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의 재활스포츠 지원체계 구체화 방안

        강명희,조현주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3 스포츠와 법 Vol.26 No.2

        Acquired disabled people do not know what sports are suitable for their disabilities, even though sports can be a very useful means for improving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and social integration. It is necessary to guide and train the disabled in appropriate sports. This stage is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daily sports, and is a treatment and training stage that can improve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abilities of the disabled overall. However, in Korea, the concept of rehabilitation sports or its delivery system are not legally clearly defined. Regulations on the concept and scope of rehabilitation sports should be made in the "Act on Guarantee of Right to Health and Access to Medical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Germany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 rehabilitation sports system. With implications from this German system, I would like to classify our rehabilitation sports delivery system into five stages. The first step is to identify the condition of the disabled and to make a doctor's prescription. The doctor's prescription is sufficient to simply need a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for the disabled, and health insurance should be applied at this stage. The second stage is to submit the doctors' prescription and data on rehabilitation treatments to local governments. The rehabilitation sports provision system is the affairs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rehabilitation sports. In particular, local governments should make efforts to secure various sports centers to expand the options of the disabled. The third stage is the approval and information provision of local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shall convene a committee composed of doctors, rehabilitation therapists, sports experts, etc. to select the games of sports suitable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elec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shall be provided with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on available sports centers, programs, etc. The fourth stage is the issuance of vouchers and the use of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s. Disabled people experience recommended sports using vouchers issued by local governments and choose the most suitable sports. Programs for psychological stability should also be operated so that disabled people who have been intimidated by disabilities can regain confidence and actively integrate into society. The fifth stage is the extension of rehabilitation sports or the transfer of them to daily sports. If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take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s, it shall be supported to be transferred to sports for all. If an extension is needed, an extension must be applied by a doctor's prescription. 202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등록장애인 수는 26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5.1%에 달하며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후천적 장애인은 장애 발생 초기에 두려움과 불안, 수치심 등을 느낄 수 있으며, 장애 극복이나 개선을 위해 재활치료 이외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정확히 알지 못한다.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장애 개선 및 사회통합을 위해 스포츠가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에도 자신의 장애에 어떤 스포츠가 적합한지 알지 못하는 장애인에게 적절한 스포츠를 안내하고 훈련시키는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재활스포츠는 재활치료와 생활체육의 중간단계로써, 장애 초기 단계에 있는 장애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능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활스포츠에 대한 개념이나 그 지원체계 등이 법적으로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를 법적으로 명확히 하고, 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먼저 재활스포츠에 대한 근거조문이 법률상 정비되어야 한다.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제3조에 재활스포츠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제15조 제1항의 “의사의 처방에 따른 재활운동 프로그램”에 재활스포츠가 포함됨을 명시하며, 제15조 제4항에서 위임한 내용을 부령에 조문화해야 한다. 법률상 재활스포츠의 개념 및 범위를 먼저 명확히 한 후에 이를 기반으로 재활스포츠의 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독일은 재활스포츠 제도를 활발히 시행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이 독일의 시스템에서 시사점을 얻어 우리의 재활스포츠 지원체계 구축을 제안해 본다. 1단계는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시행을 위한 의사의 처방이 내려지는 단계이다. 의사의 처방은 단순히 해당 장애인에게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정도면 충분하다. 2단계는 의사의 처방전과 재활치료 등에 관한 자료를 지방자치단체에 제출하여 재활스포츠 프로그램 신청을 하는 단계이다.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의 제공은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로, 지방자치단체는 재활스포츠 운영 전반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특히 장애인의 복지 및 선택의 폭 확대를 위해 다양한 종목에 대한 충분한 수의 스포츠센터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3단계는 지방자치단체의 승인 및 정보제공 단계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의사, 재활치료사, 스포츠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소집하여 대상적격 여부 및 적정 스포츠 종목 선정 등을 논의한다. 대상자로 선정된 장애인에게는 이용가능한 스포츠 종목, 센터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해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4단계는 바우처 발행과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의 이용 단계이다. 장애인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발급받은 바우처를 이용해 추천받은 스포츠를 경험해보고 가장 적합한 스포츠를 선택한다. 또한 장애로 인해 위축된 자신감을 회복하고 사회에 적극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심리적인 안정을 위한 프로그램도 혼합하여 운영해야 한다. 5단계는 재활스포츠의 연장 또는 생활스포츠로의 이관 단계이다. 더 이상 재활스포츠 프로그램의 수강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생활체육으로 이관되도록 지원하고, 연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의사의 처방을 받아 연장신청을 해야 한다.

