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 교과목 질 관리를 위한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S-CEA) 적용가능성 탐색

        김혜경,김경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is study seeks out the application of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to the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and then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We applied the S-CEA model to the courses, which is one of the course-embedded assessment models, developed by Sun Moon University. S-CEA model consists of three step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learning objectives, design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methods, and analysis of course achievement level. We carried out this study with 3 research themes: the cognition of competency importance, performance improvement, and teaching competency. The result showed that both the students’ cognition of competency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improved for 3 semester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tudents’ and professors’ cognition of teaching competency. This study proposed the way how to make a competency-based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and further suggested the way how to analyze the course achievement level and make a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instructional design is made so that students engage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achieve competencies for the course. The learning outcome is evaluated with students’ activities, and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as the students-centered educational model. In this study,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is applied to course level. It is necessary that the model is applied to the curriculum level of general education and analyze the learning outcome achieved in the curriculum. That is, three step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evaluation designed for the competency-based course model (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learning objectives, design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methods, and analysis of course achievement level) can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서도 역량기반 교육과정 접근이 확산되고 추세에서, 교양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역량기반교육을 설계하기 위한 모델로서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은 ‘교과목 학습성과기반 목표 설정’, ‘교과목 평가 설계’, ‘교과목 성과분석’의 3 단계로 구성되는데, 교과목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역량을 수업목표와 평가기준에 연계하는 역량기반 평가를 실행하는 것이 핵심 활동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 적용을 통해 첫째, 수강 학생들의 핵심역량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둘째, 수강 학생들과 교수자의 핵심역량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 변화, 셋째, 수강 학생들과 교수자의 교수역량 대한 인식이 변화 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수강학생들은 핵심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3개 학기 동안 평균 0.13점 향상되었으며, 둘째, 핵심역량의 수행수준에 대하여, 교수자와 수강학생들의 인식에도 각각 평균 0.19점, 2.1점이 향상되어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역량기반교과목에서 교수역량(또는 수업운영의 효과성)에 대해, 교수자와 수강생들은 3개 모든 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은 교양 교과목을 위한 역량기반 교수설계를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의 교육성과를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질 개선할 수 있는 교과기반평가에 연계되기 때문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 즉,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은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활동에 참여하여, 학습성과로서 역량을 성취하도록 하는 역량개발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학습자중심의 교수설계와 더불어 교과목 질 관리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과목 수준에서 교과기반평가방법인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향후 교양대학 차원에서 기초교양 교육과정의 학습성과를 분석하는 교과기반평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요컨대,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과목 모델을 통해 교양교육이 의도로 하는 학습성과를 정의하고, 학습자들이 교과목에서 역량 개발을 위한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교양 교과목을 설계하고, 나아가 교양 교육과정을 질 개선하는 역량기반 교육모델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 개발과 활용실태 분석

