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인 디아스포라와 자기 인식의 문제: 상호문화철학과 아우구스티누스를 중심으로

        한병옥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한인 디아스포라와 자기 인식의 문제:상호문화철학과 아우구스티누스를 중심으로한 병 옥* 연구 목적: 이 글의 목적은 한국으로 이주한 ‘한인 디아스포라’가 겪고 있는 차별과 배제의 양상에 주목하여 이들이 겪게 되는 여러 가지 고통과 어려움의 원인이라 할 수 있는 ‘한국중심주의’의 문제를 상호문화철학의 ‘중심주의 비판’과 연결해서 살펴보는 것에 있다. 연구 방법: 이와 함께 아우구스티누스가 자신의 저서인 삼위일체론 9권에서 설명하는 ‘자기 인식’의 내용과 관련해서 한국인과 한인 디아스포라 사이의 바람직한 관계는 어떠한 것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이러한 연구를 위해 다음의 내용을 다룰 것이다. 상호문화철학에서 비판하는 ‘중심주의’의 4가지 유형에 대한 설명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들 에 등장하는 실체와 우유의 구별, 그리고 삼위일체론 에 등장하는 ‘관계적 언표’와 ‘자기 인식’의 개념을 이해한다. 결론 및 제언: 이렇게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한인 디아스포라가 겪게 되는 갈등과 어려움의 문제를 환기시키기 위한 작은 노력의 일환이며, 한국인과 한인 디아스포라 사이의 관계 개선을 통해 서로가 소통하는 공존의 미래를 맞이하기 위함이다. 핵심어: 관계적 언표, 아우구스티누스, 자기 인식, 중심주의, 한인 디아스포라 □ 접수일: 2022년 6월 17일, 수정일: 2022년 7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부산대학교 철학과 강사(Lecturer, Pusan National Univ., Email: tlstlf@nate.com) Korean Diaspora and Self-awareness:Focused on Intercultural Philosophy and AugustineByungok H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y attention to th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experienced by ‘the Korean diaspora’ who moved to Korea and to examine the causes of various pain and difficulties, ‘Korean centrism,’ in connection with ‘the criticism of centrism’ in an Intercultural philosophy. In addition, I will be concerned with the better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Korean diaspora in relation to the ‘self-awareness’ in book 9 of The Trinity.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will be discussed: the four types of ‘centrism’ in an Intercultural philosophy, substance and accident in the Aristotelian categories, and ‘relational predication’ and ‘self-awareness’ in the Trinity. Above all, This is to evoke the problems of conflict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Korean diaspora, and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of coexistence with each other. Key Words: Relational Predication, Augustine, Self-awareness, Centrism, Korean Diaspora

      • KCI등재후보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 -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무신론’을 다시 보며 -

