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재생공간에서 나타난 공유가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우커스 ( Kesi Wu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빠른 세계화에 의해 각국 간의 운명공동체의 형성이 급속도로 늘어가고 있음에 따라‘공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그 가치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공유가치를 지닌 지속가능한 재생 공간의 구축을 위해 필요한 공간의 특성과 구성요소의 추출 및 분석을 통해 공유 가치의 시대적, 공간적 필요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공유가치와 재생 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공유가치와 재생 공간의 특성을 종합하여 공간적 특성요소로서 공공성, 참여성, 공유성, 융합성 등 네 가지를 도출하였고, 이를 현재 중국에서 공유가치 개념을 가진 재생 공간으로서 가장 유명하고 활발하게 운영 중인 곳으로 선정한 사례에 적용한다. 중국 상하이의 Columbia Circle-ShangShengXinSuo, Tank Shanghai, Renovation of 80,000-ton silos on Minsheng Wharf, 베이징의 798 ArtDist-Dashanzi Art District, 무한의 HanYang Art District-824 Creative Factory의 다섯 장소를 선정하였고 현재 상황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다이어그램화 하였다. (결과) 본 사례분석 결과 네 가지의 재생 공간 특성 요소 중 공통적으로 융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공성은 여러 가지 문화 예술적 개념 및 유휴산업시설을 한 재생 공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되어 재생 공간의 특성에 부합하므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어서 재생 공간의 가치를 형성하는 데에는 사용자의 자발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참여성이 기반 되어야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 공유가치 개념을 가진 재생 공간의 특성을 다음의 네 가지로 결론 내릴 수 있다. 첫 번째는 공유 가치를 개념으로 한 재생공간의 공간 특성을 공공성, 참여성, 공유성과 융합성 등의 총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두 번째는 공유가치를 활용한 재생 공간에서 융합성의 정도에 따라 공간적 가치 방향이 결정되었고, 공공성, 공유성과 참여성은 공유가치 개념의 적용 및 유휴산업시설의 재생 공간을 통한 디자이너 팀과 시민들의 활발한 참여 등을 통해 방문객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체험적인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세 번째는 공유가치 개념을 활용한 재생 공간의 기능은 건축 재생, 지속가능한 지역 문화와 외부 환경 재생 순으로 분포된다. 네 번째는 과학 연구 생산단지, 오래된 공장, 오래된 도시 지역의 공간을 재생하는 방식과 개방된 상업, 사무, 레저, 문화, 커뮤니티 서비스 등의 기능이 복합된 “도시의 라운지”로 전환되는 것으로서, 미래 도시의 하나의 이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process of accelerating globalization, the “community of destiny” among countries worldwide is also accelerating: people are paying increasingly more attention to “sharing,” while “sharing value” has a higher status. Therefore,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e epochal and spatial necessity of ”shared value”; the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space and the extraction and analysis of its constituent elements, to construct a sustainable regenerative space with shared value in China. (Metho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on “shared value” and “regenerated space” in China, this study comprehensively collat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value” and “regenerated space”, and concludes four elemen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publicity, participation, commonality, and convergence. The basic situ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five selected sites, namely, the Columbia Circle-ShangShengXinSuo, Tank Shanghai, Renovation of 80,000-ton silos on the Minsheng Wharf, 798 ArtDist-Dashanzi Art District, and Hanyang Art District-824 Creative Factory, a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charted. (Results) From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degree of ”convergence” is the highest among the four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on space. Second, the concept of “publicity” is that the concepts of multiple cultures and arts and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connected in a regeneration space in various ways, which is in accord with the regeneration space; it can be regarded as a spatial characteristic that can be actively utilized. Finally, the basis of forming the value of renewable space is the “participation” that can guide users to pay attention to actively.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eneration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shared value” in China,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Firs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ve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shared value are drawn from four aspects: publicity, participation, sharing, and convergence. Second, it has the shared value of regenerated space, and the degree of its convergence determines the value direction of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ity, sharing, and participation are based on the concept of ”shared value” and the regeneration space desig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designers’ teams and citizens play an efficient role of experiential factors and increase the frequency of visitors’ visits. Third, the functional distribution of regenerative space with the concept of “shared value” is to build regeneration, sustain possible regional culture, and regenerate external environments. Fourth, employing space regeneration, scientific research and production parks, old factory buildings and old urban areas are transformed into open commercial, office, leisure, cultural, artistic, community services and other multi-functional ”urban living rooms,” which will be the trend in future urban development.

