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린의 지행합일신론 연구

        황종원(Hwang, Jong-won)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6

        이 글은 하린의 지행합일신론(知行合一新論)이 동서철학 융합의 측면에서 어떤 특징과 의의를 지니는지 밝히기 위해 쓰였다. 우선 하린의 지행합일론이 서양철학의 어떤 것을 흡수해 전통 지행합일론을 새롭게 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하린이 이른바 자연적 지행합일론에서 의식적 활동과 생리적 활동으로 지(知)와 행(行) 개념을 규정하고, 스피노자의 심신평행론(心身平行論)을 응용해 지행합일의 함의를 재해석해, 서양철학의 연구 성과를 중국의 지행합일론이 흡수하도록 했음을 밝혔다. 또 명시적(顯, explicit), 암묵적(隱, implicit)이라는 심리학적 용어를 차용해 지와 행의 수준을 둘로 나눔으로써 중국 전통 지행합일론을 포함하는 가치론적 지행합일론에서의 지개념을 ‘분명한 의식과 불분명한 행위의 합일체’로, 행 개념을 ‘분명한 행위와 불분명한 의식의 합일체’로 보다 엄밀히 규정할 수 있었음도 밝혔다. 또 하린이 스피노자의 심신평행론을 흡수했기 때문에 전통적 지행합일론에서 지와 행의 발동이 비동시적이라고 분명히 할 수 있었다는 점도 발견했다. 다음으로 하린이 자신의 지행합일론을 근거로 왕양명과 주자의 지행관계론중에서 어떤 점을 부각시켰는지, 또 어떤 점을 다소 곡해하거나 비판했는지 살피면서 이들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하린과 왕양명은 모두 교육원칙의 측면에서 지와 행의 균형을 강조한다는 점, 지와 행의 본래적 합일을 말한다는 점, 지와 행을 동일한 하나의 과정의 두 측면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러나 왕양명이 지와 행의 상호 포용적 관계 및 행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과는 달리, 하린은 지와 행의 명확한 개념적 분립 및 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한편 하린과 주자는 주지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띤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하린이 시종 지의 주도성을 강조하는 데 반해 주자는 지만큼 행도 중시했다는 점에서 다르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하린의 지행합일에 관한 논의는 서구의 심신관계론을 중국화했다는 점, 전통 지행합일론의 함의를 세밀하게 재규정하고 비판적으로 계승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다만 지나친 주지주의적 경향으로 인해 행의 의미가 지나치게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되었다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He Lin’s new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First, I analyzes which Western Philosophies He Lin’s theory absorbed to make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new.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found that He Lin defined the concepts of knowing(知) and doing(行) with conscious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his so-called doctrine of the natural unity of knowing and doing, and applied Spinoza’s parallelism to re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he unity of knowing and doing, and allowed the research results on Western philosophies to be absorbed into China’s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lso, borrowing psychological terms, ‘explicit (顯)’ and ‘implicit (隱)’, he divided the levels of knowing and doing into two. He also says that the concept of knowing in doctrine of the axiological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cluding China’s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the union of clear consciousness and unclear behavior’ and the concept of doing can be defined more strictly with ‘the union of clear behavior and unclear consciousness.’ Also, it has been found that since He Lin did absorb Spinoza’s parallelism, he could make clear the generation of Knowing and doing was non-simultaneous in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Next, based on his own theory, He Lin analyzed which aspects were stressed in Wang Yangming and Zhu Xi’s theories of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and examined which points were rather distorted or criticized to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He Lin and Wang Yangming were similar in that they both stressed the balance of knowledge and action in relation to the principles of education, they talked about the intrinsic unity of knowing and doing, and they thought knowing and doing were two aspects of a single process. But they were also different because Wang Yangming stressed mutually tolerant 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and the importance of action, while He Lin emphasized clear conceptual division of knowledge and ac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lso, He Lin and Zhu Xi were similar as they strongly tended to be intellectualistic, but they were different, too, because He Lin constantly stressed the initiative of knowledge but Zhu Xi emphasized action as well as knowledge. Discussion over He Lin’s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s above is regarded significant in that it made the Western theori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body into Chinese’ and redefined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precisely and transmitted it critically. Yet, it is sorry that his excessive intellectualistic tendencies made the meaning of action something minor.

