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수저계급’ 관련 웹 뉴스 기사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김용회,한창근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학 Vol.71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social phenomenon called as ‘spoon class’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semantic network of core key words extracted from the web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spoon class’ which has appeared in the articles since 2015. The study period is between 2015 and 2018. The Naver web news was selected as a study web site. Then, we analyzed the semantic network of the top 30 words through text mining from 827 texts-related key words reported in the web New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twork Centralization was 31.51%.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ds such as ‘gold spoon·dirt spoon’, ‘society’, ‘policy’, and ‘job’ have strong linkages. Third, CONCOR analysis showed that the top 30 words were divided into seven small clusters, which were again classified into four central clusters. Focusing on the key words presented in each cluster, we examined the nature of the social problems in Korea, such as class society, transfer of wealth, inequality, and social policy, and discusse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본 연구는 2015년 신조어로 등장한 ‘수저계급’ 관련 웹 뉴스 기사에서 추출한 핵심키워드의 의미연결망 구조를 분석하여 수저계급과 관련된 사회적 현상을 파악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이다. 조사 대상인 포털사이트는 네이버 웹 뉴스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수저계급 관련 뉴스 기사 827건안에 언급되어진 키워드를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상위 30개 단어를 선정한 후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중심도는 31.51%로 나타났다. 둘째, ‘금수저·흙수저’, ‘사회’, ‘정책’, ‘일자리’ 등의 단어가 상호간 강한 연결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CONCOR 분석을 통해 핵심키워드 간 의미연결구조를 살펴본 결과, 상위 30개 단어는 7개의 소규모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다시 4개의 중심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구조 안에 나타난 키워드를 중심으로 수저계급과 관련한 계급사회, 부의 세습, 불평등, 사회정책 등 점차 심화되어가는 우리나라 사회문제의 본질을 살펴보고,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김광연 ( Kim Gwang Yeon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9 No.-

        A greek philosopher Plato, in his book 「The Republic」 came up with a possibility of a ideal nation state by implementing the inherent humanity and social status of human being. In his understanding, however, social classes classified by the inherent humanity is depriving of moving up chance in social ladder and even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seen in his work 「The Republic」, the contemporary of the age had to face a predetermined life. Such a phenomena is no exception in Korean society as well. Like a spoon-class, which means born with a silver spoon from birth, a status determined by natural birth is another dimension of class conflict throughout the Western society. It came alive in Korea as well, by means of revenue, social status, and educational discrimination. Such a feudal society is coming up as an emerging hot issue in that it has a close relation with PGS (Pre-implantation Genetic Screening) manipulation. As a result, dominant DNA screened by PGS test, has more chances to climb up a new feudal society comparing to inferior DNA.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some ethical issues of feudal society in modern age comparing to Platos perspective on social classes described in his masterpiece 「The Republic」, from which will suggest a possibility of bio-political ethics to connect it with bio-technology, spoon-class-theory, income inequality, and a alternative for fair allocation in job opportunity and its revenue accordingly. Finally, I will suggest a missionary task concerning Jesus Universal Salvation of Jesus in the Social Class.

      • KCI등재

        TV 드라마 ≪금수저≫에 나타난 시대인식과 대안 고찰

        온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

        오늘날 우리 사회는 수저계급론에 내포된 계층적 신분 구조가 고착화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지표는 현실에 대한 비관적 인식을 낳고 미래 전망에 악재가 된다. 이러한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 TV 드라마 ≪금수저≫는 수저계급론이 팽배한 오늘날의 세태를 고찰하게 한다. ≪금수저≫는 가난한 집 아이가 부모를 바꿀 수 있다는 ‘금수저’를 우연히 얻게 되고, ‘금수저’를 이용해 부잣집 친구와 신분이 바뀌며 발생하는 사건들을 배경으로 한다. 이러한 배경아래 ‘금수저’를 향한 욕망과 갈등, 그리고 욕망에 대한 대가가 비극적으로 그려지면서 배금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날것 그대로 재현한다. ≪금수저≫는 배금주의에 대한 징치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그 해법은 타자의 ‘타자성’과 ‘사랑’에 있다. 그리고 나아가 우리가 추앙해야 할 부(富)는 더 이상 ‘돈’이 아닌 ‘믿음’, ‘사랑’,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다.

