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중세 比叡山 天台의 神佛習合 담론과 山王信仰의 수용

        박연주(Park, Yeon Joo)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1 No.-

        This article explores medieval Tendai Buddhist discourse on the amalgamation of kami and buddhas (shinbutsu shugo 神佛習合), particularly as represented in Keiran shuyoshu (渓嵐拾葉集), a fourteenth century encyclopedic Japanese Tendai text, which presents the highest knowledge of medieval Tendai/Taimitsu (台密) scholasticism on Mt. Hiei. The article particularly focuses on Tendai’s incorporation of the Sanno deity, the supreme divinity venerated in the Great Hie Shrine on Mt. Hiei, into the Tendai Buddhist pantheon by the honji suijaku (本地垂迹) scheme, the main “combinatory” logic that associates kami and buddhas. This study begins with delineating a brief history of the traditional Sanno worship on Mt. Hiei and then moves to examining its integration into the Tendai teachings. This historical sketch reveals the crucial influence of medieval Tendai teachings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ami-Buddha discourse based on the honji suijaku structure as the combinatory framework for Kami-Buddha relations. Discussing the details of the honji suijaku scheme-its origins, Tendai’s formul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heory, and its significance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radition of “chroniclers” (kike 記家), a unique feature that represents Tendai’s scholastic culture on medieval Mt. Hiei. Specifically, vital contributions of the chroniclers in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discourses on Kami-Buddha relationships are discussed. Keiran shuyoshu (Keiran) is introduced as the pinnacle of high medieval Tendai scholasticism, as well as being the most comprehensive work by a Tendai chronicler, Koshu(光宗). Thus the article proceeds to examine the Kami section (shinmeibu 神明部) in Keiran in particular, where Keiran ’s discussions of kami is concentrated. It illustrates nondual hon (本)- jaku (迹) relationships between Sakyamuni, the most respected buddha in Tendai/Hiei tradition, and Sanno; and consequently examines how these divinities are explained and reinterpreted from Tendai’s esoteric Buddhist perspective. Their view is shown to pivot on the notion of nonduality and the Middle Path. We will see “nonduality” is key to the medieval Tendai discourse on kami and the web of hon-jaku relationships recorded in Keiran. What calls for our special attention is that Keiran ’s in-depth discussions illuminate veneration of the supreme deity of Mt. Hiei, i.e., Sanno, as the embodiment of an all-encompassing Tendai doctrinal teachings, and the principle of nonduality in particular. Moreover, as the manifestation of Sakyamuni, Sanno is interpreted as the true origin of all kami. The rationale for this view is found in Sanno’s salient role as a symbol of the Middle Path in which the three natures of reality are simultaneously encompassed. After all, Sanno is exalted in Keiran as the deity of the nondual Middle Path, all through Keiran ’s explanations of Sanno based on the Tendai doctrine and practice, which is exemplified by the esoteric reading of doctrinal meanings contained in Sanno’s characters themselves. Integrating all these doctrinalized interpretations of Sanno in Keiran, we learn that Sanno in essence represents the embodiment of Tendai teachings. All in all,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cept of Sannō plays the role of a type of medieval Tendais heuristic device in order to demand our comprehension of divinities and ultimate truth, in addition to provoking our own enlightenment. 중세 일본 종교문화상 가장 현저한 특징 중 하나로서 이른바 ‘신불습합 을들 수 있는데, 이는 일본에서 불교도래 이전부터 숭앙되어 오던 다양한 카미(神) 신성들과 佛·菩薩 사이의 일체화를 중심으로 전개되 어간 구래의 카미신앙과 불교 간의 융합적 면모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神-佛의 ‘不二’적 동일성을 이해하는 것에 방점이 찍힌, 사실상 인식론적 담론에 바탕을 두는 것으로서, 이러한 인식론적 틀과 담론의 형성 및 발전에 주체적 역할을 한 것은 중세 일본 히에잔(比叡山) 천태의 학승들이었다. 이들은 무엇보다 히에잔의 전통적인 山王신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본지수적설이라는 용어로 총괄되는, 산왕과 석가불의 습합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과 담론을 발전시켰다. 이 논문은 특히 중세 천태 학술문화의 총화라고 할 수 있는「케이란 슈요슈」(1318-48)에 수록된 천태 학승들의 신불습합 담론을 살펴본다.「케이란 슈요슈」의 산왕에 관한 기록은 천태가 산왕을 히에잔 엔랴 쿠지의 본존인 석가불과 동일시하며 모든 카미의 본원(本源)으로 신격화하는 담론의 면면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목되는 점은 산 왕이 천태교학의 핵심적 개념인 不二나 中道의 이상을 현현하는 표상으로 해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중세 천태의 산왕에 대한 해석을 위시한 신불습합의 논의가 결국 중세 히에잔 천태의 핵심적 가르침을 반영하며, 神과 佛의 하나 됨을 깨닫고 이를 탐구하는 천태 학승들의 노력이 그 자체로 천태교학의 해석적 실천이라는 것을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계람습엽집(渓嵐拾葉集)』에 나타난 일본 중세 천태(天台)의 정토관(淨土觀)

