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와 청나라의 궁중연악 비교 고찰

        박은옥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4 No.-

        The royal court banquet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functions in the Korean and Chinese royal court, and a study on the use of music at a banquet can be a very important clue to understanding the Korean and Chinese royal court music and art. Until now, Korean and Chinese scholars have been conducting various studies on their royal court banquet music (kungjung yŏnak 宮中宴楽), and achieved considerable success. However, as few studies have been done to compare the royal court banquet music of Korea and China, this paper selected similar periods, i.e. the Chosŏn 朝鮮 period and the Qing 清 Dynasty, and investigated and studied the royal court banquet music. Also, the royal court banquet music was studied in two aspects, that is, performanc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performers. Unlike the yŏak 女楽 (female entertainers) performance which could be found in both naeyŏn 内宴 (banquet for female) and oeyŏn 外宴 (banquet for male) throughout the Chosŏn period, yŏak was performed only in naeyŏn, and Changagwŏn 掌楽院 (Royal Music Institute) did not have any yŏak who was in charge of ak 楽 (music), ka 歌 (singing) and mu 舞 (dance). Under these circumstances,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royal court banquet, oebang yŏgi 外方女妓 (kisaeng 妓生 from outside of Seoul) were selected or women with ŭinyŏ 医女 (medical profession) and ch'imsŏnbi 鍼線婢 (seamstress slaves) participated in performance, which was a new aspect of the Chosŏn period. The Qing Dynasty abolished yŏak soon after its foundation, and never used yŏak again since then. As yŏak in the royal court banquets of the two countries declined or abolished, i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the previous period. Due to the abolition of yŏak, the royal court banquet music of the Qing Dynasty was performed by eunuchs and civilian musicians (belonging to waixue 外学) and the musicians of neighboring ethnic groups and countrie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eunuchs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performance of the royal court banquet music. Additionally, Chŏngjae 呈才 (royal court dance) was the main component of the royal court banquet music of the Chosŏn period, which has the comprehensive royal court music style consisting of music (ak 楽), singing (ka 歌) and dance (mu 舞). On the contrary, the royal court banquet music of the Qing Dynasty consisted of singing and dancing, hŭigok 戯曲 (plays), chaphŭi 雑戯 (miscellaneous acrobatics), and the music and culture of neighboring ethnic groups, and civilian musical art, such as hŭigok and chaphŭi, takes up the largest par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male performers. Most of them were court musicians and male dancers in the Chosŏn period, whereas most of them were eunuchs in the Qing Dynasty.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holding a royal court banque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Chosŏn period peace, the strengthening of the authority of the king, and the longevity of the king were emphasized, while in the Qing Dynasty the tradition of Manzu 満洲 and the harmony among ethnic groups and countries were regarded as important. 궁중연향은 한국과 중국의 궁중에서 매우 중요한 하나의 행사이며, 연향에서의 음악 사용상황에 대한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궁중음악예술을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단서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과 중국의 학자들은 본국의 궁중연악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를 해왔고, 적지 않는 성과를 얻었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의 궁중연악에 대한 비교연구는 아직까지도 미미한 상태에 처하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비슷한 시기인 조선후기와 청나라를 선정하여 궁중연악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궁중연악을 연구할 때에는 공연내용과 공연인원구성의 두 가지 측면을 가지고 규명하였다. 조선후기의 여악은 전기에 내․외연의 연향에서 여악의 공연을 모두 발견할 수 있는 점과 달리 내연에서만 공연을 하며, 장악원에서도 악・가・무를 전문적으로 담당한 여악을 따로 두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궁중연향의 필요에 따라 외방여기를 선상하거나 의녀, 침선비들로 하여금 공연에 참여하게 한 조선후기의 새로운 양상을 나타나게 된다. 청나라는 건국한지 얼마 되지 않아 바로 여악을 폐지하였으며 그 이후에도 여악을 사용한 적이 없다. 두 나라 궁중연향에서의 여악은 쇠퇴하거나 폐지된 양상을 나타냄으로 이전 시대와 다른 특징을 가진다. 여악의 폐지로 인하여 청나라 궁중연악의 공연은 내시와 민간악인(外學소속), 주변 민족 및 나라의 음악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내시는 궁중연악의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조선후기의 궁중연악에서는 정재가 주가 되며, 악․가․무의 종합적인 궁중음악형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청나라의 궁중연악에서는 가무, 희곡, 잡희, 주변 민족 및 나라의 음악문화 등으로 구성되며, 희곡과 잡희 같은 민간음악예술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리고 남성공연자의 구성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며, 조선후기는 주로 악공과 무동, 청나라는 주로 내시로 구성된다. 이외에 궁중연향을 베푼 목적에서도 두 나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선후기는 국가의 평화와 왕권의 강화, 그리고 임금 또는 왕의 만수무강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에 청나라는 만족(滿族)의 전통과 민족․나라간의 화합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

