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경』에 나타난 자성의 심리학 - 본래적 자성과 포괄적 자성의 역동성을 중심으로

        윤희조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6 No.-

        본고는 불교심리학의 한 분야인 선심리학을 혜능의 『단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선심리학은 불교심리학의 분류에 따라서 선심학, 선심소학, 선심리치료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하에서 혜능의 선심리학은 자성의 심리학으로 볼 수 있고, 본래적 의미의 자성과 포괄적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학에서 심은 자성을 기반으로 드러난다. 본래적 자성이 드러나면 본심이 되고, 포괄적 자성이 드러나면 인심이 된다. 본래적 자성은 만법건립성, 불가득성, 불가명성, 청정성, 평등성, 자불성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법론에서 법은 불이이고 평등하지만, 인간론에서 인간은 근기의 예둔과 돈점에 따라서 범부와 성인, 하근기와 상근기로 나뉜다. 마음의 운동성을 보여주는 연기론에서 자성의 은현, 미오, 범성을 오가는 두 가지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을 볼 수 있다. 세계관에서는 이러한 역동성으로 인해서 펼쳐지는 세계와 현상은 자성의 작용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소학은 선심리학에서 전개되는 마음의 기능 즉 반야와 중생심을 다룬다. 반야는 자성으로부터 발생하고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형상이 없는 지혜인 반야는 전체와 하나를 동시에 아는 것이고, 수많은 번뇌를 지혜로 바꾼다. 또한 이법(二法)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반야이다. 중생심은 이러한 반야의 기능을 덮고 있는 내부의 중생을 말한다. 중생심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으로 참회와 서원이 있다. 신심리치료는 인간의 예둔과 법의 평등의 괴리를 없애기 위해서 견성을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론으로 혜능은 전통적인 계정혜의 방법론을 마음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함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방법론으로 삼무를 제시한다. 분별, 염오, 집착이 없는 무상・무념・무주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단경』의 선심리학은 자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는 의미에서 자성의 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Zen Psychology refers to the psychology of Zen Buddhism as a field of Buddhist psych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psychology of human beings, focusing on the “Platform Sutra” written by Huineng, the founder of Patriarchal Zen, and the southern Zen schoo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psychology, Zen psychology is divided into theory of Zen mind, theory of Zend mind function, and Zen psychotherapy. In theory of Zen mind, Huineng explains the mind based on self-nature, and explains the theory of dharma, theory of humanity,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worldview though self-nature. Every human mind has its own original character of self-nature. When one’s own mind with self-nature is revealed, it is the basic mind. When it is covered, it is the mind of common people. Self-nature is characterized by dharma construction, incompetence, non-naming, cleanliness, equality, and self-Buddhahood. In the theory of dharma, dharma is non-dual and is equal. The theory of humanity i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harpness and dullness or capacity of the human being. From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you can see the mobility of cover and revealment, enlightment and delusion, sacred and common. In the worldview, the world and phenomena are the functions of self-nature and one's own mind. The theory of Zen mind function deals with wisdom and defilement of common people. The function of wisdom is to know the whole and one at the same time, and is intangible. Defilement of common people is an inner common people that cover the functions of wisdom. In Zen psychotherapy, in order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human and dharma, seeing into self-nature is suggested and the goal. In teleology, the goal is to reveal and see the self-nature covered by defilements. As a methodology from cover to revealment, Huineng interprets the traditional methodology as a new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mind, and presents Sammu as its own methodology. Based on the absence of attachment, Huineng proposed a methodology of No-abiding, No-thought and No-form, to gather mind on reality and treat all things equally. Based on this, Huineng proposed a new methodology for dealing with karma through repentance and vows, and a methodology for edification. In view of the Four Noble Truth, it is the phenomenon that self-nature is covered, the cause of defilement and the mind, the aim of seeing the self-nature which is covered, and the way of revealing the covered self-nature is presented. In this sense, the Zen Psychology of Platform Sutra is psychology of self-nature.