        정재현 한국실천신학회 2007 신학과 실천 Vol.0 No.12

        본 연구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변혁을 위한 신학적 성찰을 목적으로 한다. 신학적 성찰의 길은 물론 다양하겠지만 현실적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으로 나타나는 종교적 정서와 심성 등에 특별히 주목하여 문제를 접근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신 관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우상화의 성향, 그리고 신자들의 자기중심주의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진단하고 처방을 모색한다. 그런데 우상주의와 자기중심주의라는 문제는 주-객 관계를 기틀로 하는 신-인 관계의 왜곡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임의의 선택이 아닌 것은 물론이지만 서로 얽혀 문제를 더욱 증폭시키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이 한국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정서에서 과도할 정도로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 특히 현대 서구의 ‘무신론’적 통찰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대 서구 무신론이야말로 우리나라에서 집약적으로 재현되고 있기도 한 서구 고전시대를 지배했던 신중심주의와 이에 뿌리를 둔 우상주의 뿐 아니라 근세에 이르러 절정에 이 르렀던 인간의 자기중심주의 대한 철저한 반동과 처절한 반성에서 터져 나온 시대의 예언적 외침이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현대 무신론은 신의 존재 여부를 논하는 형이상학적 담론이 아니라 비판적 성찰을 담은 예언자적 외침으로서의 뜻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무신론적 종교 비판은 먼저 신에 대한 관념을 신의 실재로 간주하는 오류로 인하여 환상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곧 허상일 수밖에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붙잡으려하니 우상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철저하게 드러낸다. 아울러 인간중심주의의 경우 구체적으로 종교인에게서 일어나는 자기절대화의 욕망이 종교적 가르침의 핵심인 자기 비움과 정면으로 모순일 수밖에 없다는 점도 폭로한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오히려 그리스도교에 대해 참 삶과 믿음을 위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며 나아가 이를 통해 종교 자체의 변혁을 위한 통찰의 지혜도 제시한다. 따라서 종교에 대한 무신론적 비판은 우상주의와 자기중심주의의 얽힘으로 인해 신앙을 삶과 동떨어진 주술로 전락시켜 온 한국 그리스도교의 자기정화를 위한 하나의 소중한 지침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ologically upon the reality of Christianity in Korea for its desirable transformat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ways of such effort, it tries to place its focus on the religious ethos and mentality represented by the modes of thinking and living. More concretely,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tendency of idolatry in the general concept of God and the problem of self-centrism easily founded among the majority of believers. 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two problems are not of arbitrary choice but closely interwoven with each other in such a way as to deteriorate the situation more seriously. And there is no denying that this phenomenon has arisen to an excessive degree in the religious mentality of Christianity in Korea.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and prognosis of the problems as such, this study adopts the so-called 'atheism' developed in the contemporary Western thinking. For contemporary atheism appears as one of the major prophetic critiques against the theocentric idolatry which characterized the classical periods of Western society on the one hand, and against the self-centrism of human being which arrived its peak in the modern period on the other hand. And it is another good reason to bring atheism to the foreground that those problematic tendencies have developed prevalently in Korean Christianity. In other words, the contemporary atheism is not so much metaphysical discourse which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existence of God as the timely prophecy of critical reflection upon popular religious consciousness. Atheistic criticism explores that religion cannot but fall into idolatry because believers are easily apt to confuse the concept of God with the reality of God. On the other hand, it also reveals that the believers' desire of self-absolutization in the name of truth cannot but contradict the Christian core teaching of self-emptying. By doing so, the contemporary atheism provides the significant motives of 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for the genuine life and faith with regard to the Christianity in Korea, which has been degenerated by idolatry and self-centrism.