      • KCI등재

        중국의 공유공간 비즈니스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우커스 ( Kesi Wu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화의 진행 속도가 빨리 짐에 따라 세계 각국이 서로 연계되고 의존하는 운명공동체가 점점 더 크게 형성되어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공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가치 구현의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공유의 가치는 다원화된 생활을 하게 하는 사회윤리모순 속에서도 공통적으로 내포되고 있으며, 라이프 스타일 뿐만 아니라 사회 속에서도 ‘공유’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늘어가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지속가능한 공유가치를 가진 공유 비즈니스 공간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공간의 특성과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중국에서의 공유 가치의 시대적 필연성과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공간적 필요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중국의 공유가치와 공유 비즈니스 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중국에서 공유가치와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특성을 종합하여 공간적 특성요소 다섯 가지를 도출한다. 그 결과로 공공성, 참여성, 공유성, 개방성, 융합성의 다섯 가지 공간적 특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공유가치의 개념을 가진 비즈니스 공간으로 중국에서 가장 유명하고 현재 활발하게 운영 중인 다섯 개의 사례에 적용한다. 사례로 선정된 곳은 중국 상하이의 ZhangGarden · FengShengLi, K11 Art Mall Shanghai, New World of Shanghai, 베이징의 ParkviewGreen · FangCaoDi, 무한의 New World of Wuhan로서 현재의 상황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 후, 분석결과를 다이어그램화 하여 소결을 도출한다. (결과) 본 사례분석 결과는 다섯 가지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특성 요소 중 공통적으로 공유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중국의 공유 비즈니스 공간에서 문화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공공성, 개방성과 융합성은 여러 가지 문화 예술적 행사 및 워크숍 등이 공공 공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될 수 있는 점에서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특성에 부합하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어서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가치를 형성하는 참여성이 기반이 되어야하며, 이는 사용자의 자발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공유가치의 시대적 필연성과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공간적 필요성을 강조 하고자 하였으며, 공간 특성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개념 및 정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공유 가치를 개념으로 하는 공간이 제시하는 공간적 특성의 의미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공공성, 참여성, 공유성, 개방성과 융합성 등의 총 다섯 가지 특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공유가치를 활용한 공유 비즈니스 공간에서 공유성의 정도가 공간적 가치 방향을 결정하며 공공성, 개방성과 융합성에 관련해서 문화 예술적 행사나 공연, 워크숍을 통한 예술가들의 활발한 참여와 그로 인해 방문객들이 쉽게 다 가갈 수 있는 체험적인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셋째, 공유가치를 활용한 공유 비즈니스 공간의 특징은 비즈니스 복합체를 주요 유형으로 하고, 공간 형태는 삼면집합식(三面集合式)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공간은 대부분 오락, 음식, 쇼핑, 오피스, 호텔, 예술이 주가 되는 기능을 가진 공간으로 배치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acceleration of economic globalization, all countries in the world are becoming interrelated, and interdependent communities with a common destiny are gradually being formed. Increasing attention is being paid to sharing, and the era of value embodiment is approaching, which promotes the same connotation of value in the ethical contradictions of diverse lives. In daily life, the requirements of "sharing" are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will extract and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nstituent elements needed to build a continuously shared business space with shared value in China to study the inevitability of shared value and the necessity of shared business spaces in China. (Method) Through this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value and shared business spaces in China were narrowed down to five spatial characteristics, including publicness, participation, sharing, openness, and integration. An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to five major projects in China, such as the Shanghai Zhang Garden · FengShengLi, K11 Art Mall Shanghai, New World of Shanghai, Beijing Parkview Green · FangCaoDi, and the New World of Wuhan,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after chart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 elements, sharing is valued the highest, which is a favorable evaluation of its cultural value, followed by publicness, openness, and integration. People gather in public spaces for divers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seminars,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such spaces and reflects the active use of them. Finally, the value of shared business spaces must be formed based on participation, which can guide the attention of the users of a space. (Conclusions) This study tries to emphasize the inevitability of shared value and the spatial necessity of publicly shared business spaces. It is possible to draw three conclusions about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shared business spaces, the significance of the spaces’ characteristics is revealed by the concept of shared value and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research, which yielded a comprehensive list of five spatial characteristics, including publicness, participation, sharing, openness, and integration. Second, shared value is applied in shared business spaces. The degree of sharing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space’s value. In terms of publicness, openness, and integration, the space attracts people's attention and fosters interactions with artists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performances, and seminars to promote a more enjoyable experience of the space. Third, shared business spaces with the concept of shared value are mainly commercial complexes. Most of the space forms are a three-sided combination, with hosting entertainment, catering, shopping, office spaces, hotel spaces, and art exhibitions as the main functions.