      •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 이해: 자기-자기대상 모체 개념을 중심으로

        장정은 ( Jang Jung Eun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3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9 No.-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자기심리학의 치유 개념에 대해 살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분석의 흐름 가운데 위치한 자기심리학은 인지영역의 확장이나 자아의 강화에서 치유의 원인을 찾지 않았다. 자기애 개념에 관심을 갖고 정신분석 이론을 전개시킨 자기심리학은 내담자의 자기 구조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 자기 구조의 변화가 정신분석이 치유를 발생시키는 이유가 된다고 보기 시작했다. 동일하게 전이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자기심리학은 내담자가 보이는 전이를 해석을 위한 관찰 자료로 이해하기보다, 자기 구조의 성숙과 변화를 위한 발달의 재활성화로 이해하기 시작했다. 억압과 분열로 마음 속 깊이 분리되어 있던 자기의 측면은 상담관계에 전이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다시금 성장하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욕구가 담겨져 있다고 자기심리학은 본 것이다. 그렇기에 자기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치료개입은 공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자기심리학이 전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이 활성화를 통해 자기 구조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전체로서의 자기에 집중하고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는 자기심리학의 핵심적인 상담개입 방법이 공감이다. 분석가의 공감적 개입은 내담자의 전이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숨겨진 내담자의 자기 구조가 지금 여기의 분석관계에서 다시금 재활성화되도록 이끈다. 그리고 성숙한 분석가의 공감에 의해 촉진된 원초적이고 유아적인 자기의 융합 욕구는 결국 분석가의 건강한 공감에 조율할 수 있게 되고, 이런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 구조는 변화한다. 본 논문은 이런 자기 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코헛의 치유개념을 살펴보며 이해하려고 한다. 먼저 자기애에 대한 정신분석의 다른 이해들을 살펴보면서, 코헛이 자기애를 어떻게 다르게 이해했는지를 묘사할 것이다. 더불어 코헛은 자기애에 대한 다른 이해를 통해 어떻게 정신분석의 치유과정을 설명하려고 했는지 이해하면서 사례를 통해 그 과정을 보다 심화시켜 이해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ure in psychoanalytic self-psychology. Self-psychology located in the flow of psychoanalysis did not seek the principle of cure in the expansion of the cognitive domain or the strengthening of the ego. Self psychology constructed upon the concept of narcissism was interested in the self-structure of the client, and began to see that the change in this self-structure is the reason why psychoanalysis generates cure. Equally, self-psychology, which showed a deep interest in transference, began to understand transference as reactivation of development for maturation and cohesion of self-structure, rather than as observational data for interpretation. Self-psychology saw that the aspects of the self were deeply separated in the mind due to repression or splitting and transferred 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which contained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client to grow again.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has begun to emerge as important in self-psychology is empathy. Self-psychology sees transference as sphere in which development of self-structure is reactivated. In this process, empathy is an important psychoanalytic technique that focuses on the client’s self as a whole and understands it as it is. The analyst’s empathic intervention not only promotes the client’s transference, but also leads the client’s self-structure to be reactivated in the analytic relationship here and now. And the primitive and infantile desire for fusion of self promoted by the mature analyst’s empathy can eventually be tuned to the analyst’s healthy empathy, and in this process, the client’s self-structure changes.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how this change in self-structure occurs by examining Kohut’s concept of cure. I will first look at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narcissism in the history of psychoanalysis, and then describe how Kohut understood it differently. In addition, I will describe how Kohut tried to explain the healing process of psychoanalysis through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narcissism,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process more deeply through case vignette.