      • 중국 궁중연향악무의 형성과 역사적 변천

        남종진 ( Nam Jong-jin )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16 민족무용 Vol.20 No.-

        The origin of the Chinese court banquet dance(宮中宴樂) is related with an ancient legend that king Qi(啓) of Xia(夏) dynasty enjoyed Jiu-Ge(九歌) at Damu(大穆). However, it was at the time of Western Zhou(西周) dynasty that it was institutionalized in Chinese court. The Chinese court dance of the time was performed following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music/dance of courtesy as in the case of the dance for royal court ritual and rite. However, in Eastern Zhou(東周) dynasty, secular dance that was popular among the people flew into the court to be banquet dace which came to occupy a major portion of court dance, which reflects the social trend of seeking pleasure of the time. This change provided people with a momentum to reflect deeply on the nature and function of dance and music. In Han(漢) dynsty,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dance began as various dance items of neighboring countries specially western regions spread to China. The national music/dance institute(樂府, Yue-Fu) was established in the royal court to accept and manage secular, foreign music/dance along with other various amusements. When it came to the time of Wei-Jin-Southern and Northern(魏晉南北朝) dynasties, the royal court banquet dance became more diverse as all kinds of dance were harmonized regardless of their origin and identity. Then a Chinese dance called Qingshang-Yue(淸商樂) and other foreign dance items were trained and performed under the management of a music/ dance institution called Qingshang-Shu(淸商暑). Further, the Seven Kinds of National Music/Dance(國伎七部) were established as the main items of royal court banquet music/dance at the time of Northern Zhou(北周) dynasty. In Tang(唐) dynasty, Chinese court banquest music/dance came to be at the height of its prosperity while accepting and harmonizing many secular, foreign dance numbers, and establishing highest aesthetic, artistic value. At that time, national system of court music/dance was founded to educate court artists, compose new items. Specially, court banquet dance becam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royal cout culture as it was related to all of court rites and realized the balance of art and entertainment. The court banquet music/dance of the time was represented by Ten Main Kinds of Music/Dance(十部伎), Two Main Kinds of Music/Dance(兩部伎), Dynamic Dance(健舞, Jian-Wu), Elegant Dance(軟舞, Ruan-Wu) and Da-Qu(大曲). At the time of Song(宋) dynasty, court banquet dance withered while secular dance among people developed. In the royal court, Group Dance(隊樂, Dui-Yue) that curtained Da-qu of Tang period was popular as court banquet dance. Afterwards, Group Dance(Dui-Yue) continued to be performed in the royal court of Yuan(元), Ming(明), Qing(淸) dynasties but declined gradually while losing creativity due to its formal rigidness and its popularity was taken by Chinese Opera(戱劇, xi-ju) newly developed as a royal court amusement.