      • KCI등재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를 통한 주민복지 향상에 관한 연구

        황순재 ( Soonjae Hwang ),이은영 ( Eunyoung Lee ),이돈일 ( Donil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시대에 따라 가치소비문화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공유경제는 미래를 이끌어 갈 메가트렌드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 나타난 공간 공유는 기존의 유휴공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나타난 새로운 공간 활용법이자 경제적 접근 방법이다. 사용하지 않는 공간 공유를 통해 수요자와 이용자 서로의 이익을 이끌어 냈으며 노후화된 환경, 부족한 시설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다. 도심 내 새로운 시설을 만드는 것은 많은 제약이 따르며, 지속가능성과 재생에 대한 사회적 니즈와도 부합하지 않는다. 이에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 유형들을 알아보고 그 특성을 도출하여 평가해 향후 유휴공간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공공건축과 공간 공유 관련 논문 및 문헌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공공건축과 공간 공유의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재정립하여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 유형과 특성을 도출한다. 행정공간계와 교육공간계 별로 각각 2곳, 총 4곳의 유휴공간 활용법을 분석하고, 공간에 나타나는 특성들을 평가하여 공간 공유가치 요소들의 순위와 그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 가치유형으로 환경, 사회, 경제, 문화가치로 총 4가지가 도출되었으며, 세부 특성으로는 지속가능성, 이용성, 개방성, 공공성, 접근성, 경제성, 다양성, 지역성의 8가지가 도출되었다. 대상지의 사례분석 결과 공간 공유가치유형 중에서 환경가치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사회가치, 경제가치, 문화가치 순으로 측정되었다. 공간 공유가치 특성에서는 지속가능성과 이용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개방성, 공공성, 접근성, 경제성이 뒤를 이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지역성과 다양성의 점수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결론) 합리적 가치 구매 중심의 소비문화 확산으로 현대 사회에 대한 공공의 역할은 더욱 대두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과 목적을 수행하는 공공건축 활용에 대한 사회의 요구 또한 증가했다. 공공건축물은 행정의 본래 기능에서 나아가 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공공의 가치를 실현해야 하며 서비스를 통한 지역주민의 복지 향상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를 유형화 및 정의하며 그에 따른 특성 세부요소를 도출하여 공간 공유가치를 발굴하고 평가하며 공간의 잠재력과 가능성에 대한 평가 지침 및 공공건축 공간의 총체적 방향성 제시에 목적을 둔다. 이에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와 특성을 기초하여 향후 공공건축의 활용 방안과 잠재력을 재평가하며 기존 공공건축물의 활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culture of value consumption has become a trend, the shared economy has emerged as a megatrend to lead the future. Spatial sharing in this trend is a new way of using space and an economic approach that has emerg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idle space. Sharing unused space has brought benefits to consumers and users, and questions of aging environment and inadequate facilities are being resolved in various ways. Creating new facilities in the city center is subject to many restrictions and does not meet social needs for sustainability and regeneration. Therefore, we will explore the types of space sharing values in public buildings, derive and evaluate their characteristics,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unused space in the future. (Method) As a research method, a prior study was analyzed based on papers and literature related to public architecture and space sharing to discover and redefine the elements of public architecture and space sharing to derive th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haring in public buildings. We will analyze two places for idle space utilization, four places for each administrative and educational service system, and we will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to rank and determine the importance of shared value factors. (Results) We derived a total of four types of values: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values; with eight detailed characteristics: sustainability, usability, openness, publicity, accessibility, economics, diversity and geography. The site case analysis showed the highest environmental value among space sharing value types, measured in order of social value, economic value and cultural value. In terms of the value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sustainability and usability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openness, publicity, acces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overall, the score for regionalism and diversity was the lowest. (Conclusions) The role of the public in modern society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spread of consumption culture centered on rational value purchasing, and society's demand for the use of public buildings to fulfill various functions and objectives has also increased. Public buildings must realize the various public values demanded by society, in addition to their original function of administration, and are responsible for improving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with their servi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model and define the value of spatial sharing in public buildings, to derive detailed characteristics, to explore and evaluate the value of spatial sharing, and to assess the potential and potential value of space to the publ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future utilization methods, the potential of public buildings based on space sharing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s derived through research in order to enhance the usability of existing public buildings.