      • KCI등재

        김정은 시대 소설에 반영된 농업 및 과학기술 정책과 변화된 일상 -「목화솜이불」, 「버드나무 설레이는 땅」 등을 중심으로

        오삼언 북한연구학회 2018 北韓硏究學會報 Vol.22 No.2

        Novels representing policies on agriculture and science technology lively describes the political will of North Korea and changed life in local community. In “Cotton-stuffed Comforter” (2015), the various conflicts and circumstances are well identified in which people tend to prioritize small-group or individual Garden than the agricultural land designated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after launching Garden Production Responsibility System. While the literatures of early and mid 2000s focused more on issues related to socialization and equalization, nowadays, it i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individualism in accordance with merit system. Although the individual gardens existed in early and mid 2000s also, the individual gardens of those days contained positive meaning, in which could raise the awareness and enthusiasm to get rid of socialism and equalization. In contrast, the individual gardens of today represent individualism which is thought to be negative in the society. “See the Love” (2015) and “Jang Pung Duk” (2015) embodied the images of exemplary and devoted leader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who are competent but not soaked into individualism. Techno-centrism and related polices are the standard of sorting patriotism and individualism, as well as criteria for work evaluation in “Night Train” (2016). The corruptions in North Korea are concretely pointed out while connecting the science technology to patriotism through the directive speech of Kim Jong-il. The changed life of member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can also be perceived in “Green Willow, The Land of Hope” (2017), including taking exams on science technology and being expected to develop technology on their own. Through “Strengthen the Self” (2017) and other related literatures, the equation, “Patriotism = Self-reliance = Techno-centrism”, can be observed. The plot is remarkable that the characters neglecting technology are not just from old generation, but it also includes government officials. Furthermore, the interconnection among Techno-centrism, Kim Jong-il Patriotism, and Self-reliance ideology is also shown. 김정은 시대 농업 및 과학기술 정책이 반영된 소설에서는 북한 당국의 정책의지와 함께 주민 일상의 변화 또한 생생하게 드러나고 있다. 「목화솜이불」(2015)에서는 포전담당제 실시 등으로 분조밭보다 포전이나 개인의 텃밭을 더 중시하는 풍조가 생겼으며 이를 둘러싸고 다양한 갈등과 상황이 벌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00년대 초중반 작품들이 사회주의평균주의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졌다면 이제는 능력주의에 따른 개인주의, 이기주의 측면에 더 주목하고 있다. 개인의 텃밭을 두고서도 2000년대 초중반에는 사회주의평균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자각과 열정을 불러오는 긍정적인 공간으로 형상화됐으나 2015년 현재 개인의 텃밭은 이기주의가 표출되는 부정적인 공간으로 대조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모범적이고 헌신적인 분조장을 형상화하는 데서도 실력과 동시에 개인주의에 젖지 않는 인물을 꼽고 있다는 것을 「사랑을 보다」(2015), 「장풍덕」(2015)에서 보여주고 있다. 과학기술중시 사상과 정책은 애국심과 이기심을 가르는 잣대이자 활동평가의 기준으로 나타난다. 「야전렬차」(2016)에서는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직접적인 발언을 통해 북한에서 일어난 부정부패 현상을 구체적으로 지목하며 과학기술과 애국심을 연결시킨다. 분조원들이 과학기술시험을 치르고 자체 과학기술개발을 요구받는 등 일상에서 변화 또한 「버드나무 설레이는 땅」(2017)을 통해 감지된다. 「자기를 강하게 하라」(2017) 등의 작품을 통해서는‘애국심=자력갱생=과학기술중시’라는 등식을 재확인할 수 있다. 과학기술을 소홀히 여기는 인물로 구세대만이 아니라 관료까지 등치시키는 설정은 주목되는 점이다. 더불어 과학기술중시 사상이 김정일애국주의, 자강력제일주의와 함께 형상화되면서 맞물리는 맥락도 보여주고 있다.

      • 중국의 동아시아공동체론

        이철승(Lee Cheol-Seung)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5

        중국의 사상계는 1990년대에 조성된 ‘중국학열’의 중심으로 자리 매김한 ‘유학열’이 확대되는 가운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일부 학자들에 의해 유가윤리를 토대로 하는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논의는 신자유주의의 이념이 드러내는 문제를 지적하는 면에서 의의가 있을 수 있지만, 신자유주의의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안이 되기에 제한적이다. 즉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관한 논의는 그 자체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첫째, 본래적으로 순수하게 선한 선험적 도덕성을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실 사회에 투영시키고자 하는 이 논의가 특정 지역의 이익문제와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리적인 정합성의 문제가 나타난다. 둘째, 이 논의는 동아시아 각국들 사이와 동아시아 각국의 내부에 상존하고 있는 다양한 사상과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온갖 갈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이 결여되어 있다. 셋째, 이 논의는 그것을 추구하는 동아시아 각국 사람들의 자민족중심주의가 빚어내는 문화패권주의적인 경향으로 흐를 개연성이 있다. 넷째, 이 논의는 이른바 동아시아문명과 서구문명에 대해 경직된 자세로 접근함으로써 지구촌 내의 다양한 문명이 상호 교류하여 새롭게 형성한 공통의 공속의식과 유기적으로 조응하는 면에 제한적이다. 이 글은 기존의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관한 논의를 분석함과 아울러 그 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논의가 필요함을 제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revealed in the Confucianism Boom of the academic circle of modern Chinese thought,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discussion, and then present a necessity of a new way to discuss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academic circle of modern Chinese thought, the ‘Confucianism Boom’ as the center of ‘Chinese Studies Boom’ which started in the 1990s has increased its influence, and, in the early 21st century, some scholars get down to the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based on the Confucian Ethics. Such discussion can be regarded as significant in that it successfully challenges the ideological problems of the neoliberal. However, it is too limited to make a comprehensive alternative for the neoliberal. Namely, the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contains the following problems in it. Firstly, there is a problem of logical suitability, which questions how the discussion intending to reflect the pure good a priori morality to the dynamically changing society can be organically linked with the interest of a specific region. Secondly, the discussion lacks concrete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conflict stemming from the differences in thoughts and value systems among the countrie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and even those in each country. Thirdly, the discussion is likely to develop into the cultural hegemonism caused by the self-culture centralism of the people in the East Asian countries. Lastly, the discussion deals with the civilizations of the East Asia and the West in such a strict attitude that it may prevent the diverse cultures in the global world from organically corresponding with common consciousness developed by the mutual exchanges among the countries.

