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디지털 관련 일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여소담,한창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4 사회복지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청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디지털 관련 일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변수들간의 관계에서 디지털 기술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샘플은 2022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의 19-34세 청년 1,530명이다. 본 연구는분석방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 프로세스 매크로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 청년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높을수록 디지털 관련 일상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의 디지털리터러시 수준과 디지털 관련 일상만족도의 관계에서디지털 기술 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해 일상생활만족도의 증진을 위한실천적⋅정책적 개입 방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youth digital literacy level on digital-related daily satisfaction an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technology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literacy level and the daily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general public data of the ‘2022 Digital Divide Survey’with a study sample of 1,530 youth aged 19-34.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bootstrapping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the higher the youth’s digital-related daily satisfaction. In addition, digital technology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digital literacy level and digital-related daily satisfac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ractice and policy intervention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youth’s daily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digital literacy.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위한 탐색적 연구

        임미혜,진은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4

        Rapid progression into a digit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s meant that the center of discourses regarding future education has shifted towards digital literacy and capabilities. Indeed, the strong preference shown by Generation Z toward new media indicates the emergence of completely different ways of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than ever before. This study proposes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s one of the arts education discourses with the capacity to efficien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teracy and relevant capabilities for a digital era. The notion of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inherits and furthers the discourse of Martha C. Nussbaum, who emphasizes the liberal arts education as a crucial part of future education. Following on from this, this study argues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ims toward the realization of “imagination of praxis” through the signification of arts activities that are characterized by dialogic aesthetic experience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analysis toward new directions for arts education in a digital era, this study reviews an exemplary of “Arts Together,” a program that has been organized and successfully implemented in 2018 by SFAC(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s part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cross 103 middle schools in Seoul,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s a new practice of arts education in school. 21세기 디지털 사회 진입이 가속화하면서 미래교육의 중심 담론이 디지털 리터러시 및 핵심역량 교육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현재 디지털 Z세대로 불리는 어린이ㆍ청소년 세대의 뉴미디어 선호는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방식을 예고하고 있어 디지털 환경에서 필요한 리터러시 이해에 기초하여 교육적 접근이 달라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예술교육 담론의 하나로서 ‘인문예술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문예술교육’은 미래교육의 핵심으로 인문학과 예술교육을 강조한 Martha C. Nussbaum의 인문교양교육 논의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대화적 미적체험’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활동의 언어화 및 의미화를 통해 ‘실천적 상상력’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시대 인문예술교육의 방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 내 인문예술교육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 서울 103개 중학교 정규교육과정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울문화재단 청소년 인문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로 함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참고자료로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인문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무용에서 유튜브의 활용에 대한 연구

        민경화 ( Kyung Hwa Min ) 대한무용학회 2015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3 No.1

        Industrial societies have been transformed into knowledge-based societies with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which changes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environments. Thus dance-major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are highly required to develope adaptation capabilities and digital literac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YouTube site could be utilized to expand such abilities. As a results, it is found that YouTube can be used as dance archives, means of public relations, educational and academical resources without additional investment. Youtube will be much powerful if coupled with Google hangouts, which enhances the educational usage of Youtube.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정보화격차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책지표 개발

        신영진 한국이민정책학회 2017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2 No.1

        우리나라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국민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자정부를 추진하였고, 정 보취약계층까지 정보의 접근과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 가운데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한 결혼 이주여성의 사회구성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정보의 접근과 이용에서의 정보 격차를 최소화하는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그동안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격차정책은 정보화교육에 치중되었으며, 다문화가족을 위한 PC보급, 컴퓨터 기기 및 S/W 개발, 정보컨텐츠의 개발은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도 추진되고 있다. 더욱이 2030년까지 국내체류외국인이 국민 10명 중 1명이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되면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적절한 정보화정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해 정보통신기술과 연계한 사회적응과 경제활동을 지원하 고, 정보역량을 통해 한국사회에 적응하도록 정보화정책평가체계가 필요하다. 먼저, 결혼이주여성 을 위한 개방적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한국어, 한국문화, 다문화가정자녀 등을 위한 교육컨텐츠와 정보기기의 활용방법 등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온라인 쇼핑, 전자거래, 전자결재 등 금융서비스 를 제공하고 활용하는 경제활동과 SNS, 정보화마을 등을 통한 사회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일반적 인 정보활용수준의 향상뿐만 아니라 취업과 연계한 정보활용역량을 높이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 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화정책성과를 가져오도록 단일화된 총괄 체계를 구축하고, 사회안정과 경제활동을 지원하도록 정보습득과 정보유통의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South Korea is moving to expand the access and use of IT for the information vulnerable after improving e-government for the people using IT. In particular, while it has been improved in international marriage, it is expand the opportunity of social participation and is focusing the policy to reduce digital divide for immigrant women. For now the Policy has challenged the level of information of immigrant women focused social adaptation, economic activity, and information capabilities. Accordingly, first, South Korea should construct open information system and provide how to use educational content and information devices for Korean, Korea’ culture,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 on. Second, it needs the economic activity to provide and use financial services through electronic transactions, economic activity and the social activity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and information village and so on. Third, it should be provided education for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to link with employment as well as to improve the general utilization levels. South Korea should install unified overall system in order to bring the effective outcome for information policy for immigrant women. And then it should have the process of acquir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to support a stable social stability and economic activity.