      • KCI등재

        소비자의 숙박공유 서비스 만족도 및 재이용의사 영향 요인 분석: 공유경제 가치 인식 및 위험인지를 중심으로

        최애연,안정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4

        In the midst of rapid economic environment changes such as the financial crisis, low growth, high unemployment rate, and aging population,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sharing rather than excessive consumption and sharing rather than ownership and in particular, the expansion of the sharing economy market is contributing to shifting consumers' awareness from ownership to sharing. In this study, consumer awareness of the value of sharing economy and risk awareness are related to consumer satisfaction of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 and willingness to reuse, targeting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 using nationwide data. The difference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ffect of consumer perception of the value of sharing economy and consumer perception of risk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lodging sharing services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onsumers' perception of th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married people than among single people. Consumers' risk perception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less than 2 million won and over 6 million won. Second, the consumer satisfaction with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 was found to be higher for married people than for unmarried peopl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unemployed housewives or students had a higher rate than employed housewives. Third, the willingness to reuse lodging sharing services was high in the case of unemployed consumers, unemployed housewives, and students. Fourth,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 consumers' understanding of the sharing economy has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erception of th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and a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perception of risk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large impact on environmental values and community values. Fif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ath analysis on the effect of consumers' awareness of th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and perception of risk on their intention to reuse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s, the result showed that consumers' understanding of the sharing economy was positive for consumers' perception of th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onsumer's risk percep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use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that surveys and analyzes consumers' perception of value and risk of sharing economy, consumer satisfaction with accommodation sharing, and willingness to reuse, targeting consumers who have actually used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s. 금융위기, 저성장, 고실업률, 고령화 등 급속한 경제 환경 변화 속에서 과다 소비보다는 공유, 소유보다는 나누어 쓰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공유경제(sharing economy) 시장 확대는 소비자들의 인식을 소유에서 공유로 전환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숙박공유 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공유 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소비자의 위험인지가 숙박공유 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 및 재이용의사가 소비자의 여러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소비자의 위험인지가 숙박공유 서비스의 소비자만족도와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위험인지는 가계월평균소득이 200만원 미만과 600만원 초과인 경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숙박공유 서비스 소비자만족도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취업 주부나 학생이 취업한 주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숙박공유 서비스의 재이용의사는 미취업소비자, 취업하지 않은 주부, 학생 등의 경우 높았다. 넷째, 경로분석에 따르면 소비자의 공유경제에 대한 이해도는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는 정적 영향을, 소비자의 위험인지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가치와 공동체가치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의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인식, 위험인지가 숙박공유 서비스의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 소비자의 공유경제에 대한 이해도는 공유경제 가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는 정적인 영향, 소비자의 위험인지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박공유 서비스의 재이용의사에 대해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숙박공유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공유경제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과 위험인지, 숙박공유 소비자만족도와 재이용의사에 대해 조사․분석한 실증적 연구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

      • HOW TO INDUCE CUSTOMER COOPERATION IN THE B2C SHARINGSERVICE CONTEXT: AN EXAMINATION OF THE INTERACTION EFFECT OF MESSAGE FRAMING AND CUSTOMER VALUE PERCEPTION

        Woohyun Lee,Sooyun Kim,Sunmee Choi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8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8 No.07