      • KCI등재후보

        궁중 연향악의 포괄적 이해를 위한 교수ㆍ학습 내용 연구

        임미선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4 국악교육연구 Vol.8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offer suggestions regarding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order to ensur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yeonhyangak. As a necessary preliminary, this paper analyses the yeonhyangak related contents of 17 different middle‐school music textbooks compliant with the education revisions instigated in 2009. Through analysing those textbooks,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caused both by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listening and by providing inaccurate explanations and other mistakes. This paper then focuses on suggesting suitable cont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about yeonhyangak and for ensur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urt music in the Joseon period in general. Discussion seeks to identify those historical sources that are most appropriate for helping teachers and students to understand yeonhyangak. This paper advocates the following contents: firstly, explanation about the forms and styles of court music performance in the Joseon period; secondly, discussion of basic concepts and orchestration of yeonhyangak; thirdly, summary jeongjae (court dance with song) of yeonhyangak repertoire; fourthly, explanation about and its accompanying music; fifthly, distinction between yeonhyangak and gochwiak (lit. drumming and blowing music); and finally,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jeongjae orchestration as performed within and outside the court. This paper hopes that the explanations relating to yeonhyangak presented in this paper may be of practical use in schools, helping to guide students towards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yeonhyangak within court music culture. 본 논문은 연향악의 포괄적 이해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내용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중 연향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연향악이 감상 영역에 편중됨에 따른 문제점과 부정확한 설명 그리고 내용의 오류를 검토하였다. 분석과 검토를 통해서 드러나는 문제점과 한계를 진단하면서 연향악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위한 요소를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궁중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더불어 연향악을 이해하는 데에 긴요한 내용과 유용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연향악의 포괄적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 내용으로서 연향악의 기본 개념, 연향악의 악기 편성 이해,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연주 형태, 연향악의 악곡 종류, 정재와 반주음악, 연향악과 고취악의 구별, 궁중과 민간의 정재 반주 악기편성의 차이 등의 내용을 다루었다.

