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프 특성화 고등학교의 조성을 위한 계획 연구 -여주특성화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훈,김혜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Observations of increased developm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ow that vocational specialized high schools started at a number of 1 in 1998 and have increased to 154 in 2008 and after 2012, all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ntegrated as specialized high schools. By establishment type, with vocational specialized high schools, 80 were public schools, making up approximately 60% of all vocation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with alternative schools, 21 were private schools, accounting for an overwhelmingly high number. Along with such chang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environments, interest in sports is also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a preference of golf is continuously increasing within national interest. This study observes the current statuses of golf-specialized high schools, presents programs applicable to golf-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ttempts to observe possibilities from planning aspects for the establishment of golf-specialized high schools. In particular, it observed commercialization methods and planned significance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Yeoju, and approaches are needed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facility plans that take external users into consideration, facility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within schools, and future expandability of additional facilities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design study. 특성화고등학교의 증가추이를 보았을 때 전문계 특성화고는 1998년 1개 학교로 출발하여 2008년 154개로 증가하였으며, 2012년 이후 모든 전문계고가 특성화고로 통합되었다. 설립유형별로는 전문계 특성화고의 경우 국공립이 80여개로 전문계 특성화고의 약 60%를 차지하였고 대안계 특성화고는 사립이 21개 교로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교육환경의 변화 특성과 함께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골프 등에 대한 관심은 국민적 관심속에서 지속적으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골프특성화고등학교의 현황을 살펴보고, 골프특성화고등학교에서 적용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골프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을 위한 계획적 측면에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여주특성화 고등학교의 조성과정을 통해 사업화 방안의 절차와 계획적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외부이용자들까지 고려하는 시설계획과, 학교 내에서의 시설 접근성, 이용성, 그리고 향후 추가적인 시설의 확장 가능성 등을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설계형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이병욱,이상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3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and compare difference of the priority for performance goal of two groups by IPA. Research problems for them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importance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Second,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performance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Third,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priority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teaching staffs recognize the most importantly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ssignment was 'improvement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filed' in area of 'employment competency strengthening'. Second,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teaching staffs recognize the degree of high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ssignment was 'expansion of SMB employment opportunity' in area of ‘employment connection'. Third,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areas of high priority in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mprovement of teaching staff's understanding for SMB' and 'improvement of SMB understanding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area of ‘improvement of SMB mind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현수,유기웅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4