      • KCI등재

        『단경』에 나타난 자성의 심리학

        윤희조(Youn, Hee-jo)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본고는 불교심리학의 한 분야인 선심리학을 혜능의 『단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선심리학은 불교심리학의 분류에 따라서 선심학, 선심소학, 선심리치료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하에서 혜능의 선심리학은 자성의 심리학으로 볼 수 있고, 본래적 의미의 자성과 포괄적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학에서 심은 자성을 기반으로 드러난다. 본래적 자성이 드러나면 본심이 되고, 포괄적 자성이 드러나면 인심이 된다. 본래적 자성은 만법건립성, 불가득성, 불가명성, 청정성, 평등성, 자불성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법론에서 법은 불이이고 평등하지만, 인간론에서 인간은 근기의 예둔과 돈점에 따라서 범부와 성인, 하근기와 상근기로 나뉜다. 마음의 운동성을 보여주는 연기론에서 자성의 은현, 미오, 범성을 오가는 두 가지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을 볼 수 있다. 세계관에서는 이러한 역동성으로 인해서 펼쳐지는 세계와 현상은 자성의 작용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소학은 선심리학에서 전개되는 마음의 기능 즉 반야와 중생심을 다룬다. 반야는 자성으로부터 발생하고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형상이 없는 지혜인 반야는 전체와 하나를 동시에 아는 것이고, 수많은 번뇌를 지혜로 바꾼다. 또한 이법(二法)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반야이다. 중생심은 이러한 반야의 기능을 덮고 있는 내부의 중생을 말한다. 중생심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으로 참회와 서원이 있다. 신심리치료는 인간의 예둔과 법의 평등의 괴리를 없애기 위해서 견성을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론으로 혜능은 전통적인 계정혜의 방법론을 마음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함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방법론으로 삼무를 제시한다. 분별, 염오, 집착이 없는 무상·무념·무주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단경』의 선심리학은 자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는 의미에서 자성의 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Zen Psychology refers to the psychology of Zen Buddhism as a field of Buddhist psych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psychology of human beings, focusing on the “Platform Sutra” written by Huineng, the founder of Patriarchal Zen, and the southern Zen schoo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psychology, Zen psychology is divided into theory of Zen mind, theory of Zend mind function, and Zen psychotherapy. In theory of Zen mind, Huineng explains the mind based on self-nature, and explains the theory of dharma, theory of humanity,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worldview though self-nature. Every human mind has its own original character of self-nature. When one’s own mind with self-nature is revealed, it is the basic mind. When it is covered, it is the mind of common people. Self-nature is characterized by dharma construction, incompetence, non-naming, cleanliness, equality, and self-Buddhahood. In the theory of dharma, dharma is non-dual and is equal. The theory of humanity i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harpness and dullness or capacity of the human being. From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you can see the mobility of cover and revealment, enlightment and delusion, sacred and common. In the worldview, the world and phenomena are the functions of self-nature and one’s own mind. he theory of Zen mind function deals with wisdom and defilement of common people. The function of wisdom is to know the whole and one at the same time, and is intangible. Defilement of common people is an inner common people that cover the functions of wisdom. In Zen psychotherapy, in order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human and dharma, seeing into self-nature is suggested and the goal. In teleology, the goal is to reveal and see the self-nature covered by defilements. As a methodology from cover to revealment, Huineng interprets the traditional methodology as a new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mind, and presents Sammu as its own methodology. Based on the absence of attachment, Huineng proposed a methodology of No-abiding, No-thought and No-form, to gather mind on reality and treat all things equally. Based on this, Huineng proposed a new methodology for dealing with karma through repentance and vows, and a methodology for edification. In view of the Four Noble Truth, it is the phenomenon that self-nature is covered, the cause of defilement and the mind, the aim of seeing the self-nature which is covered, and the way of revealing the covered self-nature is presented. In this sense, the Zen Psychology of Platform Sutra is psychology of self-nature.

      • KCI등재

        자아개념이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재욱(Jae Wook Shin),신민철(Min Cheol Shi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1 環境 敎育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expanded self-concept including self-esteem and self-congruity with various variables of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simultaneously by using the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dependent self-construals only affected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dependent self-construals did not affect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while metapersonal self-construals affected both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y had an affirmative thoughts about environment friendliness while consumers considerate of others with 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collective tendency showed low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which was interesting findings. In regards to the effect of metapersonal Self-construal on pro-environmental psychology, it was analyzed that lower consumer self-esteem increased pro-environmental psychology, and also when self-congruity was low, metapersonal Self-construal had a positive effect on green consumer behavior.

