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과 지역사회의 파트너쉽

        김형숙(Kim, Hyung Sook )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1

        최근 한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역사회 미술교육은 공교육에서 미술교육의 부실과 위축을 극복하고 실기와 기능 전수의 전통적 미술교육 개념을 넘어 미술교육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간주된다. 국가차원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정책과 교육과정에서는 지역사회와 연계된 미술교육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학습자의 미술교과서에 교수 학습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중학교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반응을 조사한 결과 그다지 동기부여가 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황에 비추어 보아, 지역사회 미술교육을 국가적 차원에서 강조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학습자나 지역시민들이 모두 공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단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미술교육이 문화예술교육정책의 관점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교육과정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들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또한 지역의 공공문화기반 시설 중의 하나인 박물관·미술관에서 지역사회와 연계된 프로그램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한다.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 today is considered as a new art education paradigm in overcoming the earlier weakness of school art education which had been focused on studio-oriented and technique- oriented art education. Even though various governments through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Ministry of Education tried to assis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develop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middle school students have not any motivation and interest in visual art education for engaging in their own communities, based on data from survey research on students. Since most art classes related to communities were provided not as regular art classes but as after school activities, only a small percentage of students could participate in these art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it is time to promote the current stag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a stage in which students and people in communities actively can participate. This study firstl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various art programs and cases in order to reconsider curren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 The literature on John Dewey’s education theory is reconsidered focusing on students’ experiences, processes, and themes. Second, this study discusses how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activated a partner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communitie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ich have appeared in art textbook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re also analyzed in order to uncover problems with current art education related to communities.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program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n museums which are one of many significant cultur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a key element that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needs to have partnerships with various cultural organizations and human and educational resources in society.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에서 CRAFT 모형 활용 사례 연구

        안혜리 한국예술교육학회 2024 예술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국내 미술대학의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과정 내에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community-based art education)을 실행하기 위한 교수법으로서 CRAFT 모형에 관한 고찰이다.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사 2급교육과정의 미술분야 교수역량 교과목인 ‘미술교수학습방법’을 담당한 교수자로서 연구자가 지녔던 고민 즉 공동체 중심 미술이라는 학습 주제를 어떻게 수강생들에게 의미 있고 쉽게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시작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공동체 기반 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하려는 이들에게 효과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CRAFT 모형을 활용하였다. CRAFT 모형은 접촉(Contact), 연구(Research), 행동(Action), 피드백(Feedback), 교육(Teaching)이라는 5가지 단계로 이루어진 공동체 기반예술 프로젝트를 이끌어주는 틀이다. 이 연구는 2022~23년 2학기에 국내 미술대학에서 개설된 문화예술교육사 수업을 통해서 CRAFT 모형을 활용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교수법으로서 CRAFT 모형이 어떤 교육적 성과와 의의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a cas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the CRAFT model as a teaching strategy in the curriculum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a domestic art college. The research began with the instructor and researcher's concern about how to meaningfully and easily convey the theme of community-based art to preservice teaching artists in an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urse. As a solution to the concern, the researcher employed the CRAFT model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ive stages: Contact, Research, Action, Feedback, and Teaching. This model serves as a framework guiding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community-based art projects. The study explored a case of community-based art edu- cation using the CRAFT model in a course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offered by an art college during the second semesters of 2022 and 2023 academic years at a university in Seoul. It also examined percep- tions and experience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regarding how the CRAFT model, as a teaching strategy, provided meaningful eudcational process and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discussed implications of using the CRAFT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ly, the students positively evaluated the process of develop- ing proposals using the CRAFT model as it provided them with the opportunity to address community is- sues they were interested in, discover the social value of art and grow cognitively, and gain confidence in their planning capabilities as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fessionals. Secondly, the students felt the greatest difficulty in specifying the details of the proposal, considering its feasibility, due to their lack of experience in developing proposals. They also found it challenging to identify the immediate problems of the community and conduct research on the issues. Thirdly, the students evaluated the CRAFT model as an easy and effective framework for specifically planning community-based art projects and regarded it as a highly applicable model. Fourthly, the students found that the process of developing proposals using the CRAFT model was useful in changing their perceptions of the social role of art, cultivating the job com- petencies of arts and culture educators, and exploring career paths. Fifthly, the students wanted to imple- ment their proposals in their communities and positively evaluated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various proposals through presentations and feedback during the class. In conclusion, the case of commun- ity-based art education using the CRAFT model in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urse was highly relevant.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imilar models in the future.