        This study seeks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through analysis of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For this study, 57 papers related to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learning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among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cluding research for subjects, methods, and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 in the field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has been steadily published since 2017.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ere being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lifelong ability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conducted on learners, and among them,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opic, the research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complementar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far more frequent than qualitative research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social suppor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were the most freque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 논문 분석을 통하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였다. 나아가 직업교육 분야 연구의 흐름을 이해하고 탐색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의 해석을 통해 우리나라 직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논문 57편을 대상으로 연구연도, 게재학술지,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관련변인을 분석의 틀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분야의 연구는 2017년부터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능력개발과 직업교육 관련 학술지 등에서 선취업 후진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주로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고 그 가운데 선취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선취업 후진학 정책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는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련 변인 분석 결과로 사회적지지, 개인특성, 기업특성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충청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이상혁,지순덕 대한공업교육학회 200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on the operation activat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and conducted a survey of chief teachers of Practical Art Subject and heads of each subjects in 32 specialized high schools in district about the system reform of vocational high school, promotion of characterization for each subject, modification of curriculum, reinforcement of direction guide, of which results were analyzed. Also, another survey of small and middle businesse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human resources for industrial businesses in Chungcheongbuk-do and specialized abilities required by companies. Through the study, the reform of operation activat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more focus on educating application of a computer and the basic abilities in foreign language at the request of industry. Second, If more than 80%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go to junior colleges or universities,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reform their operation like general high schools. Third,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expand the operation of customized curriculum for neighboring industry to raise employment rate. Fourth, Specialized high schools in Chungcheongbuk-do should reform their courses which can provide students with fundamental knowledge to work in industry related to BT and IT, as Osong medical complex and Ochang IT industrial complex are expanding gradually. Fifth, Employees in companies should be applied as guest teachers, and the principal should have a right to autonomy to operate their own curriculum. Sixth, 5 years rotation system for public schools should be revised to more than 10 years rotation system for special subjec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erefore, teachers will have ownership of the school by the revised system. 이 연구는 충청북도 내 전문계 고등학교의 제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내 기업체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내 32개 전문계 고등학교 실과부장과 학과장을 대상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학과 특성화 추진, 교사 교육, 교육과정 개편, 진로 지도 강화 방안 등에 대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충청북도 내 산업체의 인력 수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업 능력 조사를 위하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이 연구를 통하여 충청북도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산업체의 요구에 따라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은 외국어 기초 능력과 컴퓨터 활용 능력에 더욱 치중하여 교육해야 한다.둘째, 인근 산업체와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더욱 확대 실시하여 취업률을 향상시 켜야한다.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생 중 80% 이상이 2년제와 4년제 대학에 진학할 경우 전문계 고등학교를 일반계 고등학교로 개편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네째, 오송 의료 단지와 오창 IT 공업 단지의 확장에 대비하여 BT, IT 관련 산업체에서 일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갖출 수 있는 학과로 개편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산업체 직원을 초빙 교사로 활용하고 학교장에게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권을 주어야 한다.여섯째, 공립학교 5년제 교사 순환 근무제를 전문계 고등학교 특성화학과에서는 10년 이상 근무로 바꾸어 그 학교의 주인 의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나승일,김기용,문세연,민상기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To achieve the purpose, the persons concerned with five government ministries such a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mall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ne hundred six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in cities and provinces were invited in conferences and workshops, interviewed, and surveyed. These results were synthesized to develop model and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and were verified by the panels of expert committee. First, in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 some specific plans need to be re-established according to the launch of new administration. And, MOU should be performed, interaction among government ministries, education office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to be strengthened, and each ministry and school should be specialized their program. Second, the major needs were; to design for enhanc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is program; to differentiate each ministry's specialized domain for developing the customized human resources; to develop and perform the specialized program in each school; and to grant greater autonomy to each school. Third, thirty thre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were identified in management systems, specialized directions, and specialized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teachers, students, finances, equipments and instruments,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Forth, suggestions for realizing the these strategies were presente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eed to play a role as a mediator and supporter the institutions or persons who participate this program; education offices in cities and provinces need to strengthe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nd all of member in each schools should be endeavor to gain expected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육성 사업에 참여하는 5개 지원 부처(국방부, 농림수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중소기업청, 특허청)와 지원 대상 특성화고 106개교, 시도교육청 관계자를 대상으로 부처협의회, 워크숍,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활성화 모형 및 과제를 개발하고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을 검토받았다. 첫째,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육성 사업에 대한 추진성과와 문제점 분석 결과, 체결한 MOU를 준수하고, 사업주체간 교류를 강화하며, 특성화 분야와 프로그램을 차별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운영 활성화를 위한 주된 요구사항으로는 사업운영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정부부처별로 특성화 분야별 인력양성을 강화하고, 단위학교에서는 차별화된 특성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할 것이 요구되었다. 이 외에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재정운영 등에 대한 자율성을 강화하고, 지원 부처와 시도교육청에서 교원, 산학협력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줄 것이 요구되었다. 셋째, 운영 활성화를 위하여 사업운영 체계, 특성화 방향, 특성화 교육영역(교육과정, 교원, 학생, 재정, 시설/기자재, 산학협력)의 활성화 영역별로 2~5개씩 총 33개 추진과제가 도출되었으며, 사업주체인 정부부처, 지원 대상 특성화고 및 시도교육청의 추진과제가 도출되었다. 넷째, 활성화 추진을 위한 제언으로 교육과학기술부는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조정 및 행정적 지원 역할을 수행하고, 지원 부처에서는 효과적인 사업운영을 위한 체계를 마련하며, 시도교육청에서는 관련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지원 대상 특성화고에서는 모든 교직원이 합심하여 성과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특수학교 고교학점제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조사

        조영희,문현미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7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verall perception and needs of special school teachers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pecial schools. Additionally,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head teachers of curriculum and the teachers ahead of the applic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83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ross the country on the perception of the main contents and operation dire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well as the expected difficulties and necessary supports when introduc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schools. As a result, special education teachers noted that they had a moderate understanding of the mai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le the head teach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understanding than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schools, special teachers recognized that differentiated guidelines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perated by special schools, a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development of elective subject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upport for course registration, and safety issues when operating elective curriculum and joint curriculum; the head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se issues than teachers. Last,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schools, special teachers needed close support from schools, the Education offic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le the head teachers had higher demands for support than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pecial school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SWOT 기법을 활용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 사례 연구

        장민수,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restructure ◌◌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strategy using SWOT technique in order to meet change industrial need. At the time of this study, the existing curriculum of the ◌◌ Specialized High School has not met the demand of the manpower needed by the industry. To let ◌◌ Specialized High School to find its identify as a specialized high school for engineering and expect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in the long term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curriculum, we first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of ◌◌ Specialized High School. Secondly, we conducted a survey and an interview about the school employees and the parents on the restructuring of ◌◌ Specialized High School’s curriculum and the renaming of the courses,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deduced the utilization strategy based on SWO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o be more beneficial for ◌◌ Specialized High School to focus on the restructuring of curriculum that can improve the courses’ specialty and awareness by renaming the courses rather than to completely restructure the current curriculum. In conclusion,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 small school, it is desirable to be transformed into a characteristic ◌◌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provides the specialized curriculum of industrial departments to education demanders,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as an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through the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between departments. 이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지역의 산업수요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SWOT 기법을 활용한 전략을 바탕으로 ◌◌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진행 시점에서 ◌◌ 특성화고등학교의 기존의 교육과정은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 특성화 고등학교가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특성화고등학교로서의 정체성을 찾고 장기적 으로 학교의 발전을 기대하기 위해서 첫째, ◌◌ 특성화고등학교의 운영 실태 와 현황을 분석했고, 둘째, ◌◌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편과 학과명 변 경에 대해 교직원들과 학부모에 대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를 SWOT 기법에 의한 활용 전략으로 추론하였다. 연구 결과, ◌◌ 특성화고등 학교는 현행 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개편하기보다는 학과명을 변경하여 학과의 전문성과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개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소규모의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교육 수요자들이 바라는 공업계열 의 특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학과 간 교육과정의 개편을 통해 ◌◌ 특성화 고등학교가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 차이 분석

