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의 시청각 미디어와 저개발 세계의 교육 -국제협조처(ICA)의 저개발국 기술협조와 한국의 시청각교육을 중심으로-

        공영민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2 사이 Vol.32 No.-

        This paper revealed that audio-visual education in the underdeveloped world is part of the Cold War culture for the “Technical Cooperation” project conducted by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ICA) as part of the Korean aid project from 1957 to 1961, and audio-visual aids, including educational films, are the result of the Cold War structure. Audio-visual media, which had been used as propaganda through the two World Wars, immediately began to respond to the Cold War as it was absorbed into a major branch of international aid organizations shortly after World War II. The educational aspect of audio-visual media was highlighted as both camps, centered o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utilized audio-visual education as a means of public enlightenment and education in order to embrace and lead the underdeveloped world into their respective camps. The part that ICA particularly focused on in technical cooperation was basic education aimed at achieving economic independence in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audio-visual package programs, including educational films, were used as main teaching aids in Fundamental Education focusing on improving living conditions such as health, hygiene, diet, and agriculture. The audio-visual package programs included a variety of audio-visual aids, including films, radio, magazines, books, leaflets, photos, and posters. ICA’s audio-visual education technical cooperation had provided to disseminate audio-visual aids needed for the duties of community leaders, Home Economist or Home Agent, while using them as the main contents of educational films to spread the purpose and goals of aid to the region. As a result, audio-visual media went through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routinization, and localization, functioning as an educational medium, and had an impact on local residents without literacy. 이 글은 국제협조처(ICA)가 1957년부터 1961년까지 한국 원조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한 ‘기술협조’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저개발 세계의 시청각교육이 냉전 문화의 일부이며, 그 과정에서 생산된 교육영화를 비롯한 시청각 교재들이 냉전적 구조의 결과물임을 밝힌다. 양차 대전을 거치며 선전의 도구로 자리했던 시청각 미디어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 국제적인 원조기구들의 주요 분과로 흡수되며 빠르게 냉전에 대응하기 시작했다.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양 진영이 저개발 세계를 각자의 진영으로 포섭하고 견인하기 위해 시청각교육을 대중 계몽과 교육의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시청각 미디어의 교육적 측면이 부각되었다. ICA가 기술협조에서 특히 집중한 부분은 저개발국의 경제적 자립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교육이었다. 보건위생, 식생활, 농업 등의 생활개선에 집중하는 기초교육에서 교육영화를 비롯한 시청각 패키지 프로그램이 주요 교재로 활용되었다. 시청각 패키지 프로그램에는 영화, 라디오, 잡지, 도서, 리플릿, 사진, 포스터 등 다양한 교재들이 포함되었다. ICA의 시청각교육 기술협조는 지역사회의 리더들인 농촌교도원, 가정교도원들의 임무에 필요한 시청각 교재를 보급하는 동시에 그들을 교육영화의 주요한 콘텐츠로 활용함으로써 원조의 목적과 목표를 지역 곳곳까지 전파하는 역할을 했다. 이에 따라 시청각 미디어는 대중화․일상화․현지화의 과정을 거치며 교육 매체로 기능하며 문해력이 없는 지역민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1950년대 저개발 세계의기초교육과 시청각교육-유네스코의 활동과 한국 신생활교육원을 중심으로-