      • KCI등재

        미국 기행가사 〈海遊歌〉에 나타난 자아인식과 타자인식 고찰

        최현재(Choi Hyunjai) 한국언어문학회 2006 한국언어문학 Vol.58 No.-

        Haeyuga is a long travel gasa about the United States that was written by Kim Hanhong (1877-1943) upon his return from a trip to the United States via Japan from 1903 to 1908.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uthor"s perception of the self and the other as seen in this work, and to study the meaning of these perceptions in detail as they rel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s a result of this study of Haeyuga, it was discovered that the author did not undertake this trip to the United States out of a simple curiosity about the customs of a foreign land or to solve economic problems. That is, his goal in visiting the United States was to learn the advanced culture and new scholarship of a foreign nation and thus contribute to his nation"s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the struggle for survival that marke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ith this goal in mind he stayed in Hawaii and San Francisco in the United States for six years, and the advanced culture, institutions, laws, and customs of the United States that he observed during that time were given form in Haeyuga. The perceptions of the self and the other in this work are somewhat biased.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ere he spent six years, he depicted the country as an enchanted land and showed himself as actively assimilating modern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he exhibited a Western-centered point of view when looking on his own nation, which had been robbed of its sovereignty by Japan; unable to see through the exploitation and plotting of the Japanese imperialists, he laid the blame for the nation"s state at the feet of the Korean people, whom he claimed were incompetent. Ultimately, we can locate this point of view with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which was actively adopted by intellectual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is theory states that the weak must become the strong by whatever means necessary in order to protect and preserve themselves, and the way to becoming strong is by becoming civilized. This is the thinking presented in Haeyuga.

