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드라마 <선덕여왕>과 뮤지컬 <무궁화의 여왕> 비교 고찰 - 극적 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

        윤석진,이다운,박상완 한국극예술학회 2013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9

        TV drama <Queen Seondeok> and musical <The Rose of Sharon>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started from the historical recordings of the lifelong story of 'Queen Seondeok' and are the dramatic arts created from the writer’s fictional imagination. However, TV drama <Queen Seondeok> is a visual art reflected through Television, whereas the musical <The Rose of Sharon> is a stage art performed in a theatr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V drama <Queen Seondeok> and musical <The Rose of Sharon> by comparing the dramatic composition of the two works which called the same historical figure, 'Queen Seondeok' for visual art and stage art, respectively. First, this study compared the media of TV drama and musical. As a result,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it was important to reveal the similarities depending on the interconnected association among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is drama since the historical figures or events w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edia used. Furthermore,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subject matter and genre in the two work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V drama <Queen Seondeok> and musical <The Rose of Sharon> were historical drama with a strong political coloring and fantasy musical with a strong religious coloring, respectively. As for the goal and relationship pattern of the characters appeared, characters in TV drama <Queen Seondeok> are politically confronted with the purpose of achieving a realistic goal, whereas those in <The Rose of Sharon> are spiritually confronted. As for the plot as well, <Queen Seondeok> shows a complex plot with different senses of purpose depending on the dramatic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whereas <The Rose of Sharon> has a simple step-by-step plot that the character has a consistent sense of purpose from childhood and is pursuing for it. Conclusively,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V drama <Queen Seondeok> and musical <The Rose of Sharon>, it was found that the two works summoned the same historical figure, 'Queen Seondeok' and sought to find the reasons and purposes of why the figure was reinterpreted in current perspective. It was also found that they were completely different creations because TV drama <Queen Seondeok> was a historical drama with a strong political coloring and <The Rose of Sharon> was a musical drama with a strong religious coloring. TV드라마 <선덕여왕>과 뮤지컬 대본 <무궁화의 여왕>은 삼국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선덕여왕’의 일대기에 대한 역사적 기록에서 출발하여 작가의 허구적 상상력으로 창작된 극예술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TV드라마 <선덕여왕>은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된 영상예술이고, 뮤지컬 대본 <무궁화의 여왕>은 공연장에서 연희될 무대예술이라는 매체의 차이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동일한 역사적 인물인 ‘선덕여왕’을 영상예술과 무대예술로 각기 호출한 TV드라마 <선덕여왕>과 뮤지컬 대본 <무궁화의 여왕>의 극적 구성 방식을 비교 대조하여 두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먼저 TV드라마와 뮤지컬의 매체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은 매체에 따라 현재적으로 해석되는 방식이 다르므로 상이한 매체의 작품은 극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유기적인 연관성에 따라 유사성 여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두 작품의 주제의식과 장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TV드라마 <선덕여왕>과 뮤지컬 대본 <무궁화의 여왕>은 정치적 색채가 강한 역사드라마와 종교적 색채가 강한 판타지뮤지컬이라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등장인물의 목표와 관계 양상의 경우 TV드라마 <선덕여왕>의 등장인물이 철저하게 현실적인 목표에 의해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구도로 이루어져 있다면, <무궁화의 여왕>은 영적인 존재와 대립하는 구도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플롯 역시 <선덕여왕>이 극적 상황 전개에 따라 단계적으로 목적의식을 달리 하면서 복잡한 플롯을 취하는 반면, <무궁화의 여왕>은 어린 시절부터 일관된 목적의식을 가지고 그것을 추구하는 단순한 플롯을 취하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TV드라마 <선덕여왕>과 뮤지컬 대본 <무궁화의 여왕>을 극적 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한 결과, 두 작품은 ‘선덕여왕’이라는 역사적 인물을 호출하여 현재적으로 재해석하는 이유와 목적을 달리 하면서 정치적 색채가 강한 역사드라마와 종교적 색채가 강한 뮤지컬드라마로 전혀 다른 별개의 창작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TV드라마 속 대체역사 빙의물 연구: <철인왕후>를 중심으로