        주인중,김덕기,정종태,김호현,최선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3

        Under the global economic competition, company competitiveness depends on creating high performance through effective human development. It is also a tendency to analyze organization members'competencies and outcomes, develop competency model, and apply the model to developing and managing human resource in each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figures out the present condi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the competency model, which has been introduced to Korean companies for the use of competency diagnosis of members, is being utilized. For this purpose, survey items were created by expert council and advisory committee and survey was conducted for Korean corporations.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companies, regardless of size and type, develop their own model by referring to outside models, or use models developed by consulting company lead. Therefore, it is urgent for the companies to develop model appropriate for the peculiarity of each company. Second, while the main reason to introduce competency model was to reinforce workers' competency, models developed have not widely utilized in HRM overall. There is a need to overcome a limit of utilization of models. Third, Majority responded that they, regardless of size and type, upgraded models or did not upgrade at all due to change of work environment. There is also a need to systematize follow-up care of the models. This is a primary research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and its application in company so that it can be used as springboard to study in-depth inside condition of Korean company using competency model and condition of particular positions of company members. 글로벌 경제 전쟁 하에서 각 기업의 경쟁력은 효율적 인재개발에 의한 고성과 창출에 있다. 이에 최근 규모가 있는 선진화된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의 비전과 전략에 기반한 구성원의 역량과 성과를 분석하고 역량모델을 개발하여 기업 내 인적자원 개발과 관리에 적극 도입하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 역량진단을 위해 국내 기업에 도입되고 있는 역량모델에 대한 활용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기업체에서의 역량모델의 개발 및 활용 실태 파악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협의회, 자문위원회를 통해 설문 항목을 구성하여,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대부분의 기업들이 규모나 업종에 관계없이 주로 외부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자체개발하거나, 외부컨설팅사의 부분적인 주도하에 개발된 역량모델을 사용하고 있어 기업특성에 맞는 역량모델 개발의 중요성이 시급하였다. 둘째는 역량모델 도입계기의 주요 이유가 근로자 역량강화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된 역량모델을 인적자원관리 전 분야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역량모델 활용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였다. 셋째는 기업의 역량모델 사후관리의 체계화에 대한 중요성이다. 이는 기업의 규모와 업종에 관계없이 다수의 기업이 업무환경 변화로 인하여 역량모델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또는 개발된 역량 모델을 아예 업그레이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업 현장에서 역량모델이 개발되고 활용되는 실태에 대한 초기연구인 만큼, 역량모델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 기업의 내부 상황이나 조직 구성원의 특정 직급에 따른 심층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 국내 역량모델개발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 직업 현장을 중심으로

        김은성(Kim, Eunsu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19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직업 현장에서의 역량모델개발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선행연구들의 다양한 역량모델개발 사례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역량 모델개발 연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탐색해 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종 선정된 62편의 논문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국내 역량모델개발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학술지별, 연도별, 주제별, 역량모델개발 방법별로 문헌을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를 토대로 문헌 분석및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역량모델개발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역량모델개발에 관한 연구는 기업체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학교 현장 및 공공기관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각 기관의 리더, 사무직종, 교육·사 회복지 등의 분야에서의 연구가 많았다. 셋째, 주요학자의 절차를 따른 연구와 기타 연구 모두 선행연구 분석과 질적연구를 통해 잠정역량모델을 도출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 of research on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in domestic work field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research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various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cases of prior research. A prior study was considered based on 62 papers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iterature was classified by academic journal, yearly, subject, and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method to identify the flow of research on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in Korea.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s, literature analysi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research.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s in Korea started with businesses and expanded to school sites and public institutions. Second, there was a lot of research in the fields of leaders of each institution, office jobs,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Third, both the research following the procedures of the major scholars and other studies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validate the provisional competency model derived through prior and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is an initial stud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s. Most of the 62 research papers under this study were those that developed competency models for actual specific jobs or tasks. Each of these studies had appropriate research purposes or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dures.

