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장환 시의 공간과 분열의 문제

        조현아(Cho, Hyun-Ah)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1

        본고는 오장환 시인의 공간 인식을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으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이러한 공간적 구분이 그의 시적 의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한다. 오장환의 시에서 ‘닫힌 공간’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곳은 주로 ‘집ㆍ가족ㆍ가문’, 나아가 ‘전통’이다. 이는 주로 부정적이고 타파되어야 할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체성의 혼란을 넘어 명백한 거부의식으로 표출된다. 시인의 시에서 집에서의 ‘탈출의지’가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오장환 시의 화자는 ‘닫힌 공간’에서 탈출하여 ‘열린 공간’으로 나아오게 된다. 시의 화자가 이르게 된 곳은 주로 해항도시이고, 특히 그 속 배경으로 많이 사용된 제재가 바로 ‘항구’와 ‘역’이다. ‘항구’는 바다로 난 육지의 문이고 ‘역’은 도시와 도시를 연결해 주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문을 통하여 시인은 기존에 겪지 못했던 새로운 체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오장환의 시에서 나타난 항구의 모습은 퇴폐적인 식민사회의 면면을 집약해 놓은 모습이다. 이는 시인이 묘사해 놓은 항구도시의 모습들이 희망이 없고 음습한 분위기로 그려진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더구나 화자가 처하는 공간은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한 ‘문’의 역할을 하는 곳이지만, 다른 공간으로 향하려는 의지를 보여 주지 않는다. 즉, 열린 공간으로 여겨졌던 대상도 결국은 외부로 나아가지 못하는 왜곡된 공간이었던 것이다. 화자는 그 공간에 머물면서 좌절과 비애를 경험하고, 유랑민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면서 분열에 이르게 되는 양상을 보여 준다. 전통에 대한 거부와 자유를 향한 열망을 품었던 오장환은 이렇듯 근대 문명의 양면성 앞에서 좌절과 실망을 갖게 된 것이다. 이렇게 청춘도 추억도 절망과 좌절로 인식된 비애의식은 자연히 ‘자기파탄’과 ‘죽음’의 탐색에 이를 수밖에 없다. 결국 왜곡된 개방 공간을 체험하는 과정에서 미래의 전망까지 상실하게 된 화자는 새로운 ‘고향’으로서의 모색이 필요하게 된다. 어떤 공간에서도 시인이 원하는 진정한 의미의 ‘열림’이나 ‘개방’은 존재하지 않았고, 또 다른 공간으로의 탐색으로 행보를 전개해 나간다. 치열한 삶의 고찰이나 이데올로기적 지향이 있었다기보다는 끝없는 탐색의 결과로 그의 지난한 시적 여정이 전개된 것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nables us to reveal appropriate distinctions between open-space and closed-space issues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by depicting some certain changes in the space aspect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such specific social phenomenons, more known as institutions of “House” and “Family” are shown as a closed-space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being, likewise, a traditional subject. Besides, this contains the idea and image of destruction as well as confusion in self-identity. The poet of Oh Jang-hwan is attempting in his poems to disclose an aspiration of an individual to escape from the “House” (leaving a closed-space). Narrator, as described in the poems, is making hard efforts to get rid of the closed-space fleeing in the direction of open-space. However, in most cases, a place where narrator is on the way of proceeding is a sea-port city, a background of which are, mainly, “sea port” and “station”. This sea port is exhibited in the form of a “door to the land”, whereas “station” is regarded to be a connecting link between the city and road. Passing through this “door” the poet reaches some places he had never been to, by having specific experiences, as given below. In the meantime, it is quite possible to observe in the poetry of Oh Jang-hwan a scene of the port as a collapse of colonial society. The poet is trying to demonstrate hopeless state of the sea port. Particularly, in the connection of a distortion of the closed-space narrator’s all efforts that are based on the attempts to pass on the open-space, are deeply unsuccessful. As a result of this fact, narrator is feeling a sense of great despondency and sorrow as experiencing a life of “homeless one”. A wish to be exempt from a conservatism causes a sense of disappointment from the century of newly civilization. Likewise, narrator, as given in the poems of Oh Jang-hwan, is experiencing some sense of profound grief, self-torture, being in permanent search for the death that leads to a status of forfeiting the youth. Ultimately, it becomes quite necessary for the narrator to commence actions of looking for the new “fatherland”, as in the process of making attempts to be released from the distorted space he loses appropriate hopes, plans and relevant dreams for future. As poet is trying to deliver to a reader, getting free from the closed-space is demonstrated as unfeasible, notwithstanding this fact any efforts to search for the different space are highly necessary. The output of infinite quest for the ideology and study of the hard life allowed us to comprehend a challenging lyrical route of narrator, as shown in the poems of the poet.