      • KCI등재

        武寧王陵 出土 靑銅匙箸硏究

        정의도(Jung, Eui-Do) 한국고대학회 2009 先史와 古代 Vol.30 No.-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청동시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출토 상황과 제작지에 대한 고찰,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청동시저에 대한 성격과 의의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점의 청동숟가락과 2벌의 청동젓가락 가운데 청동발 내부에서 출토된 한 점은 중국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고 나머지 연도 입구와 현실 입구에서 발견된 청동시저 2벌은 중국에서 제작된 것을 본으로 하여 백제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청동시저 2벌의 청동 소재가 다른 한 점과는 판연히 다르고 제작수법을 살펴보아도 술부와 자루의 형태, 두께, 그리고 자루의 양단을 따라 시문한 수법도 아직은 초보 단계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었다. 왕비의 관에서 출토된 숟가락이 중국에서 제작되었다고 본 것은 나머지 청동시저 2벌의 본이 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거의 같은 형태의 것이 무령왕릉의 축조시기와 꼭 부합하는 것은 아니지만 중국의 하북 정현, 녕하 고원, 그리고 강서 남창에서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당시 중국에서도 청동시저를 부장하는 예는 거의 없다시피 하고 있다면 상당한 지위의 인물이 묘주이거나 당시 황제와 관련된 유적에서 출토된다는 것은 청동숟가락이 같이 출토되는 금기나 은기와 같이 희귀한 물품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일 것으로 보았다. 한편 무령왕릉에서 당시 남조에서 유행하기 시작하였던 가위를 부장하는 대신에 청동숟가락을 선택한 것은 무령왕의 죽음을 崩으로 표현한 것 같은 백제의 독자성을 배경으로 하는 것이며 이것은 장례절차에 있어서도 숟가락은 연도 입구에, 젓가락은 현실 입구에 두는 독특한 방식을 취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왕비의 관 내부에서 은장도자와 함께 동발의 내부에서 출토된 청동시저는 은장도자와 함께 왕비가 귀하게 여겼던 것을 왕비의 사후에 같이 넣어둔 것으로 보았는데 중국과 한국을 통틀어 유일한 예이므로 차후의 자료 증가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청동시저는 삼국시대 고분에서는 가장 먼저 출토된 것으로 우리나라 식도구사 연구에 획을 긋는 것이다. 당시 주로 음식을 쪄 먹던 식탁에 새로운 식문화를 선도하게 되었으며 이어서 백제의 고분에 청동숟가락이 부장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This work tries to understand bronze spoons and chopsticks foun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Several aspects have been discussed here such as the excavation environment, manufacture pla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y primitive bronze spoon and chopstick in Korea. Total five set (three spoons and two chopsticks) were found from this Tomb. One found from the bronze pot at the Queen's coffin seemed to be made in China, and other twos found from tomb corridor and entrance seemed to be manufactured in Baekje assembling Chinese spoon and chopstick. Those two Baekje ones are vividly different from the one found from the bronze pot and also the manufacture technique, including handle shape, thickness and decoration, is quite remained at the primitive stage. The reason of assuming the bronze spoon found from the Queen's coffin is China's one is that this one was used for the example of the other two spoon and chopstick. In the meantime, almost similar ones with this spoon were found from Jeonghyeon (Hanbook), Gowon (Nyeongha) and Namchang (Gangseo) in China, although the time periods of those areas are not perfectly lined with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Tomb. Regarding that bronze spoons and chopstick were not buried in tombs normally in China,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deceased buried with spoons and chopstick might be an important person. Also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ose bronze spoon and chopsticks were also found from the Emperor tombs. So it could be possible that bronze spoon and chopstick were one of the priceless objects of those time, like gold and silver objects. Instead of the scissors which was highly popular in Namjo, bronze spoon was chosen to bury in the Tomb of King Muryeong. Given that Baekje people described King's death as 'Bung' spoon burial can be understood in this unique cultural context. Also this uniqueness was proven again that spoon is located in the corridor while chopstick is in the entrance. It is also highly likely that silver knife and bronze spoon seemed to be the favorite items of the Queen and so those two objects were in the bronze pot, in side the Queen's coffin. This is the only example around China and Korea, so it is worth waiting further excavation result which could understand more historic background. It should be also highlighted that the bronze spoon and chopstick found from the Tomb King Muyryeong is the very first ones among the tombs of Three Kingdoms Period. This spoon and chopstick, therefore, could be the valuable object to comprehend food culture of Korea. Basically steaming was the typical way of cooking, but spoon and chopstick seemed to bring different food culture. This also led Baekje people to bury bronze spoon in their tombs.