      • KCI등재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장은규,김정호,정연철 한국해양경찰학회 2019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key competency model of Vessel Traffic Services(VTS) operators as a preliminary step to develop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e demystified competency modeling method was used. First,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what are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a successful VTS operators to perform their duti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the job analysi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VTS operators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ng and Lighthouse Authorities (IALA) recommendatio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ompetency model presented in the NCS and IALA recommendations lacks a detailed analysis of the competency of the operators. Also, the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untries was found to be inadequate to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mpetency requirements of VTS operators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s of experts based on NCS and IALA competency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competency requirements analysis, a new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Next, the competency model was defined as a provisional competency model. The competency model was established by evaluating the adequacy of competency definitions and behavioral indicators through a delphi survey and a questionnaire on the provisional competence model. The competency model of the VTS oper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reflects the assessment of the competency level of the VTS operators and the educational nee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veloped competency model will be able to quickly reflect the needs of competences required by the organization,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the training to improve the various expertise of VTS operators, such as newly, supervisors and refresher training.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this competency model will help strengthen the capacity of VTS organization. 본 연구는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해상교통관제사의 핵심역량 도출을 위한 방법론으로 단축형 역량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였다. 해상교통관제사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역량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동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해상관제 국가기술직무표준(NCS)과 국제항로표지협회(IALA) 권고서에 제시되어있는 해상교통관제사의 직무분석 및 분류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상관제 NCS와 IALA의 권고서에 제시되어 있는 역량모델은 관제사의 역량에 대한 세부 분석과 개별 국가의 환경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며, 관제조직의 비전과 핵심가치를 반영한 관제사의 역량 수준에 대한 평가와 교육필요도를 반영하지 못하다는 한계를 갖고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관제 NCS와 IALA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해상교통관제사의 역량 요구도를 분석하고, 역량요구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역량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역량모델을 잠재적 역량모델로 정의하고, 잠재적 역량모델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역량정의와 행동지표의 적합도를 평정하여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역량모델은 조직이 필요로 하는 역량에 대한 요구를 빠르게 반영하여 교육할 수 있게 되므로 신임해상교통관제사 또는 선임해상교통관제사 및 보수교육 등 다양한 해상교통관제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시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동 역량모델을 바탕으로 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시행은 해상교통관제 조직의 역량강화에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행정조직에서의 역량모델 도입 사례 연구

        남순란,나민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3

        As colleges have turned into performance-creating organizations,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colleg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s newly viewed as one of integral factor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Lately, more universities have introduced a competency model into personnel management since the importance of employee competency is increasingly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 competency model in colleg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t's specifically meant to make a case study of three national universities that utilized a competency model.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official documents, released data and interview data with people in charge of personnel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it's found that the interest of presidents of the universities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ir assistance for that were crucial for the introduction of a competence model. And the universities introduced this model to fulfill what's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r as a means to be certified as the best HRD university. It was necessary for some of the universities to secure validity in the course of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As for the ways of determining required competency, Behavior Event Interview(BEI) or a competency dictionary was utilized. The selected competency groups were similar, which mostly consisted of common competency, job competency and leadership competency, bu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universities in whether job and title were considered or not. Among different competency items, awareness as a professional, communication, planning ability and IT/PC literary were widely selected in the national universities. Competency models were most util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se models were partially used in promotion, career development and incentive offering. As to the biggest change in the organizational members after the introduction of a competency model, they became aware of the necessity of competency development and got interested in it. 대학이 성과 창출 조직으로 변화되면서 대학 행정조직의 인적자원관리는 경쟁력 강화의 새로운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대학에서는 직원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역량모델을 인사관리에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 행정조직의 역량모델 개발 및 활용 실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역량모델을 활용하고 있는 3개 국립대학의 사례를 분석했다. 분석 자료로 공문서, 발표 자료, 인사담당자의 인터뷰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역량모델 도입 배경으로 총장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교육부 권고사항 이행이나 Best HRD 인증을 위한 수단적 목적도 있었다. 또한, 역량모델의 개발 절차상 타당성 확보가 되지 않은 대학의 사례도 있었다. 역량도출 방법으로는 행동사건기법, 역량 사전 활용방법 등이 활용되었다. 역량군은 공통역량, 직무역량, 리더십역량으로 유사하게 구성되었으나, 직무와 직위 고려 여부는 대학마다 차이가 있었다. 역량 항목 중 전문가 의식, 의사소통, 기획력, 팀워크, IT/PC 능력이 많았다. 역량모델의 활용 범위가 가장 넓은 분야는 교육훈련이며 승진, 경력개발, 인센티브 등에는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역량모델 도입 후 가장 큰 구성원의 변화는 역량개발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관심이 제고되었다는 것이었다.