      • KCI등재
      • KCI등재

        유형원 연구의 시각과 『반계수록』 읽기의 방향

        송양섭 한국실학학회 2022 한국실학연구 Vol.- No.43

        Studies on Yu Hyeongwon, started with the discovery of Silhak, the Practical Learning amid the discourse of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re showing unconformity with other fields of history, where many products of historical research are accumulated. This tells us that we need new inspirations and concerns for the study on Yu Hyeongwon, which was exclusive to Practical Learning. Moreover, the discourse of Practical Learning is hard to avoid the criticism that it was modeled after the ‘Western Modern’ as the skin of universality and similar elements were extracted selectively to support this, not to mention that the historiography has had the same problem of dividing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based on ‘Modern’. The contents of Bangye Surok have a complex characteristic that cannot be judged as a property of a certain school of thoughts, and this was the factor why the statecraft of Yu Hyeongwon earned support regardless of region and political party. The reformations suggested by Yu Hyeongwon are inseparable from philosophical theory on the nature of humanity. Originally, the reason for Neo-Confucianism in the Song dynasty to concentrate on metaphysical matters was to prepare for establishing a new social order, and the ultimate goal of the Song Neo-Confucianism was to build a moral society based on social reform. The fact that Yu Hyeongwon articulated his idea on vast reformation on the state and society based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rinciple-Material-Mind-Nature (理氣心性) influenced by Toegye school shows that the statecraft of Bangye Surok needs to be understood on the basis of Neo-Confucian ideal structure centered on the ideas of Cultivating one’s Self and Governing the Others (修己治人) and Internally being the Saint and Externally being the Sovereign (內聖外王). Yu dreamt the ideal of Three Dynasties of Ancient China and explored the theories of Song dynasty Neo-Confucian scholars. By doing so, he analyzed and criticized the reality of Joseon, and attempted to renew the system of the state. This was the evidence that Neo-Confucianism in Joseon, as an independent idea abundant with its unique placeness and historicity, was entering a new phase, where they criticized the social realities and sought a new state system, beyond arguing abstract and speculative philosophy. The reformations in Bangye Surok were modeled after the initial system of Joseon and were designed to amend and supplement the system of the time. Other than the Public Land System, which strongly showed the ideal form, there is no reason to judge that Bangye oriented for the ‘foundational reformation’ denying the dynastic system. Therefore, when reading Bangye Surok, the foremost point of clarification is the strict understanding on the reality which Yu Hyeongwon lived in, and the contemporaneity of the idea regulated in his writings. Most of all, Yu’s academic involvement in his reality has nothing