      • KCI등재

        소득계층 이동성 추이의 Markov과정 분석

        박재완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7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7 No.4

        This paper applies a Markov process to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from the Korea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to analyze the income class mobility of Korean households. The Markov process simulations show the followings. First, the convergence rates towards long-term equilibria and income class mobility are still quite high. Second, the mobility has diminished somewhat since major economic crises. Third, the proportions of income classes in equilibria mostly shape symmetry around the middle class, but asymmetry with thick high income class among the households with working age heads. Fourth, polarization of income gradually evolves as time goes by. Fifth, mobility of the households with elderly heads is much lower than otherwise. Sixth, income distribution improves considerably after government intervention. However, regressive effects of universal welfare programs which were loosely expanded in the early 2010s on income redistribution need to be carefully examined. 한국노동패널조사와 재정패널조사에서 도출한 연간 기준 소득계층 이동 추정치에 ‘Markov과정’의 시뮬레이션을 적용해 외환위기와 세계금융위기 이후 소득계층의 이동성 추이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첫째, 장기균형 수렴 속도가 빠르고 소득계층 이동이 활발했다. 둘째, 두 차례 경제위기 이후 계층 이동성이 저하됐다. 셋째, 장기균형의 소득계층별 점유율은 대체로 중산층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뤘지만, 가구주 연령이 60세 미만인 ‘근로가능가구’의 경우 고소득층이 두터웠다. 넷째, 시간이 흐를수록 소득계층 분포가 양극화 추이를 보인다. 다섯째, ‘근로가능가구’는 이동이 왕성하고 그 방향도 상향이동에 집중됐다. 여섯째, 근로소득보다 자산소득을 포함한 시장소득의 분포가 더 바람직했다. 일곱째, 정부 개입 이후 총소득분포는 약간 개선됐지만, 보편적 복지 확대가 고소득층에 유리하게 작용했을 개연성도 관측됐다.

      • KCI등재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이병훈(Lee, Byoung-Hoo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2