      • KCI등재

        从西方现代实践哲学视角观王阳明“知行合一”的本质和意义

        이홍군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1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s one of the basic issues that have been widely concerned by philosophers since ancient times. Wang Yangming is no exception. He regards it as an important category of his own learning. There are a lot of discussions about Wang Yangming’s “view of knowledge and action” in the academic world, as well as the research results on Wang Yangming’s practical philosophy, but there are still some unsatisfactory aspects. This paper investigates Wang Yangming’s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modern practical philosophy in order to grasp the internal essence and significance of Wang Yangming’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from the macro perspective. Wang Yangming’s concept of knowing and doing was put forward to solve the problems of “words and deeds are different” and “knowing and doing are disjointed” at that time. The inherent nature of Wang Yangming’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an be summarized as: it is “the unity of inside and outside”,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the unity of body and appl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modern practical philosophy, Wang Yangming’s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lready had similar western modern practical philosophy thinking in the Ming dynasty. It possesses “freedom” component of modern pursuit and the wisdom of effectively copi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知”与“行”的关系问题是从古至今我国哲学家们普遍关注的问题之一. 它关系到如何处理理论和实践、科学价值和人文价值的关系问题. 此类问题既有本体论意义, 也有认识论、价值论意义; 既属于理论哲学的范畴, 也属于实践哲学范畴 王南湜教授指出, 哲学理论有两种发展路向:一是认为理论思维是生活实践的一个构成部分, 理论无法从根本上超出生活, 不能在生活实践之外找到立足点, 因而理论理性从属于实践理性; 一是认为理论可以超越生活, 在生活之外找到自己的阿基米德支点, 理论理性高于实践理性. 前一种路向的哲学称为实践哲学, 而后一种路向的哲学称为理论哲学. (王南湜、谢永康, “走向实践哲学之路——王南湜教授访谈”, 学术月刊, 第五期, 2006.) . 对此, 从古到今, 众说纷纭, 莫衷一是. 在西方也有类似于“知”与“行”关系问题的谈论, 就是“理论(认识)”和“实践”的关系问题. 在西方, 从亚里士多德把人类的生活方式区分为理论和实践、制作三种方式开始, 理论和实践成为西方哲学界普遍关注的问题. 亚里士多德的理论和实践二元对立的思维方式, 成为西方哲学界判断人类行为的普遍性价值标准. 但是到了马克思把人类的生存方式规定为“类本质的对象化活动”开始, 实践成为检验真理的标准, 推动了西方传统哲学的主客二元对立的思维方式向重视“生活世界”的思维方式的转换, “普遍性”的虚无化向绝对“自由”的转换, 形成了西方现代以“实践”为中心的“实践哲学”的潮流. 王阳明也不例外, 他也把“知”“行”问题当作自己学问的重要范畴. 王阳明的知行观是为解决当时的“言行不一”、“知行脱节”的时弊而提出, 目的在于克服遵循经典权威下的“空自由”, 主张“人人皆可成圣”的“真自由”. 西方的“实践哲学”也从主客二元对立的思维方式的克服中强调了“实践”, 强调了人类的“自由”. 由此可见, 在西方现代“实践哲学”中关于理论和实践关系问题的认识视角和理念变迁, 同中国的关于“知”与“行”关系问题的认识视角和理念的变迁有些相通. 据于此, 本论文以西方现代实践哲学的视角 在本论文中所使用的“西方现代实践哲学视角”, 是指从传统的“知之应该”的思维向“做之应该”的思维的理念转变, 以及把“认识(知)”和“实践(行)”的关系视为贯通合一的看法. 来剖析王阳明“知行合一”思想, 以图从宏观上把握王阳明知行观的逻辑框架及含义, 以及其思想所内涵的现代性成分和对第四次产业革命的意义. 以下从西方现代实践哲学视角、王阳明“知行合一”的内在本质、王阳明“知行合一”的意义等三个方面阐释王阳明的“知行合一”论.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이영문(Young-Mun Lee)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을 분석하여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것이 학교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은 단순히 지식과 행동의 일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의 수준이 높아감에 따라 행동의 수준도 함께 높아지는 것을 그 핵심으로 하고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가 덕(arete)이다. 덕은 인간의 삶을 질서·조화·절제 있게 만드는 영혼 속의 통치 체제로서 그 자체가 인간의 모든 인식과 기능을 탁월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러하기 때문에 소크라테스는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이 덕을 길러주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소크라테스가 가르치려고 의도하는 덕은 개별적인 덕들이 뿌리를 두고 있는 전체로서의 하나의 덕, 즉 덕 그 자체인데 이것의 원천은 좋음의 이데아이다. 이리하여 소크라테스가 의미하는 덕을 제대로 갖추게 된 사람은 진정한 의미의 지행의 일치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된다.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에 비추어 볼 때 학교 도덕교육의 핵심적인 과제는 모든 좋은 것의 원인이 되는 좋음의 이데아의 도움을 받아서 학생의 영혼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절제·조화·자기통제하게 하고 자신의 모든 행동을 자율적으로 다스릴 수 있게 하는 덕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 된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 moral education which Socrates pursues as the purpose of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aim, the study analysed the meaning of the Greek word, ‘arete’ which Socrates explains in Plato’s dialogues such as Protagoras, Meno, Phaedo and Republic. The reason is because the tru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an be attained through the cultivation of arete which means the mental state that the human being’s soul is controlled by order, harmony and self-control. In the light of this view, we can know that students should cultivate arete in moral education for the tru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nother thing that we should know is that Socratic meaning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not that one’s moral knowledge insures moral action without any condition, but that one’s moral behavior is enhanced only when one’s moral knowledge is based on the idea of arete and the idea of good. In conclusion, the core of Socratic meaning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that the tru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cultivation of arete which comes from the idea of good.