        공영민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5

        This paper examined how UNESCO actively conducted “Fundamental Education” in the underdeveloped world and used audio-visual media and audio-visual aids as a means of assistance, and revealed the process and meaning of Fundamental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Korean Fundamental Education Center(KORFEC) and the educational films of OPI Motion Picture Production Laboratory. The background to the spread of audio-visual media in Korea was the global educational aid activities carried out by UNESCO. As a result, the KORFEC, an institution for nurturing Fundamental Education expert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The network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terlocked in rural areas of Korea under the common goal of rural reform through Fundamental Education represents the fierc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t the border of the Cold Wa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community leaders and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were composed of key themes in the educational film for rural enlightenment produced and distributed jointly by the Korean government ministries and the US aid agencies. Through the encounter of “Fundamental Educ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that occurred in Korean rural areas in the 1950s, it was confirmed that audio-visual aids as a medium of Fundamental Education influenced the spread of audiovisual media, including movies and radio in Korea and other underdeveloped worlds. 이 글은 유네스코가 저개발 세계에서 수행한 ‘기초교육’과 이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청각 미디어와 시청각 교재가 활용된 방식을 살펴보고, 기초교육과 시청각교육이 한국에서 진행된 과정과 의미를 신생활교육원과 한국 공보실 영화제작소의 교육영화를 통해 밝힌다. 유네스코가 수행한 세계적인 차원의 교육 원조 활동의 결과로 설립한 신생활교육원은 한국에서 시청각 미디어가 전파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기초교육 전문가 양성기관인 신생활교육원의 교육과정과 기관이 배출한 농촌교도원들은 미국이 저개발 세계 원조의 일환으로 진행한 농촌 환경 개선 프로젝트인 지역사회개발사업과 깊은 연관이 있다. 기초교육을 통한 농촌 개조라는 공통의 목표 아래 한국의 농촌지역에서 맞물린 국제기구들의 관계망은 미국과 소련이 냉전의 접경에서 벌인 치열한 경쟁을 대변한다. 농촌교도원들의 교육 활동과 시청각 교재의 활용은 한국 정부 부처와 미국 원조기구가 합자해 생산․배포한 농촌계몽을 위한 교육영화에서 핵심적인 주제로 구성되었다. 1950년대 한국농촌에서 일어난 ‘기초교육’과 ‘지역사회개발사업’의 조우를 통해 결과적으로 기초교육을 위한 매개로서의 시청각 교재가 한국을 비롯한 저개발 세계에서 영화와 라디오를 비롯한 시청각 미디어의 확산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시청각 교육에 있어 설득 전략의 필요성에 관한 기초연구 - 영상매체를 활용한 교통안전교육을 중심으로 -

        우경훈 ( Woo Kyung-h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

        현대사회가 정보의 범람 속에 기상천외한 영상물이 웹 페이지를 가득 메워 웬만한 영상물은 관심 끌기조차 어려운 정보화시대임을 감안할 때 교통안전교육용 시청각교재도 변화의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는 교통안전교육용 시청각교재에 설득 전략을 가미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시청각교육의 개념, 특성 등과 시청각교육의 원조격인 멘탈 하이진 필름(Mental hygiene film)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시청각교육에서의 설득 전략으로써 사용 가능한 심리학적 기제에 대해 고찰하였고, 영상매체를 활용한 교통안전교육의 현주소를 한국과 미국 중심으로 그 실태 파악을 통해 밝혔다. 이와 함께 다양한 연령으로 구성된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용 시청각교재에 설득 전략이 과연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설득전략을 구사하기 위한 선재 작업으로서 고착성 제고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며, 긍정적인 감정요소에 기초한 감성적 소구를 활용한 감성 설득 전략은 교통안전교육용 시청각교재에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실증연구 결과 시청각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공감하나, 교육만족도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육대상자의 구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연령별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공포감을 주는 시청각교재보다는 좋은 느낌을 주는 시청각교재를 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연구 결과는 교통안전교육용 시청각교재를 설득 전략을 구사하여 제작할 때 중요하게 고려될 사항이라 판단된다. The audio-visual textbook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need the change given ordinary video contents are hard to attract the attention because extraordinary contents are too many in the overflowing of information. The study researched the notion and feature of audio-visual education and mental hygiene film which was the originator of audio-visual education to add the persuasive power to the audio-visual textbooks for traffic safety education and compared Korean traffic safety education using video media with American one and psychological elements as a persuasive strategy of audio-visual education. And it surveyed whether the persuasive strategy was needed to audio-visual textbooks for traffic safety education by researching the sample set which consisted of different ages. It found the measure of boosting adherence necessary and the emotional persuasive strategy epoch-making. However,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ow educational satisfaction,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education recipients by age. And recipients preferred good sense of audio-visual textbooks rather than fear ones. These results have to be importantly considered in making audio-visual textbooks for traffic safety education.