        Introduction Recent years have witnessed a rapid growth in sharing service businesses. In B2C sharing-service businesses such as Zipcar, customers share goods and services provided by a service firm with other customers and perform the roles played by service employees in traditional service businesses. Consequently, how well one customer carries out expected tasks influences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other customers. Extant studie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governance system to prevent such a social dilemma as the personal interest of an individual being pursued at the sacrifice of the interest of the community. However,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 of different design of a governance system. To fill this gap in the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the framing effect of customer messages on customer intention to cooperate by complying with the request by the firm. Theoretical development For customers to be willing to cooperate with a firm, they have to be first motivated to do so. The framing effect of on customer motivation has been well demonstrated (Ganzach & Karsahi, 1995) in diverse service contexts such as healthcare (Christensen, Heckerling, Mackesy, Bernstein, & Elstein, 1991), education (Fryer Jr, Levitt, List, & Sadoff, 2012), and consumer behaviors (Ganzach & Karsahi, 1995; White, MacDonnell, & Dahl, 2011) In the context of service consumption, motivation is defined as the inner driver that triggers an individual to cooperate with the service providers (Tsai, Wu, & Huang, 2017). Whether messages were framed as a gain versus a loss exerted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 motivation. In the consumer behavior contexts, consumer reactions to frames were mixed (Ganzach & Karsahi, 1995).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framing effect in the context of sharing service consumption. H1: In the B2C sharing service context, the framing of customer message (gain vs. loss) will affect customer motivation to comply with the request of the service firm. Customers tend to behav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alue they pursue through consumption (Hwang & Griffiths, 2017). Even in the same consumption context, values of customer pursuit can vary widely. Hence, we inte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value perception of sharing service on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motivation. Studies showed that customers pursuing utilitarian values consider monetary savings and convenience as important, while customers pursuing symbolic value consider status and self-esteem as important and those pursing hedonic values consider entertainment and exploration as important (Rintam?ki, Kanto, Kuusela, & Spence, 2006). The framing effect was shown to differ by the emphasized value of the product in the context of advertisement. A gain frame was more effective than a loss frame when the ad highlighting the hedonic attributes of a product while a loss frame was more effective when the ad stressing the utilitarian attributes of the product (Lin, 2007). Taken together, we conjecture that customers pursing different values will react differently to the same frame of messages and the level of motivation triggered by the same message frame will also differ. H2: Customer value perception of sharing service will moderate the framing effect of customer messages (gain vs. loss) on motivation. Specifically, customers pursuing utilitarian values will react more strongly to the messages framed as a loss (H2a), while customers pursuing hedonic or symbolic values will react more strongly to messages framed as a gain (H2b). The effect of motivation on customer behaviors and behavioral intentions have been well demonstrated (Ganzach & Karsahi, 1995). In the service context, customer cooperation behaviors induced by motiv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efficiency of service operations (Mills & Morris, 1986). We propose that the motivation enhanced by customer messaged influence customer willingness to cooperate. H3: In the B2C sharing service context, motivation affects customer willingness to cooperate. Methodology Data will be collected from American consumers who have used a car sharing service at least once in the past one year through an online scenario-based survey using a 2 (message frames: gain vs. loss) x 3 (values of sharing service: utilitarian vs. hedonic vs. symbolic) between-subject experimental design. Hypotheses will be tested by an analysis of variance and a regression analysis. Impli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P2P service firms better design customer messages in inducing customer cooperation and how to customize the design by customers’ value perceptions of sharing service.

      • KCI등재

        온라인에서의 공유가치창출

        전병준(Byung June Chun)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4 전자무역연구 Vol.12 No.4