      • KCI등재

        从西方现代实践哲学视角观王阳明“知行合一”的本质和意义

        李??(Li, Hong-jun)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1

        지행관계문제는 중국고대로부터 철학자들이 보편적으로 관심 가졌던 기본범주이다. 왕양명도 “지” “행”을 자신 학문의 중요 범주로 삼았다. 왕양명의 지행관에 대하여 비록 학계에서 많은 담론이 있었고 또한 전문적으로 왕양명의 실천철학을 주제로 한 연구성과가 있지만 여전히 많은 연구공간을 남겨두고 있다. 본 논문은 서양 현대 실천철학적 시각에서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의 내재적 본질과 현대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왕양명의 지행관은 당시 “言行不一”, “知行脫節”의 시폐를 해결하고자 제기하였다. 왕양명의 “지행합일”의 내재적 본질을 한마디로 개괄하면, “내외합일”, “지행합일”, “주객합일”, “체용합일”의 양지본체의 “발” “용”이라고 하겠다. 서양 현대 실천철학적 시각에서 왕양명의 “지행합일” 현대적 의미를 세개 방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의 제기는 중국 명대에 이미 서양 현대 실천철학적 사고를 하였음을 의미한다. 둘째,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에는 현대 인류가 추구하는 “자유”에 대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셋째,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은 제4차산업혁명이 동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s one of the basic issues that have been widely concerned by philosophers since ancient times. Wang Yangming is no exception. He regards it as an important category of his own learning. There are a lot of discussions about Wang Yangming’s “view of knowledge and action” in the academic world, as well as the research results on Wang Yangming’s practical philosophy, but there are still some unsatisfactory aspects. This paper investigates Wang Yangming’s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modern practical philosophy in order to grasp the internal essence and significance of Wang Yangming’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from the macro perspective. Wang Yangming’s concept of knowing and doing was put forward to solve the problems of “words and deeds are different” and “knowing and doing are disjointed” at that time. The inherent nature of Wang Yangming’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an be summarized as: it is “the unity of inside and outside”,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the unity of body and appl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modern practical philosophy, Wang Yangming’s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lready had similar western modern practical philosophy thinking in the Ming dynasty. It possesses “freedom” component of modern pursuit and the wisdom of effectively copi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지행의 괴리와 지행의 합일: 도덕교육의 근본문제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13 道德敎育硏究 Vol.25 No.2