      • 소비자 교육용 시청각 교육 매체의 필요도 : focusing on consumer's characteristic and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소비자의 특성과 소비자 교육내용별로

        김시월 건국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2000 생활문화ㆍ예술논집 Vol.23 No.-

        This study puts an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the audio-visual teaching media for comsumer education, dealing with the younger generation and adults who will be main domestic consumers. Seoul, Inchon, and Sungnam where is the most developed and industrialized society for this examination, and its method is not random sampling. The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were corrected and reinforced after the pretest, and the examination was carried by the individual interview and filling in by themselves. The number of the whole questionnaires is 1,978. From the basis of the main results, inferences are drawn as follows; It is basic contents that consumers want to need the audio-visual teaching media for comsumer education. There are many audio-visual teaching media for comsumer education, but it is not considered consumer's characteristic and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For example, consumer's characteristic is different with age, generation, job, and watching time of TV, seeing time of newspaper, using time of computer, and so on. And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need in many part with consumer's condition. Therefore, audio-visual teaching media for comsumer education must be consider consumer's characteristic and contents of consumer education.

      • KCI등재

        라디오학교에서 TV여름학교까지: 한국 교육방송에서 미국의 원조와 국가개입의 역사

        김우영 교육사학회 2023 교육사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195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의 교육방송의 역사에 초점을 두고, 한국 교육방송의 시작에 있어 내부의 지역적 맥락의 특징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 한국에서 라디오 학교방송이 시작된 계기과 그 진행과정을 통해 교육방송의 시행이 보여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1960년대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설립과 텔레비전 교육방송 시행을 통해 중앙정부가 교육방송 시행 및 확대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한국의 교육방송은 1950년대 시청각교육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미국 국제협력처의 기술 및 재정원조를 통해 시작되었다. 당시 라디오 학교방송은 당시 유입된 존 듀이의 미국식 경험주의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교육기자재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초기 라디오 학교방송은 실제 시행과정에서는 시청각교육협회를 비롯한 교육자들의 조직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당시 미국 원조의 결과물로만 보기에는 어렵다. 1963년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설립과 텔레비전 교육방송의 시작은 중앙정부가 본격적으로 교육방송에 개입했음을 보여준다. 중앙시청각교육원을 통해 중앙정부는 교육방송 프로그램 기획과 제작을 모두 담당했으며, 이는 1968년 국민교육헌장 반포와 함께 1970년대 교육방송에 있어 프로그램의 내용에 국가주의적, 민족주의적 색채가 짙어지게 된 원인이 되었다. 중앙시청각교육원의 설립과 그 기능, 그리고 상대적으로 급박하게 진행된 교육방송의 확대는 한국 교육방송의 구조에 있어 프로그램의 제작과 송출의 역할이 나뉜 이중적 구조를 만든 배경이 되었다. 한국에서 초기 교육방송의 역사는 외부의 원조가 해당 국가나 지역에 어떠한 방식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가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사례이다. 또한, 교육방송에 대한 미국의 원조는 1950년대 초기부터 1980년 미국 USAID가 대한교육원조사업을 종료할 때까지 지속된 장기적 사업이었다는 점에서, 한국 현대교육사에 있어 미국의 교육원조가 한국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The study mainly examines the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South Korea from the 1950s to the 1960s. To clarify the initial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radio school broadcasting that began in the early 1950s and its transformation to the educational television for schooling in Korea.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began in 1951 during the Korean War. It was mainly perceived as a type of audio-visual education and a tool for launching “new education” from American education team that intended to implement the American progressive education. In the 1960s, the central government began its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for Audio-Visual Education in Korea. The history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 represents that the initial educational broadcasting was not just an area of Cold War education but how local educators endeavored to accept foreign systems to fit into their contexts.