      • KCI등재

        문화시설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인천시 동구 우리미술관 문화나눔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구영은,강현주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4

        This research studied the case of Woori Museum of Art in Dong-gu, Incheon that developed an integra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al facilities. Woori Museum of Art developed and has implemented an integra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unified three genres of fine arts, music, and play about the tale “Gaengiboori Tiger” since 2016. The program has focused on the cognitive domain of fine arts, the psychomotor domain of music, and the affective domain of play. Fifteen children took part in 12 sessions of the program in 2016, and 26 children participated in 16 sessions of the program in 2017. Thirty children are involved in the program in the first half of 2018, and the museum plans to expand the program according to community demand. Woori Museum of Art in Dong-gu, Incheon has functioned not only as a gallery but also local cultural facility considering the need to join in the art and cultural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This case shows that the cultural facility makes us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develops and constantly implements the program. This trial facilitates the spontaneous creation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ecosystem, and suggest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ommunity bas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문화시설을 기반으로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인천광역시 동구의‘우리미술관’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우리미술관에서는 2016년부터 지역설화인‘괭이부리 호랑이’를 주제로 미술, 음악, 연극 세 장르를 아우르는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시행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문화예술교육 목표는 미술과의 인지적 측면, 음악과의 심동적 측면, 연극과의 정의적 측면에 강조점을 두었다. 2016년도 프로그램은 12차시 수업에 15명의 어린이가 참여했고, 2017년도 16차시 수업에는 26명의 어린이가 참여하였다. 현재 2018년 상반기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며, 30명의 어린이가 참여하고 있다. 지역의 수요에 의해 프로그램 운영은 앞으로 더 확대될 예정이다. 인천 동구 지역의 우리미술관은 미술관으로서 역할이외에도 지역민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여 지역문화시설로 기능하고 있다. 본 사례가 의미를 갖는 이유는 지역의 문화시설이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러한 시도는 지역에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자발적으로 조성해 가는 데 도움을 주고, 향후 지역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향에도 시사점을 준다.

      • KCI등재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한성백제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이상민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2 No.-

        This thesis delves into how to use the cultural heritages in th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s the national curriculum was revised to combine learning and students' experience within the community, the interest in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s being grown.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students' authentic cultural participation is achieved by considering only how to link the community resources or by focusing on creating community artworks through fragmentary art activities. In addition, cultural heritages, which have high educational values for fostering cultural identity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community, have not been meaningfully utilized. Cultural heritages hav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participatory, artistic quality, and extensi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ich has contextual relevance, participatory action, and openness to the community. I sugges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using cultural heritages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promote students’ cultu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activate the communities. Through using the cultural heritages, art education about the community, for the community, and through the community are take place in four stages: understanding, exploring, participating, and expanding community culture. A case study focusing on Hanseong Baekje cultural heritages at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showed tha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using cultural heritages has several effects on students and community; 1)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through interna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2) enhancing authentic experience on cultural heritage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culture, and 3) activating the communication among the local community centered on cultural heritages. 지역사회의 삶의 맥락 속에서 학생들의 경험과 학습이 어우러지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박물관, 미술관 등의 지역사회 자원 연계에 치중되어 있거나, 산출물 중심의 단편적 활동에 그쳐 학생들의 실질적인 지역문화 참여 기회가 다소 부족하다. 또한 문화유산은 지역문화정체성 함양과 지역문화 참여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유의미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지역성, 참여성, 예술성, 확장성의 특성을 가진 문화유산은 맥락적, 참여적, 개방적 성격을 띠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에서의 활용 가치가 높고, 지역사회와 문화유산 간의 교육적 결합을 통해 교육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문화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문화 참여를 증진하며 지역문화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을 제안하였다.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에 대한 미술교육, 지역사회를 위한 미술교육, 지역사회를 통한 미술교육은 지역문화 이해, 탐방, 참여, 확장의 4단계에 걸쳐 이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설계에 따라 한성백제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한 결과 역사문화적 가치 내면화를 통한 지역문화정체성 확립, 실제적 문화유산 향유와 지역문화 참여 증진,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공동체 소통 활성화의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미술의 사회 참여 : 공동체미술교육의 실천과 의미