      • KCI등재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이세희,박정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 장애와 고용 Vol.32 No.1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to achieve professionalism and to develop a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competency model, and to survey the demands of competency based on the final competency model for the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 Method: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draft competency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and performed a two-round Delphi survey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raft competency model. Finally, the researcher surveyed the demands and priorities of competency for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based on the final competency model developed by a two-round Delphi survey. Results: In ‘the Drafting of the Competency Model stage’, the draft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as 3 competency groups, 18 competency factors, and 36 competency indicators. In the ‘Valid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contents and Finalizing the Competency Model’, the competency model has been determined as three competency groups, 15 competency factors, and 29 competency indicators. As a result, the following 5 competency indicators, work agreements and monitoring with community-related institutions,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parenta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establishment of career plan, provision of career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the theory of career evaluation, were identified as the top priority that should be developed primarily for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curriculum guidelines for future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 and continuing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model for special school career teachers.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여 역량모형을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 교육 요구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역량요소를 도출하여 역량모형 초안을 개발하고, 2차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역량모형 초안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확정된 역량모형을 바탕으로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대상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역량 교육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역량모형 초안 개발 단계에서는3개 역량군, 18개 역량요소, 36개 역량지표를 도출하였다. 역량모형 타당화 단계에서는 3개역량군, 15개 역량요소, 29개 역량지표를 검증하여 최종 역량모형을 확정하였다. 역량 교육 요구 조사 결과,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업무 협약 및 모니터링, 장애학생 부모상담 이론의 이해, 진로계획의 수립, 진로정보의 제공, 진로평가 이론의 이해가 1차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최우선역량으로 확인되었다. 시사점: 개발된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역량모형은 진로전담교사 양성 대학원 및 부전공 자격연수 교육기관과 직무연수, 컨설팅, 수퍼비전 등 계속교육의 교육과정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직무 역량모델 연구 동향 분석