      • KCI등재

        학교공간혁신사업과 연계한 폐교 공간 활용 방안 연구

        오이현,유진상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1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3

        In recent years, selected target sites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s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and the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New Deal have been identified, along with the use cases of schools, especially closed schools. General teaching buildings, multi-purpose auditorium, and playground spaces are being used for local regeneration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now is judged to be the right tim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rate of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s through the use of idle school spaces amid predictions of school closure. In particular, a comparative analysis of cases of cultural facility spaces utilizing closed schools in downtowns and suburbs and the connection of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s in Gyeongnam and the Seoul Office of Education will suggest many possibilities for idle school spaces. This study cross-analyzes the trend of local cultural facilities using closed school spaces, programs using closed schools,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s, and the creation of spaces for recycling idle spaces and program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utual social, cultural, and spatial common denominators, the possibility of future closed school facilities in downtowns and suburbs can be explored as possible cultural spaces for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In the future, it may be used as an index to effectively return policy and economic performance to the local community by presenting a method of utilizing closed school spaces linked to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s, and a sustainable architectural space plan.

      • KCI등재

        비물질적 노동에 의한 공간의 재전유

        하용삼(Ha, Yong-Sam)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1

        이 논문은 ‘거주함’과 ‘기하학적 · 수학적 공간’, 유기체와 무대장치로서 도시 공간, 과학과 재현에 의한 정체(정적임) · 폐쇄성 · 비이동성의 공간과 정치와 정치적인 것에 의한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자본의 사적 소유와 국가의 공적 소유에 의한 정체 · 폐쇄성 · 비이동성 · 과학 · 재현의 공간을 비물질적 노동의 생산물로서 공통적인 것(the common)을 매개하는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으로 재전유하고자 시도할 것이다. 먼저 하이데거는 거주함의 본질에 속하는 사유함과 건축함의 공조에 의해서 공간들이 만들어지고, 이 공간들이 기하학적 · 수학적 공간의 유래라고 말한다. 다음으로 하비는 발자크와 플로베르가 제2제정기 전후의 파리의 도시를 유기체와 무대장치로 표현했다고 말한다. 근대의 공간이 정적인 것 · 폐쇄적인 것 · 비이동적인 것으로 개방적인 활력을 잃게 되면, 시간적 · 역사적 개방성도 생명력을 잃게 된다. 이와 같이 근대의 공간과 평행하는 근대의 역사는 국민과 이질동형으로서 국민국가를 분리된 경계의 정적 · 폐쇄적 · 비이동적 공간으로 가정한다. 더 나아가서 근대의 역사는 국가의 공적 소유와 자본의 사적 소유는 이질동형으로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으로 분리된다고 가정한다. 이와 관련해서 우리는 공간을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근대의 사적 · 공적 공간을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으로 재전유하고자 시도할 수 있다. 근대의 공간은 정체 · 폐쇄성 · 비이동성 · 과학 · 재현의 공간이 되었고, 이 공간은 정치와 역사를 위해서 개방된 공간이 될 수 없게 되었다. 근대의 공간에 대항해서 시민들은 비물질적 · 삶정치적 생산을 통해서 공통적인 것을 생산하게 되면서, 공적 · 사적 공간을 공통적인 것을 매개하는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으로 재전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시민들은 연속성 · 비가역성 · 개방성의 시간과 더불어 개방성 · 이질성 · 생동감의 공간에서 개방적 역사와 정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dwelling’, ‘geometric · mathematical space’, urban space as an organic body, a stage set, the static․closed․immobile space by science and a representation, and the open · heterogeneous · living space by politics and the political. We will try to re-appropriate the space of stasis · closure · immobility · science · representation owned by the private ownership of capital and public ownership of the state into the space of openness · heterogeneity · liveliness that mediates the common as a product of immaterial labor. Heidegger asserted that spaces are created by the cooperation of thinking and building which belong to the essential of dwelling, and these spaces are the origins of geometric and mathematical spaces. Next, Harvey says that Balzac and Flaubert expressed the city of Paris in the time of before and after the Second Empire to be an organic body and a stage set. If modern space loses the open vitality by the static · closed · immobile ones, the temporal and historic openness also lose the vitality. In this way, modern history parallel to modern space assumes the nation state, which is the isomorphism with people, as a static · closed · immobile space of separated boundaries. Furthermore, modern history assumes that the public ownership of the state and the private ownership of capital are divided into public and private spaces as the isomorphism. In this regard, we can try to re-appropriate the private and public spaces of modernity as the space of openness · heterogeneity · liveliness by examining our space from the political and economic perspective. Modern space became a static · closed · immobile․scientific · representative space and could not become the open space for politics and history. As citizens against modern space producing the common through immaterial and biopolitical production, they could re-appropriate the public and private space as open · heterogeneous · living space that mediates the common. Citizens will therefore be able to carry out open history and politics with the time of continuity · irreversibility · openness in the space of openness · heterogeneity · liveliness.