        우리 사회에서는 언론이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금수저-흙수저”로 구분되는 수저계급론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계층적 신분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는 대중적 담론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2000년대 말 이후 객관적인 소득분배구조의 일정한 개선이 이뤄짐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주관적 인식에 있어 오히려 계층이동/세습이나 사회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기회불평등의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기회불공평, 기회불평등의 심각성 그리고 노력성취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 평가가 내려지고 있으며, 특히 주관적인 계층지위에 따라 그 부정적 평가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경제적 성취기회 불공평, 기회불평등 심각성 그리고 노력성취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부모세대와 본인세대의 계층지위(-), 차별・불이익 경험(+), 연령(-), 대학・대학원의 고학력(+)이 일관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연하면, 15세 성장기(부모세대)와 조사시점의 주관적 계층지위가 낮을수록, 차별・불이익의 경험을 가질수록, 젊은 연령층일수록, 그리고 대학 이상의 고학력자일수록 우리 사회의 기회불평등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비관적인 인식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사회경제적 성취기회의 불공평과 기회불평등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실업자 및 비정규직 또는 비경제활동이 높은 부정적 인식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기회불평등의 심각성과 노력성취에 대해 중위소득 가구 및 상위소득 가구가 부정적인 인식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Korea, ‘spoon class discourse’ has attracted public attention in the press and among young people, which reflects that mass awareness that the class status structure is clearly rooted in the society becomes widespread. Although income distribution has been improved since late 2000s, it is interesting that Korean people’s subjective perception concerning class mobility and social justice has been worsemed. By using the survey data on people’s perception of opportunity inequality, this study finds that Korean people have by and large negative subjective awareness regarding socio-economic opportunity inequality, magnitude of opportunity inequality, and achievement by efforts, and that the degree of the negative perception is greater in accordance with the people’s subjective identification.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the social status of respondents and their parent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ge(-), and high education of college and above (+) have consistent effect over socio-economic opportunity inequality, magnitude of opportunity inequality, and achievement by effor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More concretely, as people have lower subjective status identification at the time of parent generation and their own generation, as they have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ory misconduct, and as they are young and highly educated, they have negative or pessimistic perception regarding opportuinity inequality.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unemployed and non-regular workers have significantly negative perception on socio-economic opportunity inequality, magnitude of opportunity inequality, while negative perception on the magnitude of opportunity inequality and achievement by efforts is noticeable among high and middle income households.

      • KCI등재

        중국 전통서사 속 과거(科擧)로 보는 사회적 보편성과 잔영(殘影)

        강종임 영남중국어문학회 2017 중국어문학 Vol.0 No.75

        In the Ancient Chinese society,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was a critical factor that determines individual`s honor and disgrace and ups and downs of life. In traditional community where Confucian politics, humanities, status order worked as a dominating ideology, it is true that the examination system was an employment system that had a near perfect form that has not been seen in anywhere in the world. However, the desirable means of it faded and it created a special class by marriages between higher classes as it became formidable meaning of eminity in family, kin, hometown and clans rather than individual itself. Eventually, it is abolished to the end that even the most educated people call theirselves `the most useless group`. Examination in ancient China was an ideology that is maintained for over a century. It is shown in many different aspects in novels and plays and worked as a key factor that winds and unwinds the plot. It is proved by many history that it is a very true and possible faces that the system can have. Studying, competitions and classes formed by the system plays a important role in the people living more than a thousand years later in confician culture apart from right or wrong. The universal value it has did not vanish in today`s society but prospers in perverted forms such as `spoon theory`.