      • KCI등재

        군 병사의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에서 자기조망의 매개효과

        김완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본 연구에서는 자기개념 구조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자기조망이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조망이란 자신에 대해 이원적 구조로 지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군 병사 311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복잡성 척도, 자기조망 척도, 우울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및 삶의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우울, 심리적 안녕감 및 삶의 만족도)과의 관계를 자기조망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병사들을 상담할 때 자신을 서로 다른 다양한 모습으로 보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조망을 확대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병사들의 심리적인 건강을 증진시켜줄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elf-perspective revealing the qualitative difference in self-concept structure ma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health. Self-perspective refers to the degree that one perceives oneself as dualistic structure. To this end, this study administered a series of questionaries measuring self-complexity, self-perspective,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with 311 soldi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psychological health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is completely mediated by self-perspective. This finding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among soldiers may be enhanced by enabling them to see themselv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well as helping them extending their self-perspectives in counseling.

      • KCI등재

        Psychology of the Self for Ethics: Application of Kohut’s Theory of Narcissism on Ethical Theories of Reinhold Niebuhr and Charles Curran

        송용섭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90 No.-

        This interdisciplinary essay interacts Heinz Kohut’s Psychology of Self, focusing on the thought of empathy, with the ethical thoughts of Charles Curran and Reinhold Niebuhr. In order to facilitate a dialogue between ethics and psychology, this essay engages Kohut's Self-Psychology with Curran’s thought of the moral agent that may have a capacity to transcend individual and group interests, and with Reinhold Niebuhr's thought that draws a sharp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 ethics. By doing so, I argu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ethicist to apply Self Psychology to the field of social ethics. I claim that contemporary ethical theories are required of taking psychology as a serious conversation partner. More specifically, I have maintained that Kohut's Self Psychology gives critical perspectives to answer the limitations of contemporary ethical theories: While Curan’s theory emphasizes the person as moral agent and subject, it cannot guarantee the moral person would make a sound choice transcending group interests in social relations. On the other hand, Niebuhr's thought distinguishes correctly the realm of individual ethics from that of group ethics. However, it has no explanation for a rare case that transcends group interests. Kohut's Psychology of the Self, especially, an idea of empathy, provides critical analysis and crucial complements, and, opens possibilities of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se contrary theories. This essay argues that Kohut’s Self Psychology provides the study of ethics with valuable insights on the person as moral being, capacities of plausible analysis of the moral self and its relations with others, and theoretical explanations on the ethical questions that the traditional theories of ethics have yet to give. Therefore, there are many areas in the study of ethics where Kohut's Self Psychology could be applied to. As long as contemporary ethics focus on the person as moral agent and subject, these areas in the study of ethics will increase and expand.