        박연주(Park, Yeon-Jo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일본 천태(天台)의 총본산인 히에잔(比叡山) 엔랴쿠지(延暦寺)는 일본의 중세시기를 통틀어 불교를 비롯한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였다. 일본 역사상 가장 유명한 승려들을 무수히 배출한 도량인 이곳에서 태동하고 꽃을 피운 것은 비단 천태 고유의 교학이나 의례, 수행뿐이 아니었다. 히에잔 천태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거나, 혹은 지나치게 관념적이고 복잡한 천태교관을 비판하면서 점차 독립적으로 발전한 사상들이 일본불교사에 있어 획을 긋는 혁신적인 불교전통들을 이루어갔고, 이를 대표하는 것 중 하나가 일본의 정토종이었다. 일본의 정토종은 히에잔 천태 승려였던 호넨(法然, 1133-1212)으로부터 시작된 것인데, 호넨의 정토사상의 골격을 이루는 아미타 신앙, 서방극락정토사상, 왕생사상, 염불의 수행 등은 일본의 제 종파들이 겸수(兼修)의 대상으로 받아들인 아미타-정토 계열의 경전과 문헌들을 통해 이미 수세기 전부터 전파되어 왔던 내용이었다. 그리고 호넨 이전부터 이러한 정토사상의 내용과 그 실천을 가장 활발히 전수하고 발전시켰던 곳이 바로 중세 지성의 중심이었던 천태의 본거지, 히에잔이었다. 정토종 수행의 핵심인 염불 또한 이미 천태의 수행법 내에 교학과 일치되어 실천되고 있었던 것이었으며 정토종의 독립과 상관없이 천태의 아미타·정토관이 반영된 염불의 수행은 천태 내에서도 계속 중요한 수행 중 하나로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세 천태 정토사상과 수행의 핵심적 내용을 고찰한다. 특히 중세히에잔 천태의 교학, 밀교적 전통, 의례, 수행법, 계율, 더불어 히에잔의 문화유산에 관한 종합적인 기록을 담고 있는 『계람습엽집(渓嵐拾葉集)』을 소개하고, 이 기록이 전하는 천태의 염불수행과 정토관을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중세 일본의 다양한 불교전통 아래 수용·실천되고 있던 염불 수행에 대한 내용을 알아봄과 동시에, 히에잔 천태가 각각 다른 종파나 전통마다 염불을 둘러싼 정토관의 차이를 논하는 한편 천태의 관점과 해석을 우위에 두고 다양한 정토관에 관한 일종의 교판적 평가를 하고 있는 것도 확인한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계람습엽집』에서 당대의 대표적인 종파별 염불수행을 4종으로 구분하고 논한 것을 먼저 살펴보고, 이 중에서 중심이 되는 천태의 염불과 그 교관상의 의미, 그리고 중세 천태의 정토사상의 핵심, 특히 아미타에 관한 교판적 해석을 알아본다. 『계람습엽집』에 나타난 천태의 정토관을 통해 우리는 중세 히에잔 천태의 교관이 심식의 작용에 바탕을 둔 마음으로부터의 이해와 수행을 중시함을 간취할 수 있다. The Tendai (天台) temple complex on Mt. Hiei (比叡山) was the home of various Buddhist traditions and a center for academic study in medieval Japan. A number of innovative and prominent schools in the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were born or took shape there under the undeniable influence—both positive and negative—of Tendai doctrine and praxis. Among them was Japanese Pure Land Buddhism, which emerged out of the early medieval Tendai culture on Mt. Hiei. The Japanese Pure Land School (淨土宗)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by Hōnen (法然, 1133-1212), who was originally a Tendai monk on Mt. Hiei. That said, all the major concepts, beliefs, and rituals central to Hōnens Pure Land teachings—among them, the worship of the Buddha Amida, the ideal of the posthumous rebirth in the Pure Land of the West, and the repeated recitation of Amidas name, i.e., nenbutsu (念佛)—were already widespread throughout numerous Buddhist schools and traditions in Japan through Pure Land sutras and Amitābha-related scriptures that had circulated from centuries before. Pure Land teachings and practices were actively being transmitted within the Tendai scholastic and religious circles on Mt. Hiei even before Hōnens time. Nenbutsu practice had also been integrated into Tendai doctrine and ritual, and it continued to hold a central place in medieval Tendai despite the independence of the Pure Land School. The present essay explores the main content of medieval Tendai’s Pure Land thought and practice as recorded in Keiran shūyōshū (渓嵐拾葉集, ca.1318-1348), a Japanese text compiled by the Tendai monk-scholar Kōshū (光宗, 1276-1350) of Mt. Hiei. Often labeled “encyclopedic” because of its all-inclusive content, this multi-volume work deals with a wide variety of questions related to the Tendai tradition on Mt. Hiei. Keiran also contains important discussions about Pure Land teachings and practices supported by medieval Tendai and other Buddhist traditions in medieval Japan. The essay also attempts to demonstrate Tendais prioritization of Tendais view of the Pure Land through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teachings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uddha Amida. Keirans treatment of central Pure Land concepts and practices highlights the medieval Tendai emphasis on ultimate awakening based on the mental discipline of mind contemplation (kanjin 観心).