        안인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This article examines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the flux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s, such as multicultural art education, new public art, community art, visual culture education. I argue that the definition of community has to reconsidered, because it reminds us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cept of modern nation state. Generally community understood in three conditions-geographical area), social interaction, common ties. These conditions are not fit to multicultural, plural society.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reduces the spacial and geometrical obstacles. So, we need to escape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community. I shed the light to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the reconstructed context, and show three aims of education. First is developing the learner'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the values of community. Second is understanding respecting the other's culture. Third is about creating the change and values of community through art makings. For those aims, several pedagogy can be considered. I insist like follows. Designing the curriculum that based on learner's experience in life-world, exploring the publicity by engaging social contexts, critical understanding about visual culture, applying the achievements of contemporary art, meaning making through art making.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gives new opportunities to teachers. It considers art production not only self-expression, but practices of constructing social identity, communal tie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공동체미술교육은 최근의 다양한 미술교육 흐름들을 흡수하면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오랜 역사를 지닌 공동체미술교육을 다문화교육, 공공미술, 현대미술, 시각문화교육과 결부지어 그 변화된 목적과 실천, 교육적 의의를 다룬다. 이를 위해 공동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부터 진행하였다. 공동체 개념 자체는 근대 국민 국가적 유산으로서, 지리적 근접성, 사회적 상호작용, 공통의 유대를 공통요소로 한다. 이런 개념에는 구성원의 경험적 동질성과 지리적 공간적 근접성을 배경으로 한다. 동시대의 다원화, 다문화화된 경험, 기술적 발달은 근대적 공동체 개념으로부터 탈피를 요구한다. 마찬가지로 지리적 근접성에 기반을 둔 공동체미술교육은 다양한 구성원의 이해와 경험을 새로운 차원으로 재구성하는 노력을 필요로 한다. 필자는 공동체미술교육이 학습자의 삶의 향상과 공동의 가치를 이해하고, 타자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심을 가지며, 지역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경험 기반 교육과정 구성, 사회 참여를 통한 공공의 이해 탐구, 시각문화의 비판적 이해, 현대미술의 성과 활용, 미술 제작 경험을 의미 구성에 활용하는 교수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교사에게 새로운 도전을 하게 하는 공동체미술교육은 미술 창작 활동이 단순히 개인적 표현 행위를 넘어 사회적 정체성의 형성과 집단적 유대감, 상호 이해와 존중을 통한 공존과 공동의 목표를 추진, 실천하는 의미 있는 교육이념이다.

      • KCI등재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을 통한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의 현황 분석

        장윤희(Jang, Yoon Hee),정현일(Jung, Hyun 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4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지난 10여년간 지역문화진흥법, 문화예술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등의 정책을 기반으로 공공의 분야에서 지속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학교에 한정되어 있던 교육의 공간을 학습자의 일상적 삶이 이루어지는 지역사회로 확장시켜 미술교육의 주제를 다루며 새로운 교육지평을 제시하기 때문에 최근 교육영역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통합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참여, 공동체 의식 함양, 일상연계, 인문학 등 다양한 학습요소를 아우를 수 있어서 교육적 활용성 및 가치가 높다. 학습자의 개인적 경험이 인지적 정서적 사고로 전환되는 과정을 수반하기 때문에 지역의 역사 생태 환경 지형 전통 문화예술 등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과 관련된 정부의 재정지원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 활동에 대한 전반적 흐름과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도별, 지원대상별, 지원주제별, 지원방법별, 지원주체별로 구분하여 5가지 측면에서 자료를 분류하고 각각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학교현장에 실현되기 위한 기초적인 기반 마련의 차원에서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며 교육적 활용범위를 파악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필요성을 지닌다. 앞으로 더욱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이어져서 미술교육의 당위성과 확장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For the past decade in Korean,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has been provided with continued financial support in the public sector based on policies such as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ion Act. Education space which has been limited to schools has recently drawn keen atten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it expands the education space to communities where learners daily lives are made, treats it as a subject of art education and presents new education standards.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it is highly useful as a medium that can encompass diverse learning factors such as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communal spirit promotion, fostering community awareness, daily connections, and humanities.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related to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 and pattern of community base art education activ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year, target, subject of support, an entity of support, and method of support classified the data and each suggestion was drawn and summarized in five aspect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of significant value in terms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community based art education to be realized at the school site and are necessary as a basic study for future development. We hope that further detailed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to contribute to the relevance and scalability of art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술관 교육 경험에서 미래를 보다 수원시립미술관의 지역문화기반 정체성을 중심으로