        김대열(Dae Yeol Kim)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5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직무와 관련된 역량모델 연구 문헌을 수집, 분석하여 연구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후 역량모델 관련된 후속 연구 발전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수행된 역량모델 관련 국내 학술 논문을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였고, PRISMA 단계를 거쳐 117편의 연구문헌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유형, 연구주제,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연구대상 등의 서술적 기준과 개발방법, 역량유형, 집단 비교 조사 여부, 현 수준·요구도·중요도 조사 여부 등의 내용적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역량모델과 관련된 연구가 시기적으로 증가하였고, 연구유형,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이 다양화되고 있었다. 둘째, 역량모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역량유형이 점차 확대되고 있었다. 셋째, 역량모델을 규정함에 있어 고성과자의 특성에 주목하고, 도출된 역량모형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모델 관련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literature of research related to the job competency model conducted in Korea,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related to the competency model. To this end, domestic academic papers related to the competency model conducted from 2002 to December 2021 were collected through the website of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and the Korean Citation Index(KCI), and the documents of 117 studies through the PRISMA stage were finally selected. Syst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descriptive criteria such as the timing of research, the type of research, the subject of research, the method of research, the method of collecting data, the target of research, etc., the method of development, the type of competency, whether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groups, and wheth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level, demand, and importance.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 related to the competency model increased in a timely manner, and the type of research, the method of research, and the method of collecting data were diversified. Second, there was a gradual expansion of the subject of research, the target of research, and the type of competency set out in the study of the competency model. Third, in the regul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attention is paid to the characteristics of high-performance performers, and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of research to utilize the competency model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related to the competency model and restrictions on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공항건설 프로젝트관리자의 역량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상길,이동명 한국항공경영학회 2023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1 No.5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가덕도 신공항, 제주 제2공항 등 신공항 건설 프로젝트의 계획 추진은 물론, 인천국제공항 4단계 건설사업과 지방공항의 증축 및 리모델링 등 기존공항에 대한 건설사업도 지속적으로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책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설계, 시공 등 다양한 프로젝트 관련 구성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역량이 요구되지만, 특히 공항개발 프로젝트의 발주자로서 프로젝트 관리 전반에 대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항 관리주체인 양 공항공사 프로젝트 관리자들의 전문성 있는 역량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항건설 프로젝트 관리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모델로서 역량과, 또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행동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항건설 프로젝트관리자 역량모델의 Pool 작성은 세계의 대표적인 프로젝트 관련 단체인 유럽의 IPMA(International Project Management Association, 1965)와 미국의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 1969)에서 개발한 프로젝트관리자 역량 표준서(ICB, PMCDF)를 기본 바탕으로 하여, 공항관련 단체(ICAO, KAC 등)의 지침서 등을 근거로 공항건설의 특수성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그 결과 역량모델 Pool을 3개 역량군, 37개 역량, 327개의 행동지표로 정리하였다. 둘째, 앞서 정리한 역량모델 Pool을 공항건설 프로젝트 관련자 22명으로 구성된 포커스그룹인터뷰와 9명이 참여한 워크숍을 통해 내용타당도(CVR)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3개 역량군, 32개 역량, 144개의 행동지표로 역량모델 Pool을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이렇게 수정․보완된 역량모델 Pool 내용을 공항건설 프로젝트 경력 20년 이상의 부장급 4명의 전문가 검증과정을 거쳐, 1차 역량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역량모델은 3개 역량군, 32개 역량, 127개 행동지표로 구성되었다. 넷째, 최종적인 역량모델 확정을 위해 2년 이상 근무경력의 261명의 공항건설 프로젝트 관련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1차적으로 개발된 역량모델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10개 역량, 33개 행동지표를 제외한 3개 역량군, 22개 역량, 94개의 행동지표가 최종 채택되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공항건설 프로젝트의 발주조직인 공항공사 프로젝트관리자에 대한 역량모델을 3개 역량군, 22개 역량, 94개의 행동지표로 처음 개발하였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Recently, in Korea, plans for new airport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Gadeokdo New Airport, Jeju 2nd Airport, as well as construction projects for existing airports such a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fourth phase construction project and expansion and remodeling are in progress. To complete successfully these national projects, a high level of capabilities of various project-related members such as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re required. In particular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two airport project managers are essential factor.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competence areas,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to implement them as competency models for project managers of airport operators(KAC, IIA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ol of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competency models was created based on the Project Manager Competency Standards(ICB, PMCDF) developed by the world’s representative project-related organizations, the European IPMA(International Project Management Association, 1965) and the American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 1969). it was created by add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irport construction based on the guidelines of airport-related organizations(ICAO, KAC, etc). As a result, the competency model pool was organized into 3 competence areas, 37 competencies, and 327 behavioral indicators. Secon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of 22 people involved in the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and a workshop involving 9 people, and a content validity(CVR) analysis, the revised competency model Pool was supplemented and prepared with 3 competence areas, 32 competencies, and 144 behavioral indicators. Third, the first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of four managers-level experts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in airport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competency model consisted of 3 competence areas, 32 competencies, and 127 behavioral indicators. Fourth, to confirm the final competency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261 airport construction project-related employees with more than 2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itially developed competency model. As a result, 3 competence areas, 22 competencies, and 94 behavioral indicators were finally adopted, excluding 10 competencies and 33 behavioral indicators. Fifth, it is considered significant that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a competency model for airport corporations project managers, as the ordering organization of the airport construction project, was developed with 3 competence areas, 22 competencies, and 94 behavioral indicators.