      • KCI등재

        경제적 불평등 인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 사례와 함의

        황선재,계봉오 한국인구학회 2018 한국인구학 Vol.41 No.4

        Along with the substantial increase in inequality of Korea since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the perception of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has also changed. In particular, as economic inequality in income and wealth has been accumulated and structured over time, the objective dimension of inequality is gradually translating into the subjective inequality. Problematizing this movemen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both the level and factors of the perception of economic inequality in Korea, using the Korea Academic Multimode Open Survey for Social Sciences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vel of economic inequality in income and wealth is perceived relatively high in Korea, and the perception is affected by both individual and societ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universal and Korean-society-specific factors. Notably, when the dependent variable is a ‘perception’ variable as in this study, ‘perception’ independent variables show more explanatory power than the variables of objective conditions (e.g., subjective social class), and if the target of the perception is society as in this case, perception variables of the society better explain the dependent variable than the perception variables of individuals (e.g., social trust and evaluation of national economy vs. intragenerational social mobility). Since the perception of inequality contains individual’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the unequal reality,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inequality as well as to the objective indicator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inequality of Korean society.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불평등이 급증하면서, 불평등 수준에 대한 인식 역시 함께변하고 있다. 특히 소득이나 재산과 같은 경제적 영역에서의 불평등이 점차 누적되고 구조화되면서, 객관적인 차원에서의 불평등 변동이 주관적인 불평등 인식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아래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경제적 불평등 수준에 대한 인식과 그 원인을 한국사회과학조사(KAMOS) 자료를 활용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 사회는 소득 및 재산과 같은 경제적인 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수준에는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 보편적인 요인과 한국사회의 특수성이 반영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불평등 인식과 같은 ‘인식’이 종속변수일 경우 객관적인 조건을 나타내는 변수보다 또 다른 ‘인식’ 변수(예: 주관적 계층의식)가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그 인식의 대상이 본 연구에서와 같이 사회일 경우, 개인상황에 대한 인식보다 사회전반에 대한 인식 변수가 보다 더 주요한 설명 요인으로 나타났다(예: 사회적 신뢰 수준 및 국가경제 상황에 대한 평가 vs. 세대내 사회이동 가능성). 불평등에 대한 인식은 불평등한 현실에 대한 개인의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평가가 녹아들어 있다는 점에서, 향후 한국사회의 불평등을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지표 뿐 아니라 주관적인 인식에도 더 많은 관심을기울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1인 가구’ 사회현상에 대한 해부학 : 기독교윤리의 관점

        구미정(Mi-jung Ko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1

        우리 사회가 산업화․도시화의 흐름 속에서 확대가족이 줄고 핵가족이 늘어난 것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부부 없이 자녀끼리만 사는 가구도 많다. 그러나 ‘나 홀로’ 삶을 꾸리는 ‘1인 가구’의 수가 ‘2인 이상 가구’의 수를 넘어선 사실은 한 번쯤 짚어 보아야 할 기현상이다. 언론에 자주 오르내리는 ‘독거노인’ 이야기가 아니다. ‘1인 가구’는 전 연령층에 걸쳐 발견되는데, 특히 20․30세대에서 두드러진다.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 전체의 소비 패턴에도 큰 변화가 일고 있다. 무엇보다 ‘혼밥족’과 ‘혼술족’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이 그 보기다. 그런데 이처럼 20․30세대가 가족을 이루지 않고 혼자 삶을 꾸리는 현상을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으로만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삶을 구성하는 토대가 견고하지 못한, 이른바 ‘액체 근대’의 귀결로서 신자유주의라는 변종 자본주의에 의해 강요된 뒤틀린 삶으로 내몰린 정황이 짙다. 이러한 고민을 담아내며 연구자는 성서의 지혜로부터 인간 존재론의 바탕을 이루는 ‘관계성’에 대한 고찰을 빌려온다. ‘초개인주의’를 강화하는 1인 가구 시대의 해법으로 작게나마 기여하기를 바라면서 말이다. There is nothing new that the nuclear families were increased while the extended families declined in the course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our society. Even a lot of married couples live by themselves without having any baby. However, it is something new that the number of single-member household has been exceeded two-member household as National Statistics Korea made in 2018 showed. A number of single-member households are observed all though age groups, remarkably amongst 20-30 generations. And also, there are huge changes in the consuming patterns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single-member households. Above all things, we can easily notice that ‘the Hon-bap tribe’(those who eat alone) and ‘the Hon-sul tribe’(those who drink alone) are common here and there. Then, is it normal or natural that the young people are living alone without any date or marriage, to say nothing of giving birth? Should we regard this new trend as just free choice of young generations? This article deals with these questions and attempts to answer that this kind of life style is the consequence of ‘liquid modernity’, which carried over ‘hyper-individualism’ under the neoliberal economic order. In this context, the author recalls the ‘relationship’ or ‘living together’ as the basic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from the biblical wisdom hoping to contribute to resolve the problem of hyper-individualistic life style which might be pervaded in single-member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