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타트업 지원제도가 관광스타트업에 미치는 영향

        임영관,최재우 관광경영학회 2020 관광경영연구 Vol.96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indexes that can derive support items which can realistically have a great impact on government support projects for start-ups, and the research tasks for achieving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specifi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is intended to study the indexes for support projects targeting start-ups so that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start-ups can be improved efficiently. Second, the study is intended to draw effective items within the support items for start-ups from KTO, prioritize them and increase and strengthen the related support so that the start-ups can receive these support and benefits to induce more efficient results for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KTO’s support system and project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newborn businesses-especially tourism start-ups based on tourism industry-are expected to affect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start-ups with initial instability when they are conducted efficiently and effectively on the basis of such index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upport on the priority order based on such support items so that the aid and benefit for many tourism start-ups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It is also required to reduce the size of the support items that were shown to have relatively low necessity and add extra support to the items in high priority order so that the support projects can be executed more effici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ould be utilized henceforth as a useful reference for KTO’s support projects for such tourism start-ups, and that the system for support projects for all domestic newborn businesses would be efficiently established for their unlimited growt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가정신과 창업기업역량 그리고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강현,이호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1

        Changes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caused structural unemployment and job shortages in many countries. In order to solve the shortage of jobs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Korean government also actively supports the start-up of the general public by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s of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grams on entrepreneurship, corporate capabilities and firm performance. The start-up support programs are divided into entrepreneurship support, entrepreneurial financial support, and entrepreneur mentoring support program.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hypothesized these 3 support programs ha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to start-up. In addition, we hypothesized the entrepreneurship influences the R&D capability, operation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of start - up companies and hypothesized that these 3 capabilities of these start - up companies will lead to positive firm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authors surveyed the start-up compan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are currently receiving help from business start-up companies, and tenant companies of business Incubation(BI) centers, senior technology start-up centers, and techno-park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90 entrepreneurs who has been in the business at present.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ll hypotheses are supported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support and entrepreneurship(hypothesis 3)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peration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hypothesis 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revealed that the various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grams affected the entrepreneurship and the detailed capabilities of the start-up which have effect on the firm performance It is likely that the direction of the start-up support programs and the support policy of the start-up can be significant. 4차 산업혁명의 진행에 따른 경제구조의 변화는 많은 국가에서 구조적인 실업과 일자리 부족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에서도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일자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기관과 지자체들로 하여금 일반인들의 창업을 적극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가 정신과 창업기업의 역량 그리고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는 실증연구로 창업지원사업은 크게 창업교육지원, 창업재정지원, 창업멘토링 지원으로 나누고 이러한 지원사업들이 창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또한 창업가정신은 창업기업의 연구개발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창업기업의 역량이 창업기업의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창업기업들 중 창업선도대학사업, 창업보육센터(BI), 중장년기술창업센터, 테크노파크 등의 입주기업 또는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의 도움을 현재 받고 있거나 과거에 받았던 적이 있는 190개 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창업멘토링지원과 창업가정신(가설3)의 관계와 생산역량과 창업성과의 관계(가설8)을 제외한 모든 가설은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정부의 다양한 창업지원사업 중 창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다는 점과,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기업의 세부역량을 규명하였다는 점으로 연구의 결과는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의 방향성과 지원정책에 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대학 창업담당자들이 인식하는 창업지원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수용,이종원,이민영,장원섭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urrent state of start-up support in universiti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employees in charge of start-up at university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art-up policies on policy customer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universitie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make effective start-up policy based on the outcom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7 people who are in charge of start-up support programs in different universitie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start-up support in the university?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eing in charge of the start-up support in the university? Third, what should be improved to strengthen the role of university in terms of start-up suppor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art-up policy mainly supported enrolled students and professors, while graduates and local communities were our of its range. When the employees of the start-up support division operate the start-up policy,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the short-term nature of the policy and the gap among different standards between the government departments that support the start-up policy. Some universities have been burdened with investment in their own budgets and responding funds for government support in operating start-up support policies. Nevertheless, in order for the start-up support in the university to be activated, the support system considering the true characteristics of start-up support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expertise of the start-up support division’s manpower should be secured, and above all, the start-up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본 연구는 창업담당자의 관점을 통해 대학 내 창업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대학의 여건과 상황에 따라 창업 관련 정책이 실제로 어떤 효과를 보이고 정책수요자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나아가 대학을 중심으로 한 창업정책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 내 창업지원 업무 담당자 7명과 개별사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 내 창업지원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 내 창업지원 업무를 담당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교내 창업지원 역할을 강화하기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대학 내 창업지원은 대상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환경적 지원, 금전적 지원, 제도적(학사유연화, 창업안식년 등) 지원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지원은 주로 학생과 교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들은 창업지원정책을 운영함에 있어서는 단기적인 성과에 치중하였고 창업지원 부처 간 상이한 기준으로 창업지원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대학의 경우, 창업지원정책을 운영함에 있어 자체 예산에 대한 투자와 정부지원에 대한 대응자금을 부담스러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내 창업지원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창업이라는 특성을 고려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함과 동시에 창업 인력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창업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 KCI등재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Model을 이용한 창업보육 지원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김영문,강태균 한국경영교육학회 2022 경영교육연구 Vol.37 No.2