        Diverse theorie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the field of moral education contribute to deepening and widening the theory of moral education respectively. The doctrines of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suggested by Socrates, Chu Hsi, and Wang Yang-Ming are the best possible examples of the theory of moral education. Each doctrine provides a valid explanation of what is called the ‘separ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According to each doctrine, the ga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s not due to the weakness of will power which puts knowledge into practice. Rather, it is based on, or derived from the fundamental fallibilities of education in developing the morality of being through learning the school subjects. In this sense, the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exemplifies the fundamental problems both of educational theory and of moral educational theory, which are aimed at explicating the significance and realization of the standard of life. From now on, what should be pursued in moral educational theory is to explain explicitly the fundamental problems of moral education exemplified by the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Metapraxis', the form of discourse which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education, could be accepted as the best viable guide to the task of making explicit the fundamental problems of moral education. 그 동안 도덕교육 분야에서 탐색된 다양한 도덕교육이론들은 각각 그 나름으로 도덕교육이론의 깊이와 넓이를 예시해 왔다. 소크라테스 이래로, 그리고 주희와 왕양명에 의해 더욱 분명한 형태로 표명된 지행합일론은 그 전형적 사례에 해당한다. 그들의 지행합일론은 이른바 ‘지행의 괴리’로 불리는 삶의 현상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그들의 설명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지행의 괴리’ 현상은 아는 것을 실천하지 않는 의지력의 결핍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지식을 배워 존재의 도덕을 형성하는 일에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교육의 근본 제약에 해당한다는 점이다. 이 점에서 지행합일론은 올바른 삶의 의미와 그 실현 방안을 밝히는 도덕교육이론의 근본문제요 또 교육이론의 근본문제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향후 도덕교육이론의 과제는 지행합일론으로 예시되는 도덕교육의 그 근본 문제를 더욱 분명히 밝히는 데에 있으며, 최근 교육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초실천’이라는 담론 형식은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자연과 자득 : 지행합일론에 주는 시사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12 道德敎育硏究 Vol.24 No.1

        Chu Hsi's doctrine of 'knowledge preceding action' and Wang Yang-Ming's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an be explained in the light of both expression of the primordial mind and its acquisition. Viewed in the expression of the primordial mind, the doctrines of Chu Hsi and Wang Yang-Ming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Chu Hsi and Wang Yang-Ming have views in common that the primordial mind exerts influence on our daily activities. As stressed in two doctrine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refers to the state of Naturalness(自然, tzu-yan), in which the primordial mind gets manifested in the actual life. But, viewed in the acquisition of the primordial mind, the doctrines of Chu Hsi and Wang Yang-Ming are clearly contrasted with each other. Chu Hsi had emphasis on the view that the primordial mind is cultivated only through knowledge. Unlike Chu Hsi, Wang Yang-Ming maintained that it is acquired through action. Thus, Wang Yang-Ming's alternative view underestimates the Self-Integration(自得, tzu-te), the internalization of the studying subjects, which serves as the media for the Naturalness. The Naturalness and Self-Integration respectively refers to the internalization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studying subjects in educational terms.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chung-yung) which closely relates the Naturalness to the Self-Integration, we live in such a way that our daily activities are put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imordial mind cultivated so far. There being the difference in degree, we stand in the same line of life for the cultivation of the primordial mind.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주희의 선지후행론과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은 양지의 표현과 획득이라는 두 맥락에 비추어 조명될 수 있다. 먼저, 표현의 맥락에서 보면, 두 견해 사이에는 차이점이 없다. 두 견해 모두 양지는 행에 규제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두 견해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되고 있듯이, 지행합일은 곧 자연을 가리킨다. 한편, 획득의 맥락에서 보면, 두 견해는 뚜렷이 대조된다. 주희는 지를 매체로 하여 양지가 획득된다고 보는 반면에, 왕양명은 행을 매체로 하여 양지가 획득된다고 본다. 이와 같이, 왕양명이 주희와 견해를 달리하는 것은 자연과 자득의 내밀한 관련을 정당하게 존중하지 않은 데에서 비롯되었다. 현대적 용어로 말하여, 자득과 자연은 교과의 내면화와 정당화에 해당한다. 誠과 明의 관련에 비추어 양자의 관련을 드러내고 있는 「중용」의 설명에 의하면, 우리는 교과를 배워 획득된 심성(교과의 내면화, 자득)을 삶의 다양한 사태에서 적절히 표현하는 삶(교과의 정당화, 자연)을 살고 있다. 그리고 바로 그 점에서 지행의 괴리는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심성을 획득하는 정도의 차이를 지칭할 뿐, 그 자체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王陽明의‘知行合一’사상에 비춰진 무도의 도덕성 탐색