        연구목적: 자본주의가 심화됨에 따라 사회적 문제와 가치창출에 대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공유가치창출의 개념과 전략을 살펴보고 온라인 생태계로의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공유가치 창출에 대한 많은 오프라인 기업들의 사례가 있으나 온라인 기업에서의 사례는 많지않다. 사례연구를 통해 공유가치창출이 온라인상에서 기업전략에 미치는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사회적 이슈와 문제에 대한 기업의 접근과 인식의 변화를 먼저 찾아보고 이러한 배경 속에 등장한 사회적 가치추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대응방안을 살펴본다. 그 대안으로 등장한 공유가치창출의 개념을 알아보고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전략들을 찾아본다. 이러한 접근방식과 전략들이 실제 온라인 생태계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온라인 생태계에서 주요 기업의 사례를 토대로 조사했다. 사례연구를 토대로 나온 공유가치창출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결과: 공유가치창출전략은 시장에 대한 재정의 및 가치사슬에서의 생산성 향상, 집단클러스터의 형성들을 토대로 실행되는데 온라인에서의 기업들은 비즈니스 모델에 이러한 요소들을 이미 다 포함하고 있음을 사례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사례로 제시된 네이버,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은 비즈니스 모델에서 사회적 니즈를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이러한 시장을 토대로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여 시장에서의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였다. 독창성/가치: 오프라인 상에서의 기업들의 공유가치창출 전략과 개념을 소개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온라인상의 기업들의 사례를 가지고 이러한 개념을 적용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향후 기업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공유가치창출의 개념과 전략을 온라인기업에 적용시켜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실현함에 있어서 순서를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사용자와 소비자의 사회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충족시켜주는데 성공한 온라인 기업은 형성된 클러스터를 통하여 경제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고 그 시장에서의 지위도 공고할 수 있음을 사례를 통하여 알 수 있다. Purpose: Recently, creating shared value receives much attention from companies that attempt to contribute communities, consumers, stakeholders and relevant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and strategy of creating shared value and its applicability to on-line business. Characteristics of on-line business resembles key strategies of creating shared value in off-line business. B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reating shared value and the business model of on-line business, companies in on-line business will cope with future challenge in their environment effectively. Composition/Logic: Creating shared value pursues to meet bo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profitability of the companies by identifying additional value in value chain and creating new business model that benefits both the corporate and consumers and stake holders.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nature and strategies of creating shared value. The study identifies examples of creating shared value in on-line business such as Naver and Google. Implications from these examples are discussed for other online companies. Findings: While offline companies pursue profitability in their business process and then include activities that generate social benefits, online companies aim to meet the social needs of users at first and then pursue revenue and profitability later in their business model. The created shared value by online companies provide strong market position for the online companies in the beginning of forming the market. The business model of on-line business and the strategy of creating shared value both share similarities in pursuing both social and economic value. Originality/Value: Traditionally, companies have not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in keeping their business in market. Coping wi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ecomes crucial in keeping their sustainability of modern companies. I emphasizes creating shared value as strategic alternatives to cope with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Particularly creating shared value in online is important in establishing new market. Applying the concept of creating shared value to the business model of on-line companies is new in its application and important for their success.

      • KCI등재

        창의적 공유가치 창출(CSV)을 위한 디자인 속성에 관한 연구

        김지영(주저자) ( Jee Young Kim ),신경철(공동저자) ( Kyung Chul Shi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는 기업의 CSV(공유가치창출)활동의 본질적인 개념 및 의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CSV활동에 나타나는 공유가치 디자인의 속성을 재정립하고 각각의 개념들을 정의하는 데 있다. 성공적인 CSV활동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문화적 가치생산과 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한 디자인, 즉 공유가치 디자인(Shared Value Design)의 속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차별화되는 디자인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본논문에서는 창의적 공유가치 디자인이 가져야 할 핵심적인 속성을 크게 유희성(Fun), 진정성(Authenticity), 그리고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이렇게세 가지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으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CSV의 개념과 가치에 대해 디자인적 관점에서 논의하고, 공유 가치를 창출하는 차별화된 디자인으로서 공유가치 디자인의 개념을 설명한다. 또한 CSV를 구축하는 하나의 마케팅 방법론인 코즈 마케팅(Cause Marketing)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공유가치 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연구한다. 본 논문의 본론에서는 윤리적 소비자의 사회적 영향과 이에 따른 감성적 디자인의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유가치 디자인의 등장배경을 이해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디자인과 윤리성, 사회성, 경제성의 상관관계에서 살펴보았으며, CSV의 감성적· 경험적 소구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창의적 속성을 고루 지닌 공유가치 디자인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사회문화적ㆍ윤리적ㆍ경제적 가치를 생산하는 CSV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기업과 소비자는 CSV활동에서 공유된 경험을 통해 신뢰를 형성하며 지속적인 사회적 가치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업의 CSV활동은 이제 기부금 조성과 같은 단순한 사회 공헌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디자인프레임워크를 토대로 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책임의 진정한 가치를 지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공유가치 디자인의 ‘유희성’, ‘진정성’, ‘지속가능성’의 속성이 향후 기업의 CSV활동의 효과적인 전략적 틀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establish the properties of Shared Value Design(SVD) and to define individual concepts that Shared Value Design pursues through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essential meaning of CSV(Creating Shared Value) and the significance of CSV that grows in importance within modern society. In order to build a successful CSV activit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properties of design which aim to create the economic value that companies tend to seek as well as sociocultural value production more clearly an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design strategies. In this thesis, the core properties that creative Shared Value Design needs to include a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attributes; Fun, Authenticity and Sustainability and are explained more in depth. The study consists of two methods which are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analysis. on the basis of two different methods, not only are the concept and value of CSV discussed within the perspective of design, but the idea of Shared Value Design is also defined and studied as the differentiated design that creates shared values. Furthermore, the thesis makes a profound study on the role of Shared Value Design and its importance by explaining the concept and the meaning of Cause Marketing that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marketing methods that construct CSV. Getting to the point in the thesi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hared Value Design is explained through the study of social effects that ethical consumers have on modern society and of the paradigm of Emotional Design. In addition, the thesis studies the correlation of ethicality, socia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as the main factor that brings about a considerable change of design paradigm in the history, not to mention the fact that it analyzes several case studies of CSV that embody emotional and empirical appealing point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ared Value Design composed of creative properties of CSV motivates consumers to participate in CSV activities that produce sociocultural, social and economic values, which subsequently helps to build up trust between a company and a consumer through the experiences shared in CSV activities and to create sustainable social values. The purpose of CSV activities is no longer to enhance the reputation of a brand by simply fulfilling social contribution such as making a donation, but it should aim to create an authentic value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a company pursues on the basis of systematic design framework. The three core properties of Shared Value Design(Fun, Authencity, Sustainability) that this thesis propose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effective strategic framework of CSV activitie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후보