        [연구목적]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 육성 조직인 창업보육센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에서 효과적으로 제공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수요자 관점에서 기대하는 서비스 수준에 비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수준이 만족스러운지 확인하여 입주기업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지원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실질적인 창업보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입주기업을 패널로 구성하여 창업보육센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고, 지원서비스 요인간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 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및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창업보육 지원서비스 개선에 대한 우선순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창업보육센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서비스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창업보육기업이 개선을 요구하는 지원서비스 순위를 결정하였다. 창업보육센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서비스 중 기대수준에 비해 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기술개발 장비지원, 졸업기업과의 네트워크, 법률자문, 투자정보 제공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지금까지 창업보육센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 관점에서 일방적으로 시행되고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창업보육센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중 요구수준에 비해 개선이 필요한 지원서비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보육센터가 제공하는 지원서비스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수요자 입장에서 개선을 요구하는 지원서비스를 도출하여 창업보육 업무 개선을 위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기여하였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 various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the start-up incubation centers, an organization for fostering technology start-ups, are effectively provided by tenant compan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rvices provided to the tenant companies by checking whether the level of services provided is satisfactory, compared to the service levels expected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Methodology]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enant companies that receive practical start-up incubation services were organized into panels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various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the start-up incubation center. Afterwards, priorities for improving start-up incubation support services were verifi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mong support service factors via Borich Requirements Analysis and Locus for Focus Analysis. [Findings]The importance of various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the start-up childcare center was confirmed, and the ranking of support services that start-up childcare companies demanded improvement was determined. Among the various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the start-up childcare center, items that need to be improved compared to the expected level were technology development equipment support, network with graduation companies, legal advice, and investment information. [Implications]Until now, various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the start-up childcare center have been unilaterally implem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providers, but this study confirmed the priority of support services that need to be improved compared to the level of demand.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upport services provided by the start-up childcare center, and contributed to provi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start-up childcare work by deriving support services that demand impr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upport service consumers.

      • KCI등재

        창업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창업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설명환,최종인 한국창업학회 2022 한국창업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social values and evaluation items created by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For exploratory research on social value, it is to examine the constituent factors and roles of social value and propose social value items of start-up suppor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the social value of start-up. To this end, the government's budget and support items of the start-up support system were analyzed, and evaluation indicators and items were checked to realize the social value of start-up support, and indicators were presented. Existing studies on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value measurement of start-up support for social value were examined, and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s were also organized by item. Finally, the field of measuring the value of start-up support was divided into start-up support social performance, social contribution social performance, and economic contribution performance, and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evaluation items were explored and applied to the social value concep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future research on the social value of start-up support, the concept of value for economic, social, and social contribu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value measurement items. 본 연구는 정부의 창업지원이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와 평가항목을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사회적 가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위해 사회적 가치 구성요인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창업지원의 사회적 가치 항목을 제안하여 창업의 사회적 가치 수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창업지원제도의 예산 및 지원 항목을 분석하고 창업지원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평가지표 및 항목을 점검하여 창업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역할 수행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였다. 사회적 가치에 대해 국내외 사례분석과 창업지원의 가치측정에 대한 기존연구들을 살펴보았고, 정부 창업지원사업의 평가지표에 대해 항목별 구분도 정리하였다. 최종적으로 창업지원의 가치 측정분야를 창업지원 사회적 성과, 사회공헌 사회적 성과, 경제적 기여성과로 구분하고 정부의 창업지원 평가항목을 탐색하여 이를 사회적 가치 개념에 적용하여 분류기준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창업지원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연구와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사회공헌에 대한 가치 개념, 가치 측정항목 분류를 정리함으로써 향후 창업과 창업지원의 사회적 가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창업지원 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역할 강화방안 연구