        최지운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4

        As to TV Historical Dramas, the number of episodes going on air decreased for a while in 2020, but as eight of the historical drama shows were broadcast in 2021, the number came back on track as highly as it used to be when seven shows more or less on average were broadcast in the 2010s. However, some differences in features are observed when compared to these TV Historical Dramas appear in the 2010s. The number of fictional historical drama shows going on air rocketed up, and as original work-based TV Historical Dramas sharply rose, the leap of the terrestrial broadcasters that had been taking a passive attitude for the recent three years has become noticeable. Of these TV historical dramas of such tendency in the year of 2021, the work which this study has concentrated on is <Mr. Queen>. The concerned show achieved the highest viewer ratings putting the other historical drama shows appear on TV in 2021 behind, and the study believes that a genre called 'an alternative historical possession work' has been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inly to prove how marvelously 'alternative history' and 'possession' the two popular materials, frequently realized on TV, had been combined with each other until they eventually drew the attention of viewers. First, the principal was possessed by a historical figure who would operate the principal as some avatar, and that was what had helped even more aggressively to create this conclusion which the viewers would wish for, which is called a future-oriented history. Second, laughter arose by space-time disagreement which would be caused by a soul going through time slip to the past from the future and gender disagreement after a female body was possessed by a male soul. Third, despite a standing as a queen which would put formality and authority before anything, the principal daringly and indifferently puts all of them aside as being accustomed to words and actions, and thoughts of the modern times. Owing to all those features mentioned so far, even though it was a TV Historical Drama, it freed itself from typicality of the genre and tried to approach the viewers as a public-friendly historical drama show. Meanwhile, <Mr. Queen> appeared to be double-sided as being claimed that an alternative historical possession work could be a double-edged sword causing problems such as historical distortions. Hence, it could be challenging for the TV Historical Drama business to passionately realize the concerned genre. However, this study believes that as long as the relevant business works to minimize the flaw, the concerned genre might wind up approaching viewers as an adequately attractive device. TV사극은 2020년에 방영 편수가 잠시 움츠러들었지만, 2021년에 8편이 방영되면서 연평균 7편 내외를 방영하던 2010년대의 수준으로 다시 복귀했다. 다만 2010년대에 발견되었던 TV사극의 특징과 다소 차이를 보이는 지점이 발견된다. 픽션사극이 대폭으로 증가했고 원작을 기반으로 한 TV사극이 매우 증가했으며 최근 3년간 TV사극의 방영에 소극적이었던 지상파 방송사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경향을 보인 2021년의 TV사극 중에서 본고가 중점적으로 논의한 작품은 바로 <철인왕후>이다. 2021년에 방영된 TV사극 중 가장 높은 평균 시청률을 자랑했는데 여기에는 ‘대체역사 빙의물’이라는 장르가 크게 이바지했다고 여기는 까닭이다. 기존의 TV드라마에서 많이 구현되었던 ‘대체역사’와 ‘빙의’라는 두 가지의 익숙한 소재가 어떻게 절묘하게 결합해 시청자들을 유인했는지 밝히는 게 본고의 주된 목적이다. 첫째, 주인공이 역사적 인물에 빙의되어 마치 아바타처럼 그를 조종하며 더욱 적극적으로 시청자들이 바라는 결말, 즉 미래지향적인 역사를 창조했다. 둘째, 영혼이 미래에서 과거로 타임슬립 했기에 발생하는 시공간의 불일치, 남성의 영혼이 여성의 육신에 빙의했기에 빚어지는 성별의 불일치를 통해 웃음을 유발했다. 셋째, 격식과 권위가 중요한 왕비라는 신분에도 불구하고 현대인의 언행과 사고를 지녔기에 이를 과감하고 태연하게 내려놓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TV사극이지만 장르의 전형성에서 벗어나 시청자에게 대중 친화적인 사극으로 다가가고자 노력했다. 반면 <철인왕후>는 역사 왜곡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대체역사 빙의물이 양날의 검과 같은 양면성을 지녔다는 걸 드러냈다. 따라서 앞으로의 TV사극에서 이러한 장르를 적극적으로 구현하기에 조심스러울 수도 있다. 하지만 단점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작용한다면 충분히 매력적인 장치로 시청자에게 다가갈 수 있다고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TV사극에서 ‘거상(巨商)’ 콘텐츠의 영웅 스토리텔링 개발방안

