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圓覺寺址 十層石塔의 西遊記 浮周 硏究

        신소연(Shin Soyeon)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49

        1348년에 건립된 敬天寺 十層石塔과 1467년 건립된 圓覺寺址 十層石塔은 다층다각의 석탑으로 각층마다 다양한 도상을 갖춘 독특한 형태의 대리석 석탑이다. 참배자의 눈에 잘 띄는 기단부 중대면석 전체와 상대면석의 두 장변에는 소설 『西遊記』의 내용이 부조로 남아 있다. 현장은 인도에서 수많은 경전을 가져왔으며 譯經작업을 통해 중국의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한 역사적인 인물로, 업적과 명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그의 求法行 역시 전설화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예가 바로 明代 吳承恩의 『西遊記』이다. 경천사 석탑의 건립연대를 통해 석탑의 서유기 부조의 내용 전개는 元代 『서유기』에 근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경천사 석탑의 서유기 부조는 10여 장면만이 남아 있으며 석탑 전체가 해체ㆍ복원되어 보고서 간행 작업중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경천사 석탑과 도상이 동일하며 22장면이 모두 잘 남아 있는 원각사지 석탑의 부조를 중심으로 서유기 부조를 살펴보았다. 현존하는 원대 『서유기』는 잔편만이 남아 있으나, 고려시대 중국어 회화 교본인 『朴通事』를 언해한 『朴通事諺解』에는 원대 『서유기』의 항목과 내용이 잘 남아 있다. 이를 명대 『서유기』의 내용과 비교하면 『서유기』의 기본적 내용과 구성이 이미 원대에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석탑 부조의 내용은 唐을 출발하여 靈鷲大會에 도착하기까지 현장이 겪는 다양한 사건을 묘사하였다. 부조에는 출발의 계기가 된 당 태종의 無遮大會와 송별 장면이 있으며, 현장의 제자들이 등장하고, 火焰山이나 車遲國 일화처럼 현장이 겪은 모험담과 경전을 얻어 돌아와 證果를 얻는 장면이 나열되어 있다. 각 부재의 내용은 명확하지만 그 배치 순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배열로 보기 어렵다. 부조면의 길이가 긴 동서남북의 정중앙에 위치한 부재들만을 별도로 본다면 시계반대 방향으로 내용이 전개되는 반면, 나머지 다른 부재들의 장면만을 놓고 볼 때는 시계방향으로 진행되어 내용 전개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전개 방향은 남측 남면의 귀환 장면과 북측 북면의 출발 장면을 혼동한 결과로 보인다. 만약 북측 북면과 남측 남면 장면을 바꾼다면 동측부터 탑돌이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출발’, ‘모험’, ‘취경’, ‘귀환’이라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러한 중앙 면석 중심의 전개 방식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순차적인 배치라기보다는 효과적인 이야기 전달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서유기 부조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면 경천사 석탑의 부조는 입체적인 데 비해 원각사지 석탑은 평면적이다. 또한, 경천사 석탑은 꼼꼼한 세부 묘사가 특징인 반면, 원각사지 석탑의 부조는 동일한 도상임에도 생략되거나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 이는 원각사지 석탑이 경천사 석탑을 모방하여 만들었으나, 제작 당시 도상에 대한 이해는 낮았음을 알려준다. 서유기 부조는 여러 장면에 걸쳐 내용을 표현한 것으로 후대 『서유기』에 수록된 판화의 형식과 매우 유사하다. 경천사 석탑과 원각사지 석탑의 서유기 부조를 통해 명대 통속소설인 『서유기』 판화의 원형이 원대에 성립되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 서유기 부조는 스투파에 새겨진 불전이나 본생담과 같은 서사 부조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통속소설로 알려진 『서유기』의 내용이 석탑의 기단부에 부조된 이유는 『서유기』의 내용이 참배자에게 공덕을 쌓아 깨달음을 얻은 현장과 그의 제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證果라는 종교적 메시지를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장이 증과를 얻는 장변은 상대면석의 나한상 중에 위치해 있다. 송대 이후 현장을 나한 중의 한 명으로 인식하기도 하는데, 서유기 부조 역시 이러한 전통이 이어진 결과로 보인다. 조선시대 왕실이나 궁궐 건축의 지붕 위에 있는 잡상의 명칭이 『서유기』의 주인공인 현장 일행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서유기』 등장인물이 지니는 벽사적인 상징적 의미가 석탑의 부조에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close examination of the Xiyouji reliefs calved on the ten-story pagoda at the Wongak Monastery and define its significance and function. Xuanzang (玄?), one of the most well-known Chinese monks. made pilgrimage to India between AD. 629 to 645. On his return, he brought massive volumes of Buddhist scriptures and devoted the rest of his life in translating the texts. Xuanzang's successful nip and remarkable accomplishment in Buddhist studies led to the mystification of the monk himself and his religious journey. Xiyouji (西遊記) or Journey to the West, a novel written by Wu Chengen (吳承恩), is the most widely known story of Xuanzang wth his four disciples. In the story. Xuanzang travels toward the Leiyin Monastery (雷音寺) in Mt. Vulture (靈鷲山) to obtain Buddhist scriptures for the people in me East. The ten-story pagoda at the Gyeongcheon Monastery (敬天寺), built in 1348. is significant as to the formation of Xiyouji and its pictorial translation in the Yuan dynasty. The form and decoration of this marble pagoda was repeated in the pagoda built at the Wongak Monastery (圓覺寺) in 1467 by order of King Sejo (世祖, r. 1417-1468). On each monument Xiyouji story is represented in 22 scenes in relief sculpture. Twenty scenes are located in the middle parts and two scenes are in the upper parts of the foundations. Except for some stylistic differences. the depictions on the two marble pagodas are almost identical. As the pagoda of Gyeongcheon Monastery were seriously damaged.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appearance of the pagoda and the arrangement of the stone pieces. On the contrary, the pagoda of the Wongak Monastery maintains its original form. Hence, this paper focuses on Xiyouji reliefs on the pagoda at the Wongak Monastery. When collaborating with several versions of Xiyouji, the episodes of Xiyouji reliefs on the pagoda are similar to the contents in Paktongsa eonbae (朴通事諺解), which records the storyline and several episodes of Yuan version of Xiyouji. This identification is significant since it suggests that the relief sculptures on the Wongak Monastery pagoda can be related to the prototype of Wu Chengen's Xiyouji in the Ming dynasty. Moreover, the selected scenes and compositions in the relief sculptures also appear similar to the woodblock print of the novel of the Ming Compared with the relief on the pagoda of Gyeongcheon Monastery, the relief on the pagoda at Wongak Monastery is bas-relief and it lacks three-dimensional effect and fineness of detail. While the story of each relief scene is easily identifiable, the order of the scenes reveal some discrepancies, being inconsistent with the general order of the depiction from departure. adventures, obtainment of scriptures and return. Based on the size and placement of each relief piece, it seems that the relief of the departure' scene in the north and that of return in the south have changed. When these two pieces are replaced by one another the sequence of the story becomes clear starting from the east side and ending in the north. This arrangement also accords with the directions in the traditional way of viewing scroll paintings and the circumambulation of the pagoda. The inclusion of the popular literature Xiyouji in the sacred construction of pagoda can be justified by the pious nature of the story in which Xuanzang pursues enlightenment with great determination and effort When walking around the pagoda, worshipers would have seen the story of Xuanzang making virtuous deeds and learn important teachings of Buddhism. The scene of Xuanzang's enlightenment is located among the scenes of Luohans in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Considering that Xuanzang was considered as one of Luohans since Song dynasty. the effectiveness of Xuanzang relief on this pagoda is comparable to those on Fan pagoda in Kaifeng. Besides being exemplary Buddhist practitioners, Xuanzang and his four disciples also functioned as powerful guardians. Con