to do but have its significance and historicity in the unique context of time and space in the 17th century. What is most important is to reconstruct its own grammar without harming the general context, by accepting the texts of Bangye Surok without any bias. The ‘perspective from the inside’ starts from admitting and restoring the inner logics of Bangye Surok from the perspective of Yu Hyeongwon, excluding any prejudice and modern contemporary view. When the inner structure and grammar of Bangye Surok meet the eyes from the outside, the substance with the historicity reveals itself. That is, it is the work to read Yu Hyeongwon in his time through his eyes. Since Yu Hyeongwon reviewed and evaluated vast systems of all times in China and Joseon Korea reflecting the ideal of the ‘Ancien Régime’, his design has multi-layered substances and a possibility of multiple interpretations. Thus, I think that when we understand his reformation, we ought to consider th... 해방 이후 진행된 내재적 발전론의 흐름에서 실학의 발견과 함께 본격화한 유형원에 대한 연구는 최근 조선후기사 분야별 성과의 축적으로 여타 부문사와 심각한 부정합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실학 일변도로 진행되어 온 유형원 연구에 새로운 고민과 발상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거니와 실학의 담론이 보편의 외피로 서구의 근대를 모델로 삼아 이와 유사한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斷章取義의 방식으로 서사를 구성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힘들다. ‘근대’를 기준으로 조선후기 사상계를 보수와 진보로 가르는 방식도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반계수록』의 내용은 특정 학파의 전유물로 단정하기 힘든 복합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유형원의 경세론이 지역과 당색을 불문하고 많은 지식인들에게 공감을 얻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유형원의 개혁론은 철학적 심성론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원래 송대 성리학이 형이상학적 문제에 집중했던 것도 새로운 사회질서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이들의 궁극적 목적은 사회개혁을 통한 도덕사회의 건설이었다. 유형원이 퇴계학파의 세례를 받은 이기심성론적 철학적 토대 위에 국가·사회에 대한 방대한 개혁론을 펼쳐내고 있는 것은 『반계수록』의 경세론이 修己治人·內聖外王의 성리학적 사상체계에서 파악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유형원은 보편문명으로서 삼대의 이상을 꿈꾸면서 송대 성리학자들에 대한 탐구를 통해 조선의 현실을 분석·비판하고 새롭게 국가체제를 쇄신하고자 했다. 바로 조선의 성리학이 특유의 장소성과 역사성을 풍부하게 담아낸 독자적인 사상으로 추상적·사변적 철학을 논구하는 차원을 넘어 사회현실을 비판하고 새로운 국가체제를 모색하는 단계로 새롭게 진입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좌였다. 『반계수록』의 개혁안은 국초의 제도를 모델로 철저하게 당대의 제도를 수정·보완하는 차원에서 구상되었으며 이념형의 형태를 강하게 띤 공전제 외에 왕조체제를 부정한 ‘근본적 개혁’을 지향했다고 판단할 근거는 찾기 힘들다. 따라서 『반계수록』에 대한 독해에서 일차적으로 밝혀져야 할 지점은 유형원이 딛고 선 현실에 대한 엄밀한 이해와 여기에 규정된 사상의 당대성이다. 유형원의 학문적 현실개입은 무엇보다도 17세기 시공간의 고유한 맥락에서 의미와 역사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반계수록』이라는 텍스트를 편견 없이 받아들여 전체적인 맥락에 대한 훼손없이 스스로의 문법에 맞게 재구성하는 것이다. ‘안으로부터의 관점’은 선입견이나 현대적 해석을 배제한 채 유형원의 관점에서 『반계수록』의 내적 논리구성을 온전히 인정하고 복원해주는데서 시작한다. 이러한 『반계수록』 내부의 구조와 문법이 밖으로부터 보기와 만날 때 비로소 역사성을 가진 실체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바로 유형원의 눈을 통해 시대를 보고 시대의 규정 속에서 유형원을 읽는 작업이다. 유형원의 구상이 고제의 이상에 비추어 중국과 조선의 역대 제도에 대한 광범위한 검토와 평가를 수행하였던 만큼 중층적 내용성과 복합적 해석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 따라서 유형원 개혁론에 대한 이해도 그것이 가진 층위별 차별성과 그것이 하나의 개혁론으로 구축되었을 때 나타나는 경세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하리라 생각한다. 바로 조선...