        안숙현(Ahn Suk-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0

        역사 속에서 그 시대 경제를 움직이고 성공을 향해 달려간 ‘거상(巨商)’의 모험 스토리는 성장지상주의 철학이 지배하는 오늘날의 시청자들에게 여러 측면에서 매력적일 수 있다. ‘거상’ 스토리 속에는 부(富)와 성공을 향한 인간의 꿈과 욕망이 살아있고, 고난을 통해 얻은 ‘성장’과 희생을 바탕으로 한 ‘인간 승리’가 있기 때문이다. 사실 경제 최우선주의인 신자유주의 시대에 ‘거상’ 이야기는 경제뿐만 아니라 인간성 회복과 도덕적 교훈도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이다. 본 텍스트에서는 TV경제드라마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우리 역사 속에서 21세기 시청자들이 찾는 거상 콘텐츠를 발굴하여 영웅 스토리텔링을 개발해보고자 했다. 우선 21C에 들어와서 거상 스토리 속에 ‘경제’를 본격적으로 풀어내기 시작한 TV사극 「상도」(2001)ㆍ「거상 김만덕」(2010)의 스토리텔링에서 문제점을 살펴보고, 공익과 대중성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을 연구해보고자 했다. 그리고 새로운 거상 콘텐츠로 일제강점기에 민족교육과 문화사업에 전 재산을 바친 평양거부 백선행(1848-1933)을 제시하여, 영웅 스토리텔링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21C 경제사극이 ‘재생의 삶’을 실천하는 리더상과 21C 모멘텀(momentum) 리더상을 그려야 한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영웅 서사는 단편적인 구조를 피하고, 프라이 이론과 접목하여 통합적인 스토리텔링 구조로 변화시킨다. 또한 영웅 서사에서 ‘모멘텀’을 살린다. 특히 시청자들의 몰입을 유도하는 비즈니스 경쟁놀이와 기존 규칙을 파괴하는 게임식 전개로 흥미를 유발시킨다. 영웅 캐릭터는 끊임없이 질문하며 주변인들의 숨은 능력을 발견하게 해주는 ‘모멘텀’ 리더형을 지향한다. 경제드라마는 시청자들이 실제적인 경제정보와 다양한 21C 마케팅을 접할 수 있도록 해주며, 시청자들이 직접 드라마 속 경제마당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게임 놀이식 스토리텔링을 만든다. 그 외에도 1920ㆍ30년대 학생극을 활용하여 시청각적 볼거리를 제공하며, 특히 교훈 메시지를 역동적인 극행동과 영상기법 등을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전달한다. This paper is based on studying about development plan of storytelling of the business magnate contents in the TV historical drama. The story of the ‘business magnate’ in relation to ‘Economy’, main keyword of 21st century, became to new interest of TV drama storytellers. Because there are human vision and passion for wealth and success, and man win based on grown-up and sacrifice, that hero got through hardship · test and pains, in the heroic storytelling of the business magnate. Actually, there are many business magnates in our history. If their histories become developed to TV drama contents, it will make various effect as the culture contents. Especially, ‘business magnate story’ based on heroic storytelling is the content to regain humanity and give moral lesson at the time of New Liberalism, that human value became worth nothing and human became merchandise, and income imbalance deepened as the economy is first priority. Thus, this paper is designed to study about the meaning of TV economic drama, and to develop the business magnate content and storytelling, that people of 21st century want to meet with in our history. In particular this study specializes in creative storytelling to gain public interest and popularity. So first of all, the problems of past TV historical drama with storytelling of business magnate was analyzed to develop new stereoscopic storytelling in this paper. In this study Baek Sun-Haeng(1848-1933), who had given all her fortune to national education and cultural enterprise, was presented as new business magnate content, and new stereoscopic storytelling, televiewers of this time want, was made as her life. Bae Sun-Haeng as historical content will be good material to develop various culture contents. If Bae Sun-Haeng content is made to TV drama content, it will be used to materials of history · economy · morals education. This paper is studied to develop stereoscopic, creative heroic storytelling through Bae Sun-Haeng content, and this study will be material like practical guidebook for TV drama storytellers and producers.