      • KCI등재후보

        论明清时期的齐天大圣崇拜

        묘회명 국제언어문학회 2011 國際言語文學 Vol.- No.24

        In the Flower and Fruit Mountain region of Henan Province, Yiyang County, the worship of the Monkey King has for a long time in a popular, It's time should be later than the emergence of XiYouJi. This has important reference value for the study of XiYouJi in the spread and impact of civil society. In the Ming and Qing period, the worship of the Monkey King is very popular among the people, not only a wide range, and very prosperous. To time, most production time is later than the XiYouJi novel’s appearance, and some produce very early, even more earlier than XiYouJi. The Government is opposed to the grand, pious worship of Monkey King in the civil, that it harm the local stability, and immoral, to combat it.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is ban is temporary, cannot make the Monkey King worship disappeared. 河南省宜阳县花果山一带民间长期以来流行齐天大圣崇拜,当地齐天大圣崇拜兴起的时间至多可以推到明代末年,应当出现在《西游记》小说面世之后。明清时期,特别是《西游记》小说面世之后,齐天大圣崇拜曾在民间广泛流行,其中以南方福建、湖北等地尤为盛行。对民间隆重、虔诚的齐天大圣崇拜,官府的反映是负面的,将其作为危害地方安定、伤风败俗的淫祀进行打击。官府及正统文人对以齐天大圣崇拜为代表的民间信仰及风俗是蔑视和反感的,将其视为一种影响人心风俗及社会安定的危险因素。但这样查禁的成效只能是暂时的,并不能使齐天大圣崇拜绝迹,从今天各地保存下来的很多庙宇、碑刻等历史遗迹就可以看出这一点。

      • KCI등재

        ‘놂[游]’으로서의 순례- ‘大長程 인문학’ 구축을 위한 현장법사의 西域 순례 다시 읽기

        김월회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3 No.-

        This study was designed as part of the work to build ‘humanities of great journey’. ‘Great journey’ refers to a journey in which one journey engendered text, and that caused another text and different humanities. Therefore, the humanities of great journey is composed of the journey that can be regarded as great journey, the resulting text, and other texts and humanities created by them. Specifically, in this article, I first presumed journey as a kind of ‘游[ludus]’. Next, I clarified the nature of 游[ludus]. Then, through the Xuanzang(玄奘)’s pilgrimage to the Western Regions[西域], the assertion that the journey would be reborn as a great journey when such nature was fully realized. To this end, I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great journey, and at the same time, exemplified the practice of great journey on the basis of the corresponding cases in the history of China. This article has four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In Chapter 1, I explained the reason why I named the journey that created the ‘texts of civilization’ as great journey, and presented the topic of humanities of great journey’ as a subject of the human achievement achieved by great journey, As a first step for the construction of humanities of great journey, a brief explanation was given of the pilgrimage to the Western Regions and the reason to deal with the Datang Xiyouji大唐西域記. Howev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concept of key term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humanities of great journey. I think ‘游[ludus]’ is one of the key terms. In chapter 2, I dealt with the case of great journey in the history of humanity in China, and based on this, we built the concept of ‘游 [ludus]’. Through this, I identified the reason why ‘游[ludus]’ was chosen as a key concept in the construction of humanities of great journey. In chapter 3, the pilgrimage to the Western Regions which created the texts of civilization, Datang Xiyouji大唐西域記, was re-examined from the angle of ‘游[ludus]’. In this process, I considered the reason why the pilgrimage to the West Regions was ‘游[ludus]’ and what made the pilgrimage to the truth into ‘游[ludus]’. Chapter 4, as a conclusion, I summarizes the previous discussions and highlights the current implications of constructing humanities of great journey’. 이 연구는 ‘大長程(great journey)’이라고 부를 만한 여행과 그로 인해 빚어진 텍스트, 그리고 이들이 야기한 또 다른 활동과 텍스트 등을 근거로 ‘대장정 인문학’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이 글에서는 놂으로서의 여행이라는 화두 아래 놂의 본성이 온전히 구현되었을때 그것이 문명의 텍스트를 빚어내는 대장정으로 거듭난다는 주장을 현장의 서역 순례를 통해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장정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중국 역사에서 이에 해당되는사례로 대장정의 실체를 예증하였다. 또한 놂의 본성은 “무언가에 충실하되 그것과 다른 결의활동을 동시에 수행함”임을 밝혔고, 현장의 서역 순례가 ‘聖者’로서의 순례와 ‘學人’으로서의순례가 병행된 것임을 확인함으로써 그의 순례가 놂의 속성이 잘 구현된 대장정이었음을 고찰하였다. 이는 문명의 텍스트인 《대당서역기》․《대당대자은사삼장법사전》을 빚어낸 현장법사의 서역 순례를 놂이라는 각도에서 재조명한 작업으로서, 이 과정에서 현장의 서역 순례가왜 놂이었는지를, 그의 구법 순례를 놂이 되게끔 해준 요소가 무엇이었는지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앎의 희열이 현장의 순례를 이끌었음과 희열의 근저에는 자유로움과 자발성이 자리 잡고 있었음을, 현장의 순례가 그 속성이 잘 구현된 놂이 될 수 있었던 이유를, 현장에게 놂이었던 순례가 지금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이들에게 놂거리로서 활용될 수 있었던 이유를고찰하였다. 그리고 현장이 자신의 순례 기록을 이야기로 채운 까닭, 異域과 그에 대한 사실적 기록이 결합되었을 때 추동되는 현상 등도 아울러 다루었다. 그러한 다음 결론에서는 대장정 인문학의 구축이 지니는 현재적 의미를 조명하였다.