        김시연,김동규 한국체육철학회 200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武道가 가지는 도덕적 가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상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왕양명의 특수한 이론체계인 ‘知行合一’ 사상에 내재된 知行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저로 해서 知行과 武道의 관계를 규명하여 무도의 도덕적 가치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武는 道의 발현기제로서 善惡이 없는 중용의 상태이고, 생성자인 道에 의해 자동적이고 즉각적으로 도덕적인 武道로 이어진다. 이러한 武는 武術․武藝․武道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는 부분이자 전체이므로 구분하여 논의하기 어렵다. 둘째, 武道는 知行으로 환원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이때 武는 行이고 道는 知에 해당된다. 따라서 武는 道로 化하고 道는 武로 化한다. 이러한 武와 道의 간극 없는 반복이 武道의 지행합일이다. 셋째, 武道의 도덕성은 인간의 가치판단이 문제가 된다. 武는 삶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生死, 善惡, 是非의 극한적인 문제이다. 이는 내적 자아의 성찰이라는 실존적 입장에서 道에 의해서 私慾이 제거된 武만이 武道로 성립될 수 있다. 이로서 武는 생성자인 道(良知)에 의해서 사욕이 제거된 武道로 旣發함으로써 도덕적인 가치가 구현된다. This study is made a plan to explain the moral value by Mu-do. First of all, it has seen the meaning of ‘knowledge and action(知行) involved in Ideology of Knowledge - Action Unity(知行合一)’ of Wang, Yang-Ming’s particular theory-organization. On the basis of it, it gets at the root of relationship of knowledge and action(知行) and ‘Mu-do’, as it has debated moral value of ‘Mu-do’, it elicit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Mu’(武) is as catalyst of ‘Do’(道), it is situation of moderation had no goodness and badness, ‘Mu’ By ‘Do’ as the creator is connected to automatical and immediate moral ‘Mu-do’. In this reason, ‘Mu’ is explained by Mu-sul․Mu-ye․Mu-do. However, it is hard to be debated by division as it is portion and totality. Second, ‘Mu-do’ can be explained ‘knowledge and action’ exchanged. On this occasion, Mu is the Action, Do is the Knowledge. Therefore, ‘Mu’ is changed ‘Do’, ‘Do’ is changed ‘Mu’. The repetition have no any gap of ‘Mu’ and ‘Do’ is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of ‘Mu-do’. Third, morality of ‘Mu-do’ have some problem because of value judgment of human. ‘Mu-do’ is the maximum question of the continuous birth and death, goodness and badness, right and wrong in the life. It is reason for bringing to existence ‘Mu-do’ within only ‘Mu’ gotten rid of selfishness by ‘Do’ in the existential position as self examination of the mental ego. In this result, ‘Mu’ by ‘Do’ as creator is appeared ‘Mu-do’ gotten rid of selfishness the existence. The moral value of ‘Mu-do’ is embodied.