      • KCI등재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영상자료 활용과 봉사활동-

        하만두 ( Man Du Ha ),유은정 ( Eun Jung Yo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1

        The need of least restricted environment for special education has been driven to Inclusive Education. For the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students, teachers, parents, and local community and governmental support should be forthcoming. The most important thing, however, is the recognition and perspectives of normal students toward the disabled. Currently, in Korea, the integrative education is being operated in a form of special class or integrative class. And the tendencies` being expanding to public kindergarten, and middle and high school, centering around elementary school. Thu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toward disabled people, to look into the effect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and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programs. The target of this research was 90 high school students whose school doesn`t have a special class. Independent variable was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using audio-visual materials and volunteering activities. Dependant variable was the attitude of normal students. The experiment design of this research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fter the operation of the experiment, the result has been discussed through ANOVA(Analysis of Variance). To compare the experimental effects between two experiment groups, Scheffe examination was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after using audio-visual materials and volunteering activities, the differences of receptive attitude between groups were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social contact intention and practical contact. Second, audio-visual program and volunteering activities solidifies the positive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activity preference with the disabled. Third, audio-visual group showed more drastic changes than volunteering group in receptive attitudes and activity preferences with the disabled. In conclusion,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contributed to change the normal students` awareness in positive way. And students` positive awareness was reinforced more by audio-visual materials than volunteering activity program. This study suggests a systematic program for disability awareness composed of appropriate activities for high school and level-based audio-vidual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integrated with general educationa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멀티미디어 매체 활용이 한국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문 목적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신민아, 박소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7 대학교양교육연구 Vol.2 No.1

        최근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문 목적 학습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에게 쓰기 교육은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쓰기는 다른 언어 기능과 달리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의도된 교육 환경 아래에서 학습이 가능하다. 이에 멀티미디어매체를 통해 쓰기에 대한 학습자들의 부담을 줄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부산 소재의 D대학교에서 외국어를 학습하는 중급 2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5) 본 연구에서는 같은 주제에 대한 쓰기를 2회 실시한다. 1회차 쓰기에서 학습자들은 교사의 설명이나 자료의 제공 없이 자신의 생각을 쓴다. 쓰기 수행이 끝나면 학습자는 관련 멀티미디어 매체를 보면서 쓰기에 사용할 어휘나 문장, 내용을 메모한다. 그리고 다시 같은 주제에 대해 2회차 쓰기를 실시한 후 매체 사용 전⋅후의 쓰기 결과를 비교하였다. 멀티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를 고취시키고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해 얻은 정보와 자료는 쓰기의 중요한 재료가 되며, 이는 쓰기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멀티미디어 매체는 수업 후에도 반복해서 듣고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학습자들은 쓰기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낀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매체를 본 후 쓰기에서 는 내용 구성이 풍부해진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쓰기 후 설문조사를 통해 쓰기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다. 멀티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쓰기 수업은 첫째,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멀티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쓰기 수업은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매체를 활용한 후 학습자들의 쓰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제에 대한 전문 용어의 사용이 증가하였고 내용이 명확하고 풍부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쓰기는 표현 영역이다.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주어진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형태보다는 의미에 초점을 두는 수업이 진행되어야 하며, 장기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려면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 태도가 필요하다. 멀티미디어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는 수업 도구가 될 것이며 앞으로의 더 많은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s on a rise recently and for such learners writing (composition) lessons are of great importance. Unlike other aspects of language learning, writing skills cannot be acquired naturally through one’s daily life but can only be mastered through a purposely designed learning environment/model.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for the learners and to incite their interest we need writing (composition) classes based on using audio-visual mediu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24 intermediate level students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n D-University, Busan. The students were first asked to write their thoughts on a given topic. However, there were a lot of students who found it challenging to write due to the difficulties in using the correct vocabulary and grammar and constructing proper sentences. Moreover, there were students who were restricted by the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on the topic. The students were then showed news and documentaries related to the topic and were asked to write their views again. The results from the two situations were then compared. A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audio-visual medium not only builds interest and motivation among the students but also provides them with realistic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nd data obtained through audio-visual medium can become a useful reference material for the students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writing activity. Furthermore, since audio-visual medium can be listened to or used repeatedly even after clas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writing skills of students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orean language learners usually feel burdened by writing. However, after playing the audio-visual material, we could see that their writing became richer in content and the survey conducted after the writing activity also reflected a decline in the burden felt by the students. From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wo things. Firstly, a writing class which utilizes audio-visual medium helps in arousing interest in the students and in reducing the burden felt by them. Secondly, a writing class based on using audio-visual materials helps in improving the writing skills of the learners. The analysis of the material written after the application of audio-visual medium showed an increase in the use of technical terms and more clarity and richness in content. Writing is a method to express oneself. In order to enable the students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o express their thoughts clearly through composition, instead of a class that focuses on the language form, we need a class that focuses on the meaning/significance. Also, for long-term learning, the students as well need to display an active learning attitude. Since a composition class based on audio-visual medium can act as a useful tool to satisfy such requirements, it would be useful to have more research on this topic in the future.