        엄혜윤(Hyeyoon EO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본 연구는 지역 미술관에서의 문화 자원을 활용한 지역기반 미술관 교육 전시·교육프로젝트 사례 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정체 성을 발견하고 미술관 교육 경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수원시립미술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관련 전시와 교육 프로젝트의 최근 여러 사례 중 지역기반 문화적 연관성이 높은 창의 워크숍 <49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과 문화예술 프로젝트 <거대한 안녕> 전시를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관 교육 경험을 통한 교육적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팬데믹 시대의 사회적 변화, 지속성, 장소 특정적 요소는 지역기반 미술관의 정체성을 발견하기 위한 요소로서 작용하며 미술관 교육에서의 경험은 개인의 자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기반 미술관 교육 사례, 지역기반 미술관의 정체성 발견을 위한 요소의 적용 사례를 통해 미술관 교육 경험의 중요성을 발견하는 것은 미래 교육의 가치를 전망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identity of art museums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of art museum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of community-based museum education and educational project using cultural resources. Accordingly, among recent examples of education-related exhibitions and educational projects run by Suwon Museum of Art, the creative workshop called “How to Live as an Artist for 49 Days” and the cultural and artistic project called “Huge Well-being”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in order to fi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through art museum educational experience. In addition, social changes, persistence, and location factors in the Pandemic era are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discovering the identity of community-based art museums. Finding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of art museum education through community-based art museum education cases and application of factors that is to discover the identity of community-based art museums will be an opportunity to predict the value of future education.

      • KCI등재

        예술교육의 다문화주의 실천 양상에 대한 비판적 논의

        정옥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5

        이 연구는 그동안 인종, 민족, 성, 계층의 문화적 고정관념과, 편견, 선입관을 탈피하고 사회의 통합과 복지를 위해 정책적으로 사용된 다문화주의 담론과 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술교육의 역할을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문화산업시대 예술, 세계인식의 한 도구로서 예술의 역할의 관점에서 문화재생산으로서의 예술교육을 비판적 다문화주의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예술교육 실천 양상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문화예술교육’이라는 정책적 용어가 등장해야만 했던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요구 및 정서적 안정과 다문화교육 차원에서 소외계층들에게 제공되는 예술 체험교육 프로그램들을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반성적으로 논의한다. 현재 주로 지역사회의 문화예술부흥과 예술향유의 기회 확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교육의 실천 양상들은 문화예술교육정책, 여가와 웰빙, 예술통합교육, 지역사회 기반 및 연계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주의 실천들에 대한 반성과 다문화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이런 실천 양상들은 예술이 가져다주는 인간 삶과 문화의 이해를 고정된 전통적 교육방식이 아닌 현대 우리가 살아가는 지역과 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로부터 비롯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endorsing multiculturalism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of the division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newly emerging social classes among nations in the ‘cultural industry era’ formed by the proliferation of globalization. There is also a critical awareness of social problems and economic and cultural inequalities caused by excessive competitive knowledge-base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aspects of current practices of the role of arts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and examin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s practiced politically in order to rid cultural stereotypes, prejudices and bias that have been neglected while the spread of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Firstly, it discusses the multicultural discourse and the art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Based on this, it examines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political term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d to be coined and practical aspects where the art education programs offered to the underprivileged class i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local culture and arts and arts appreciation. This discussion is considered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of the ultimate role of arts education on multiculturalism discourse, which consist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ies, leisure and well-being, integrated education, community based and connected education.