      • 스포츠재활학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방향: 영국스포츠재활사협회 교육체계를 중심으로

        홍영기 ( Youngki Hong ),김유신 ( Yushin Kim ),윤의열 ( Uiyeol Yoon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23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21 No.1

        영국스포츠재활사협회(BASRaT, British Association of Sport Rehabilitators)가 제시한 교육 프레임 워크는 국내 스포츠재활학 교육과정 개발에 중요한 참고 자료라 할 수 있다. 이 교육과정은 이론과 실습의 통합을 강조하며, 학생들의 실질적인 기술 향상을 목표로 한다. 이는 이론 지식과 실제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스포츠재활 분야의 종합적인 전문성 함양에 기여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 스포츠재활학 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여러 어려움이 있다. 대표적으로 스포츠재활 분야에 관한 인식 부족, 표준화된 교육과정의 부재, 그리고 체육과와의 모호한 구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현재 BASRaT은 약 20개 대학교와 7개 대학원에 인증을 부여하며, 교육과정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해부학, 운동생리학, 운동역학, 스포츠손상학, 근골격계평가, 스포츠마사지, EBP(evidence-based practice), 부상치유기법, 재활운동원리, 스포츠심리학, 건강과 웰빙, 학업기술, 정보조사방법론, 현장실습 등 15가지 핵심 과목을 포함하고 있다. 이 연구는 BASRaT의 교육 프레임워크의 핵심 요소를 고려하여 한국 스포츠 재활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교육 방법과 평가가 적절히 설계됨에 따라 국내 학생들의 전문 기술과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BASRaT 교육과정의 도입이 국내 스포츠재활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ducational framework established by the British Association of Sport Rehabilitators (BASRaT) can provide a valuable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sports rehabilitation curricula. This curriculum, emphasizing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s designed to enhance students’ practical skills. In doing so, it fosters problem-solving abilities underpinned by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case studies, contributing to comprehensive expertise in the field of sports rehabilitation. However, certain challenges impede the progression of sports rehabilitation education in Korea, including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field, the absence of standardized curricula, and ambiguous differentiation from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s. Presently, BASRaT is undertaking curriculum standardization with accreditation conferred to 20 universities and seven graduate schools. This curriculum encompasses 15 core subjects: Anatomy, Exercise Physiology, Sports Injuries, Musculoskeletal Assessment, Sports Massage, Academic Skills/Methods of Enquiry, Evidence Based Practice, Injury Treatment Modalities, Principles of Exercise and Rehabilitation, Sports Psychology, Sports Biomechanics, Exercise Prescription for Public Health and Wellbeing. This study is predicated on the curriculum put forth by BASRaT. The findings shed light on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Korea’s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considering the key elements of BASRaT’s framework. Such an approach can enhance domestic students’ professional skills and competitiveness, provided the educational methods and evaluations are appropriately designed. Moreover, this emphasis on the BASRaT curriculum can foster professionals with specialized expertise in the domain of domestic sports rehabilitation.

      • KCI등재

        장애인의 재활운동 및 체육 전달체계 서비스 모형 개발을 위한 페르소나 모델 연구

        최문정,정이루리,김태응,백성수 한국리듬운동학회 2022 한국리듬운동학회지 Vol.15 No.3

        The persona model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presenting the most representative virtual person for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operation, understanding the needs of operator and user and establishing rehabilitation sports communication system services. Personas do not refer to specific people, but are made up of virtual people who discover patterns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 and shown by consumers through surveys and gather researchers’ insight into tho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ervice delivery system model to effectively provide information on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to promote the health of disabled people. As a resul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Forest Service provide rehabilitation sports-related services to the disabl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a delivery system, the information reaching the disabled seems to be insufficient and inefficient. Disabled persons (physically disabled and brain lesions) were on-line interviewed in depth. ‘Rehabilitation Period’ and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were extracted as the main variables for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se two variables, virtual characters were set up: 1) ‘Na ga-man’ who is not interested in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and 2) ‘Kang In-han’ who actively practices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persona model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sequelae of disability and to disseminat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to maintain health through sports for all.