        노영희,김용태 한국비교정부학회 2023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7 No.2

        (Purpose) The library is an organization that realizes social and cultural values as a basic infrastructure that forms a social structure. As a member of society,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support start-ups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our society and local communities and as a way to expand the role of librarie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conduct a case study on whether the library has performed any services related to the role of start-up support so far, and to analyze research related to start-up support as one of the library services.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literature analysis, case studies, and FGI processes were performed, and finally, the role of the library as one of the local start-up ecosystems was proposed. (Finding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at libraries should serve as libraries, start-up-related support programs and services, professional and budget support, mentoring and consulting support, network support, and start-up information sources and platform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Libraries should serve as libraries as start-up support spaces, start-up-related support programs and services, professional manpower and budget support, mentoring and consulting support, network support, and start-up information sources and platforms. In future studies, specific research on what services and functions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library to serve as a start-up support platform, and it will be necessary to derive improvement requirements, including satisfaction, by conducting a survey of librarians in libraries that actually operate start-up specialized libraries.

      • KCI등재

        전북지역창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부문 정책 제언

        유홍진,최석규 한국재정정책학회 2023 財政政策論集 Vol.25 No.3

        전북지역의 청년인구 유출에 따른 인구감소 문제와 소멸위기지역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이와 더불어 전북의 창업지원정책의 질적 수준도 미흡하여 전북의창업 관련 경쟁력은 여전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시킬 수있는 정책 제언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창업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북의 성장동력 확보와 일자리 증대 및 청년인구 유출 예방이라는 삼각 목표를 도모할 수 있는 공공부문 정책을 제언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전북지역 창업 관련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통계조사 및 문헌조사를통해 전북지역 창업 실태를 진단하고 전북의 창업정책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일본,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의 기술창업 지원정책이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의 공공부문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기술창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창업지원정책을 전면 재점검하고 신기술 창업 우선순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라북도 창업정책 담당부서는 전북형 팁스 프로그램을 도입하고창업기업 생존 토양을 조성해야 한다. 셋째, 창업 실패의 경험을 자산화하고 재기의 기회를 마련해줌으로써 창업 실패에 따른 위험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 넷째, 창업단계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창업기업 금융지원 시스템 혁신이 시급한 과제이다. 다섯째, 창업기업이 기술개발 등의 핵심사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K-ICT 창업멘토링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경영·기술 역량 확충과 인력확보를 위한 원스톱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창업 편의성을 제고하여 우호적인 창업환경을만들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창업지원 네트워크 확대와 함께 딥테크 전문 멘토단을 구성하여 단발성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고 14개 시군별 지역특화 딥테크 창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due to the outflow of youth population and the issue of regional extinction in Jeonbuk region are at a serious level. In addtion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the quality of the start-up support policy is insufficient and competitiveness of the Jeonbuk region related start-ups is still low.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f policy suggestions that can solve such problem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public sector policies that can achieve a triangular goal such as securing growth engines in Jeonbuk region, job growth and prevention of the outflow of the youth population by vitalizing startup business in Jeonbuk reg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 diagnosed the actual conditions of start-ups in Jeonbuk region and analysed the start-up policy in Jeollabuk-do through questionnaire study, statistical surveys and literature survey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echnology start-up support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Japan, Israel, and Singapore. The public sector policy of recommend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revitalize technology start-ups, firtst it is necessary to fully reexamine support policies and reconsider priorities of new technical start-ups. Second, the department in charge of start-up policy in Jeollabuk-do should set the goal of introducing the Jeonbuk-style TIPS program within the year,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urvival soil for start-ups expanding step-by-step support for technology start-ups and deep-tech start-ups. Third, the risk burden of failure to start a business should be reduced by capitalizing one’s experience of failing to start a busines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a comeback. Fourth, it is also an urgent task to innovate the financial support system for start-ups, such as establishing a differentiated funding support, investment attraction, and evalu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specificity of the start-up stage, and expanding financial support for start-up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ifth, in order to enable start-up companies to focus on core businesse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 K-ICT startup mentoring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so that one-stop support for expanding the capabilities of management and technology and one-stop support for manpower need to be expanded. Sixth,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friendly business environment by improving start-up convenie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art-up support network and form a deep-tech expert mentor group to support continuous start-up growth.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regional specialized deep-tech start-up clusters in 14 cities and counties.