      • KCI등재

        영화적 기법을 통한 현대시의 공간과 실재: 김기택, 오규원, 이성복을 중심으로

        박한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8 No.-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of ‘space’ in priority in terms of the unfolding of time and space when analyzing poems based on cinematic techniques and reflec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aspects of space and the reality of a poem. Kin Gi-taek starts his work in a way similar to close-up or extreme close-up which are ‘short distance shot’ in cinematic techniques. His poetry draws the inner essence by enlarging a small space. The aspects of a space appeared in this case are ‘projection’, leading from a superficial space to an inner space, and ‘re-discourse’ of a superficial space. The former vertically moves a space toward the essential significance while the latter superficially moves a space toward the essential significance. Projection and re-discourse of spaces reproduce the same space multilaterally and the power of this is similar to an attribute heading for a subject A, which is mentioned by Jacques Lacan. Subject A is the existence of a symbolic record and spaces are endlessly projected or re-discoursed to recover the Subject A. Even if a space is reproduced several times, it cannot reach the Subject A, a real realm of the space. Works by Kim Gi-taek is a process slowly heading toward a concealed reality into the absence. O Guy-won's raw poetry is similar to pull shot, long shot, and extreme long shot, which are the ‘long distance shot’, in terms of its starting method. Long distance shot is objective and neutral in that it is far from a space and makes ‘landscapes’. Landscapes give off 'atmospheres' rather than confined in a meaning and his raw poetry is similar to this. Spaces of the poems are classified into the 'flow of spaces' and ‘fixing of spaces’. The former forms relationships between spaces which are flowing like a panorama whereas the latter gives off atmospheres in one space while subjects are simultaneously moving. Raw-imaged poems are the ‘language of suggestion’, suggesting a distant view as it is and build the existence of images that have not settled as a symbolic signifier as the poems are not fixated in meanings. In other words, distant views expressed by him are the innate spaces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ime and symbolize the actual world continuously escaping from a symbolic system. Works by Lee Seong-bok are close to ‘montage’ with which a variety of shots are edited in that those works enumerate spaces. Montage is classified into a classical montage and a modern