      • KCI등재

        Interpretation of Some Tendai Concepts of Bodhisattva in Japan’s Pre-Modern and Modern Periods

        Lepekhova E. S.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17 No.-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some aspects of the Tendai Buddhist Sect’s philosophy and its interpretations in pre-modern and modern Japan. The Tendai’s image of “Monk-Bodhisattva” first created by the school’s founder, Saicho (767‒822), (posthumous name―Dengyo Daishi), was selected as the object of study. This author posits that the changing interpretations of this conception could illuminate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Tendai, state and society in modern Japan. Also, this study of the modern image of Saicho’s philosophy and its role in Tendai’s contemporary social movement “Ichigu wo terasu” could explain the growing interest in this Buddhist philosophy in the modern Western world.

      • 일본 천태불교의 수행법

        지혜경 ( Lucy Hyekyung Jee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본 논문은 일본 천태종의 수행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일본의 천태종은 태밀이라고 하는데, 태밀이란 천태종과 밀교의 수행이 함께 결합한 천태종이라는 의미이다. 천태종을 처음 일본에 전한 사이초(766-822)는 『법화경』과 밀교의 가르침이 일치한다고 보는 “원밀일치(圓密一致)”를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생각에서 『법화경』의 일승사상을 바탕으로 후학들에게 지관업(止觀業)과 차나업(遮那業)의 두 과정을 가르쳤다. 지관업에서는 지의의 『마하지관』의 이론과 수행을 가르쳤으며, 차나업에서는 『대일경』의 사상과 수행을 가르쳤다. 사이초의 후계자들은 당나라에 가서 밀교를 배워와서 태밀을 정립하게 된다. 태밀의 수행은 크게 현교와 밀교의 수행으로 나눈다. 현교의 수행이란 좀 더 많은 이들에게 개방되어 있는 수행법을 말하며, 밀교의 수행은 자격이 되는 수행자들에게만 특별히 전수되는 밀교의례와 관련된 수행을 말한다. 현교의 수행에는 천태지의의 수행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수행법과 여러 수행법이 결합된 수행법이 있다. 지의의 수행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수행법에는 사종삼매와 지관수행법 등이 있으며, 여러 수행법이 접목된 다양한 수행법들에는 일상근행(日常勤行)이 있다. 대부분의 수행은 출가자 중심이지만, 일상근행은 출가자와 일반신도들이 행하는 수행이다. 밀교의 수행에는 밀교의 전통수행인 사도가행(四度加行)과 신토의 자연숭배 사상이 결합된 카이호교[回峰行]가 있다. 이처럼 일본 천태종은 중국 천태종의 수행을 당시 유행했던 밀교와 결합하고, 나아가 다른 수행법들을 흡수하면서 수행법을 변화시켜왔다. 이러한 일본불교의 수행법은 다양한 불교의 가르침을 하나로 통합시켜보려는 사이초의 철학을 잘 계승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모든 수행법을 단순히 모아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적으로 볼 수도 있다. This article introduces Japanese Tendai practice. Japanese Tendai is also called Tamitsu because it combines esoteric Buddhist practice into its practice system. Saicho, the founder of Japanese Tendai argues that Esoteric Buddhist teaching and the teaching of lotus sutra are not so different and tried to synthesize other Buddhist teachings into the one vehicle philosophy. Therefore, he taught both Zhiyi’s philosophy and Vairocanābhisaṃbodhi Sūtra, an esoteric Buddhist scripture. Tamitsu’s practice consists of exoteric practice and esoteric practice. Exoteric practice is for ordinary people and contains Zhiyi’s four samadhi practices and daily practices called Gongyo. Esoteric practice is Shido-kegyō and kaihōgyō. Japanese Tendai practice has developed by combining various Buddhist school’s teachings, for example, using mantra and Amita buddha’s nembutsu. That shows those practices have succeeded well in Saicho’s idea of embracing all Buddhist teaching in one system. However, it can be criticized as an incomplete mixture.