      • KCI등재

        『삼강명행록』에 나타난 『서유기』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임현아 한국국학진흥원 2023 국학연구 Vol.- No.52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 acceptance patterns and meaning of the Chinese novel 『Xiyouji (Journey to the West; ⻄遊記)』, which ap『peared in the long novel 『Samgangmyeonghaengr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81 disasters experienced by Madam Sa in 『Samgangmyeonghaengrok』 are very similar to the 81 disasters of San_Zang in 『Xiyouji』. San_ Zang in 『Xiyouji』 and Madam Sa in 『Samgangmyeonghaengrok』 ex『perience various conflicts and incidents on the long journey of com『pleting ‘Chuigyeong (Learning from experience; 取經)’ and ‘world map (天下地圖)’ respectively. This proves that the narrative of 『Xiyouji』 was accepted into 『Samgangmyeonghaengrok』, which focuses on the jour『ney narrative. Also, this work embraces the characters of San_Zang and Sun Wukong (Monkey King) to interestingly unravel the conflict and resolution patterns of the journey narrative. Since there are very few examples of 『Xiyouji』 being accepted in large『length novels, it is noteworthy that 『Samgangmyeonghaenghaengrok』 accepts the 81 disasters and main characters of 『Xiyouji』.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cceptance of 『Xiyouji』 into 『Samgangmyeonghaengrok』 increased not only its value as an educational book but also its novelistic interest.