montage and this study gropes for his poems through ‘Attraction montage’, one of the classical montages, and ‘expanded montage’, one of the modern montages. Spaces appeared in Lee's poems are unfolding focusing on an agony of abyss, i.e. trauma and attraction montage approaches it through the similarity of spaces while expanded montage through the intervals of spaces. The reason spaces are enumerated in the works by Lee Seong-bok is that the characteristic of trauma is ‘repetition compulsion’. Temporality of repetition in the characteristic of trauma should be found in the failure of the symbolization of the case, above all. To express trauma, it is imperative to endlessly list spaces until the spaces settle as significance in that those spaces are exteriority from symbol. 본고는 시를 영화적 기법으로 분석할 때 부각되는 시공간의 펼쳐짐에 있어서 ‘공간’의 양상을 중점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공간의 양상이 시의 실재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김기택 작품은 영화적 기법 중 ‘근거리 쇼트’에 해당하는 클로즈업이나 익스트림 클로즈업과 시작방법이 유사하다. 그의 시는 작은 공간을 확대하여 내면적 본질을 이끌어낸다. 이때 나타나는 공간의 양상으로는 표면에서 내면으로 이어지는 ‘투사’와 표면의 ‘재언술’이 있다. 전자는 본질적 의미를 향해 공간이 안으로 이동되고, 후자는 본질적 의미를 향해 공간이 표면에서만 진동한다. 공간의 투사와 공간의 재언술은 같은 공간이 다각적으로 재현되는데, 이러한 힘은 라캉이 언급한 대상 a를 향해 나아가는 속성과 유사하다. 대상 a는 상징적 기록의 잔여인 실재로서, 대상 a를 회복하기 위해 공간은 끊임없이 투사되거나 재언술된다. 이때 한 공간이 여러 번 재현되어도 결코 공간의 실재 영역인 대상 a에 도달할 수 없다. 김기택의 작품은 부재 안으로 은폐된 실재의 공간을 향해 조금씩 나아가는 과정이다. 오규원의 날이미지 시는 ‘원거리 쇼트’에 해당하는 풀 쇼트, 롱 쇼트, 익스트림 롱쇼트와 시작방법이 유사하다. 날이미지 시에서 공간은 의미나 상징으로 고정되기 이전의 순수한 공간이다. 원거리 쇼트의 성격은 공간과 거리가 멀어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며 ‘풍경’을 만들어낸다. 풍경은 의미로 고정되기보다 ‘분위기’를 발산하며, 날이미지 시도 이와 유사하다. 이와 같은 시의 공간은 ‘공간의 흐름’과 ‘공간의 고정’으로 분류된다. 전자는 공간이 파노라마처럼 흘러가면서 관계를 형성하는 경우고, 후자는 한 공간 안에서 대상들의 동시적 움직임을 통해 그곳의 분위기를 발산하는 경우다. 날이미지 시는 풍경을 그대로 제시하는 ‘제시의 언어’이며 의미로 고착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징적인 기표로 자리 잡지 않은 이미지의 실재화를 구축한다. 즉 그가 묘사하는 풍경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완성되는 본유의 공간이며, 이것은 의미로 상정할 수 없기 때문에 끊임없이 상징체계를 빠져나가는 실재의 세계를 표상한다. 이성복 작품은 공간을 나열하므로 다양한 쇼트가 편집된 ‘몽타주’와 유사하다. 몽타주는 고전적 몽타주와 현대적 몽타주로 나뉘며, 전자 중에서 ‘어트랙션 몽타주’, 후자 중에서 ‘확장된 몽타주’를 가지고 그의 시를 모색해보았다. 어트랙션 몽타주는 공간들이 연상적 비교를 통해 나열되며, 확장된 몽타주는 공간과 공간의 간극을 통해 공간들의 바깥을 사유하게 한다. 이성복 작품의 공간들은 심연의 고통, 즉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펼쳐지며, 어트랙션 몽타주는 공간과 공간의 연관성을 통해, 확장된 몽타주는 공간과 공간의 간격을 통해 그것에게 다가간다. 이성복 작품에서 연상적 공간이든 산발적 공간이든 다양한 공간들이 나열되는 이유는 트라우마가 ‘반복 강박’을 특징으로 갖고 있기 때문이다. 트라우마의 특징에서 반복의 시간성은 무엇보다 그 사건의 상징화의 실패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트라우마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외상적 사건, 즉 상징으로부터 외존재적이라는 점에서 그것이 의미로 정착할 때까지 끊임없이 공간이 나열될 수밖에 없다.