      • KCI등재

        일본 쇼묘의 악조와 선율 분석: 덴다이쇼묘(天台声明) 구조석장(九條錫杖)을 통하여

        윤소희 국립국악원 2020 국악원논문집 Vol.42 No.-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itual of Sanjenin (三千院), which took place on July 15, 2019; it investigates the system of the Hakase Neuma while analyzing the melody and mode of Syomyo (声明 Japanese Buddhist chants) Kujō shakujō. Sanzen-inis the main Temple in the Ohara area, and has been known as Gyozan for over a thousand years. It is the birthplace of Syomyo and was originally established as a hermitage by Saicho (767-822) when he founded the Enryakuji Temple. Syomyo consisted of three genres with lyric texts in Sanskrit, Chinese, and Japanese. Kujō shakujō is the Chinese lyric chant. The religious and musical elements are closely connected, since they intend to faithfully reproduce the teachings of the Tendai Buddhism order, such as penitence, aspiration, offering, and fennel. The song played a main role in the ritual of Ullambana Segaki (盂盆 施餓鬼会); it consists of about 20~30 minutes of the ritual’s overall length of an hour and a half. The ritual involved the lead monk, mudra, Buddha recollecting, the beating and playing of dharma instruments, and meditation.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the melody line and musical system were written in the Piece of Kujō shakujō with Hakase Neuma. This meant that they could be sung with the same melismatic melody, ornament grace, and other musical expressions without a beat pattern. This was a result of the consistent system of transmission and education by the Tendai Buddhism order. The theory and music structure of Tendai Syomyo was formatted and developed together with Japanese court music; the music and performance served as a framework. This is in contrast to the Korean Buddhist chant Beompae (梵唄), which depends on oral transmission. Korean Beompae was excluded from court rituals after Buddhism was suppressed by 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period, meaning much musical theory as well as the pieces themselves were lost. The Japanese Buddhist chant Tendai Syomyo and Korean Buddhist chant Beompae began at the same time, during the Tang dynasty. However, the Japanese tradition continued in conjunction with the transmission of court music, whilst in the case of Korea, Beompae continued only until the early days of Joseon period, after which time, it became secularized and part of folklore. 일본 황실 직계 사찰인 산젠인(三千院)은 천태종 총본산 엔라쿠지(延曆寺)의 초암이자 일본 쇼묘의 태동지인 교잔오하라(魚山大原)의 중심 사찰이다. 2019년 7월 15일 산젠인의 우란분시아귀회에서는 구조석장이 중심 악곡으로 연행되었다. 일본 범패는 범찬(梵讚)ㆍ한찬(漢讚)ㆍ화찬(和讚)의 세 가지가 있는데 구조석장은 한찬에 속한다. 본 악곡을 채보ㆍ분석해 보니 의례문에 표시된 출음고(出音高)의 지시대로 첫 음을 들어서 내고, 반시키조(般涉調 B음 宮)로 선율을 짓다가 제9조에 이르러 차단치음(此段徵音)으로 전환되어 효조(平調 E음)로 종지하였다. 덴다이쇼묘는 총림 강원에서 면수구결(面授口決) 사자상승(師資相承)의 엄격한 교육체계를 통해 전승되므로 8인이 동음(同音)으로 무박절의 선율을 노래하는데 한 치의 어근남이 없었다. 한국범패는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배척되어 식자(識者)에 의한 악리(樂理)가 사라지고 민속화된 것과 달리 일본의 쇼묘는 당풍 범패 악조가 가마쿠라시대에 궁중 아악과 함께 정비된 이래 지속적으로 아악과 함께 연행ㆍ정착되었다. 오늘날 덴다이쇼묘는 겐유(中山玄雄1902~1977)가 고래의 전승체계를 집성한 『어산성명전집(魚山声明全集)』ㆍ『천태상용법의집(天台常用法儀集)』ㆍ『천태법식작법집(天台法式作法集)』을 저본으로 하고 있다. 승려들의 의례문에는 악조, 음계, 시김새가 하카세(博士:旋譜)로 표시되어 있다. 산젠인의 절음(切音) 구조석장은 제7~8조를 건너뛰고 총 7조의 가사를 창송 하는데 30여분이 소요되었다. 이 시간 동안 인도(引導)스님은 기도와 수인 등 밀의(密義) 작법을 하였다. 전체 의례소요 시간 중 반 이상을 차지하는 구조석장에는 참회ㆍ발원ㆍ공양ㆍ회향 등 천태종의 교지를 충실히 담고 있어 덴다이쇼묘의 대표 악곡으로써 종교적ㆍ음악적 비중이 매우 컸다. 일본은 각 종파마다 쇼묘의 용어와 내용의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여 타 종단의 쇼묘를 조사해 보니, 법상종의 야쿠시지(藥師寺)는 고야산 진언종, 일연종인 신뇨지(眞如寺)는 천태종의 엔라쿠지 계열이라 하였다. 따라서 덴다이쇼묘와 신곤(眞言)쇼묘가 일본 쇼묘의 양대 산맥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덴다이쇼묘는 진감선사와 같은 시기에 당풍범패를 배워온 엔닌으로부터 시작되었으므로 한국범패와 비교될 사안이 많아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고려시대 나한상 도상 연구-두건 도상을 중심으로-