      • KCI등재

        영조(英祖) 17~19년 악기·악학(樂學)의 재정비와 그것의 정치적 함의

        윤태양(Yun Tae yang) 국립국악원 2017 국악원논문집 Vol.36 No.-

        조선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는 재위 기간 동안 예악(禮樂)의 문제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정치적으로도 재위 17년(1741) 이후 신임옥사(辛壬獄事)에 대한 신원(伸冤) 조치 등을 실시하고 이조(吏曹) 낭관(郎官)·한림(翰林)의 추천권 개혁, 사원(祠院) 훼철 등의 정치적 사업이 진행되면서 안정적으로 왕권을 행사하였다. 영조 17~19년 동안 악(樂)에 대해 영조가 보인 관심과 그에 기반을 둔 국가적 사업 또한 이러한 왕권의 행사와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사업으로 황단(皇壇, 大報壇)의 아악기(雅樂器) 제작 사업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재간 및 「어제악학궤범소서(御製樂學軌範小序)」의 작성, 「하황은(荷皇恩)」의 작성을 꼽을 수 있다. 영조 17년에 진행된 황단 아악기 제작 사업은 출범 당시에는 영조가 두드러지게 개입하지 않았으나, 세종 조에 제작하였던 편경(編磬) 유물이 발견되면서 영조가 이를 친견(親見)하는 등 영조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후 영조는 이연덕(李延德)으로 대표되는 악기조성청의 인원과 활발히 접견하면서, 황단 아악기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도 악기의 제작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며 관련 사업을 진행하였다. 그 시기상 이는 영조의 권위를 확고히 하고자 황단 아악기 제작사업을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조 18년 『악학궤범』이 재간된 것은 이상의 상황을 배경으로 하였다. 이 때 영조는 「어제악학궤범소서」를 작성하여 국초의 황은과 세종 조의 “대거예악(大擧禮樂)”, 그리고 영조 본인이 진행한 악(樂) 정비 사업 등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를 매개로 숙종(肅宗) 대의 진연(進宴)을 의식하여 효(孝)를 강조하는 발언을 하면서 그에 대한 우호적 태도를 드러냈다. 이어 영조 19년에는 다소의 우여곡절이 있었으나 진연 개최에 대한 상소를 격식을 조정하는 조건으로 받아들여 어연(御宴)이라는 이름으로 실행하였다. 이 어연 중 대왕대비를 위한 양로연에서 영조는 「하황은」 등의 악곡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하황은」은 본인이 직접 존명의리(尊明義理)를 강조하는 새로운 사장(詞章)을 짓고 이를 『악학궤범』의 「어제악학궤범소서」와 함께 수록하도록 하는 등 직접 개입하여 본인의 정치 이념적 의지를 드러냈다. 이러한 영조 18~19년의 악학(樂學) 사업은 영조 재위 20년을 전후로 “예악형정(禮樂刑政)”을 상징하는 서적 등이 대대적으로 출간되는 것과 근접한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영조 17년 이후 정권이 안정되었음을 상징하는 조치 중 하나였다. 이후에도 영조 25년 홍무제의 황단 배향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하황은」을 이용하는 등, 영조는 이후에도 재위 17~19년을 전범(典範)으로 하여 예악을 통해 군주의 권위를 확립하려 시도하였다. 이 기간을 거치면서 악(樂)은 국초의 황은과 “대거예악(大擧禮樂)”의 시대인 세종 조, 그리고 현재의 영조 조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되었으며, 영조는 이를 당대와 후대의 정치 무대에서 활용했다. 이는 영조 17년 이후의 정치적 상황이 안정되었음을 상징하는 장면 중 하나로, 영조가 자신의 대에 정비된 “예악형정(禮樂刑政)”의 양태를 과시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King Yeongjo (r.1724~1776) of Joseon Dynasty showed great interest in courtesy and music during his reign. In other hands, he exercised stable political power after the 17th year (1741) of his reign. His interest in music from the 17th to 19th year of his reign and the national projects based on this interest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exercise of his royal authority. The project to project to make the instruments to play East-Asia Courtesy Music used at hwangdan, which was proceeded at the 17th year of his reign, started incidentally. At first, King Yeongjo didn’t intervene directly in the project. However, after the relics of pyeon-gyeong (East-Asian percussion instrument made of stone) made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ng had been discovered, King Yeongjo showed great interest in it, examining those relics in person. From this time, King Yeongjo actively met members of Akgi Joseong-cheong (Office for producing musical instruments), represented by Yi Yeondeok. Furthermore,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strument-making project, he displayed special interest in the produc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proceeded related projects. Considering the chronological sequence, it can be estimated that King Yeongjo used the instrument project to politically reinforce his royal authority. Those events became the background of the republishment of Akhawgwebeom (Book on the Standard of Musical Study) at the 18th year of his reign. When this book was republished, he drew up The Short Preface of Akhakgwebeom by King Yeongjo. In this text,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mperial benevolence at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great development of courtesy and music” at the period of King Sejong, and the projects of King Yeongjo himself to reorganize music. In addition, using the book as a medium to remind bureaucrats of jin-yeon (court banquet) at the time of King Sukjong, he uttered the words accentuating filial piety, showing his favorable attitude toward King Sukjong. Although there were difficulties, he finally holded eo-yeon (royal banquet) in the 19th year of his reign. King Yeongjo directed to use hymns including Hahwangeun (Hymn to appreciate the imperial benevolence) during yangroyeon in this eoyeon event. Especially in the Ha-hwang-eun, he included a new poetic literature that he recomposed himself to emphasize honoring the Ming dynasty and maintaining loyal righteousness. He also had it contained into The Short Preface of Akhawgwebeom by King Yeongjo on Akhawgwebeom. Like this, by intervening in these events in person, he disclosed his will on political ideology. Those projects on music from the 18th to 19th year of his reign were accomplished around the period of the publishment of the books on “courtesy, music, law enforcement, and political principle”, which was near the 20th year of his reign, and they symbolized the stabilization of the regime after 17th year of his reign. Even after the period, he tried to reinforce the royal authority through courtesy and music, establishing the period of 17th to 19th year of his reign as a standard. Going through the period, music became the medium that linked the initial stage of Joseon Dynasty which was the years of the imperial benevolence, the period of King Sejong when “courtesy and music were greatly developed”, and the period of King Yeongjo himself. King Yeongjo utilized this not only in his period of reign but later. As a proof symbolizing the stability of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17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it contributed to his showing off the “courtesy, music, law enforcement, and political principle” which were reorganized during his reign.