      • KCI등재

        TV드라마 <주몽>에 나타난 영웅 신화의 형상화 방법

        배선애 한국극예술학회 200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25

        MBC TV drama Jumong is the historical drama that makes subject on the Jumong myth and it hit the air 81th editing from May 15, 2006 to March 6, 2007. Jumong was based on the myth of national foundation hero in the myth time that was admitted the logic behind myth of focused holiness. So, it used various methods to realize on the logic behind myth. The first, it makes a hero to a normal person and changed the myth of national foundation hero to growth story on a mediocrity. In ordered to this drama, Jumong was not gifted hero any more. He was an ordinary person in childhood, but he educated to his father, Haemosu and succeed to father's destiny about the great work of founding the Nation. Father's great work changed Jumong's character as an ordinary person to a hero and it leads to identify Jumong with the TV audience oneself. The second, Jumong's image as a hero are made by various visual method, it included cloths, hair styles, and camera workings and so on. Especially, the scene of shooting an arrow is very activity by camera working, and it makes Jumong to holy bowman. The TV audience who watch this scene, believed Jumong as a national foundation hero. Also, Jumong's hair styles are changed by his character, and express his complicated mind. The description of Jumong uses some motives of modern TV drama(for example, secret of birth, love triangle, and strong woman character and so on) together with a historical drama story. The mixing on some motives of modern TV drama makes feel friendly towards the TV audience. And especially, strong woman character is the one of distinguishing mark of Jumong. In these women, Soseono was a representative woman, and she was configurated as a brave woman, as a heroin in Jumong. TV드라마 <주몽>은 ‘주몽신화’ 속 건국 영웅을 호출하여 현실의 문제를 벗어나고자 하는 대중들의 욕망을 기반으로 하여 그것을 TV드라마라는 장르에 효과적으로 결합한 작품이다. 특히 신화의 신성함 대신 현실성을 부여하기 위해 서사와 이미지형성의 측면에서 ‘주몽’을 현대화하고 있는데, 인간적 면모를 강조하는 주몽의 성장 서사는 시청자들의 동일시 현상을 이끌어 내어 영웅에 대한 거리감을 해소함과 동시에 친밀감을 형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카메라 촬영 기법과 머리 모양 등으로 구축된 주몽의 이미지는 영웅으로 성장하는 주몽의 활약을 역동적으로 담고 있어 시청자들에게 강한 현실성을 부여하고 있다. 서사 상에 나타난 다양한 현대 드라마의 모티프들 역시 시청자들의 친밀감을 유발하여 높은 시청률을 견지하였지만, 소서노로 대표되는 강한 여성캐릭터의 경우 신화의 논리를 그대로 이어받은 작품의 속성 상 성격구축의 균열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대중들의 욕망을 적극적으로 충족시키는 대리자를 자처한 TV드라마의 장르특성 상 <주몽>은 현실의 많은 문제들에 대한 돌파구를 염원하는 대중들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작품이다.

      • KCI등재

        TV사극의 보편적인 캐릭터 구현 방법 : <추노>, <뿌리 깊은 나무>, <구르미 그린 달빛>을 중심으로

        최지운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8 No.-

        TV사극은 많은 물적·인적 자원이 소요되는 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매년 꾸준히 제작되었다.TV사극은 드라마의 구성요소들에 대중의 사회적·심리적 욕망에 부합하다고 여기는 것들을 적극 반영했는데 그중에서 캐릭터에 가장 중점을 두었다. TV사극의 캐릭터는 여러 변인에도 불구하고 나름의 보편적인 특징과 설정 방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본고는 2010년대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사극들인 <추노>, <뿌리 깊은 나무>, <구르미 그린 달빛>에 등장했던 캐릭터들을 언급해가며 이를 살펴보았다. 우선 방영되었던 시기의 사회상에 부합하는 역사 속 인물이나 사회계층을 소환했다. 다음으로 역사 속 인물을 보다 매력적으로 돋보이게 만드는 허구캐릭터를 창조해 이들 간의 상호 작용을 중요시했다. 마지막으로 캐릭터들이 공통된 목적이나 소명 하에 집단을 형성해서는 다른 집단과 첨예한 갈등을 펼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최근에는 시청자층 및 선호되는 장르의 변화로 인해 TV사극 속 캐릭터 구현 방법에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그렇지만 보편적인 캐릭터 구현 방법이 현재의 TV사극에서 외면되는 것은 아니며 파생이나 첨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TV사극의 보편적인 캐릭터 구현 방법을 이해하면 TV사극을 제작하거나 감상하는 좋은 도구로 활용될 것이라 사려 된다. TV historical dramas have been produced steadily every year, despite the fact that they require a lot of physical and personal resources. TV historical dramas actively reflected what they considered to be in line with the public's social and psychological desires in the components of dramas, with the most emphasis placed on characters. The character of the TV historical drama has found that despite its various variations, its universal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setting exist. This paper looked at the characters that appeared in the historical dramas Chuno, The Deep Rooted Tree, and The Moonlight Drawn by Clouds, which represent the 2010s. First, It summoned a historical figure that matched the social status of the time when it was aired. Next, he created a fictional character that was more attractive to historical figures, placing importance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and finally finding that characters form groups under common purpose or calling, leading to sharp conflicts with other groups. Recently,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way characters are implemented in TV historical dramas due to changes in the audience and preferred genre. However, the universal method of characterization is not shunned by the current TV historical dramas, and is being derived or added. Therefore, understanding how TV historical dramas can be used as a good tool to produce or appreciate TV historical dramas.