      • KCI등재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모델 개발

        류광모 ( Kwangmo Ryu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플립러닝이 실천되고 있는 학교 현장에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역량 수준분석을 통해 현장 실천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탐색을 통한 자료수집, 플립러닝 실천이 뛰어난 우수교사 8명으로 대상으로 한 행동 사건면접과 초점집단인터뷰 통해 잠정적 역량모델을 도출하였으며, 관련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잠정적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수정·보완한 뒤 최종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어서 완성된 역량모델을 바탕으로 역량 측정 평가지를 제작하고, 현장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역량모델은 2개 영역, 4가지 역량군, 15개 역량, 56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도출된 15개 역량 중 현장 교사가 우선 순위로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는 인적 네트워크 형성, 플립러닝 실천의지, 온오프라인 활동연계능력, 디딤 영상 제작능력, 그리고 자기수업 성찰 등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 최우선 순위로 개발되어야 할 역량은 온오프라인 활동 연계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역량들이 교사연수를 통해 체계적으로 개발된다면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들의 전문성을 크게 신장시킴으로써 플립러닝이 현장에 안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그리고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을 실천하는 교사들에 대한 역량 평가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practicing flipped learning and provi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help to those who are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based on smart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 grou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y levels, the study identified the most critical competencies teachers need. For data collection, a related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and eight excellent teachers were interviewed using behavior event and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Through the process, the basic competency model could be selected. In addition, using the Delphi method, the tentative competency model was reviewed twice by ten experts in the education field. The final competency model was established after several revisions. Based on the final competency model, an evaluation form for competency measurement was developed and a need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00 teachers in school settings.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Borich metho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or educational needs analysis regarding each competency. The resulting competency model for adapting flipped learning based on smart education has two sections, four competency groups, fifteen competencies, and fifty-six behavioral indicators. Among the fifteen competencies, the top priority competencies that instructors should acquire are (a) building a personal network, (b) willingness to learn flipped learning, (c) the ability to connect the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d) the ability to make a video for preview, and (e) introspection of their classes. The findings show that if these essential qualities are gained beforehand, instructors could be more professional and confident about flipped learning practices based on smart education. Finally, the findings can be helpful for designing teachers’ training programs about flipped learning based on smart education and evaluating of their capabilities.

      • KCI등재

        역량 모델을 통한 IT 영업 역량 측정도구 개발

        장윤영(Chang Yoon Young),이희수(Lee Hee Su)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7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4 No.1

        IT 영업 역량 모델과 측정도구를 활용하면 IT 영업 인력의 수행 향상과 다양한 방식의 형식, 무형식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IT 영업 인력의 역량에 대한 모델과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 연구는 미진하다. 이에 따라 IT 영업 인력에게 필요한 영업 역량을 탐색하여 역량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구성된 IT 영업 역량 모델을 통해 국내 영업 현장에 적합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IT 영업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역량 모델의 개발, 측정도구의 예비문항 개발, 측정도구의 타당화의 세 단계를 거쳤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국내 IT 영업 환경에 맞는 IT 영업 역량 모델은 성취와 행동 역량군, 대인 서비스 역량군, 관계 역량군, 지적 능력 활용 역량군, 자기 통제감 역량군, 영업 활동의 6개 역량군과 14개 역량으로 구성된다. 둘째, IT 영업 현장 전문가와 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각각 실시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고, 예비 IT 영업 역량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셋째, 검증된 예비문항을 사용하여 IT 영업 현장 인력 58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 및 교차타당도 검증으로 최종 도구를 확정하였다. 최종 확정된 IT 영업 역량 측정도구는 6개 역량군, 14개 역량, 78문항이다. With an IT sales competency model and a scale of IT sales competencies, it is possible to improve performance of IT sales forces and provide them with formal and informal training. But existing study on the domestic IT sales competency model and a scale are rare. According to this need,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building blocks of sales competency which are required for IT sales forces. Then the study developed credible and reliable scale of IT sales competencies based on the IT sales competency model. To do this the study used three steps: competency modeling, generation of competency item pool & verification, and scale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T sales competency model which is customized to domestic environment consists of the “achievement and action” competency cluster, the “interpersonal service” competency cluster, the “relationship” competency cluster, the “cognitive intelligence utilizing” competency cluster, the “self-control” competency cluster and the “sales activity” competency cluster. There are 14 competencies. Second, IT field sales and education experts developed and validated a competency item pool in the focus group meetings. The study verified through preliminary survey and found credibility and validity. Third, the study verified the item pool through the main survey from 580 IT sales forces. It found cross validity and reliability to finalize the scale. The study finalized the scale of IT sales competencies with 6 competency clusters, 14 competencies and 78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