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의 「리지아」에 나타나는 종교적 기억의 의미와 구원의 서사

        김혜연 현대영미어문학회 2020 현대영미어문학 Vol.38 No.1

        This study analyzes the speaker’s narration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redemptive role of memory. Patristic study on memory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memory in the tripartite structure of penance: confession, contrition, and satisfaction. Making a person escape from a repetition of error, memory of the past leads to a new future and new content. The narrator of Ligeia also seeks to redeem his soul by remembering Ligeia. Confessing the lack of memory, every moment, however, the narrator goes back to Ligeia. The redemptive role of memory is completed with a sacrifice of Rowena, who took the role of a scapegoat. Finally, the speaker meets his ideal self, refusing his own mortality through the rebirth of Ligeia.

      • KCI등재

        남아공 ‘진실과 화해 위원회(TRC)’를 통해 본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

        윤형철 ( Yoon Hyung Chul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3 No.-

        헌정사상 초유의 국정농단사태를 경험하면서 어느 때보다 정의를 갈망하는 한국사회에 한국교회는 어떤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 본 논문의 목적은 남아공의 기적을 이룬 ‘진실과 화해 위원회’(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의 전략과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시대와 사회를 위한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의 포석을 모색하는 것이다. TRC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차별과 억압의 시대를 종식하고 국가 일치와 화해 증진을 위해 설립되었다. 과거사의 진실을 밝히고 화해의 공동체를 수립하기 위해 TRC가 선택한 방식은 ‘회복적 정의’, ‘우분투(Ubuntu)의 화해’, 그리고 ‘공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국가적 기억으로의 통합’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것들은 각각 기독교적 가치와 비전을 반영하고 있다. 첫째, TRC는 ‘응보적 정의’ 대신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를 통해 희생자와 가해자와 공동체가 다 같이 참여하여 책임과 치유와 관계회복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는 사회적 약자들과 고통 받고 억압받는 자들을 돌아보시고 해방하시고 위로하시며, 죄인을 용서하시고 의롭다 하시고 거룩하게 만드시는 하나님의 ‘공감적 정의’(compassionate justice)와 상응한다. 둘째, TRC의 화해 개념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의 정체성과 존엄성이 공동체적 관계와 상호성 속에서 형성된다는 아프리카의 형제애와 인간성 개념인 ‘우분투’(Ubuntu)에 기반을 둔다. 아프리카의 토착사상인 우분투는 깨어진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서 성경적인 ‘샬롬’과 닮았지만, 샬롬은 이 세상의 화해와 번영의 가능성이 오직 세계 너머에서 오는 초월성으로 통해서만 가능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독교 세계관을 더 분명하게 반영한다. 또한 샬롬의 비전은 인간 삶의 모든 관계들이 완전하고 조화롭고 정의로운 질서 속에서 기쁨을 누리는 참여와 교제의 풍요와 번영의 종결을 제시해준다. 셋째, TRC는 아파르트헤이트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이야기를 공적으로 나눔으로써 그 기억을 국가적 기억(national memory)에 통합시키려 하였다. 이는 과거의 아픈 역사를 용서하되 미래를 위해서 잊지 않기 위함이다.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삶의 중심에도 하나님의 구속이야기에 대한 기억과 기념과 고백과 송축이 자리 잡고 있다. ‘기억하기’는 그리스도인들이 예수의 이야기와 하나님의 구원역사에 자신들의 이야기를 통합시키는 방식이다. 더 나아가 그리스도인들은 최종적으로 기억의 구속이 일어날 종말을 믿고 고대한다. TRC의 프로세스의 세 가지 핵심개념에 상응하는 사상들은 우리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에 긴요한 영감과 통찰을 제공해준다. What kind of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vision can be presented to the Korean society that is more desperate for justice than ever before by experiencing former president Park and her friend Choi’s manipulation of government affairs, which is unprecedented in constitutional hist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and activities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South Africa,’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miracle of South Africa, and by so doing to find a basis for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discourse for our time and society. The TRC was established in order to end the period of apartheid discrimination and repression and to promote national unity and reconciliation. The TRC’s approach to clarifying the truth of past history and establishing a community of reconciliation can be summarized as ‘restorative justice’, ‘Ubuntu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into national memory through public storytelling’, Each of which, I believe, reflects Christian values and visions. First, the TRC tried to make victim, perpetrator, and community participate in achieving responsibility, healing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 by employing not the concept of ‘retributive justice’ but ‘restorative justice’. It corresponds to the ‘compassionate justice’ of God, who did not only look after the weak, the suffering and oppressed, but also free, comfort, forgive, justify, and sanctify sinners. Second, the TRC concept of reconciliation is based on the African concept of brotherhood and humanity, ‘Ubuntu’, which claims that the identity and dignity of any person or group can be formed only within a communal relationship and reciprocity. An indigenous idea of Ubuntu bears a close parallel to a biblical ‘Shalom’ in the way it views a broken world. But Shalom shows the Christian worldview clearly by declaring that any reconciliation and prosperity in this world is possible only through transcendence beyond this world. The vision of Shalom also would envision the abundant and prosperous eschatos of participation and fellowship, in which all the relationships of human life will be enjoying joy in perfect, harmonious and just order. Third, by publicly sharing the story of both the victims and the perpetrators of the apartheid, the TRC attempted to integrate their memories into the national memory. This is to forgive the sad history of the past but not forget it for the future. At the heart of the Christian community is the memory, commemoration, confession, and praise of God’s story of redemption. ‘Remembering’ is a way for Christians to integrate their stories into Jesus’ story and God’s redemptive history. Furthermore, Christians look forward to the redemption of memory in the final stage. These Christian ideas, which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the three core concepts of the TRC process, would provide critical inspiration and insight into a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discourse for our time.