      • KCI등재

        왕양명의 ‘지행합일(知行合一)’ 論이 교정상담에 갖는 함의

        김우성,김영희 아시아교정포럼 2015 교정담론 Vol.9 No.3

        모든 사람에게는 천리(天理)를 스스로 아는 근원의 지(知 = 앎)가 있다. 이 근원의 앎(知)을 본성의 마음이라 하고 왕양명(王陽明, 1472-1528)은 이를 양지(良知)라 일컫는다. 따라서 천리를 스스로 아는 양지는 천리의 행(行)을 저절로 일으킨다. 이것이 ‘지행합일(知行合一)’ 사상이다. 그래서 ‘양지’에 극진히 다하는 치지(致知)가 천리의 이치를 그대로 밝히는 격물(格物)이 된다. 이 모든 논거는 심즉리(心卽理) 철학에 기반을 두고 있고 ‘지행합일’론과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원리가 된다. 교정상담은 사람의 본원적 본성을 함께 통찰・이해・공감함으로써 한 사람의 인간관, 자연관, 세계관을 인간 본래 휴머니즘의 가치관으로 정립해가는 자기실현에 있다. 자기실현은 본래 본성의 마음을 밝힘에 있다. 자기밝힘(self- enlightenment)은 천리(天理)의 본성(本性)인 양지(良知)를 참된 마음, 참 나(眞我)로 아는 것이다. 따라서 ‘치양지(致良知)’는 모든 사람이 함께 도모해야 할 본연의 진리이며 소명이다. 치양지(致良知)는 천리를 구현하는 자기실현이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왕양명의 ‘지행합일’론을 교정상담의 함의로 제안한다. 마음의 본성은 특정 장소와 지식의 틀에 구속받지 않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지행합일(知行合一)’론에 대한 개념 정리, 성의(誠意)의 관점에서 본 ‘뜻’에 대한 구조, 작(作)과 생(生)의 관점에서 본 교정 상담의 태도와 본질 검토, 그리고 지행합일의 성의를 구축하는 실천 방법을 제시한다. Everybody has the source of knowledge which naturally knows the Principle of Nature(天理). This knowledge of the source is the mind of human nature. Wang-yangming(王陽明, 1472-1528) called it the Innate Knowing(Liangzhi, 良知). This i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theory. Therefore, the gaining of knowledge which is trying devotedly to reach the Innate Knowing could be ‘studying things(格物)’ which reveals the reason of the Principle of Nature as it is. These reasons are based upon the principles of ‘the Mind is Reason(心卽理)’ Philosophy. These also become the principl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theory and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The goal of correctional counseling is the self-realization to metamorphose one’s own view of humanity, nature and a view of the world into innate humanistic values through discernment,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human nature. Self-realization is self-enlightenment. Self-enlightenment is to know ‘the Innate Knowing’. The reason behind the Principle of Nature as the True Mind. Therefore, the self-cultivation of the Innate Knowing is the inborn truth and vocation which all men must seek because self-cultivation of the Innate Knowing(致良知) is the self-realization to realize the Principle of Nature. Therefore, I propose that Wang-yangming’s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a meaningful implication for correctional counseling.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is not restricted to space and frame of knowledge. I would like to develop four subjects in this paper in order. Firstly, I would like to study the concept of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Secondly, I will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will(意).’ Thirdly, I will consider the attitude and essence of correctional counseling from the point of ‘doing(作)’ and ‘life(生).’ Finall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Innate Knowing’ by ‘sincerity(誠意)’ which is one of the plan of actions.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의 지행의 괴리 문제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해법 연구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오늘날 대부분 학교의 도덕교육적 노력은 지행합일의 인간을 기르는 데 두어진다. 그러나 이 일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지행의 괴리를 해결하는 문제가 학교 도덕교육의 핵심적인 과제로 떠오르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행의 괴리 문제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해법을 검토하고 그것을 초등학교 도덕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도덕교육에서 지행의 괴리를 극복하는 소크라테스의 해법은 다음과 같다. 소크라테스는 교사와 학생이 묻고 대답하는 과정을 통해서 학생으로 하여금 이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와 원리에 비추어 도덕적 개념망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인생의 진리를 발견하게 하는 교육 방법을 사용한다. 인생의 궁극적인 진리는 좋음의 이데아로서 좋음의 이데아는 불순한 것이 전혀 섞이지 않는 절대선이다. 인간의 마음이 좋음의 이데아를 소유하게 될 때 그의 마음은 거짓과 탐욕이 전혀 없는 성스러운 상태가 된다. 이처럼 마음이 온통 ``좋음``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은 그의 행동도 좋은 것만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소크라테스는 도덕교육의 문제인 지행의 괴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Nowadays, the effort for moral education in most schools is put to fostering the moral person whose action is coincident with moral knowledge. This study examined the solution of Socrates on the problem of discrepanc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n moral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school moral education. The Socratic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discrepanc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n moral education is as follows. Socrates dialogues with interlocutors based on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Socratic education is that people must find the truth of life and the truth of life is based on the idea of good which is the cause of all truths. The idea of good is not revealed before the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t is revealed when people pursue the truth of life by eliminating the false opinion in beliefs of interlocutors.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ents`` mind becomes full of the idea of good which is the source of pure and true soul where is no false belief. In the result, it is possible to foster the moral person whose action is coincident with knowledge.