        The Implications of Corporate Philosophy and Shared Value for SOCIAL VALUE Creation

        김점남,Yeojin Lim J-INSTITUTE 2020 Public Value Vol.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ackground and factors that enabled SK and POSCO, which are producing remarkable results by creating social values, to grow by changing the corporate paradigm. Method: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management philosophy as a mission by replacing the corporate values such as SK and POSCO, 13 major groups among the successful companies in our country, and the social contribution that implemented the vision and core values as embedded shared values. Our economy. Socie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to the environment is changing to improve corporate trust and value, and today's trend is to expand the total amount of shared value by simultaneously creating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with the evolution of CSR. The results of briefly examining the management philosophy as mission, vision and core values as embedded shared values, and implemente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replacing corporate values are as follows. SK is the founder's corporate philosophy(business support: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human society through corporate management) Results: It is the social value that SK pursues to promote the happiness of the society and the company together as a business to challenge the business of social worries by inheriting the values and values. And Chairman Choi Tae-w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s and took the lead. The influence of strong driving force was absorbed into the corporate culture among members, and the shared value of voluntarily solving social problems existed and was exerted. Pohang Steel(now POSCO) was born in the 1960s with a national desire to create a well-lived Korea. Even after privatization, community behavior and mentality in ethical management an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continued through win-win, consideration, and sharing activities with local communities. Based on POSCOIN's unique DNA, the leadership of Chairman Jeong-Woo Choi and “Corporate Citizens Growing Together” were born as a new management philosophy.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ymbiosis and shared value that companies have to match their own capabilities are not suddenly created, but accumulated over time and generation. The philosophy of the company and the shared value of the mission are the power to move the mind, and the value created by connecting the capabilities of the company is my. A greater consensus can be gained on outside members, and social support must be united and connected with the members of society. In the end, the basic basis of SK's social value and happiness setting and POSCO's corporate citizen management philosophy is not much different. Today, social value creation is limited to specific companies, so it is linked to participation as a basic data for companies with new values in cooperation with SK and POSCO.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arried out by suggesting expansion.

      • KCI등재

        노인복지의 공유가치 확장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조례분석을 통한 노인재능나눔활동을 중심으로

        조지용(Gee-Yong, Jo),신희정(Hee-Jung, Shin) 한국비교정부학회 2021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5 No.1

        (Purpose) The sharing economy is an alternative economic system for the concept of borrowing, not owning resources, and allocating resources based on social relations and shared ethics is considered a core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sharing economy is related to the Talent Sharing Activities for Senior among elderly welfare,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alent Sharing Activities for Senior to spread shared value.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order to derive th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11 metropolitan governments with sharing economy support ordinan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ignificance, policy, system, and support system of the ordinance. Based on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economic value and talent sharing activities for the elderly was derived. (Finding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Talent Sharing Activities for Senior is aimed at the value of sharing talent for the elderly, but the use of shared resources has not been activated.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e study suggested that support is needed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shared value, such as the activation of a system and delivery system that can organically utilize community resources to ensure differentiation from other elderly welfare so that professional elderly talents can be shared to the community.