      • KCI등재

        오취온과 오법온의 관점에서 보는 불교의 자아심리학

        윤희조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8 No.4

        This paper attempts to see the possibility of self-psychology in Buddhism. In Buddhism, human beings are defined as both function and possibility. If you can see a self as a person or a human being, in Buddhism a human can be seen as a collection of functions of five aggregates. By showing these functions in enumeration,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self is established. The essential definition of self is established in that it is an inherent aspect of human being that the full potential of function is expressed. In contrast, the suppression of the manifestation of function is a non-essential definition of self. Five aggregates by the original definition can be called five aggregates of cling, and five aggregates by the essential definition can be called five aggregates of dhamma. It is also possible to define self in accordance with dependent arising theory from a developmental point of view. The developmental definition of self is established that self, namely, name and matter or being are caused by mental formation, affection and cl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ur Noble Truth, suffering as self, the cause of suffering as the cause of self, cessation of suffering as cessation of self and the path leading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as the path leading to the cessation of self, which leads to an arising and extinct definition of self. Based on the non-essential definition and the essential definition, we can distinguish the self of the layman and the self of the saint. Based on this, we can see that self-identity is established in two dimensions of the layman and the saint. On the level of layman, self and self-identity are established by mental formation, on the level of conventional truth, and on the level of saint, self and self-identity are established as selfless self. The function and defense mechanisms of the self that are dealt with in Western self-psychology can be dealt with in defilement as the cause of self. The definition of self, the generation of self, the identity of self, the function and mechanism of self can be seen from the view of the Buddhism. Therefore, we se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realm of Buddhism's self-psychology. 본고는 불교에서 자아심리학의 성립가능성을 보고자 한다. 불교의 인간론에서 인간은 기능적 존재이면서 가능적 존재이다. 자아를 나, 인간으로 볼 수 있다면 불교에서 인간은 오온의 기능 집합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나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자아에 대한 포괄적 정의가 성립한다. 기능의 가능성이 최대한 발현된 것이 인간의 본래적 측면이라는 점에서 자아에 대한 본래적 정의가 성립한다. 이와는 반대로 기능의 발현가능성이 억제되는 것은 자아에 대한 비본래적 정의에 해당한다. 본래적 정의에 의한 오온은 오법온으로, 비본래적 정의에 의한 오온은 오취온으로 부를 수 있다. 또한 자아를 발생적 관점에서 연기론에 따라서 정의할 수 있다. 자아인 명색과 유는 무명과 행, 애와 취에 의해서 발생한다는 자아에 대한 발생적 정의가 성립한다. 사성제적 관점에서 보면 고라는 자아와 집이라는 원인, 멸이라는 자아의 소멸과 소멸로 나아가는 도라는 원인을 자아에 대한 생멸적 정의라고 볼 수 있다. 비본래적 정의와 본래적 정의를 바탕으로 범부의 자아와 성인의 자아를 구분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정체성이 범부와 성인의 두 차원에서 성립함을 볼 수 있다. 범부의 차원에서 자아와 자아정체성은 유위법으로, 세속적 진리의 차원에서 세워지고, 성인의 차원에서 자아와 자아정체성은 무아적 자아로 성립하게 된다. 서구의 자아심리학에서 다루는 자아의 기능과 방어기제는 자아의 원인이 되는 번뇌에서 다룰 수 있을 것이다. 자아의 정의, 자아의 발생, 자아의 정체성, 자아의 기능과 기제를 불교적 관점에서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불교의 자아심리학이라는 영역의 성립가능성을 보게 된다.

      • KCI등재

        무용 활동에 참여한 노인여성들의 심리적 행복감, 자아존중감과 몰입경험과의 관계

        오수일(Su Lll Oh),신혜숙(Hea Sook Sin) 한국사회체육학회 2008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4

        The present study surveyed 264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dance activities and analyzed the relations among their psychological happiness, self-esteem and flow experience,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s to correlations among psychological happiness, self-esteem and flow experience in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dance activities,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self-esteem, betwee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flow experience, and between self-esteem and flow experienc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elf-esteem in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dance activities, psychological happiness explained 43% of self-esteem, and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happiness, "present satisfaction" had the highest effect on self-esteem and "past satisfaction" had also some effect on self-esteem.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flow experience in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dance activities, psychological happiness explained 18.4% of flow experience and "present satisfaction" affected flow experience, but "past satisfaction" did not affect flow experience.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flow experience in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dance activities, self-esteem explained 13.9% of flow experience, and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self-respect" affected flow experience but "self-distrust and self-abasement" did not affect flow experience.

      • KCI등재

        자아존중감(Self-Esteem)과 디자인 선호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관련 심리원리 및 사용자 참여디자인 사례 분석