      • KCI등재

        賀麟의 陸王心學 해석 연구

        천병돈(千炳敦)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9

        본 논문은 賀麟의 사상이 헤겔의 유심론 철학을 통한 육왕학의 재해석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賀麟의 육왕학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고자 한다. 賀麟이 해석한 陸王心學다음과 같다. 心卽理: 賀麟은 ‘심즉리’의 심을 논리적 의미의 心으로 제한함으로써 이론이성과 실천이성, 칸트 인식론의 인식주관과 육왕심학의 도덕적 판단 및 실천의 주체를 하나의 심 개념으로 통합했다. 直覺: 賀麟은 상산의 직각을 소극적 측면의 ‘不讀書’와 적극적 측면의 ‘본심 회복’ 두 가지로 구분했다. 그러나 象山의 ‘독서’에는 그 어떤 방법도 ‘본심 회복’의 보조 수단이다. 그러므로 상산의 직각 방법을 소극적 측면과 적극적 측면으로 나누어서는 안 된다. 단 적극적 측면에서의 직각 방법을 ‘본심 회복’으로 규정한 것은 타당하다. 知行合一: 賀麟은 양명의 지행합일을 ‘자연적 지행합일’로 파악했다. 양명이 말하는 양지는 도덕자각이며, 도덕자각은 도덕실천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도덕 자각이 도덕 실천으로 드러나지 않을 때가 있다. 바로 이 측면에서 ‘致良知’를 말했다. ‘致’ 공부는 반성과 자각으로부터 시작한다. ‘반성과 자각’은 생리적 작용이 아니다. 유가철학에서 말하는 도덕본심은 ‘절대적으로 선한 도덕적 자유의지’이다. 이것이 중국철학과 서양철학의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이런 점에서 賀麟의 송명유학의 서양철학적 해석을 ‘格義儒學’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He-Lin’s understanding of Lu-Wang Mind Theory. The Lu-Wang Mind Theory interpreted by He-Lin is as follows. He-Lin defined the “Mind” as logical meaning of “Mind is Principle”. This is the integration of theoretical reason and practical reason; the subject of perception of Kant"s epistemology; moral judgment; and practice of Lu-Wang Mind Theory into "Mind". Intuition: He-Lin divided Xiangshan’s intuition into two types: passive intuition (don’t Reading) and active intuition(The Mind Recovery). However, Xiangshan’s ‘Reading’ is an auxiliary means of ‘The Mind Recovery’. Therefore, Xiangshan’s Intuition should not be divided into passive and active side. However, it is reasonable to define Intuition from the positive side as ‘The Mind Recovery’.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He-Lin identified Wang-Yangming’s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s “Natural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Wang-Yangming"s Intuitive Knowledge is moral realization, which appears as moral practice. In this aspect, he said ‘The extention of knowledge’. The practice of ‘Extention’ begins with reflection and realization, but it is not a physiological action. The Moral Mind of the Confucian Philosophy is ‘absolutely good moral free w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