        김민웅,조한진,위선복,김태훈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in the students of the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he goals of this stud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follows. Firstly,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in the student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is to be analyzed. Secondly,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in the students of the Meister high school is to be analyzed. Thirdly, th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in the student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he Meister high school are to b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found to have an entity theory propensity for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d an incremental theory propensity for creativity and exercise.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depending on the career planning, sex, and the grades in school. Secondly, the students in the Meister high school were found to have an incremental theory propensity in every area.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depending on the career planning, sex, and the grades in school, like the above mentioned case of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school. Thirdly,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of the implicit theory of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howed a significant results in all the areas of creativity, intelligence, exercise, and personality and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found to have an entity theory propensity compared to the ones in the Meister high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을 분석한다. 둘째,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을 분석한다. 셋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 차이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선행 연구 고찰 및 내용 타당도 검증, 요인 분석, 신뢰도 검사를 이용하여 설문 도구 제작을 실시하였다. 이후 완성된 설문 도구를 활용하여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각각 500명의 학생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 응답 및 미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뒤 최종적으로 특성화고 402부, 마이스터고 38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의 경우 지능과 성격에 대해서는 고정 이론 성향을 갖고 있으며, 창의성과 운동에 대해서는 증진 이론 성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의 배경 변인별 암묵적 이론 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 계획 유무, 성별, 성적에 따라 암묵적 이론 성향에서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마이스터고 학생의 경우 모든 영역에서 증진 이론 성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과 마찬가지로 배경 변인별 암묵적 이론 성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 계획 유무, 성적에 따라 암묵적 이론 성향에서의 차이를 보였다. 셋째,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암묵적 이론 성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창의성, 지능, 운동, 성격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마이스터고 학생에 비해 특성화고 학생이 고정 이론 성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미치는 영향

        변수용(Byun, Soo-yong),정희진(Chung, Hee Jin),정진리(Jung, Jilli)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사립초 졸업생들은 공립초 졸업생들과 비교하여 가정배경, 학생 특성, 출신 중학교 소재지를 통제한 후에도 다른 고교 유형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출신 중학교 설립 유형을 추가로 통제하였을 때 사립초 졸업생들은 공립초 졸업생들과 비교하여 특성화고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이 여전히 높았지만, 일반고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립초 졸업 여부와 일반고 대비 특목고/자사고 진학과의 연관성이 출신 중학교 설립 유형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추가 분석을 통해 사립초 졸업생 가운데 다수가 특목고/자사고 진학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사립중에 진학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등교육 이전 단계에 있어 교육 기회의 질적 불평등 현상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Drawing on the six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on the probability of entering elite high schools, namely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were more likely to enter elite high schools relative to other types of high school,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attending public elementary schools, even after controlling for family backgrou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he location of middle schools attended. However, once the type of middle school attended by the students was controlled for, the difference in the likelihood of attending elite high schools relative to general high schools between private vs. public elementary school graduates was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and the likelihood of attending elite high schools could be explained by the type of middle schools attended. In fact, our supplementary analysis indicated that a great number of private elementary school graduates entered private middle schools which maintain good admission results to elite high school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 relation to the qualitative inequality of opportunity prior to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수학급 운영실태 비교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안지훈 ( Ji Hoon Ahn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정의 특수교육을 의무교육으로 명시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실시를 앞두고 예상되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양적인 발전을 고려하여 고등학교특수학급의 질적인 발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수학급 운영실태를 비교하고자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설치되어 있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일반계 고등학교 12개교 12학급, 실업계 고등학교 16개교 22학급) 담당교사 34명 전체였다. 설문지는 기초사항 9문항과 특수학급 운영실태관련 32문항(편성 및 운영 9문항, 행정 및 재정 11문항, 진로교육 12문항)의 총 41문항으로 구성되었고 34부가 배부되었으며 그 가운데 30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88.2%).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분명한 2부를 제외한 총 28부가 최종연구자료로 사용되었는데 연구자료는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순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편성 및 운영, 행정 및 재정, 진로교육별로 일반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 특수학급 운영실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특수학급의 편성 및 운영, 행정 및 재정, 진로교육의 순으로 논의하였고 이러한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o doth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4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general high schools or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area of Gwangju and Jeonnam(12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12 general high schools; 22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16 vocational high schools). Thirty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to answer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①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urriculum and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②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dministration and finance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③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order of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and some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