      • KCI등재

        공간효율 개선을 위한 폐가식 도서관 운용 -지역 대학도서관 시설을 중심으로-

        안준석 한국농촌건축학회 2016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8 No.4

        Since the users have direct access to search and browse freely, the open access system has been employed to all the usual modern libraries. However, library space shortage problem created by the continuously increasing printed materials caused the degradation of usability and quality of the library space. Open Access system is superior in user convenience but is inferior in space efficiency. Keeping the open access system is considered as one of the reasons of the space shortage problem. Even though the closed access system does not provide free access or easy browsing for the uses, it’s space efficiency is much higher than the open access system. The closed access system should be employed as a plan to relieve space shortage problem. Since the closed access system does not allow the public direct access to books, it is very economical. It also provides much better space efficiency with higher book shelving density. In this article, closed access library system model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as the reduction plans for the library space shortage problems.

      • KCI등재

        헤이안 시대 모노가타리의 서사 공간, `누리고메`(塗籠)

        이미숙 ( Lee Mi-su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2

        This paper focuses on "Nurigome" as "narrative figure space" in the Heian era monogatari, through concrete analysis of the examples in the text. In doing so,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is closed space, nurigome, in the Heian era monogatari is discussed. Traditionally, research on the nurigome has considered it to be a narrative space, a space that is a "sanctuary", a refuge space within male-female relationships, or a space of renewal. The present paper, however, makes the following observations. Nurigome was established as a major space in the monogatari which embodied the way of life and the love of the aristocracy, with the development of Shinden-zukuri in the Heian era. It belongs, however, to the wider flow of narrative techniques of Japan ancient prose. In the monogatari, nurigome serves various functions, as an actual architectural space, a shel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a space for political protest, a place befit for the hostess, and as a place where the spiritual dwells. As such, nurigome is a space that can not be uniformly defined as either holy nor profane.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both genders could be the narrative subject of the nurigome in the Heian era monogatari, and therefore nurigome as a shelter in male-female relationships is a confined space for the underdog in the relationship, regardless of gender.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nurigome as a narrative space differs according to genre. In most of the fictional monogatari forms, it is a place of crisis in romance in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but it has nothing to do with being a space of lov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case of historical stories and tales. It can therefore be said that, in addition to the basic use of the practical architectural space that is the nurigome as a narrative space in the Heian era monogatari, the nature of that space differs according to the inherent nature of the genre and text. It thus becomes possible to acknowledge the flexible shape of the narrative shape as represented by the nurigome in the Heian era monogatari.