        김동현 동양미술사학회 2023 동양미술사학 Vol.16 No.-

        Arhat worship, introduced from China during the time of Late Unifed Silla and the Early Goryeo, was one of the famous worships in the Goryeo Dynasty. People of the Goryeo Dynasty hold arhat ceremony(羅漢齋) to pray for rain and longevity. And the people knew that the Arhat worship was originated from Tendai sect(天台宗). Arhat Statu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statues in China, iwere made into various postures and carved with various ritual objects. During the Goryeo period, an iconography of ‘Arhat with a hood’ was also appeared, which was not found in China during the same period. It seems that the “Arhat with a hood” was influenced by the iconography of Sengjia Dashi(僧伽大師). The iconography of Arhat was derived from Sengjia Dashi under the Tendai sect(天台宗)’s influence. The belief of Sengjia Dashi was prevalent throughout China, and it is recorded that Arhat, Sengjia Dashi, and Zhiyi Dashi(智顗大師) were enshrined together at the Guoching Temple(國淸寺), the home of the Tendai sect in Zhejiang Province(浙江省), China. It seems that Tendai sect valued Guanyin(音信) so they accepted Sengjia Dashi, a incarnation of Guanyin, and enshrined Guanyin and Arhat together because they recognized them as the same statues. The monks of Goryeo, who visited the temple, saw Zhiyi and Senggia wearing hoods. Since the both are divine monks wearing hoods, it is believed that this image could be applied to Arhat, also a divine monk. 나한신앙은 나말여초 시기 중국 절강성 천태산에서 유입되어 고려시대 성행한 불교신앙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사람들은 나한이 천태에서 비롯되었음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나한재를 통해 祈雨, 國難克服, 長壽 등 현세와 관련 깊은 소원을 빌었다. 고려시대의 나한상은 천태종이 발원한 중국 절강성 지역 나한상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자세로, 다양한 지물과 함께 조성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동시기 중국의 나한상에선 볼 수 없는 ‘두건’을 쓴 나한도상도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도상은 승가대사상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영향에는 천태종단의 배경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천태종의 본산인 국청사에서는 북송시기 지자대사, 승가대사, 그리고 나한을 함께 모셨다는 기록이 전한다. 관음신행을 중시한 천태종단에서는 관음의 화신인 승가대사를 수용하였으며, 나한과 관음을 동일시하였기에 세 존상을 함께 모신 것으로 보인다. 국청사를 방문하였던 고려의 승려들은 두건을 쓴 승가대사와 지자대사를 보았을 것이다. 지자와 승가 모두 두건을 쓴 신이한 승려이므로, 신이한 승려인 나한에게도 이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天台声明과 眞言声明에 관한 연구- 동경국립극장 개장 50주년 기념공연을 통하여 -

