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식민지기 언양지역 연안송씨(延安宋氏) 가계의 토지상속

        박희진 ( Hee Jin Park ),백승민 ( Seung Min Pae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 이후 강화된 장자우대상속 관행의 연속성 여부를 살펴보았다. 경상남도 언양 지역의 연안송씨가문의 호적부, 족보, 토지대장을 이용하여 식민지시기의 상속관행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식민지기 연안송씨의 상속관행은 1912년 ``조선민사령``과는 별개로 조선후기이후 관습이 계속 유지되어 왔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주승계와 마찬가지로 사후상속은 원칙적으로 장남이 상속한다. 장남이 없을 경우 장손자 그리고 부인 순으로 상속권리가 발생하고 있다. 둘째, 토지상속에서 있어서 여성은 완전히 배제되었다. 셋째, 재산 분급은 사후상속 뿐아니라 증여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차남 이하의 경우, 혼인할 무렵이 되면 분가하여 독립할 수 있도록 부모나 장남이 재산을 증여, 분급하였다. 이상의 상속관행은 장자중심의 사회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고, 장남의 가족 내 위상은 다른 형제들 보다 우월할 수 있었다. 장자중심의 상속관행은, 식민지시대가 조선시대보다 가부장권이 더 강화되었는 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식민지시기 장남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가부장권은 조선시대를 이어 계속 온존유지할 수 있는 물적 근거를 보여주고 있다. In this paper we want to ask, how Korean people bequeath the property to their offspring. To answer this question, we have selected for study the customs of the Yonan Song family, who lived in the onyang area, through an examination of land registers, household registers, and genealogies. Before the colonial period, according to our data for 1911, this family reflected widespread Korean patterns for pre-modern: the first son inherited 57%, while the remaining 43% was shared by other children. Daughters. Most studies are pointed out the property allocation system of the colonial period distorted through the 1912 Civil Code without empirical studies, which imposed primogeniture likes Japanese cases. Specifically, this regulation had, among others, the following provisions: 1. In case of death of the "Head of Household"(戶主) the eldest son would inherit all of the household````s property as the new Head of Household. The other children would only retain the right to claim the property. 2. In case of the death of the eldest son, the second son would succeed as head of household. If a son was too young, the wife would serve as head of household. 3. In case of the death of a member of the household who is not the Head of Household, his direct descendants inherited his property. 4. In case of the death of the wife of the Head of Household, girls who left the household through marriage retained inheritance rights. But, our result of the Yonan Song family``s case study shows, the first son``s share maintained similar its ratio during the period 1911~77. After the first son inherited his father``s estate, he reallocated it among his brothers. It shows influence of patriarchal order still have an important role in colonial period Korea, and, why first son``s authority in family is higher than othe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