      • KCI등재

        隋·唐代 禮樂 속 樂의 인식 변화

        裵允暻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8 동국사학 Vol.64 No.-

        예악은 수당시대를 기점으로 큰 변곡점을 가진다. 樂이 예악에 부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 자체로 전문 영역으로 인식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는 隋·唐代에 다양한 음악이 공급되어 인식 전환의 배경을 마련했다고 보았다. 즉 隋·唐代에는 다양한 민족의 음악들이 들어오게 되고, 이를 받아들이는 황제의 인식이 이전과 달라졌다고 보았다. 이러한 변화는 예악 속에 부속된 관념적 음악이 아닌 음악 자체의 독립적 인식을 의미한다. 황제가 음악을 음악 자체로서 즐기고 향유하는 변화를 가져왔다고 보았다. 이러한 음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예제와 악제의 분리로 나타났다. 이는 악제의 쇠퇴를 의미하지 않는다. 隋·唐代는 어느 시대보다 음악이 발달한 시기이다. 음악이라는 예술 분야로서의 독립적 행보를 보인 것으로 음악 자체로 발전한 시기를 말한다. 隋·唐代는 다양한 음악, 서역 음악인 호악을 비롯하여, 민간에서 전래된 음악, 그리고 종교 음악이 다양하게 공급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공급은 隋·唐代 황제들의 취향이라는 수요와 만나서 커다란 시너지를 발휘한다. 즉 음악에 대한 인식이 변하면서 음악이 예악적이고, 정치적 기능이 아닌 실제 감정을 표현하고 예술로서의 음악으로 향유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은 隋·唐代 비약적으로 발전한 음악 전문 서적의 저술로 이어지고, 실제로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악곡, 악무, 음악 연출로 나타나게 된다. 예는 고정적인 개념이고 그것을 지키는데 의의가 있다면,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기본으로 삼기에 그것을 고정적으로 묶어 둔다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수당시대는 예악 속 음악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 역사상 음악이 가장 발달하고 관념 속의 음악이 아닌 실제적 음악이 존재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The rites and music changed greatly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rites and music are independent from the ritual and music to the professional field. The emperor enjoyed the music, and the change began. This sentence separates the system of courtesy and music. This does not mean the decline of music. The Sui and Tang Dynasties are more developed than ever. Music is developed independently in the field of art. Sui and Tang Dynasties are Huyue, religious music and other performances are endless. Many kinds of music a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music has changed. Music is no longer a political function. Having the function of music itself. This book inherits the works of the music books of the Communist Youth League.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kinds of music, music and dance, music performances. Courtesy is a fixed concept. It has the meaning of protecting it. But music may be based on human feelings, and it is bound to be impossible to bind it together.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ritual music changed. So, music is the most developed in history. This period of time is not the music from the concept, but the period when the real music exists.

