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 동독 사회정책의 이념과 실제

        김상철 ( Sang Cheol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6 질서경제저널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formation of ideology and historical evolution of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in connection with the unification of Germany.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ollapse of the DDR and social policy. This study speculates the following questions: in former East Germany, what had been the basic philosophy of social policy?; how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had been changed by the time of the Soviet occupation in the critical period until the fall of the Berlin Wall?;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ormer East German social policy?;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ideology and practice of social policy?; what are impact of, the fall of former East Germany on social policies?; are there any possibilities to get lessons from the DDR experiences for designing social policies i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near future? This research shows that former East Germany appeared to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as no concept of a consistent form of social policy until 1989. Second, social policies of the DDR are much more comprehensive than the field of social policy of West Germany. Third, special difference between East Germany and other countries in social policies is that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is mainly done in within the enterprise level. Fourth, in formal East Germany it was established centralized single social insurance system. Autonomous executive power of formal social insurance has been destroyed, the administration of social insurance has been in charge of Free German Trade Union Federation (FDGB). Fifth, DDR was attempting to expand social policy since 1971. The result of excessive state intervention not based on the economic pow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llapse of the DDR.

      • KCI등재

        크로아티아 ‘정치체제 전환’의 의미와 교육의 변화에 미친 영향

        김상헌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4 국제문화연구 Vol.17 No.1

        Yugoslavia’s breakup in 1991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seven independent states in the southeastern Balkans, encompassing most of Yugoslavia's territory: Slovenia, Croatia, Bosnia-Herzegovina, Serbia, Kosovo, Montenegro, and North Macedonia. This marks the end of a period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nge for the country, which was initially established in 1918 as the Kingdom of Serbia, Croatia, and Slovenia, and was home to many different peoples, ethnic groups, regions, and cultures. As you may have noticed, the country's short history has witnessed dramatic political changes, resulting in several official names: the "Kingdom of Serbia, Croatia, and Slovenia," the "Kingdom of Yugoslavia," the "Federal People's Republic of Yugoslavia," and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Political, economic, religious, cultural, and notably, interstate divisions deepened in the 1980s, to the extent that countries founded on the principle of autonomy as republics (Bosnia and Herzegovina, Montenegro, Croatia, Macedonia, Slovenia, and Serbia) and autonomous provinces (Vojvodina, Kosovo) under the 1974 federal constitution were unable to prevent their collapse. This paper first examines how the Kingdom of Yugoslavia, established after 1918 to unite the South Slavic peoples, endured for more than 50 years as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adopting a socialist system after World War II, and analyzes the education system it upheld along with its characteristics until its dissolution in 1991, following the declarations of independence by the Republic of Slovenia and the Republic of Croatia. It further investigates the changes in content and educational system in Croatia, which transitioned to a democratic system after declaring independence in June 1991. The distinctions between education under the socialist system, characterized by monism, and education under the democratic system, characterized by pluralism, are clearly evident in Croatia.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Croatian government's focus on "establishing Croatian national identity," "developing Croatian historical awareness," and "preserving Croatian cultural heritage" as a framework for education policy.

      • KCI등재

        이론과 현실의 주객전도 바로잡기

        이성용(Lee, Sung Yo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5 사회와 이론 Vol.26 No.-

        한국 사회과학의 식민성은 그 연구에서 연구대상이자 목표인 한국 사회가 빠져 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서구 이론을 목표로 한국(비서구) 현실을 도구나 수단으로 간주해 왔던 한국 사회과학자들의 잘못된 관행에서 비롯된다. 학문의 식민성은 일상생활의 식민성으로 확산된다. 즉 우리 국민은 일상생활에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어, 우리 삶의 방식에 대한 자부심과 정체성을 상실하게 된다. 식민성의 해결책은 현실을 주(主)로 사회이론은 객(客)으로 바꾸는 것이다. 주객전도는 한국과 비서구 사회의 내재된 구조를 발견하는 일차 작업이다. 비서구 사회의 내재된 구조를 발견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정상과학인 서구 이론이 해결하지 못하는 비정상을 찾아야 한다. 그 비정상은 학문형 비정상과 정책형 비정상이다. 학문형 비정상은 서구 이론에서는 비합리적이지만 비서구 사회의 현실에서는 합리적인 것이다. 정책형 비정상은 서구 이론에서는 합리적이지만 비서구 사회에서는 비합리적인 것이다. 학문형 비정상과 정책형 비정상의 내재된 구조는 비서구 사회의 개인들을 능동적인 행위 주체자로 간주하고, 그들이 학문형 비정상 혹은 정책형 비정상으로 간주되는 특정 행위로부터 받는 혜택 혹은 비용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발견할 수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사회과학 연구는 비서구인에게 자신의 전통적인 삶의 방식에 자부심과 정체성을 갖게 하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바나나 지식인들로 인해 큰 위험을 맞이할 수 있는데, 그런 위험은 현장에 근거한 내용의 글쓰기를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 KCI등재