        윤소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3

        본고는 동경국립극장 개장50주년을 맞아 행해진 比叡山 延曆寺의 天台声明과 高野山 金剛峰寺의 眞言声明 공연을 통해 현재 전승되고 있는 일본 쇼묘의 역사․의례․음악적 면모를 고찰하였다. 궁중 아악과 함께해온 天台声明은 유려하게 장인된 가락이 많았는데, 이는 도성 인근 오하라류(大原)쇼묘와 황실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金剛峰寺도 황실과 유대가 있었지만 궁정으로부터 다소 먼데다 개창자인 空海가 입적한 곳에 있는 입지적 여건을 고려하여 樂舞를 자제해온 결과였다. 이들은 아악과의 조우 보다 힘있는 梵音聲의 발성과 교의적 발현이 돋보였다. 오늘날 일본의 쇼묘는 梵讚ㆍ漢讚ㆍ일본어 가사에 의한 和讚이 있고, 문형과 의례 성격에 따라 伽陀․祭文․表白․誦經ㆍ念佛․講式으로 총괄할 수 있다. 延曆寺가 행한 시카호요(四箇法要)는 백제와 신라불교 문화와 관련성이 보였고, 金剛峰寺의 猿人問答은 강식의례로써 한국에는 없는 모습이었다. 延曆寺와 金剛峰寺의 쇼묘 중 한국 범패와 친연성이 높은 곳은 延曆寺였다. 이는 동시대 진감선사의 당풍범패와 관련이 있는데다 金剛峰寺 보다 밀교적 성격이 덜한 것과 관련 있어 보인다. 일본 쇼묘의 선율을 한국과 비교해 보면 아에이오우 모음에 있어서는 경제와 가깝고 선율 시김새의 담담함에 있어서는 영제와 친연성이 더 있어 보였다. 이는 경제범패가 고려조 개성범패의 서도토리와 티베트 범패의 영향을 받은데 비해 영제는 신라의 소리를 좀 더 많이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본의 쇼묘는 정교한 악조이론이 있고, 일부 용어는 『삼국사기』의 신라시대 용어와 동일하였다. 일본에는 궁중 아악과 함께하는 사찰의례가 있고, 일본과 중국에는 승단에 의한 사찰 器樂이 있는데 한국에만 그렇지 못하다. 또한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 산동적산원의의 講經儀式 과 연결되는 論儀가 일본에는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고, 奈良 藥師寺에는 산동적산원 日日講儀式과 일치하는 강당까지 그대로인데 비해 한국에는 천도재로 귀결되는 齋만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 범패의 영역을 궁중과 사원음악이 결합된 넓은 의미의 아악적 장르에 대한 인식전환과 더불어 현재의 모습은 단절되고 피폐해진 전통의 일부임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잃어버린 한국범패의 법도를 일본을 통해 미약하나마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 본 연구의 성과이다. 이는 한국전통음악의 역사와 음악적 실체를 규명하는데도 참고해야할 사안이다. In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the history, rituals, musical background and contemporary status of the Japanese Buddhist chant Somyo, using the performances given by the Hieizan Enryakuji Temple and Koyasan Kongofuji Temple ensembles during the Opening Ceremony of Tokyo National Theatre’s 50th anniversary commemoration. The melody of the Enryakujii Tendai Somyo was longer and more elegant than Kongofuji’s. In some parts it was accompanied by the Garaku musical ensemble thanks to them having a relationship with the imperial court. The Kongofuji Temple has a relationship with the imperial court but the temple is situated further away than Enryoji. Another reason was that because the location of Kongofuji is where Ven Kūkai, who founded the Shingon order, passed over to Nirvana, the gorgeous ceremony had been refrained with musical instruments and dance. Instead, here there was an emphasis put on the spiritual vocal melody and religious message. There are three kinds of praise song in Sanskrit(梵讚), Chinese(漢讚), Japanese(和讚). Today’s Japanese Buddhist ritual chant has the sentence style of a ritual text, is poetic(伽陀), is of undefined length in the middle Saimon(祭文)/Hyōhaku(表白), is of a ritual type, and has a sutra recital(誦經),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念佛), and a lecture ceremony(講式). Among the two temples, Enryakuji’s Somyo is nearest in style to the Korean Beompae. This may because the chanting ancestor masters –the Korean Ven Jingam and Japanese Ven En′nin- learned from Tang Dynasty Buddhism during the same period. In particular, of the Korean Yeongje Beompae in Yeongnam province and Kyeonggi in Kyeonggi province including Seoul, the latter bears more similarity to Japanese with the vowel pronunciation AㆍEㆍIㆍOㆍU, because there are only two Youngje vowel sounds, Aeo and Heo. Also the Insung(引聲) in the Kyeongje Beompae is similar to the Japanese Hiku(引く). In addition to these there are many relationships in Buddhist ritual contents and chanting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including between Todaiji Temple’s great ritual(大佛開眼會), today’s Shikahōyō, and the Silla Dynasty’s Buddhist culture. Thu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 의례율조 명칭 ‘쇼묘’와 일본불교의 특성