      • KCI등재

        박봉우 시의 실존 공간 연구

        김경복 ( Gyeong Bok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2 No.-

        공간과 장소는 인간이 가진 생물학적 요건과 경험적 실존 사건들을 융합하면서 그 가치를 획득한다. 시에 나타나는 공간의미는 시인의 감각적 신체와 사회 현실의 경험 그리고 공간의 상호주관성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 논문은 박봉우의 시에 나오는 실존 공간들을 공간 이론을 적용하여 논의해 본 것이다. 박봉우 시에서 실존 공간의 양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박봉우 시에서 원초적 공간은 역사적 현실 속에서 상실된 개인과 민족의 정체성 문제가 구체화된 것이다. 이것은 집 이나 고향 같은 실존적 근원성을 표상하는 공간으로 의미화되는데, 집의 해체와 불구적 현실 그리고 고향 상실과 전후의 정신적 외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공간의미는 보호가치로서의 근원지인 민족과 나라의 부재가 그 원인이다. 건강한 민족의 실존성을 찾고자 하지만 근원성에서조차 실존의 자리는 부재로 공간화된다. 둘째, 박봉우 시에서 경계적 공간은 참혹한 현실을 탈피하고자 하는 욕구가 의미화 된 것이다. 이것은 창문 에서 현실을 전복하려는 공간 역전 심리로 의미화되고 있으며, 꽃밭 에서는 현실과 이상 사이의 괴리가 적의로 변주된 변증적 공간으로 의미화 된다. 이것이 어떠한 양상이든 외부로의 세계 지향은 민족의 원심적 욕망에 근거해 있다. 하지만 모두 좌절의 양상으로 공간화된다. 셋째, 박봉우 시에서 폐쇄적 공간은 6 25와 4 19 그리고 7,80년대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경험한 이념적 좌절이 의미화된 것이다. 이것은 벽 에서 혁명적 저항성으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병실 에서는 역사적 현실이 주는 이데올로기 폭력성으로 구체화 된다. 이것은 개인과 민족의 정신을 병들게 하는 요소가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모두 억압의 양상으로 공간화된다. 박봉우 시의 실존공간은 생물 사회학적인 존재의 위치를 보여준 것으로, 인간의 본능적 감각과 현실 경험, 시인으로서의 박봉우의 도덕적 판단에 의해서 해석된 실존적 의미의 상징이다. 이는 50년대 개인과 민족이 주체가 되는 삶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이데올로기가 만들어내는 허상적 주체에 휘둘리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Space and place obtain its value as biological conditions human has and experimental existence events fuse each other. Meaning of a space shown on poetry reflects things made in the midst of sensual experiences of a poet, experiences of social reality, and mutual subjectivity of space. This thesis investigated existence space shown on poetry of Park Bong woo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riginal space shown on the poetry includes meanings based on problem of a lost individual in the historical reality and racial identity. This is a space representing fundamental existence such as house or hometown. The space appears as dismantlement of house, deformed reality, loss of home town, and mental trauma after war. Such meaning of a space is caused by absence of race and a nation which is a source as value to be protected`. Second, Marginal space shown on the poetry is signification of desire to escape horrible reality. This has a form of psychology to reverse space to overthrow reality as shown in window. In a poem flower garden,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was embodied to hostility. Regardless of aspects appeared from such gap, pointing to external world is based on racial desire but all appear as aspects of frustration. Third, Closed space shown on the poetry is signification of ideological frustration experienced during Korean war, 4 19 revolution, and democratization process for 1980s. This appears as revolutionary resistance in wall. In sickroom, ideological violence resulted from historical reality is embodied. This shows that element to make spirit of individual and race become ill is ideological violence. Such violence is all expressed in space aspects of suppression. Consciousness on space of Park Bong woo reflects absence of identity, frustration in reality, and suppressing political violence. All this has negative form. Conflict of ideology and politics of violence after 8.15 Liberation Day are causes for this. Thus, existence space on Park Bong woo`s poetry shows aspects reflecting mental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and social reality through history of disorder.

      • KCI등재

        Applications of soft $g^{\#}$ semi closed sets in soft topological spaces

        T. Rajendrakumar,M.S. Sagaya Roselin 한국전산응용수학회 2024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Vol.42 No.3

        In this research work, we introduce and investigate four innovative types of soft spaces, pushing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spatial concepts. These new types of soft spaces are named as soft $T_b$ space, soft $T_b^\#$ space, soft $T_b^{\#\#}$ space and soft$_\alpha T_b^\#$ space. Through rigorous analysis and experimentation, we uncover and propose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define and differentiate these spaces. In this research work, we have established that every soft $T_\frac{1}{2}$ space is a soft $_\alpha T_b^\#$ space, every soft $T_b$ space is a soft $_\alpha T_b^\#$ space, every soft $T_b^\#$ space is a soft $_\alpha T_b^\#$ space, every soft $T_b$ space is a soft $T_b^\#$ space, every soft $T_b^\#$ space is a soft $T_b^{\#\#}$ space, every soft $T_\frac{1}{2}$ space is a soft $^\#T_b$ space and every soft $T_b$ space is a soft $^\#T_b$ space.

      • KCI등재

        근대주택에 나타난 외부적 공간의 계획 특성 연구

        설유경(Seol, Yoo-Kyung),이상호(Lee, Sang-Ho)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9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ways to plan the external space in modern housing. It investigates how vague and obscure boundaries and the intermediate space emerge and which features the plan for the attached external space in housing has. For these purposes, Villa Savoye by Le Corbusier, Tugendhat House by Mies van der Rohe, Groupius House by Water Groupius will be selected as representative building works for housing and features of their external space in housing will be examined in detail. The extracted external spac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penness into three heads: "open space", "semi open space" and "closed space". It is in turn divided in user, position, connection, composition and combina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The structure of connective relation between rooms by the external space and the accessibility in circulation is visually analysed. It reveals also ways of arrangements, in which internal and external space, circulation and occupants are engaged. In addition it is historically pursued, how the external space comes up for the design under the situation of modern changes in architecture such as the disappearance of ornaments and sculptures and the alteration of feature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modern housing presents basic aspects of the external space.