      • KCI등재

        연구논문 : 2000년 이후 TV사극의상 디자인 연구

        채금석 ( Keum Seok Chae ),김은경 ( Eun Kyoung Kim ) 한국의류학회 2016 한국의류학회지 Vol.40 No.1

        This study analyzes historical drama costumes as a domain of popular culture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changing process, factor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rama costumes according to trend changes in historical dramas after the 2000s. Public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lothing has grown due to the historical drama feve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storical dramas are divided into: authentic historical dramas, popular dramas, and fusion dramas. Historical drama costumes show characters`` status and roles to help viewers become absorbed in dramas and increase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periods and knowledg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V historical drama costumes (according to changes of the historical dramas according to 2000) brought diversification as they are diversified by period, genre, and character and costumes which are suitable for them additionally resurfaced. Third, as for the design characteristics by type in TV historical costume after 2000s, authentic historical dramas`` design was done by comparatively in-depth historical research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to help public understand the past. Popular historical drama costumes are based on history, but the forms of costumes were emphasized (or exaggerated); in addition, colors, subjects, and patterns were modified to emphasize image beauty, dramas`` atmosphere, and characters by reflecting intention. The fusion of historical dramas`` costumes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about Korean designs that harmonized tradition with modernity to actively reflect current trends in past periods and show new types of creative design.

      • TV사극에 나타난 「인조(仁祖)」캐릭터의 극적 기능 연구- <일지매>와 <추노>를 중심으로

        최지운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5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 Study on the Dramatic Function of the ‘King Injo’ Character in the Historical TV Dramas -Focused on ‘Iljimae’ and ‘Chuno’ Choi Ji-Woon Lately, the popularity of historical dramas affects not only films but also TV dramas, so that many dramas were televised. Historial TV dramas used to be based on a certain ki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King Injo of the Joseon Dynasty, who has appeared frequently in historial dramas, almost every year, from 2008 up to now. In addition, by selecting ‘Iljimae’ and ‘Chuno’, it studied King Injo’s character remarkable in those dramas. ‘Iljimae’ describes King Injo’s two-sided aspect that deceives his son and people with hypocrisy and falsehood, talking about the universal human nature that can act hideously as much as we wants, hiding our real intentions before power and desire. ‘Chuno’ describes him thoroughly hiding his real intentions, masterminding Lee Gyeong-shik behind and seizing political power; the drama reminds us of conspiracies occurring even in our current reality where there are only victims but not assailants, because the truth is not apparently investigated and revealed. These two dramas all have something in common, expressing a society where justice and trust disappear. Through these, this study identified that a character, although it was the same historical figure,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ramatic function of the drama. Besides King Injo, it will be significant in various ways to find a character’s distinction for differentiation of the dramatic function, in films and dramas based on historical figures paid attention by future generations, and to discover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that the dramas try to express. TV사극에 나타난 「인조(仁祖)」캐릭터의 극적 기능 연구- <일지매>와 <추노>를 중심으로 - 최지운최근 사극의 인기는 영화뿐만이 아니라 TV드라마에도 영향을 미쳐 다수의 작품이 방영되었다. TV사극은 특정한 왕을 자주 소재로 삼곤 하였는데 본고는 이중에서 2008년부터 현재까지 거의 매년 방영되었다시피할 정도로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였던 인조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일지매>, <추노>를 선정하여 그 작품들 속에서 두드러지는 인조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일지매>에서는 위선과 거짓으로 아들과 백성을 기만하는 표리부동한모습에서 권력이나 욕망 앞에서 본심을 숨긴 채 얼마든지 추악한 연기를펼칠 수 있는 보편적인 인간성을 얘기하였다. <추노>에서는 철저히 본심을 숨긴 채 이경식을 배후조종하여 정국을 장악해 나가는 모습에서 오늘날에도 뚜렷한 진상의 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해자만 있고 가해자는존재하지 않는 현실에서 발생된 음모론을 상기시키게 하였다. 이들 드라마는 모두 정의와 신뢰가 사라진 사회를 담아내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역사적 인물이라도 드라마 내에서의 극적 기능의 차이에 따라 캐릭터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단 인조뿐만이 아니라 후세가 주목하는 역사적 인물들을 다룬 영화나 드라마에서 극적 기능의 차별화를 위한 캐릭터의 차이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작품이 담아내고자 하는 사회적, 문화적 함의를 발견하는 것은 여러모로 유의미한 일이될 것이다.

