a sense of distance from 'epic of self' inherent in self, sympathizes with or feels hostility to it. Feeling hostility toward H's story and recognizing professor P's story as it is, he forms a kind of epic map and finds his psychological ideal in it. Where, K's psychological ideal is a kind of reticulosis that persons around him deceives self by order of Big Brothers, in the midst of contacting a variety of 'epics of literary work', he gets to realize that it is not persons around him but the very himself who was wrong. By discovering causes of problems from self, K gets to have an opportunity to be able to recover 'complete self'. The opportunity, as examined before, means a reversion to the origin, and also means 'death' connected to 'the origin' circularly. Departing from lots of persons who appeared as 'epic of literary work', K greets death or re-birth. Though not realized, this can be completion of 'epic of self' inherent in the self of K and a turning point of new 'epic of self'. Appearance of lots of surrounding figures is experiential re-composition of 'epic of self' and, through this, the segmental identity of K is able to proceed to 'identité narrative' of integrating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