      • KCI등재

        1960-70년대 이어령 에세이에 묘사된 유럽 이란 심상지리

        김미영 ( Mee Young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2 No.-

        글은 이어령의 유럽기행산문집 『바람이 불어오는 곳:이것이 서양이다』(1966)와 『서양에서 본 동양의 아침:현대문명과 동양문화』(1977)에 나타난 유럽 의 심상지리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어령이 구성한 유럽 은 희랍의 석조건축양식이 대표하듯, 화려한 문화유산들을 자랑하는 과거의 곳’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반면, 동양 은 동방의 빛 이란 표현이 상징하듯, 밝아오는 아침 같은 곳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에 따르면, 현대의 유럽은 물질문명과 기계주의로 인해 개인주의와 환경 오염의 문제를 앓고 있는 바, 동양문화는 그 대안으로 거론된다. 그는 한국문화를 동양문화로 확대 해석하면서, 유럽의 몇몇 선진국의 문화와 문명을 서구문명, 나아가 현대문명 일반으로 해석하여 양자를 견주고 있다. 그가 본 동양(한국)문화의 장점은 융합적 사고, 방법보다 정신을 중시함, 관계 중심의 공동체 의식과 경험중심성에 있고, 병폐는 관료주의적이고 정치지향적인 문화, 권위의식과 허례허식, 소극적이고 여성적인 문화, 정지와 체념의 정서 등이다. 그는 자문화 중심주의에 대해 비판적 자각을 내비치지만, 실제 서술에서는 어느 한쪽의 비교우위를 밝히는 방식을 이어가면서, 서구문화에 대해 극단적인 찬사와 폄하를 오간다. 또 한국문화에 대해서는 아전인수 격의 해석을 자주 내어 놓고 있다. 그는 문화란 비교 불가한 대상이란 인식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유럽기행산문 집에는 한국에 대한 생래적인 애정과 서양 중심의 근대화에 대한 저항감, 단시간 안에 한국문화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조급함 등이 짙게 배어 있다. 그가 구성해 낸 유럽 이란 심상지리는 결국 한국문화의 정체성 찾기와 새로운 발전방향 수립을 위한 담론으로, 서구-동양의 위계화된 이분법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문화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을 보여주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전 이후 미군문화의 도래로 한국문화가 급격히 미국화 일변도로 치닫던 무렵, 유럽 이란 새로운 타자를 제시함으로써 그런 흐름에 제동을 걸었고, 군사정권에 의한 경제개발논의로 인해 등한시되었던 한국문화에 대한 재검토와 문화선진국을 향한 주체적인 도약에의 첫걸음으로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revealed for Korean people in 1960 70`s how to recognize the european culture & how to understand Korean cultural identity in those times, too. with analyzing to the Imagined Geographies about Europe in Lee Ea Ryeung`s Essay. Lee Ea Ryeung was a famous essayist & literary critic. He wrote A Place of the Wind :This is the West(1966) and the Morning of the East Looking at in The west :Modern Civilization & East Culture(1974). He emphasized european culture were based on Greece & Christianism, so there were splendid relics of ancient times in the west. But nowadays The western civilization revealed mechanism of materials, so that the western culture would have some problems as like as environmental pollution, alienation of human beings & potentialities of war. On the other hand, Korea or the east had civilized less than the west and did not sparkled culturally in those times. But the eastern culture is an alternative plan to solve the problems in modern times. The essences of the eastern or Korean culture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the speciality of the eastern or Korean culture are focused on relationship of human-beings, based on the experiences, emphasized spiritual aspects. Lee Ea Ryeung said he eastern or Korean culture had the key of human being`s future, but still those are the seed not plant. The essays on the western culture & civilizations by Lee Ea Ryeung showed us cultures were developed through exchange between the one and the other. And said for us that 1960 70`s Korean culture must had seen self identifications & the other`s.

      • KCI등재

        한국적 일상의 즉물성에 대하여

        유헌식(Heon Sik Yoo) 한국사회이론학회 2013 사회이론 Vol.- No.44

        이 글은 한국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 배후에 감춰진 후진적이 고 비민주주의적인 문화적 행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한국인의 일상적인 생활, 특히 의사소통과 공동체 생활 그리고 사태인식에서 나타나는 즉물(卽物)적인 성향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성향이 한국사회에 급작스럽게 출현한 것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인 사유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 글은 밝힌다.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는 부조리한 행태는 합리성과 객관성을 결여한 자기 신체이익 중심주의와 비매 개적인 감각주의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서양의 플라톤 이후 로고스 중심의 합리적이고 매개적인 사유와 대조를 이룬다. 한국사회가 세계의 중심문화와 호흡을 같이하기 위해서는 그간의 물질적 성장에 비해 턱없이 뒤쳐져 있는 문화의식을 제 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 무엇보다 일상의 한국인이 사태와 관계 하는 데에서 즉물적인 태도를 지양하지 않으면 안된다. This study critically explores the less advanced and less democratic cultural behaviors, veiled behind the fast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As pointing out their tendency of the immediate materialism, a kind of Philistinism appeared within their daily routine life, in particular throughout their communication, community life and their factual awareness. The study argues that this tendency is not the one that emerged by sudden, but is rooted from the traditional thinking. Those irrational behaviors rampant throughout the Koreans` life are strongly related with the selfphysical- lust centrism lack of rationality and objectivity and the nonparametric sensationalism and this is contrasted with the rational parametric thinking of Western civilization centered around ‘logos’ since Plato. For upgrading Korean cultural and spiritual foundation, Koreans are needed to improve the cultural awareness far left behind the material expansion so far, and for this, as the initial and primary step, Koreans ought to reject their deep rooted immediate materialism in the way of relation toward the outer and inner world events emerging from their daily routin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