      • KCI등재

        TV사극에 구현된 대체역사 연구 -<구르미 그린 달빛>과 <왕이 된 남자>를 중심으로-

        최지운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9 No.-

        TV dramas embody fantasy by presenting unrealistic characters, events, and space. Fantasy has become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define fusion historical dramas while meeting with TV historical dramas. Until now, he had added fantasy to TV dramas by featuring non-human characters or creating virtual Joseon Dynasty.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realized through alternative history.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what dramatic functions and topic consciousness the alternative history has conveyed to viewers through its representative works, <The Moonlight Drawn by Clouds> and <The Man Who Became the King>. In <The Moonlight Drawn by Clouds> and <The Man Who Became the King>, the subject of the alternate history is Yi Young, the Prince of Hyo-myung, and Ha-sun, who pretends to be Gwanghaegun. The Prince of Hyo-myung seeks to restore the people's well-being and royal authority by regency in historical records, but he is short-lived and fails to achieve his purpose. Afterwards, the Joseon Dynasty began to become a period of power politics. However, in the drama, he takes the throne and breaks down the politics of the people. Gwanghaegun tried to carry out policies that sought practical benefits and reform, but was forced out of the throne due to the restoration and thus failed to realize them. However, in drama, they defeat anti-government forces and keep the throne in place while realizing policies that are beneficial to the peopl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uch alternative history,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lan of the producer's strategy and viewer's desire. First, it is to realize the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through the overcoming of a failed history. Second, a male character who ascends to the throne or remains on the throne and has not lost his social status or stature, completes his romance with the female lead and satisfies the desire of a female viewer to be called the Cinderella Complex. In future TV historical drama, if there is a sad or frustrating history for him in summoning historical figures, he will try alternative history. Because now they are just one "character," not an immutable being that should never change or be damaged. TV드라마는 비현실적인 인물이나 사건, 공간을 제시하며 판타지를 구현했다. 판타지는 TV사극과도 조우하면서 퓨전사극을 규정짓는 특징들 중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그동안은 비인간 캐릭터를 등장시키거나 가상의 조선시대를 창조하며 TV사극에 판타지를 가미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대체역사를 통해서 이를 실현하고 있다. 본고는 이에 해당되는 대표 작품들인 <구르미 그린 달빛>과 <왕이 된 남자>를 통해 대체역사가 시청자들에게 어떠한 극적기능과 주제의식 등을 전달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르미 그린 달빛>과 <왕이 된 남자>에서 대체역사가 이루어진 주체는 효명세자 이영과 광해군의 행세를 하는 하선이다. 효명세자는 역사의 기록에서 대리청정을 하면서 백성의 안녕과 왕권 회복을 도모하지만 단명하면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후 조선은 세도정치의 시기로 돌입한다. 반면 극중에서의 그는 왕위에 오르면서 세도정치를 타파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친다. 광해군은 여러 실리와 개혁을 추구하는 정책을 펼쳐보고자 했지만 반정으로 왕위에서 쫓겨나는 바람에 이를 실현시키지 못한다. 하지만 극중에서는 반정 세력들을 물리치고 왕위를 유지하면서 백성들을 이롭게 하는 정책들을 실현시킨다. 이와 같은 대체역사의 구현을 통해 제작자의 전략과 시청자의 욕망이 용해된 기획의도를 파악해낼 수 있었다. 첫째는 실패한 역사의 극복을 통해 권선징악의 해피엔딩을 실현하는 것이다. 둘째는 왕위에 오르거나 왕위를 유지하면서 사회적 신분이나 위상을 잃지 않은 남성캐릭터가 여성주인공과의 로맨스를 완성시키며 소위 신데렐라 콤플렉스라 일컬어지는 여성시청자의 욕망을 충족시켜 주는 것이다. 앞으로의 TV사극에서도 역사 속 인물을 소환할 때에 그에게 안타깝거나 답답한 역사가 존재한다면 얼마든지 변주해 대체역사를 시도할 것으로 여긴다. 이제 그들은 결코 변하거나 훼손되지 말아야 할 불변의 존재가 아니라 하나의 ‘캐릭터’일 뿐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의 야담(野談) 수용 과정 연구