      • KCI등재

        최경창 시에 나타난 닫힌 공간의 의미

        정일권 ( Jeong Il-gwo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1

        고죽의 심리는 집단 무의식과 자기 원형 심상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형성됐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서 고죽도 유교 강령이 뿌리 깊게 내린 시대정신과 상황의 틀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다. 결국 고죽의 詩는 當時 집단 무의식에 그의 타고난 원형심상이 작동함으로써 그의 심리작용이 표출된 結晶體임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특히 닫힌 시적 공간에서 시에 드러난 고죽의 두 가지 심리 추이를 통해 고죽의 시 정신을 탐구했다. 우선 고죽은 세상의 부조리한 면이나 자신의 질곡의 여정을 토로할 때면 닫힌 공간의 단절양상을 통해 진솔하게 그의 심상을 묘사하는 作詩法을 보였다. 이는 도가의 尙虛 문예관이 아닌 유가의 務實 문예관으로 그 실체를 선명하게 파악하여 지난 자신의 모습을 분명하게 드러내려는 장치였다. 또한 고죽은 이때에 닫힌 시적 공간을 배경으로 심리의 추이도 닫아가는 기법을 사용했는데, 이 역시 대상과 자신의 실태를 드러내 자연스럽게 자신의 의지를 표출하려는 의도였다. 이로써 고죽은 페르조나의 특성을 벗어버리고 자신의 진솔한 면모와 만났다. 결국 고죽은 세상의 부조리한 면이나 자신의 질곡의 여정과 여과 없이 조우해 그 실존에 대한 文藝美를 드러냈다. 다음으로 고죽은 충의에 대한 의지나 인간에 대한 연민과 염원을 표출할 때면 닫힌 공간의 접속양상을 통해 적극적인 태도로 심리를 드러내는 作詩法을 보였다. 즉 고죽은 詩 속에 역사적 전고를 들어 충의에 대한 자신의 의지나 신념을 심층적으로 갈무리했다. 또한 고죽은 사랑하는 이들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진솔하게 토로함으로써 진정한 정감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정감은 질곡의 삶을 살아가는 백성들을 대할 때면 더욱 핍진하게 드러났다. 이처럼 고죽은 詩를 통해 닫힌 공간의 접속양상으로 인간에 대한 따뜻한 숭고미를 일깨웠다. 그리고 이때의 공간은 신성 공간이자 치유의 공간이로서 고죽은 이 틈 속에서 삶의 희망과 염원을 노래했다. It is well-known that Go Juk’s psychology was derived from several factors including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his own imagery. Therefore, he could not be freed from the spirit of the age and the situation framework in which Confucian principles were deeply rooted. After all, it was discovered that his poetry was resulted from his psychological action when his native imagery worked on collective unconsciousness. Based on the thing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irit of his poetry through his psychology revealed in his closed poetic space. First of all, Go Juk described his imagery transparently and honestly through severance of space in expressing absurdity of society and his journey of fetters. He intended to clearly show his own image by identifying himself based on falsehood as one of Confucian points of view. Also, he used a method of closing psychological change on the background of the closed poetic space. It was an intention to reveal his real identity and express his own will naturally. So, Go Juk was freed from characteristics of persona and faced with his honest identity. Readers were impressed by literary beauty when they encountered absurdity of society or Go Juk’s journey of fetters. Then, Go Juk gave a focus on psychology with positive attitude through connecting images of closed space while he expressed the will of loyalty and wish and compassion for humans. That is, Go Juk finished his will or faith with loyalty by presenting antique stories in his poetry. Also he expressed true affection to whom he loved honestly, not lunatically. Such feeling was more truly expressed when he met common people who lived a life of fetters. Thus, Go Juk reminded people of sublime beauty through connecting images of closed space in poetry. The space was space of holiness, sacrifice and healing, and was full of catharsis in which he sang hope and wish for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