      • KCI등재

        기억 치유로서의 통일-한국 개신교회 통일담론과 과제

        전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3 기독교사회윤리 Vol.55 No.-

        본 연구는 한국교회 통일담론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진보와 보수로 분열된 통일담론의 특성을 분석하여, 교회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 형성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한다. 1980년대까지는 정부가 통일담론을 주도했지만, 민주화 이후 민간영역에서도 통일논의가 자유로워졌다. 통일담론이 형성되는 영역은 정부 및 여야 정치권, 시민사회, 학계, 종교계를 두루 포함하며, 국내외 정치상황에 따라 계속 그 내용이 달라져왔다. 교회의 통일담론은 진보교회의 견인, 보수교회의 참여, 진보와 보수의 연합, 담론의 분열을 거쳐왔다. 진보교회는 평화를, 보수교회는 통일선교를 강조하는 통일담론을 갖고 있다. 문제는 정부의 통일담론이 깊은 신학적 성찰 없이 한국교회에 투과되어, 특히 북한 인식 영역에서 신앙적 고백보다 정치적 이념에 더 좌우되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반도 통일은 복음 선포의 차원과 함께 개인적 차원과 역사적·사회적 차원을 갖고 있으므로, 한국교회의 통일담론은 통일·평화운동과 북한선교 양자를 통합하는 중도적 방향으로 수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경적 통일신학, 객관적 정보에 근거한 대북관, 교회 연합과 일치의 토대에서 기억 치유로서의 새로운 통일담론이 조성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church’s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divided by conservatives and liberals to seek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a new discourse that can contribute to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Until the 1980s, the government led the discussion of the unification, but after democratization, discussions on the unification have become active in the private sector. The areas where the discourse have been formed include the government, political parties, civil society, academia, and religious circles. The unification discourse of the church has been led by the progressive church at first. Then the conservative church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For some time conservatives and liberals united, but later divided again. Progressive churches emphasize peace while the conservative focus on a mission. The problem is that the political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seems to be transmitted to the Korean church without deep theological reflection, especially in the perspective on North Korea, which has been more influenced by political ideology. Since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a personal, historical, and social dimension with the gospel declaration, the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should converge in the middle direction of integrating both the unification and peace movement as welll as the North Korea mission. Therefore, this paper raises the need for a new unification discourse as redemption of memory to be created on the basis of biblical unification theology, objective information-based perspective on North Korea, and unity of church.

      • KCI등재

        『루시 게이하트』에 나타난 욕망의 간극과 재생의 서사

        공명수 ( Myung Soo Kong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5 현대영어영문학 Vol.59 No.4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worldly desires of Lucy Gayheart which achievements for modern arts represent through Clement Sebastian`s. Also it is based on dealing with the process of the redemption through Harry`s memory of Lucy`s young images before she enters modern arts, being vibrant with desires for modernity`s experiences. But she results in not learning the lesson that the daily life itself is the important thing, as arts cannot supplant the daily happy life. Here Harry undergoes a lifelong atonement for his callousness to the dead Lucy, becoming a man of more depth and dignity through his experience of World War I relief service. Harry`s memory on Lucy`s lively life is not an act of nostalgia, but a life of reinhabiting endurance. His memory can be glimpsed as the acceptance of both the Victorian era and the modern world. Harry`s redemption is emblematic of Willa Cather`s accommodation of Victorian era rather than Harry`s personal suffering of guilt for his own misdeeds, producing its growing responsibilities of the twentieth-century. Cather`s aesthetic imagination focuses on the accommodation of modernity as well as acceptance of the spiritual values of Victorian era. Cather`s consciousness is not only with the present changes in modern arts, but with her own literary past upon which she draws. Accordingly this complex aesthetics is to be the basic foundation to define Cather as a kind of antimodern modernist. (Daejin University)