      • KCI등재

        역사문화거리 공공디자인의 공유가치에 관한 연구

        우커스 ( Wu Kesi ),이경화 ( Lee Kyunghwa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적으로 가치 구현의 시대가 도래 하면서 도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으로써 공유가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개인의 라이프스타일뿐만 아니라 다원화되고 있는 우리 사회와 생활의 윤리적 모순 안에서 공유가치에 대한 요구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오늘날 공공의 시대에 지역사회의 공공성과 함께 차별화된 역사적ㆍ문화적 장소성이 내재된 역사문화거리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지속가능한 역사문화거리 공공디자인의 방향성 연구에 있어 공유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를 바탕으로, 역사문화거리 공공디자인 구축에 필요한 공유가치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역사문화거리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디자인요인과 공유가치 요인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다차원척도법을 통해 전문가 설문조사 및 분석을 진행한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포지셔닝 맵에 기반한 요인의 범주화를 통해, 역사문화거리 공공디자인의 공유가치를 도출하고 개념적 특성을 제시한다. (결과) 연구 결과 요인별 범주화를 바탕으로 도출된, 역사문화거리 공공디자인의 요인별 가치는 매개적 가치, 순환적 가치, 상징적 가치, 체험적 가치, 실용적 가치와 같은 5가지 공유가치로 유형화되어 정리되었다. 첫째, 공공성, 공유성, 교류성, 융합성, 사회성, 참여성과 같은 특성을 내재한 매개적 가치는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나 공공시설을 제공하여 지역 사회의 교류를 지향하는 가치 개념이다. 둘째, 친환경성, 지속가능성과 같은 특성을 내재한 순환적 가치는 안전하고 건강한 공간 조성 및 지역 환경과의 조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공간 재생을 지향하는 가치 개념이다. 셋째, 문화성, 지역성, 추상성, 역사성과 같은 특성을 내재한 상징적 가치는 독창적인 지역성을 기반으로 지역 역사와 문화에 내재된 의미를 지향하는 가치 개념이다. 넷째, 상업성, 다양성, 이벤트성과 같은 특성을 내재한 체험적 가치는 지역의 차별화된 장소성 경험 제공을 위해 다양한 공감각적 체험을 지향하는 가치 개념이다. 다섯째, 개방성, 접근성, 기능성, 사용성과 같은 특성을 내재한 실용적 가치는 지역사회의 편리한 접근성과 공간의 기능성을 도모하여 장소의 효율성을 지향하는 가치 개념이다. (결론) 공유가치에 기반한 역사문화거리 공공디자인 구축에 필요한 매개적 가치, 순환적 가치, 상징적 가치, 체험적 가치, 실용적 가치는 궁극적으로 역사문화거리 공공디자인이 지향하는 문화도시 구현의 근원적인 방법론으로서 의의를 가지며, 나아가 도시 기능을 활성화하여 도시의 환경문제해결에도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era of value implementation is coming around the worl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hared values to solve the city social problems, not only is there a growing demand for shared value in personal lifestyles, but also the ever-diversifying social life and ethical contradictions. In today's public era, community publicness with differentiated historical and cultural inherent places like the historical-cultural street are being revitalized. The research today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har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historical-cultural street public design direction study. (Method) The research area and process are centered around the historical-cultural street public design and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design factors and shared value factors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by conducting expert surveys and analysis. With derived results as the base for the positioning map factors through categorization, we can derive the shared value of the historical-cultural street public design and present conceptu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derived from categorization factors, the factor values of the historical-cultural street public design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into 5 different shared values: the value of the message, the value of recycling, the value of the symbol, the value of experiential, and the value of the function. First, publicness, sharing, communicative, compatibility, social, participatory characteristics for the inherent value of the message is a value concept that exchanges communities through shared spaces or public facilities. Second, environment friendly and sustainability characteristics for the inherent value of recycling is a value concept that regenerates sustainable space through safe and healthy space creation and harmonization. Third, cultural, regional, abstractness, historic characteristics for the inherent value of the symbol is a value concept that finds inherent meaning in local history and culture through the original locality. Fourth, commercial, diversity, activity characteristics for the inherent value of experiential is a value concept that provides differentiated locality experiences through various synesthesia experiences. Fifth, openness, accessibility, functionality, serviceability characteristics for the inherent value of the function is a value that shows the efficiency of the place by promoting convenient access and spatial functionality of the community. (Conclusions) The base needs of shared values in the historical-cultural street public design, the value of the message, the value of recycling, the value of the symbol, the value of experiential, and the value of the function is significant as a fundamental methodology for the realization of the historical-cultural street public design, and we expect it to activate it’s function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city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