      • KCI등재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예,이정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2 No.-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digital literacy as a future competency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22). UNESCO(2013)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as one of the 21st-century skills that students need, specifically the ability to effectively and critically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ing digital literacy is crucial for young people to secure employment, engage fully as global citizens, and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So, what ar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art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what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mean in art education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and art, and identifies five elements that constitut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art education: media literacy,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competency, online collaboration competency, critical cultural consumption competency, and visual culture consumption competency. Based on these elements, the study conducte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rt classes, and analyzed changes in their competencies through surveys, interviews, observ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shifted from being "passive consumers" to "creative producers" of art,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competency and visual culture consumption competenc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and their actual achievement, and the study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in media criticism competency.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explor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in art education. As the demand for digital literacy increases, this study offers insight into what and how art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and propos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actual learners. 교육부는 개정 2022 교육 과정에서 미래 역량으로 디지털 소양을 강조한다(교육부, 2022). 또한 유네스코(2017)의 경우, 21세기 학생들이 필요한 기술(21st-century skills) 중 ‘정보 통신 기술을 효과적이고 비판적으로 활용하는 역량’을 강조하는데 이는 청소년들이 직업을 구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과 세계 시민으로 사회에 완전히 참여(full participation)하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를 개발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미술 교과에서 주목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선행 연구들과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들을 참고해 미술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그 요소로 미디어 활용 역량, 창의‧융합 역량, 온라인 협업 역량, 비판적 문화 향유 역량, 시각 문화 향유 역량을 구성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미술 수업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수동적 감상자’에서 ‘창의적 제작자’가 되었고 이는 창의‧융합 역량과 시각문화향유 역량 함양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미디어 활용(역량)에 대해 연구자가 생각했던 요소와 학습자가 생각한 요소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취도 또한 격차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비평 역량 관련해서는 본 연구에서 진행한 프로그램 보완 및 수정 사항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 교과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관한 기초 연구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술 교과는 무엇을 어떻게 고찰해야 할 것인지 그 방향성을 실제 학습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탐색하고 제언하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이 온라인 시장민첩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외부협력 네트워크의 조절효과

        배정현,김창완 한국경영교육학회 2024 경영교육연구 Vol.39 No.4

        [연구목적]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이 온라인 시장민첩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온라인 시장민첩성이 디지털 역량과 성과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외부협력 네트워크가 디지털 역량과 온라인 시장민첩성 사이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대구 지역에서 온라인으로 영업 및 판매 활동 중인 소상공인 254명을 대상으로 네이버 오피스 설문과 오프라인 설문을 병행하여 조사하였고, SPSS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디지털 기기 리터러시와 디지털 콘텐츠 리터러시는 온라인 시장민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성과에는 디지털 기기 리터러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디지털 기기 리터러시와 성과 사이에서 온라인 시장민첩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며, 외부협력 네트워크는 디지털 기기 리터러시와 온라인 시장민첩성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지만, 디지털 콘텐츠 리터러시와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이론적으로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을 정의하고, 조직민첩성의 하위 변수로 다루던 시장민첩성을 온라인 진출이 활발한 현 상황에 맞춰 온라인 시장민첩성에 초점을 두고 이를 활용한 매개효과를 최초로 검증하였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을 세분화하여 디지털 기기 교육뿐만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 교육도 함께 병행할 필요성을 제시하며, 온라인에서 사업 중이거나 예정인 소상공인 간의 정보 교류를 위한 네트워킹 기회가 함께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Purpose]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gital capabilities of small business owners influence online market agility and performance, how online market agi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and whether external collaboration networks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digital capabilities and online market agility. [Methodology]A survey was conducted using both Naver Office online surveys and offline surveys targeting 254 small business owners engaged in online sales and marketing activities in the Daegu reg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Findings]Th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digital device literacy and digital content literac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nline market agility, but only digital device liter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formance. Online market ag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literacy and performance. Furthermore, external collaboration network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 literacy and online market agility, bu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ontent literacy and online market agility. [Implications]Theoretically, this study defines the digital capabilities of small business owners and focuses on online market agility, a sub-variable of organizational agility, in the context of active online engagement, verifying its mediating effect for the first time. From a policy perspective,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etailed training to enhance digital capabilities, encompassing both digital device and digital content education. It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networking opportunities for information exchange among small business owners who are operating or planning to operate online.