      • KCI등재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 : 부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중심으로

        남영희(Nam, Young-Hee),정민경(Jeong, Min-Kyoung),이순욱(Lee, Soon-W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4 No.-

        한국에서 문화예술교육은 독특한 정책 개념이다. 미적 체험과 표현, 창의성, 감성과 연관한 예술교육과 인간과 사회에 대한 성찰, 문화 다양성, 소통에 관심을 두는 문화교육이 복합되어 개인의 내적 성장과 사회적 성장을 함께 추구한다.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으로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일정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지역의 고유한 문화예술교육 모델을 구축하거나 문화생태계를 안착시키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2019년 부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대상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한 결과, 사업 비전과 목적의 재설정, 사업 기반 강화, 수요자 중심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단체의 지속적인 육성과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무엇보다도 지금껏 참여자들의 사적 혜택에 집중해 있던 체계를 커뮤니티라는 공적 영역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인식을 전환해 나가야 함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을 위한 교육이나 예술을 통한 교육이 아니다. 따라서 지역 문화예술교육은 지역 기반 예술가를 지원 · 육성하는 소극적인 방식에서 나아가 사회 비판과 성찰, 공동체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라는 사회적 역할을 더욱 더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 unique policy concept in Korea; It is a complex combination of art education related to aesthetic experiences & expressions, creativity and emotions, and cultural education focuses on the reflection of people and society, cultural diversity and communication. Therefore, the concep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cludes the growth of the individual and the growth of the society together. With the enactment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A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rt & Culture Education Service, or Arte in 2005,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ject was promoted in earnest, achieving a certain scale of growth. However, there was no progress in forming a local identity for each reg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cope dynamically with rapid changes in times and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ocial values and role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is paper, the Busan Kkoomdarak Saturday School of Culture and Arts was used as an examp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pillover in the benefit system is necessary; from private benefits limited to participants of each projects to public benefits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play a social role of social criticism, reflection, and recognition and practice of community activities, and pay attention to communit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artists who practice it.

      • KCI등재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학생들의 학교문화와 삶에 미치는 영향

        장수지,정현일 한국미술교육학회 2023 美術敎育論叢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the Eunhasu School, a youth autonomous learning center in Incheon. The study found that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begins by understanding the learners' lives and collaborating with other project teams to identify the community's identity. The study identified four school cultures being formed in the Eunhasu School. The first was a culture of respect,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 the circle process and resulted in adolescents internalizing the value of respect, respecting others elsewhere, and improving their self-esteem by being accepted for who they are. The second culture was student autonomy, which actively influenced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sense of ownership, problem-solving skills, responsibility, and leadership. The third culture was process-oriented learning, which aimed to restore the subjectivity and value of learning. Through this approach, adolescents gained confidence, a spirit of challenge, and recognized the Eunhasu community as a safe space to find joy in learning. Finally, the fourth culture was solidarity in various fields, which allowed adolescents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humans by meeting with members beyond age and occupation. Overall, the study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on the school culture and the personal growth of adolescents in the Eunhasu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 청소년 자치배움터 은하수학교의 예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은하수학교만의 학교문화가 형성되는 과정과 특징,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지역사회협력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학교문화와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을 연구하기 위해 예술 프로젝트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문화기술적 사례연구(ethnographic case study)를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은하수학교 예술 프로젝트 중 하나인 ‘스페이스팀’을 주된 연구 참여팀으로 선정하였다. 은하수학교의 학교문화를 연구하기 위해 스페이스팀의 공간 프로젝트와 청소년자치회, 길잡이교사회, 성장나눔회 등을 참여관찰하였고, 연구 참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지역사회 중심 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삶의 맥락에서 시작하여 다른 프로젝트팀과 협업하며 지역사회 및 은하수학교 공동체의 장소 정체성을 찾아갔다. 은하수학교에는 존중하는 문화, 학생 주도 자치, 과정 중심, 연대의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고 이러한 학교문화는 청소년들에게 주인의식과 문제해결력, 책임감 및 리더십, 자신감과 도전정신, 의사소통능력, 갈등해결능력, 교우관계, 사회성, 협업 능력 향상에 영향을 끼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