      • KCI등재

        세계기록유산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의 수집현황과 기술규칙 제안

        김경남 한국기록학회 2022 기록학연구 Vol.- No.71

        This article aims to ⑴ come up with a new way of the classification by analysing 2,475 of the documents in the Archives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NDRM) recently registered as the Memory of the World; ⑵ make a proposal of their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ISAD(G) 2ND EDITION, ISSAR, and NAK. This leads to the suggestion of necessity to make archivistically the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of archives in the Memory of the World and manage them on the rules, in view of the recent tren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records registered as the Memory of the World and adding the records even after their registration. The archives of NDRM is an artificial collection. It can be said that the classification of manuscript collection on the basis of the preparation subject according to Schellenberg’s principle of the provenance is the most systematic. On the foundation of it, the suggestions of various classifications by activities, times, sorts of records, medias, topics, etc. would permit to search and interpret the archives in the Memory of the World with more efficiency. 본 연구는 최근에 등재된 국채보상운동기록물 2,475건을 대상으로생산배경과 그 출처를 분석하여 분류 체계에 대한 새로운 방식을 제기하고, ISAD(G) 2ND EDITION, ISSAR, NAK를 참조하여 매뉴스크립트 컬렉션형 기록물 기술 규칙을 만들어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다수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고, 등재된 이후에도 기록물이 추가되는 추세에 따라, 기록학적 관점에서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기술 규칙을 만들어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은 인위적 수집 컬렉션이다. 매뉴스크립트 컬렉션은 쉘렌버그의 출처주의에 입각하여 기록의 작성 주체를 중심으로분류하는 것이 가장 체계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기본으로 하여 활동별, 시간별, 자료의 종류별, 매체별, 주제별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하여 제시한다면 세계기록유산 기록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醉.生夢死》之死亡與救贖

        廖瑩芝(Liao ying zhi)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18 대만연구 Vol.- No.12

        Thanatos, Drunk by the director Chang Tso Chi is one of the most awarded film in Taiwan of 2015. This film demonstrates the film auteur’s usual focus on the marginalized in Taiwanese contemporary society while applying his signature style of “imaginary ending” to transform the fact of death to a devise revealing the inner aspiration and complex of the protagonists. It is not simply the more defined techniques, nor the LGBT issues the current society eagers to deal with that makes this film stand out among others. Its implication of class issues through family tragedies deepens the characters’ struggles, and the innovative cinematic techniques of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ies and the memories visualize the protagonist’s visceral devastation. While death is still the most unbearable for the protagonist, this film further indicates the only path toward redemption is through confronting the cruelest past and the most desperate self. This essay scrutinizes how the family tragedies reflect class issues and the protagonist’s struggles, and further analyzes how the innovative cinematic language visualizes the protagonist’s deepest desperation and leads to his final redemption via the imagined memory of the death.

      • KCI등재

        ‘용납할 수 없는 것’을 이미지화 한다는 것의 의미

        권은선(Eunsun Kwon)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7 여성학논집 Vol.34 No.1

        포스트메모리를 구성하는 후대 남성 예술가가 느끼는 수치심과 죄책감의 시선은, 가해자 남성에게로 쉽게 전이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포르노그래피적 영상을 만들고 만다. 이때, 정작 이미지-서사에서 사라지는 것은 피해자의 시점, 언어, 그리고 말하기 주체로서의 가능성이다. 위안소를 지옥도로 재현하는 희생제의적 스펙터클 속에서 일본군 ‘위안부’는 삶의 구체성과 역사적 구체성을 잃고 추상화되고 신성화된다. 상상의 형상화로서 그것은 고통 의 전이를 통해 보는 사람들을 겁주고 협박하고 훈계하는 이미지다. 이 이미지가 고통과 분노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폭력에 내재해 있는 외설성에 덧붙여 그 재현 과정이 외설적 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남성중심적인 가부장제적 서사-이미지는 고통의 스펙터클에서 ‘순수한 소녀’ 를 단순하고 순수했던 시절로, 고향-집-아버지에게로 돌려보내는 해원으로 직진한다. 극 장은 굿판이 된다. 그러나 20세기에 벌어진 가장 잔혹한 역사적 사건을, 근대성 전체를 사유하지 않고, 근대성이 제거된 탈역사적 시간대와 공간으로 돌려놓음으로써 해원한다 는 것만으로는, 역사의 현재적 의미를 가질 수도, 무능력한 정치 현실에 맞서는 유효한 집단기억을 구성할 수도 없다. The sense of shame and guilt feeling by a later male artist who composes the post-memory is easily transferred to the perpetrator. As a result, it produces pornographic images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 At this moment, disappearing from the image-narrative is the point of view of the survivor. In the spectacle of the sacrifice that reproduces brothels as hell,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re abstracted and sanctified by losing historical concreteness of life. It is a figuration of imagination that threatens, intimidates and admonishes viewers through the transfer of pain. This male-centered patriarchal narrative-image goes straight from the spectacle of suffering to the redemption that returns the ‘pure girl to simple, pure moments, home-house-father. But it is impossible to deal with the one of the most brutal historical events of the twentieth century without thinking about the whole of modernity. Just by releasing grudge by turning it into a post-historical time and space with modernity removed, it can not have a current meaning, and it can not constitute a valid collective memory against incompetent political reality.