        독립 이후, 카자흐스탄의 의료민영화 추진 과정과 향후 과제

        김태경,이지은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4 슬라브연구 Vol.40 No.1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5년 12월에 ‘2016-2020 종합 민영화 계획’, 2020년 12월에는 ‘2021-2025 종합 민영화 계획’에 대한 정부결의안을 채택하며, ‘민영화’ 추진에 대한 카자흐 정부의 의지를 표명했다. 실제로 카자흐스탄은 2016년부터 국가의 재정 건전성 강화를 위해 정부의 재산을 매각하는 방식 등으로민영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사실 카자흐스탄의 민영화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에너지⋅통신⋅언론 등의 분야에서 민영화가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된 것에 비해, ‘보건⋅의료’는 분야의특수성으로 인해 다소 제한적인 민영화가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2000년대 이후부터는 민영화보다는 정부 주도로 열악했던 보건⋅의료 인프라 개선을 위한 다양한 개혁⋅발전정책이 추진되었다. 하지만 세계 경제위기(2008) 이후,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며 전반적인 국가 재정 상황이 악화하자, 카자흐 정부는 보건 재정 건전성 강화를 위한 방안을 찾기 시작했고, 2010년대 중반부터는 ‘보건ㆍ의료’의민영화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를 주도한 것은 당시 보건부 장관이었던 비르타노프(Birtanov)였는데, 그의 재임 시(2017.1–2020.6) 총 9개의 국영 보건ㆍ의료 관련 기관이 민영화되었다. 하지만 2020년6월 비르타노프가 경질되고,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최근의 보건ㆍ의료 민영화 속도는 다소 늦춰지는모양새다. 더욱이 2023년 2월, 자마이바예프(Jamaibayev) 재무부 장관은 ‘사회적 대상’이란 단어를 사용하며, ‘사회적 대상’에 포함되면 민영화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공식 발표했다. ‘보건ㆍ의료’는 민심과 국가통치력에 직결되는 부분이기에 나자르바예프(Nazarbaev)의 영향력을 약화하려 하는 토카예프(Tokaev)로서는 민심 이반이 우려되는 보건ㆍ의료의 급속한 민영화가 부담될 법하다. 따라서 향후 보건ㆍ의료 분야는민영화 대상에서 축소 또는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향후 카자흐스탄 ‘보건ㆍ의료’ 민영화 정책의 추이를 유의 깊게 살펴보며, 전반적 보건ㆍ의료 정책의 변동 및 발전 방향 등에 관한 연구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The Kazakh government adopted “a resolution on the Comprehensive Privatization Plan for 2016-2020” in December 2015 and “another resolution on the Comprehensive Privatization Plan for 2021-2025” in December 2020. These resolutions demonstrate the Kazakh government’s commitment to privatization efforts, and Kazakhstan has in fact been pursuing privatization since 2016, primarily by selling government assets to strengthen the country’s fiscal health. Privatization in Kazakhstan began in the 1990s, immediately after gaining independence. However, while privatization has progressed relatively briskly in sectors such as energy, telecommunications, and media, the healthcare and medical sector has seen somewhat limited privatiz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field. In the case of this sector, various reforms and development policies to improve inadequate healthcare and medical infrastructure have been pursued under the Kazakh government’s lead rather than through privatization since the 2000s. However, following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and the subsequent decline in economic growth rates, along with the overall worsening of national fiscal conditions, the Kazakh government began seeking measures to ensure the fiscal soundness of the healthcare sector. From the mid-2010s, they actively pursued the privatization of healthcare and medical sector. This was spearheaded by Birtanov, then Minister of Health, during his tenure from January 2017 to June 2020, during which a total of nine state-run healthcare and medical institutions were privatized. However, with Birtanov’s replacement in June 2020 and the challenges posed by the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