        박상완 ( Sang Wan Par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4 No.2

        텔레비전 역사드라마는 과거에 대한 심리적 리얼리티를 확보하고 시청자와 소통함으로써 방송 초기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제작/방송되는 장르다. 2000년대 이후 역사드라마는 시공간적 배경이 고대에서부터 근현대까지, 궁궐에서 민중의 삶의 공간까지 확장되는 한편 다양한 장르와도 결합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장르적 변화 과정에서 ‘현실에 대한 방식이 서사적 언어로 전화’되 야담(野談)은 일상을 통해 사회와 인간의 참모습을 성찰하고 담론화하는 21세기 문학예술로서의 가치를 지니고있다. 역사드라마 방송 초기부터 중심에 있었던 야담은 1970~1980년대 정통사극의 기획 담론에 의해 주변부화되었다. 교훈을 지니고 있는 정사에 비해 재미와 오락에 치중한 비현실적인 이야기로 치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치가 하락된 것이다. 때문에 1980년대 이후 야담은 장르드라마로서 재구축되기는 하지만 사극의 담론에서는 배제된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 역사드라마의 침체기와 사회변화를 거치면서 역사드라마는 교훈성과 오락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식으로 변모한다. 이때부터 야담은 교훈성이 있는 전통문화로서 재조명되고 오락물에서 벗어나 사회와 인간을 성찰하게하는 현실의 은유로서의 가치를 획득한다. 꾸준하게 재해석되는 ‘구미호’ 서사와 ‘처녀귀신’ 서사는 이러한 야담의 존재 의의를 보여준다. 두 서사는 인간과 비인간의 대립을 통해 인간다움을 묻는 동시에 사회의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변주된다. <구미호: 여우누이뎐>에서 봉건적 계급사회의 모순을 폭로하고, <아랑사또전>에서 표면적으로 드러난 사회구조를 상위하는 더 큰 권력의 억압 관계를 심급에 배치한 것도 그래서이다. 이처럼 야담은 현실을 은유하는 과거를 매개함으로써 사적 영역으로부터 역사의식을 환기하고 담론의 장을 마련하는 역사드라마의 21세기적 변용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Historical TV drama is a genre which communicates with viewers based on its psychological reality which communicates. It has been produced and aired consistently since the early days of broadcasting. Since the new millennium, in particular, the genre has been characterized by its broader spatial-temporal background from the ancient to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as well as hybridization with a variety of other genres. It is in this evolution that unorthodox tales, defined as `reactions to the reality, expressed in the narrative language`, are a valuable literary art of the 2lst century, as they reflect and generate discourse on the societal and human nature through the stories of daily lives, Unorthodox tales, once a mainstream material in the early days of historical dramas, were marginalized by the discourse on producing orthodox historical dramas in the 1970s and 1980s. Unorthodox stories were devalued as unrealistic tales purely for fun and entertainment, compared to the official versions which had lessons to teach. For that reason, they were excluded from the discourse on historical dramas, though they reclaimed their presence as a sub-genre since the 1980s. Following the low times of historical dramas as a whole, along with social changes in the early 1990s, however, the genre changed in such a way to pursue educational and at the same time entertainment values. Unorthodox stories have since been re-illuminated as a traditional cultural asset with didactic qualities, and historical dreams based on them have regained value as a metaphor of the real world, contemplating the society and its people, as opposed to a mere fantastical entertainment. The Nine-tailed Fox and the Virgin Ghost, the two continuously re-interpreted narratives, show the raison d`etre of unorthodoxy-based historical dramas. Variations of the two narratives provoke critical reflection upon the reality by questioning humanity through the human versus non-human confrontation and exposing the contradiction of the society. It is in this context that Nine-tailed Fox: a Tale on the Fox Sister discloses the contradiction of the feudalistic class system power relations at a higher level than the society`s surface structure. That is how unorthodoxy-based historical drams position themselves as a 21st Century variation of historical dramas, which evoke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from the private domain and creates forum for discourse, by reiterating the metaphor of the present, i. e. the past.