      • KCI등재

        디지털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튜터 정책 과제

        심연미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3 창의정보문화연구 Vol.9 No.1

        본 논문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기반 수업에서 우려되는 디지털 교육격차 문제, 그리고 디지털 역량 차이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결손 방지를 위해 도입되는 디지털 튜터와 관련한 정책적 과제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학생 개별 맞춤형 체계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인적 자원 확충, 특히 정규 교원 충원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둘째, 디지털 튜터 정책의 목표와 디지털 튜터의 역할, 배치 기준 등 구체적인 계획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디지털 튜터의 근무 여건, 처우 개선 및 지원 체계가 지속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정책의 안정성과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디지털 기반 교육 및 디지털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인적 자원 확충 계획이 우선 수립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미디어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이연승,최유정,박종명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2022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미디어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디지털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보육교사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인식을 알아본 결과, 20~29세가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력에 따른 인식을 알아본 결과, 컴퓨터리터러시․지식리터러시에서 대학원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인식을 알아본 결과, 5년 미만의 경력이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기관 유형에 따른 인식을 알아본 결과, 직장어린이집이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담당학급에 따른 인식을 알아본 결과, 만3~5세 유아반이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미디어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구조를 밝혀줌으로써 향후 보육교사의 디지털미디어리터러시 수용․활용을 촉진하는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디어 교육의 딜레마와 방향성 검토 : 한국과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성우(Sung-Woo Park),장지순(Ji-Soon Chang)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5

        ‘미디어 시대’라 불릴 만큼 디지털화되고 개별화되어진 미디어는 이미 우리 사회의 전반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에서 미디어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위한 법적, 제도적 규정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담론투쟁 역시 매우 치열하다. 미디어 교육의 토대이면서 동시에 실천 동력이기도 한 이러한 법, 제도적 규정의 문제는 많은 경우 국가의 책임이자 권리이기 때문에 각 정부의 입장과 태도에 따라 그 중요성이 결정되기도 하고, 때로는 과도한 산업적 영향력 아래 놓여 여러 현실적 부침을 겪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교육의 선진국으로 오랫동안 인정받아 온 영국이 현재 처해있는 미디어 교육과 관련한 현실적 문제들을 특히 개념적 규정에서의 어려움과 미디어 교육의 쇠락을 중심으로 다룬다. 이와 함께 우리의 미디어 교육의 현황과 쟁점들이 소개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을 통한 사례연구이다. 결국 포괄적 관점에서 미디어 교육은 자국 정부의 주요 정책 변화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진다. 하지만 우리는 미디어 교육에서 차별성을 기능적, 도구적 관점을 넘어선 사회통합적 결과물을 만들어내려는 시도와 디지털 시민성과 연계된 교육을 실시하는 데서 찾아야 한다. 미디어 교육의 핵심 방향은 개인적인 고유한 시민들의 미디어 능력을 개발하는 것에 정책적 역량을 동원하여 개인별 미디어, 디지털 능력 향상을 위한 목소리를 높이는데 있다. Digitalised and personalised media permeate our everyday lives in the ‘media age.’ Accordingly, discourse disputes for educational approaches to media become very severe in a global scale, including South Korea. These matters of the legal understanding and definition of media education as a foundation and facilitator of it usually depend on each state, so the meaning of its importance is decided by respective authorities’ opinion and attitude as well as their industrial influences. This paper deals with the difficulties of conceptual defining of the real issues of media education in UK which has been long regarded as an advanced country of this area. And Korea’s cases related to above issues are also described. Furthermore, this approach broadly reveals the limitation of media education depending on their states’ major agendas and strategies.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ture review through case study. Throughout these, this research hopes to bring a relevant suggestion for urgent our media education which requires legal setting in these days. However, we could find meaningful differences in media education in an attempt to produce social integration outcomes beyond functional and instrumental perspectives as well as in conducting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here. The core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in South Korea is to raise voices for improving individual media and digital capability by mobilizing policies to develop every citizen’s own distin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