      • KCI등재

        수(隋)·당대(唐代) 예악(禮樂) 속 악(樂)의 인식 변화

        배윤경 ( Bae Yun-kyoung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18 동국사학 Vol.64 No.-

        예악은 수당시대를 기점으로 큰 변곡점을 가진다. 樂이 예악에 부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 자체로 전문 영역으로 인식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는 隋·唐代에 다양한 음악이 공급되어 인식 전환의 배경을 마련했다고 보았다. 즉 隋·唐代에는 다양한 민족의 음악들이 들어오게 되고, 이를 받아들이는 황제의 인식이 이전과 달라졌다고 보았다. 이러한 변화는 예악 속에 부속된 관념적 음악이 아닌 음악 자체의 독립적 인식을 의미한다. 황제가 음악을 음악 자체로서 즐기고 향유하는 변화를 가져왔다고 보았다. 이러한 음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예제와 악제의 분리로 나타났다. 이는 악제의 쇠퇴를 의미하지 않는다. 隋·唐代는 어느 시대보다 음악이 발달한 시기이다. 음악이라는 예술 분야로서의 독립적 행보를 보인 것으로 음악 자체로 발전한 시기를 말한다. 隋·唐代는 다양한 음악, 서역 음악인 호악을 비롯하여, 민간에서 전래된 음악, 그리고 종교 음악이 다양하게 공급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공급은 隋·唐代 황제들의 취향이라는 수요와 만나서 커다란 시너지를 발휘한다. 즉 음악에 대한 인식이 변하면서 음악이 예악적이고, 정치적 기능이 아닌 실제 감정을 표현하고 예술로서의 음악으로 향유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은 隋·唐代 비약적으로 발전한 음악 전문 서적의 저술로 이어지고, 실제로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악곡, 악무, 음악 연출로 나타나게 된다. 예는 고정적인 개념이고 그것을 지키는데 의의가 있다면,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기본으로 삼기에 그것을 고정적으로 묶어 둔다는 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수당시대는 예악 속 음악에 대한 인 식의 전환으로 역사상 음악이 가장 발달하고 관념 속의 음악이 아닌 실제적 음악이 존재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The rites and music changed greatly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rites and music are independent from the ritual and music to the professional field. The emperor enjoyed the music, and the change began. This sentence separates the system of courtesy and music. This does not mean the decline of music. The Sui and Tang Dynasties are more developed than ever. Music is developed independently in the field of art. Sui and Tang Dynasties are Huyue, religious music and other performances are endless. Many kinds of music a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music has changed. Music is no longer a political function. Having the function of music itself. This book inherits the works of the music books of the Communist Youth League.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kinds of music, music and dance, music performances. Courtesy is a fixed concept. It has the meaning of protecting it. But music may be based on human feelings, and it is bound to be impossible to bind it together.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understanding of ritual music changed. So, music is the most developed in history. This period of time is not the music from the concept, but the period when the real music exists.

      • KCI등재

        19세기 궁중연향 한글악장

        신경숙(Shin Kyung-Sook) 한국시조학회 2004 시조학논총 Vol.20 No.-

        이 글은 19세기 궁중 연향의식에서 사용된 우리말 악장을 발굴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이 작업을 통해 다음의 네 가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여러 궁중 연향의식들 중에서 야연(夜宴)에서 한글 악장이 사용되었다. 둘째, 야연의 악장들은 모두 〈악가삼장(樂歌三章)〉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셋째, 이들 작품들은 모두 세 편 가곡이 하나의 짝을 이루고 있다. 넷째, 이들 작품은 모두 임금 또는 세자의 작품들이다. In this thesis I tried to unearth some Korean Akjang, written and sung by Korean language, not by the form of Chinese verses. In 19th century they used the Korean Akjang at Court banquet cerymony in Chosun Dynasty. I had got four meaningful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as follow. 1. There are various banquets but they used Korean Akjang only at Ya Yeon, a sort of night banquet. 2. The Akjangs arranged at YaYeon are called Ak-ka-Sam-jang which means three songs at the banquet. 3. These Akjangs were usually composed of 3 pieces of Gagok, the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as one. 4. The Kings and princes wrote all the words of these music.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문학교재로서의 <동동>의 가치