      • KCI등재

        포지셔닝 분석을 통한 창업지원정책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 연구

        경종수,김대중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2

        창업지원정책 기반의 다양한 창업기업 지원사업들은 정책목적에 따라 창업인프라 및 기반조성에 초점을맞추기도 하고, 세부적으로는 창업사업화, 기술개발, 창업자금, 창업교육, 마케팅 및 판로지원, 멘토링, 컨설팅, 엑셀러레이터 및 투자지원 등 다양한 방식의 창업기업 지원이 추진된다. 그동안 창업지원사업은 지원방법과목적성에 따라 부처별로 산발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K-스타트업 구축(창업사업 통합 플랫폼 브랜드)과 함께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절차가 추진되었다. 부처별 정책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추진되더라도 정책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통합공고에 그치지 않고 창업지원 정책목표의 일원화 및 단위 사업간 기능과역할분담 등 종합적 관점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통합공고 기준 창업지원사업 유형군의주요특성, 둘째, 사업유형별 단위사업에 대한 포지셔닝분석을 통하여 개별 단위사업의 방향성을 파악하며, 셋째, 사업유형군에 대한 정책방향성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의 6대사업유형 중 R&D분야를 제외한 5개 유형군(사업화, 시설보육, 창업교육, 멘토링/컨설팅, 행사/네트워크)에대한 주요 특성분석과 함께 85개 단위사업의 주요기능에 대한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21명의 창업정책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FGI)을 통하여 정책지향점 도출 및 단위사업별 주요기능에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업사업화 및 시설보육 사업유형군의 단위사업에 대해 창업기반구축 및 성장지원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많은 사업들이 기반구축과 성장지원에 기능과 역할이 넓게분포되었으며, 기능과 역할에 대한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창업교육 지원사업은 실전창업 역량강화 및 성장지원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일부 사업들이 창업기업 성장과 실전창업 역량강화에 대한기여도가 낮아 사업기능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멘토링 및 컨설팅 지원사업은 주요기능을 포괄적지원과 요소별 지원으로 비교하였으며, 분석결과 단위사업간 차별화 수준이 매우 높았다. 행사 및 네트워크지원사업은 창업문화확산과 행사의 전문성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으며, 일부사업들이 전문성과 창업문화확산에 대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대부분 사업들의 주요기능이 정책지향점에 부합되기도 하고, 일부 사업들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업지원사업의 유형별 정책성과목표 설정 및 개별단위사업들의 지향점, 기능과 역할에 대한 조정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Start-up support programs are carried out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startup infrastructure, foundation building, startup commercializ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startup funds, startup education, marketing and sales channel support, mentoring, consulting, accelerator and investment support. In the meantime, start-up support programs have been sporadically promoted by each ministry depending on the support method and purpose. Recently,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K-Startup (startup integration platform brand), the process of integrated announcement of start-up support programs was promot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individual unit program is identified through positioning analysis of unit programs by support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pport types and the direction of policy goals are propos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basis of establishment of foundation for start-up and growth support for the unit program of the policies type group for start-up commercialization and facility incubati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many programs were widely distributed in infrastructure building and growth suppor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rt-up education support program based on the reinforcement of actual startup competency and growth support, it was found that some projects needed to adjust their business functions because their contribution to business growth and reinforcement of practical startup capability was low. Mentoring and consulting support programs compared major functions with comprehensive support and support for each element,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between unit program was very high. Startp events and network support programs wer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 spread of the startup culture and the expertise of the event, and some programs were evaluated as having a low contribution to the spread of the startup culture and expertis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in functions of most programs met the policy direction, and some programs were insufficien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et policy performance goals for each type of start-up support program and to adjust and improve the direction, function and role of individual unit programs.