      • KCI등재

        TV 드라마 <태왕사신기>에 나타난 역사성 배제와 판타지 구축의 전략

        백소연 한국극예술학회 2014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43

        Recently, the trend of producing competitively historical drama about the stories of Goguryeo has stood out as a characterized cultur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Such a phenomenon has been construed as nationalism of the cultural world in response to China's Northeast Project. However, except its marketing aspec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drama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This drama has taken strategy to minimize and call out just the widespread recognition and core image about King Gwanggaeto and the history of Goguryea, even though its background of drama is Goguryea. Of course, when dealing with the past story, it will be a matter of course to maximize imagination in order to fill the gaps of poor historical records. And, considering 'Fantasy Historical Drama' the realistic reproduction of the past is not the purpose this drama at first. Nevertheless, this drama makes an impression to minimize or eliminate the historical probability and the issues of reality from the planning stage on purpose. In the drama, history was replaced with myth. It also adopted the religion of four gods in Chung Yuan, and recreated the gods into interesting characters. It also embodied the antagonists representing generalized evil forces rather than portraying them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actual achievements of King Gwanggaeto were treated differently from the results of the fierce battles that were shown on the drama. The drama created a new fantasy world based on fertile imagination, which makes i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historical dramas that were not entirely free from the limitations in terms of written history and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history. Beginning with the <Taewangsasingi>, the dramas in the late 2000 became bold in using history and active in adopting fantasy. 최근, 고구려 소재 사극의 경쟁적 제작은 한국 사회의 특징적인 문화 현상의 하나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에 대한 문화계의 민족주의적 대응으로 의미화 되기도 했으나, 마케팅의 차원을 제외한다면, <태왕사신기>를 민족주의적 서사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일원적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 이 드라마는 고구려를 배경으로는 하고 있음에도 단지, 광개토왕과 고구려 역사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핵심적 이미지만을 최소화 하여 호출해 오는 전략을 취한다. 물론 역사적 기록이 빈약한 먼 과거를 다룰 때, 극적 상상력이 극대화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또한 ‘판타지 사극’이라는 아이러니한 수식이 드러내듯, 과거를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은 애초에 이 드라마가 목표한 바도 아니다. 그러나 <태왕사신기>는 역사적 개연성이나 리얼리티의 문제를, 기획 단계에서부터 의도적으로 최소화 혹은 배제했다는 인상을 풍긴다. 드라마 내 역사의 공간은 신화의 공간으로 대체되었으며, 사실(史實)에 기대어 만들어진 적대 세력보다는 보편화된 절대악과의 대결이 갈등의 중심에 놓인다. 그리하여 ‘태왕’이 이루어낸 실질적 업적은 치열하게 다루어진 드라마 내 투쟁의 결과와 분리되어 처리된다. 또한 중원의 사신(四神) 신앙과 단군 신화의 삼사(三師)를 판타지적 상상력으로 접목하여 흥미로운 캐릭터로 변형․재창조 하였다. 특히 사신 가운데 주작(朱雀)의 경우, 두 여성 인물들로 분화되어 주인공과의 멜로드라마적 구도를 형성, 극의 재미를 배가하는 데에 기여한다. <태왕사신기>는 기록된 역사의 제약과 사실감 있는 표현에서 온전히 자유로울 수 없었던 이전 역사 소재 드라마들과 달리, 현실을 뛰어넘는 자유로운 상상력을 기반으로 드라마 내 새로운 판타지 세계를 구축해 냈다. 다양한 매체 환경의 변화 속에서, <태왕사신기>를 필두로, 2000년대 후반 드라마 내 역사를 활용하는 방식은 더욱 과감해졌으며, 판타지적 기법 또한 더욱 적극적으로 수용되는 길로 나아가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