        길태숙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0 No.-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학교재 자료로서 <동동>이 가지는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의 항목과 주제를 조사하고, 전통문화교육의 주제적 측면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동동>을 분석하였다. <동동>은 다음의 4가지 측면에서 외국인을 위한 학습교재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조명할 수 있었다. 첫째, 언어적 측면에서, <동동>은 한글로 전해지고 있는 고려시대의 노래라는 점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언어와 문화 및 그 안에 녹아있는 사고를 경험케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둘째, 연희의 측면에서 <동동>은 궁중의례에서 불린 노래라는 점에서 한국의 전통의례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셋째, 소재의 측면에서 <동동>은 세시풍속을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는 노래로서 세시풍속에 대한 정의적 이해를 뛰어넘어 상황적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넷째, 정서의 측면에서 <동동>에서의 님이 가진 복합적 의미(송축과 애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문학에 나타난 님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곧, <동동>은 한글, 고려시대, 궁중의례, 궁중연향악, 세시풍속, 명절, 명절 음식, 불교문화, 송축, 문학 등 한국어교육에서 주목하는 한국전통문화교육의 주제 및 항목과 연관성을 가진 작품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문학 교재로 활용될 가치가 충분함을 살필 수 있었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consider the value of <Dongdong> as a literature material for Korean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This research includes examination of a variety of items and subjects for educating cultur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for foreign people and analysis of 'Dongdong' by combining the main theme of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t is possible to discuss that <Dongdong> has a value as a Korean literature material for foreigners from four kinds aspect. First, in terms of linguistic level, <Dongdong> has an advantage which it makes learners to experience traditional language, culture, and thinking as a Goryeo Dynasty’s song to be handed down in Korean. Second, in terms of performance, the learners can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royal court ceremony, through <Dongdong> which had been performed as a royal court ceremony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Third, in terms of the materials, <Dongdong> enable the learner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annual customs as well as context awareness of it, in regard to a song which deals with annual customs as a main material. Fourth, in terms of poetic emotions, the learners can understand complex images of “Nim(님)” in Korean literature through <Dongdong>’s “Nim(님)” which romance and Blessing are reflected in. <Dongdong> is a Korean literature which i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al subjects and learning items such as 'Hangeul', 'Goryeo Dynasty', 'Royal court ritual', 'Royal court banquet music', 'Annual customs', 'Traditional festivals', 'Traditional festival food', 'Buddhist festivals', 'Blessing', etc. As a result, <Dongdong> has been recognized as a valuable literature material for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 여,송 악무 교류와 당악정재의 도교적 성격

        신태영 ( Tae Young Sin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15 민족무용 Vol.19 No.-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aoistic character of Dangak-Jeongjae(唐樂呈才) in Goryeo(高麗), an ancient Korean state(918-1392). For this, the international background of the exchange of dance between Goryeo and Chinese Song(宋), the characteristic of Taoism, the adoption of Chinese Taoism, and the Taoistic nature reflected in Goryeo Dangak-Jeongjae. Though the official exchange period between Goryeo and Song is confined to 962-993 and 1071-1127 A.D., Goryeo actively accepted Chinese Taoism and court banquet dance(宴樂) during this period. Goryeo was an empire though at domestic level, and thereby tried to raise the power of the emperor to overcome political insecurity through Taoism as Chinese emperors of Tang(唐), Song dynasty did. Song`s court dance and ritual music(雅樂) adopted by Goryeo dynasty were also used for same purpose. Goryeo`s Dangak-Jeongjae harmoniously unites characters, background, theme, costume, property and music organically, and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ascetic concept of Taoism. Further, Dangak-Jeongjae in Goryeo period influenced by Taoism provided a philosophical base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Dangak-Jeongjae items composed in early Joseon(朝鮮) dynasty, and the influence of Taoistic ascetic idea lasts till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In this respect, furthe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eongjae and Taoistic thought is necessa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