      • KCI등재

        만성 목-어깨 통증이 있는 여성 성인에게 시청각 매체를 활용한 탄력밴드 저항운동이 통증, 고유수용성 감각과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남기,이정우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24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31 No.1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astic band-resistive exercise using audio-visual medium on pain, proprioception, and motor function in adults with chronic neck and shoulder pain. Design: One group pretest-posttest follow-up experimental design. Method: Twenty adult women with neck and shoulder pai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Elastic band-resistive exercise using audio-visual medium including cervical flexion and extension, shoulder external rotation, and scapular retraction-protraction motions was conducted 5 times a week for 3 weeks. The Numerical Rating Scale, pressure threshold tool, CROM goniometer, and Image J software were used to assess subjective pain level, tenderness threshold (pain), joint position sense error (proprioception), joint range of motion, and postural alignment (motor function), respectively. Result:: The pain intensity and threshold and joint position sense error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after the intervention, whereas the joint range of motion angle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s. The postural alignment including forward head posture and rounded shoulder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s: Therefore, we suggest that elastic band-resistive exercise through audio-visual medium would be helpful in preventing and managing pain and physical dysfunction in individuals with chronic neck and shoulder pain, and then it w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health management-related online education content.

      • KCI등재

        GIS 응용 프로그램의 시청각 메뉴얼 구축을 통한 교육전달 효과분석: 대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이혜나 ( H. N. Lee ),이보름 ( B. R. Lee ),류지철 ( J. C. Ryu ),강현우 ( H. W. Kang ),배선학 ( S. H. Bae ),임경재 ( K. J. Lim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1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3 No.3

        Many computer model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condition and estimating the future changes. Especially GIS based systems were widely used because it helps users manipulate and analyze the spatial data easily. But it is difficult to use by non-specialists without education or tutorial.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 was developed to provide easy-to-use GIS interface to estimate soli erosion and sediment yield at watershed-scale. However, it is also difficult to use for beginners. Therefore, audio-visual manual was developed and its learning effec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survey were conducted from Kangwon University including 34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5 items about general effects when using manual and 5 items about visual education effect. As a result, group of educated using visual tools showed higher ability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t shows that the audio-visual tools are effective for learning GIS based tools. Therefore. use of audio-visual learning materials in GIS environmental issues are highly recommended.

      • KCI등재

        영상 매체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TV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한선 ( Han Sun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7 언어와 문화 Vol.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method through the use of Audio-Visual Media in Korean Culture Education. The foreigner can learn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simultaneously because the Audio-Visual Media, as a composite culture, includes th various life styles, behavior, emotions, and thinking of Korean people. Thus, this study deals with how to effectively use audio-visual media(focused on TV Dramas and Movies), the products of culture, as one means in order to teach Korean culture. And to make some suggestions various learning activities of culture by presenting the standards to select TV dramas and movies and the methods of using them. There are some procedures such as, the preview activities - pre-watching activities - watching - review & feedback activities in the instruction through TV dramas and movies and there are some methods etc. The communication ability is relate to not only th linguistic elements but also non-linguistic and socio-cultural contexts. Since this kinds of communication ability is based on the culture of the language community, there'll have to be much more studies about the culture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