      • KCI등재

        창업지원사업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지원사업 수혜기업을 중심으로

        박상욱,김연종,송인방 한국창업학회 2022 한국창업학회지 Vol.17 No.2

        Currently, the government operates a variety of start-up supporting programs mainly including start-up commercialization, R&D, offering facilities and space, start-up training, mentoring, marketing, establishing distribution channel, networking support, and so on.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how start-up supporting by individual project affected the performances. Detailed elements of start-up supporting by individual project were defined such as supporting spaces, common facilities, commercialization fund, labor costs, start-up training, mentoring, PR and marketing with institution initiatives and company initiatives so as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business performances and to verify the influential factors to the performances of the start-up companies in the relation between start-up supports by project and performances.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o show the decline of performances from labor cost supports by the government. Also, higher performances were found in the case the institutions drove PR and marketing than in the case the companies drove them,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funding system development with sense of responsibility and assistance of professional institutions rather than thoughtless funding suppor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olic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pace offering by supporting independent spaces for start-up rather than supporting common facilities as well as supporting administrative matters. Mentoring support solved many practical problems of start-up; advice of senior founders or start-up experts affected their successes and failures; overseas presentation session with institution initiative showed the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ative performance items of the businesses, implicating the needs to expand the supports for them in the future. 현재 정부에서는 다양한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주로 창업 사업화, 연구개발, 시설 및 공간 제공, 창업교육, 멘토링, 마케팅 및 판로개척, 네트워크 지원 형태이다. 이 논문은 지원사업별 창업지원이 실질적인 창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고자 지원사업별 창업지원의 입주공간 지원, 공용시설 지원, 사업화자금 지원, 인건비 지원, 창업교육지원, 멘토링지원, 기관주도형 및 사업자주도형 홍보ㆍ마케팅 지원 등 세부 요인들을 도출하여 기업성과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지원사업별 창업지원과 창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효과에 대해 검증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 정부의 인건비 지원은 성과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홍보ㆍ마케팅을 사업자가 주도하여 진행했을 때 보다 기관에서 주도하였을 때 창업성과가 높은 것으로 보아 무분별한 자금지원보다는 책임감 있는 자금지원 체계 발굴 및 전문 기관의 보조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용시설 지원 보다 창업기업이 단독으로 사용가능한 입주공간 및 입주에 따른 행정편의 등을 집중 지원하여 공간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해야 될 필요성이 있으며, 멘토링 지원은 실제 창업활동을 진행하면서 부딪히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선배창업자 또는 창업전문가의 지도가 창업의 성패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관주도형 해외상담회 역시 기업의 정성적 성과항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그 부분에 대한 지원비중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초기 창업기업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 창업업종 및 창업성장단계 조절효과

        정경희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1

        This study was proceed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start-up support policy as an element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early start-ups and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start-up support policy,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future policies according to the study. To accomplish this the influence of the start-up support policy on the early start-ups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dustry and growth stage of the start-up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subjects collected real data of 297 start-ups of the past three years that were selected for the Initial Start-Up Package project, and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rt-up support policy and the performance of the start-up, sales had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art-up fund,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infrastructure(space), while start-up education failed to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sales. In terms of employment, start-up mentoring was the only field that showed a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Second,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tart-up’s industry and growth stage, the industr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but the interactive effect was seen in start-up education. To be more specific in terms of the sales relationship of each industry, knowledge services turned out to be helpful in improving sales, while manufacturing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ales regardless of being supported with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infrastructure (space). The sales relationship regarding the start-up growth stage was identifi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eliminary st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providing start-up mentoring and start-up funding were effective for start-up stage and growing stag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employment did not perform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art-up growth stag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the start-up support policy for early start-ups, identifies the need in differentiated support polic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in which future policies should be made towards.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창업지원정책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현재의 창업지원정책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창업지원정책이 초기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창업기업의 특성으로 창업업종 및 창업성장단계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에 선정된 최근 3년간 창업기업 297개의 실제 테이터를 수집하여, 변수 간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의 영향 관계 확인 결과, 매출은 창업자금, 창업멘토링, 창업인프라(공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반면 창업교육은 매출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고용은 창업멘토링만이 유의한 영향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창업업종과 창업성장단계의 조절효과 확인 결과, 창업업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창업교육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업종별 매출 관계는 지식서비스는 창업교육이 매출향상에 도움을 주며, 제조는 창업멘토링과 창업인프라(공간)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매출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성장단계별 매출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예비단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창업단계는 창업멘토링 지원, 성장단계는 창업자금 지원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고용은 창업성장단계에 따라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 대상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창업기업 특성에 따른 차별적 정책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향후 정책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