        윤소희 ( Yoon Sohee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1 No.-

        중국과 한국에서는 불교의례율조를 ‘범패’라고 하는데 비해 일본에서는 ‘쇼묘(声明)’라고 한다. 본고에서 이에 대한 원인과 현상을 조사해 보니, 일본에서도 헤이안시기 초기까지는 의례율조를 ‘범패’라고 했음을 확인하였다. 飛鳥, 奈良 그리고 平安 초기까지는 진언이나 다라니에 관한 범어학을 ‘쇼묘’라고 하다가 헤이안 말기와 가마쿠라 초기에 이르러 모든 의례 율조를 ‘쇼묘’로 통칭하게 된 데에는 사이쵸와 구카이의 귀국 이후 일본 불교의례와 신행이 밀교화 된 것이 주요인이었다. 한국과 중국에서 주로 한문 가사를 늘여 지으며 ‘범패’라고 하는 것과 달리 일본의 쇼묘는 한문 뿐 아니라 범음도 늘여 짓는데 더하여 ‘밀의 작법의 음’이라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사이쵸 이후 천태밀교와 쇼묘는 엔닌(円仁)·엔친(円珍)·안넨(安然)을 통해 완성되었다. 특히 안넨의 悉曇學은 쇼묘 선율이론의 기반이 되었고, 悉曇聲調에서 ‘呂·律’ 음계와 樂理를 성립시켰다. 료닌(良源)은 이를 기반하여 梵音을 가사로 하는 讃을 지었고, 교넨(凝然)은 『声明源流記』에서 찬불율조를 모두 ‘쇼묘’로 통칭하였다. 덴다이쇼묘는 궁중 舞樂과 器樂이 수반되는 의례로 음악적 예술화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設壇과 행법은 밀의 작법 성격이 많고, 특정 악곡은 인가를 받아야만 唱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진언종도 황실과 관계가 있었지만 천태종에 비해서 종교적 의례에 더 충실했다. 신곤쇼묘의 실질적 개창자 간쵸(寛朝)는 쇼묘 학습과 설행에 삼중의 인증 제도를 두어 천태종 보다 더 엄격한 밀교전법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도 인가받은 승려만이 진언을 주(呪)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에는 應酬僧, 한국에는 바깥채비와 같은 예승(藝僧)이 있는데 비해 일본에는 이러한 전문직승이 없다. 예승에 의한 범패의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데에도 師資相承에 의한 밀법 전승의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In China and Korea, Buddhist chants are called ‘Beompae(梵唄)’, but in Japan it is called ‘Shomyo(声明)’.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difference through Japanese Buddhist history and ancient literature. As the result, I found that until the early Heian period, the Buddhist chant’s was called Beompae(梵唄), Shomyo was referring to pan-linguistics for learning the Shingon and Dharani in Sanskrit Siddhaṃ. But as time passed, the whole ritual music and Buddhist chanting was referred to as 'Shomyo'. the main factor in this was that Japanese Buddhism became Esotericization after the return of Saicho and Kukai who learned Esoteric Buddhism in China. Annen(安然), a disciple of Ennin(円仁), the progenitor of Tendai Shomyo, explained 'Lye(呂)' and '律(Ritsu)' in the tones of Sittan, and this became the basis for the theory of tone scale on shomyo and the royal court music.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nnen's teaching was the shomyo, and that the name ‘shomyo’ was influenced Annen's phonology of Sanskrit siddhaṃ on the Buddhist ritual and music. The actual progenitor of Shingonshomyo is Kancho(寛朝 916~998). Kancho placed a three-fold certification system in the shomyo learning process, so that even today, only authorized monks can practice the mantra. As the Tendai Shomyo was performed along with the royal ceremonies, many artistic music melodies were made. Therefore, there are ceremonies accompanied by royal court music and dancing. In contrast, Shingon shomyo was more faithful to Esoteric ceremonies. so a strict accreditation system was placed on those who practice shomyo chanting and Buddhist ceremonies. As a result of this, there are not the acts as professional monks who popular Buddhist chanting singer as like the Yingchousēng(應酬僧) of China or the Bagattchaebi(바깥채비) of Kore in today’s Japanese Buddhism.