      • KCI등재

        지역사회기반의 재활체육 지원체계에 관한 독일과 일본 비교연구

        서해정(Hae jung Suh),조재훈(Jae hoon Cho),김재근(Je gun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과 일본의 재활체육 서비스 지원체계를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지역사회 기반의 장애인 건강권 확보를 위한 재활체육 서비스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 검토 및 일본을 직접 방문조사하여 재활체육의 운영 배경 및 발전 상황, 개념 및 범위, 대상, 서비스 전달과정, 제공기관, 제공인력 그리고 재원 등에 대한 내용분석을 하였고,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에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재활체육의 개념과 범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독일과 일본은 처음에는 의료적 재활을 목적으로 상이군인 등을 대상으로 재활체육이 시작되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재활체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장애를 예방하거나 장애로 인한 2차 질병을 예방하는 차원으로 대상자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둘째, 재활체육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의료, 복지, 장애, 운동처방 등의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인력이 필수적이며 독일과 일본에서는 이들을 전문적으로 양성하고 있다. 셋째, 독일과 일본에서는 재활체육 제공기관을 특별히 한정짓고 있지 않고 제공기관에 재활체육을 지도할 지도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강조하면서 장소기반이 아니라 인력기반의 재활체육 서비스로 나아가고 있다. 넷째, 재활체육 단순한 의료적 프로그램이나 스포츠 중심이 프로그램이 아니라 질병 중심의 장애유형별 체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전달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sures to support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for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can be applicable to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support system of Germany and Japa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irect visiting to Japan, the researcher explored such factors as, background of initiating th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concept, range, and subject of theservice, service delivery procedure, and institutions, and finance of the service. The institution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range of rehabilitation sports are gradually expanding. Initially, the rehabilitation sports started targeting for veterans with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medical rehabilitation in Germany and Japan. As time passes, however, the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sports has emphasized, and the subjects have gradually expand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ability or secondary diseases caused by disability. Second, in order to perform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it is essential to have manpower with expertise in medical treatment, welfare, disability, and exercise prescription, likewise Germany and Japan do. Third, Germany and Japan emphasize the assignment of rehabilitation sports instructors in institutions, rather designating specific institutions, which is moving toward the manpower-based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rather place-based service. Fourth, rather having simple medical programs or sports-oriented program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systematized disease-oriented program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Lastly, the clients-oriented service delivery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레저스포츠 안전관리를 위한 스포츠재활 인재 활용방안

        조경환(Kyoung-Hwan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레저스포츠 및 스포츠재활의 현주소, 레저스포츠 안전관리 및 스포츠인재 양성 정책을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레저스포츠 안전관리분야에서의 스포츠재활 인재의 활용 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레저스포츠 안전관리의 문제점 및 관련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해결 방안을 토대로 융복합적 차원의 접근을 통해 레저스포츠 안전관리 분야에서의 스포츠재활 인재의 종합적인 활용 의견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스포츠재활관련학과에 스포츠안전 및 스포츠시설안전에 관한 과목을 확대하고 대학원에 스포츠안전관련학과를 신설한다. 둘째, 스포츠재활관련전공자의 전문성 차원에서 체육지도자 모든 자격과정에 스포츠안전 및 스포츠시설안전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편성한다. 셋째, 스포츠재활관련전공자의 미래인재차원에서 체육지도자 자격과정에 스포츠안전관리사 또는 스포츠시설안전관리사 과정을 신설한다. 넷째, 스포츠재활인재 양성과 레저스포츠안전 분야와의 연계를 통한 중․장기 시책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공체육시설 및 레저스포츠시설 현장에서‘안전과 재활’에 대한 실용적이고 다양성의 인식전환을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leisure sports and sports rehabilitation, leisure sports safety management, and talent training polic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t is to comprehensively suggest ways to utilize sports rehabilitation talents in the field of safety management in leisure sport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sports safety and sports facility safety in the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and establish a new department related to sports safety in graduate school. Second, it is necessary to assign sports safety and sports facility safety as required subjects in every course of qualification for sports leaders in pursuit of expertise among sports rehabilitation major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course for sports safety managers or sports facility safety managers in the course of qualification for sports leaders in pursuit of future manpower among sports rehabilitation majors. Fourth, it is necessary to make a mid- or long-term policy in coordination with the area of leisure sports safety as well as to cultivate sports rehabilitation manpower. Fifth, it seek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practicality and diversity in safety and rehabilitation at the site of joint sports facilities and leisure sports facilities.