      • KCI등재

        玄奘 譯 『반야심경』의 성행 내력

        최기표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1 No.-

        The short version of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 sutra can be found in two Chinese translations, by Kumārajīva and Xuanzang (玄奘). When a Buddhist text is translated into Chinese, it is usually the translation by Kumārajīva which is preferred. Perhaps the only exception is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sūtra, since it is exclusively Xuanzang's translation which is commonly used for chanting. For this reason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sūtra begins with the word GuanzizaiPusa (觀自在菩 薩) instead of the more common GuanshiyinPusa (觀世音菩薩), both words being translations for Bodhisattva Avalokiteśvara. This is a common phenomenon in countries that use Buddhist scriptur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namely: China, Korea, Japan, and Taiwan. A clue which offers an explanation for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in a record by Xuanzang’s disciple Kuiji (窺基). According to Kuiji, when Xuanzang left for India, before crossing the border,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manifested himself in the guise of a sick monk and orally transmitted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 sūtra in Sanskrit to him. During his journey for seeking the Dharma, whenever Xuanzang encountered difficulties, he was able to extricate himself from danger by reciting this sūtra. After this event became widely known by the public, the short version of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 sūtra in its Chinese translation by Xuanzang became widely chanted. The Ming novel Xiyouji (西遊記 ; “Journey to the West”), which is based on Xuanzang’s journey to India seeking the Dharma, depicts Xuanzang as having undertaken his perilous journey for the sole purpose of seeking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 sūtra. All the commentaries written on the Prajñāpāramitāhṛayasūtrause Xuanzang’s translation as the base text. 서분과 유통분이 생략된 小本 반야심경의 한역본은 구마라집의 것과 현장의 것 두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두 사람의 번역본이 모두 존재할 경우 보통구마라집의 한역이 읽히는 데 비해 반야심경만은 오로지 현장의 한역본이 독송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야심경』은 널리 알려진 ‘觀世音菩薩’이라는 번역어 대신 ‘觀自在菩薩’로 시작한다. 이는 한국은 물론 중국, 일본, 대만 등 한문경전을 사용하는 국가의 공통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단서로서 현장의 제자인 窺基 등의 기록이있다. 기록에 따르면 현장이 인도로 떠날 때 중국 국경을 벗어나기 전 병든승려로 화현한 관세음보살이 범어 반야심경을 구술해 주었고 현장은 구법여행 도중 난관을 만날 때마다 이 경전을 암송하여 위험을 벗어날 수 있었다는것이다. 이러한 사연이 대중들에게 알려진 뒤 이 짧은 『반야심경』은 널리 애송되었다. 현장의 인도 구법여행을 소재로 삼은 『西遊記』에서도 현장은 중국 변방에서 ‘반야심경’을 전수 받았고 이 경전의 가피로 온갖 재난을 벗어나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반야심경에 대한 주석서는 현장이 번역한 직후에 여러 가지가 찬술되었지만 구마라집의 번역본을 저본으로 한 것은 없다. 현장의 小本 번역 이후 大本 반야심경도 다수 번역되었으나 여전히 현장의 번역본을 저본으로 삼고 있다. 현장이 번역한 『반야심경』이 성행한 데에는 이 경전을 관음보살에게 구술 받았고 현장이 이 경전 구술의 영험으로 구법여행을 무사히마칠 수 있었다는 신기한 사연이 결정적 원인이 되었다.

      • KCI등재

        流媒體平台上以『西遊記』爲原型的IP產出與市場反應 - 以动漫『西行纪』为中心

        HAN YUXIANG,박명진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80 No.-

        Streaming media is an emerging mode of video playback. It compress a series of multimedia data and transmit the data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et. And It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people's daily entertainment and leisure. These streaming media platforms(Including OTT platforms) are full of enormous Intellectual Property(IP). Although there are some original IP, most of them are derived from Chinese classical culture and refreshed vigorously. Owing to digitalization, paper publications gradually broken the restrictions of physical forms and evolved to multiple digital forms in the world. In the thriving contemporary cultural industry, the needs for traditional classics are gradually surpassing that for the pure humanistic value, and thus the culture industry value of them are focused on. Xiyouji is the crystallization of the collective wisdom and imagination of the ancient folk, which has been active in people's daily life with various forms of popular cultural products, such as speech and opera, since the ancient time. Therefore, Xixingji is selected in to this paper as the study object, so as to discuss how the original work is effectively untilized in Xixingji to create the magnificent script and storylines and how Christopher Vogler's narratological theory is adopted to analyze the storytelling and character in animation Xixingji, and also to investigate the market reaction of Xixingji in China and South Korea.

      • KCI등재
      • KCI등재

        문명과 야만──3대 신마소설(神魔小說) 주제 비교

        홍상훈 ( Hong Sang-hoo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1 No.-

        본고는 문명과 야만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3대 신마소설`에 나타난 차이와 그로 인한 서사 구조의 차이를 비교한 것이다. ≪봉신연의≫에서는 `武王伐紂`와 `封神`의 과정에서 야만적 `獸性`에 바탕을 둔 무력을 동원할 수밖에 없었던 부조리에 주목했다. ≪서유기≫는 손오공의 성장 과정에 나타난 獸性-人性-神性의 단계적 변화를 제시하면서도 역시 문명적 질서를 건립하는 데에 무력이 필요했다는 모순적인 현상을 보여준다. ≪서양기≫는 독선적인 기준에 의해 中華-海外를 문명-야만으로 규정하고, 敎化를 내세우면서 오히려 폭력과 살생을 앞세움으로써 명분과 현실 사이의 논리적 파탄을 드러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주제 설정의 차이는 세 작품의 서사 구조에도 각기 다른 영향을 주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