      • KCI등재

        중국불교의 교판론에 대한 교육적 이해 - 천태(天台)의 오시팔교판(五時八敎判)을 중심으로

        이승철 ( Seungchul Lee ),지준호 ( Chunho Chi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중국 교학불교의 독창적 이론인 교판론(敎判論)에 대한 교육학적 입론을 전제로 그 교육적 함의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소개의 논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 중국 사상사에서 불교의 전래와 수용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교판론이 요청된 필연적 상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체 교학에서 교판론이 갖는 위상과 역할을 검토하고 있다. 둘째, 천태교학이 제기하는 교판론을 특히 경전 분류의 준거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교판에 대한 교학불교의 실제 사례를 확인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앞선 논의들을 통해 제기되는 교육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를 소략한다면 교판론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교판론은 난무하는 지식으로 인하여 교육의 본의가 위협받을 때 이들 속에서 옥석(玉石)을 가려내야 하는 교수자의 책무와 태도, 그리고 이를 위한 실천적 사례를 적시(摘示)하고 있으며, 또한 교육의 내용이 정형성을 갖는 상황에서 교육내용과 학습자를 매개하는 교수자는 지식의 전달자가 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창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인가라는 실존적 딜레마에 관한 불교적 대답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 introductory topics in order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yobanron, which is an original theory of Chinese teaching and learning Buddhism. First, by examining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Buddhism in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 he explored the inevitable circumstances in which Kyobanron was requested, and by doing so, he considered the position and role of Kyobanron in the whole teaching and learning. Secondly, the actual case of Kyoban Buddhism against Kyoban is confirmed by examining Kyobanron (the theory of Kyoban) proposed by Tendai Kyogaku (study of the Tendai sect)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scriptures. Finally, it pres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rais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and future research issues. To simplify the discussion on this, Kyobanron has the following educational significance. Kyobanron presents the responsibilities and attitudes of professors who should be selected from among them, and practical cases for this purpose when the essence of education is threatened by excessive knowledge, and it also presents Buddhist answers about the existential dilemma of whether professors who mediate between education and learners should become knowledge transmitters or creators in situations where the content of education is stereotypical.

      • KCI등재

        일본 불교 물질문화의 정신적 배경 : 불교의 물질관과 중세 일본 불교의 물질을 둘러싼 담론

        박연주 ( Park¸ Yeonjo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1 동방학 Vol.0 No.44

        이 글은 불교 물질문화 연구를 위한 시론으로서, 동아시아를 비롯 불교가 성행했던 문화권에서 불교 특유의 물질문화가 번영하게 된 배경을 고찰하며 특히 불교의 물질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주목한다. 먼저 역사적으로 불교 물질문화의 번영에도 불구하고 물질문화 전반이나 그 안에서 사용된 불교 관련 사물에 대한 연구가 미미함을 지적하고, 그 원인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종교학계에 만연한 편견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며 불교 물질문화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중국의 불교를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불교의 물질에 대한 태도와 그 변화를 살펴본 후, 일본 불교에서의 물질관과 그 논의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세 일본의 밀교, 그 중에서도 중세 천태 불교의 교학적 논의의 성숙과 발전에 따라 활발히 전개된 초목성불의 담론이 일본 불교의 물질관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고, 결과적으로 불교 측의 물질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이끄는데 그 정신적 토대가 되었음을 확인한다. This essay, as a first step for the study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explores the ground of the prosperous material culture in East Asia, focusing on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dentifying the lack of material studies in the field of Buddhism, the essay criticizes common biases about the study of material entities, spread among scholars of religion across the world. After a brief illustration of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n China, the essay specifically examines the history of Japanese Buddhist thought regarding materials and material culture. In particular, this essay explores how the medieval Tendai discussion about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by grass and trees was developed, as the Tendai doctrine of original enlightenment matured in medieval Japan. Moreover, the essay investigates the manner in which these discourses transformed Japanese Buddhist attitudes toward materials in general, and concludes that these materials provided the spiritual ground for the developed prosperity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throughout Japanese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