      • KCI등재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활스포츠 복지통합모델 구축

        김명미,양승원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사회적 약자에게 스포츠 복지 문제에 참여하는데, 차별을 받고 배제될 수 있는 집단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우선적으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활스포츠와 스포츠 취약계층 그리고 전문체육인의 욕구와 기본적인 생활권, 생존권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사회복지, 문화 복지와 다른 스포츠를 통한 삶이 가능하도록 제도적인 여건을 제공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며, 스포츠를 통하여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공공서비스를 기획, 개발 및 운영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 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의 스포츠 참여를 활성화하고 우리나라의 스포츠복지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활스포츠 복지 통합모델을 구축하고자 재활스포츠 복지통합모델(안)과 재활스포 츠 복지 통합 모델구축 활용방안(안)을 수립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활스포츠 시설통합시스템 구축 및 운영(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활스포츠 복지 통합모델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으로써 선진 국형 스포츠 복지 국가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Sports welfare is important for the underprivileged because it is a group that can be discriminated and excluded from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Korea should desperately try to provide institutional conditions to enable rehabilitation sports for the underprivileged, and social welfare, cultural welfare and other sports for professional sportsmen's needs, basic living rights and survival rights. And it is necessary to plan, develop and operate public servi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hrough spor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rehabilitation sports welfare integrated model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order to activate the sports participation of them and to develop the integrated model of rehabilitation sports welfare (plan) and the integrated system of rehabilitation sports faciliti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s a result, the integrated rehabilitation sports welfare model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will contribute to a sport welfare state of developed countries as a systematic and efficient health management system.

      •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 현황 분석

        김유신 ( Yu-shin Kim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22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20 No.2

        학과의 커리큘럼은 학생의 전문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일부 체육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은 정체성이 모호하거나 이론과 전문교육이 미비한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는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하고 현재 전공 학생들이 어떤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학과명을 바탕으로 스포츠재활 특성화 학과 35개를 최종적으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해당 학과의 교과과정을 분석한 결과 스포츠 실기 과목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이어 체육이론, 스포츠과학, 재활운동, 임상의학, 기초의학, 운동학, 운동처방, 중재기법, 측정평가 순이었다. 또한 일부 학과에는 ICT(정보통신기술), 기초 과학 및 외국어가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학과에서는 체육 관련 과목의 비중이 평균적으로 매우 높았다. 그러나 스포츠재활은 선수들이 고통 없이 경기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치료하는 다학제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특정 분야에 지나치게 치중하는 커리큘럼을 설계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스포츠재활 전공자로서 성장하는데 부족한 점과 문제점을 발견하여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urriculum offered by each department i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students’ professionalism. However, th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related departments in universities has problems because the identity is ambiguous or the theory and professional education are poo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universities related to sports rehabilitation and to understand what kind of knowledge students in the current major is learning. Based on the department name of this study, 35 departments specialized in sports rehabilitation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s a result, physical education subjects that educate sports event skill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t was followed by physical education theory, sports science, rehabilitation exercise, clinical medicine, preclinical medicine, kinesiology, exercise prescription, intervention technique, and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addition, some departments contain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basic science, and foreign languages. In the departments analyzed in this study,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was very high on average. Considering that sports rehabilitation i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at treats athletes to restore performance without pain, designing a curriculum that focuses excessively on a specific area should be avoid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ademic development by discovering what students lack and what problems are in sports rehabilitation.