        이정민 ( Lee Jeongm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은 생존을 위한 생물학적 욕구 외에도 상위의 심리적 욕구로 사회적 욕구와 자아실현 욕구를 가지고 있다. 산업혁명 이전에 인간 사회는 상류층을 제외하고는 하위 욕구인 신체 관련 욕구도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20세기 산업시대에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과 물질문명의 발전으로 하위단계의 욕구들이 해결되면서 후기산업사회 이후 사람들은 점차 상위단계의 욕구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즉 21세기 사회는 개인의 자아실현을 중시하는 다원주의 사회로 변모했다. 그리고 심리적, 인간적 가치를 물질적 가치보다 중요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뚜렷해졌다. 현대의 기업들 역시 이런 변화된 소비자 욕구를 반영하기 위해 인간중심의 제품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런 변화를 반영하는 21세기 디자인의 주요 패러다임이 "인간중심디자인"이다. 인간중심디자인 방법론의 개발에 있어 중요한 점은 소비자 심리에 대한 이해를 디자인에 반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자아실현 욕구의 충족을 원하는 현대의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심리 원리들에 대한 체계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는다. (연구방법) 2장과 3장은 문헌조사를 주요 연구 방법론으로 활용한다. 4장은 정성적 사례분석으로 진행되며 그 결과를 레이더차트 다이어그램으로 종합하여 제시한다. (결과) 디자인 선호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 향상 원리들로는 "인간의 통제 욕구"(능력기반 자아존중감과 연관), "확장 자아", "Self-Image Congruency 효과", "이케아 효과", "소비자 욕구론의 사회적 욕구"(사회적 자아개념과 연관), "시그널링 효과"(가치기반 자아존중감과 연관)가 분석되었다. 4장에서는 소비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현대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디자인 방법론인 사용자 참여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를 상세분석 한 결과, 사용자 참여디자인과 자아존중감 향상 효과 사이에 높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고는 디자인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을 구성하기 위해 디자이너가 알아두어야 할 심리 원리들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그 첫 주제로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심리요인인 "자아존중감"과 디자인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디자인 선호도 향상을 위한 심리 원리들은 자아존중감 관련 원리들 이외에도 다양한 원리들이 존재한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인간중심디자인의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해서 현대의 디자이너들은 이런 다양한 심리원리들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ddition to the basic biological need for survival, human beings have social and self-realization needs as higher psychological needs. Prior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except for the upper classes, human society could not fully satisfy basic biological needs in the needs hierarchy.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Post-industrial Society, people began to pursue higher psychological needs as basic needs were satisfied through mass p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in the 20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21st century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luralistic society that values individual self-realization. Accordingly, consumption trends today view psychological and human values as being clearly more important than material values. Companies are also working on human-centered product development to reflect these changes in consumer needs. The main paradigm of 21st century design that reflects these changes is "human-centered design". An important element in the development of human-centered design methodology is to incorporate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psychology into desig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systematic information on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related to self-esteem so that it can be used to develop designs preferred by modern consumers who want to satisfy their self-realization needs. (Method) Chapters 2 and 3 use literature review a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Chapter 4 proceeds with qualitative case analyses and summarizes the results in radar chart diagrams. (Results) Psychological principles for improving self-esteem, which are also related to improving design preferences, were analyzed as "Human Needs for Control"(associated with Efficacy-based Self-Esteem), "Extended Self", "Self-Image Congruency Effect", "IKEA Effect", "Social Needs of Consumers"(associated with Social Self-Concept), and "Signaling Effects"(associated with Worth-based Self-Esteem). Chapter 4 analyzed representative cases of user-participatory design, a design methodology widely used in modern times to satisfy consumer's self-esteem, an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user-participatory design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Conclusions) This paper is part of the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that designers need to know in order to improve design preference. As the first subject, this study researched the correlation between design and self-esteem, which is a very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 for human beings. However, there still exist other psychological principles for improving design preferences in addition to the ones analyz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the design methodologies which are preferred by modern consumers, designers should have sufficient knowledge regarding those psychological principles of design.

      • KCI등재

        자아해석 방식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명순,하정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2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Yang, Mung-sunHa, Jung-Hee攀 Chungbuk National University攀攀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independent self-construal,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on undergraduate. It was further to identif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s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ee-hundred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self-constru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depression, and relational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 was non significant with depression. Secondly, level of self-construal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 depress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ly, ambivalence over emotional mediated 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mediated relations between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limit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noted.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독립적 자아해석, 관계적-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정서표현 갈등, 우울감,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표현 갈등이 독립적 자아해석 및 관계적 자아해석과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첫째, 독립적 자아해석은 심리적 안녕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표현갈등, 우울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관계적 자아해석은 표현갈등, 심리적 안녕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우울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독립적 자아해석과 관계적 자아해석의 수준에 따라 우울, 정서표현 갈등, 심리적 안녕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정서표현 갈등이 독립적 자아해석과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고, 관계적 자아해석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또한 매개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시사점,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