      • KCI등재

        영국 스포츠재활사협회 교육프레임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스포츠재활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 현황

        김유신 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 2023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of Sports Rehabilitation in Korea and the curriculum frame established by the British Association of SportRehabilitators and Trainers (BASRaT). Methods: Based on department names in the University Admissions Information Portal operated by the Korea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sports rehabilitation and related departments were selected as researchsubjects. By analyzing the keywords of the subject titles, the educational direction was determined. Then,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ASRaT 2020 educational framework. Results: A total of 1,498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35 departments,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directionof education on exercise and sports. From the educational frame perspective of BASRaT, the Departmentof Sports Rehabilitation in Korea showed a 77% satisfaction rate for the curriculum, and exercise/rehabilitationprincipl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at 25%. The most vulnerable areas were anatomy, sports massage,and evidence-based treatment, which accounted for 2% of the entire curriculum.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Korea's Depart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aligns with the BASRaT'seducational framework. However, there's a notable deficiency in medical knowledge and evidence-basedthinking. Despite UK-Korea differences, adapting the BASRaT guidelines can greatly benefit the future ofKorea's sports rehabilitation.

      • KCI등재

        독일의 재활체육 정책과 재활체육 전문지도자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유호(Ho Yoo)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Korea which is making a national effort for activating rehabilitation sports and cultivating leaders by learning the system of developed country in this fiel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and analysed the Germany`s rehabilitation sports policy and the changed content and the way of management of rehabilitation sports trainer course. The major claim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the term of "rehabilitation sports" should not simply be used as the abstract meaning of disabled person`s sport. If the value of the rehabilitation sports should be proved by the academic work of experts such as the doctors who are related in rehabilitation and sports medicine and the people who majored in rehabilitation sports and by the sponsor of the organizations for the disabled person and the government, the rehabilitation sports can be more meaningful having the concrete purpose and content. In addition, rehabilitation sports system which has legal binding should be established, so the disabled person can experience the rehabilitation sports by the educated trainers, can have the medical treatment without any financial burden and enjoy the sports by himself/herself in his/her daily life.

      • KCI등재

        장애인 재활운동 및 체육활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현장 전문가 요구도 분석

        강동헌(Dong-Heon Kang),박지영(Ji-Young Park),은선덕(Seon-Deok Eu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8

        퇴원 이후의 의료적 조치와 재활치료 이후 연계되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체계의 부재로, 장애인들은 개인별 장애유형 및 특성과 신체기능에 적합한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실정에 처해있다. 2017년도 12월,‘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장애인들이 재활운동 및 체육에 대한 요구와 다양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을 수집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정책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에서 제시한 전문가의 요구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을 귀납적 내용분석으로 제시하였다. 문헌선정의 기준은 국내에서 수행된 ‘장애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재활운동 및 체육’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전문가(관련학계, 시설 담당자, 체육 지도자 등)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가 포함된 연구가 선정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자인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은 7가지(체육활동에 관한 인식, 프로그램, 지도자, 시설, 접근성, 비용/지원/재원, 기타)로 구성하여 범주화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수요자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 체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ue to the absence of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systems linked to post-discharge medical measures and rehabilitation, disabled people cannot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suitable for individual disability types,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unctions. In December 2017, the Act on the Rights of Health for the Disabled) was implemented to provide an institutional basis for disable people to address their needs for rehabilitation sports. Based on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collect the results of a demand survey conducted on experts who ar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providers and analyze the demand for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from a policy perspective. This study extracts the needs of expert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and presents the extracted content as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literature were selected based on studies related to “adaptive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sports for all for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sports” condu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the results of a demand survey on experts. The study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categories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programs, leaders, facilities, accessibility, cost/support/financial resources, and others) of field experts who ar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providers. In a future study, it will be necessary for people with disability, who are consumers who will provide actual services, to identify problems at the disabled sports site and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