      • KCI등재

        이연주 시의 주체, 모티프, 알레고리 연구

        오형엽 ( Hyung-yup Oh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9 국제어문 Vol.0 No.80

        이 글은 이연주의 시를 시적 주체, 중심 모티프, 알레고리적 위상학 등의 관점으로 심층적이고 입체적인 조명을 시도하여 전체적인 의미구조에 근접하고자 한다. 이연주 시에서 ‘표면적 세 겹 알레고리’의 중핵에 ‘매음녀’가 존재하고, ‘질병’과 ‘죽음’이 핵심적 모티프로 생성된다면, 그것이 시적 주체의 내면화를 통해 ‘심층적 세 겹 알레고리’로 전이되는 과정에 ‘시간’의 모티프와 더불어 ‘치료’의 모티프가 작용한다. 이 내면화 과정에서 시적 주체는 ‘매음녀’의 ‘질병’을 자신과 동일시한 후, 그 ‘치료’를 통해 다시 외부 현실에 되돌려주는 방법을 시도함으로써, 근대 자본주의 문명 전체를 ‘치료’의 대상으로 삼는 ‘실재’적 차원의 ‘문화 의사’적 위상을 가진다. ‘표면적 세 겹 알레고리’가 ‘심층적 세 겹 알레고리’로 전이되는 과정에 작용하는 ‘시간’의 모티프는 개인적 실존 및 무의식을 디스토피아적 미래와 결부시키고, ‘치료’의 모티프는 이것을 다시 종교적 신비주의와 결부시킨다. 이러한 ‘시간’의 모티프와 ‘치료’의 모티프가 한 몸으로 결합된 이미지가 ‘서역’이라는 공간이자 미래적 시간이다. 따라서 이연주 시의 ‘표면적 알레고리’가 가지는 ‘질병’과 ‘죽음’의 모티프는 시간’과 ‘치료’의 모티프가 결합된 ‘서역’ 이미지를 매개로 ‘심층적 알레고리’로 전이되는 동시에, 개인적 실존 및 무의식, 디스토피아적 미래, 종교적 신비주의 등의 세 영역을 뫼비우스 띠처럼 상호 결부시킨다. 그 결과 생성되는 것이 ‘심층적 세 겹 알레고리’의 중핵인 ‘속죄양 유다’이고, ‘대속’과 ‘구원’의 모티프이다. 이 차원은 ‘질병’ ‘치료’의 연장선에서 인간의 죄를 자신의 죄와 동일시한 후 속죄양 의식을 통해 ‘대속’함으로써, 영혼과 육체를 포함하는 인간 존재 전체를 ‘구원’의 대상으로 삼는 ‘관념’적 차원의 ‘문화 의사’적 위상을 가진다. 결국 이연주의 시는 ‘실재’적 차원과 ‘관념’적 차원이라는 양극을 왕복하면서 자신의 몸을 ‘매음녀’의 ‘질병’과 동일시하고 ‘치료’함으로써 근대 자본주의 문명 전체를 구제하려 했고, 자신의 존재를 ‘유다’의 ‘죄’와 동일시하고 ‘속죄양’이 됨으로써 ‘대속’과 ‘구원’을 완성시켜 인간 존재 전체를 구제하려 했다. This article seeks an approach to semantic structure by examining the poetry of Lee Yeon-ju from the perspectives of subject, motif, and allegory. If there is a pattern at the core of the “surface-level triple allegory” in Lee Yeon-ju’s poetry, and disease and death are generated as core motifs, then it is a process of transitioning to a “deep triple allegory” through the internalization of the poetic subject In addition to the motifs of time and the work of treatment through therapy. In this process of internalization, the poetic subject identifies the illness of the Virgin with himself and attempts to return it to external reality through treatment, thereby making the entirety of modern capitalist civilization an object of a “cultural doctrine” of “reality.” The motif of time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surface-level triple allegory to deep triple allegory associates individual existence and the unconscious with a dystopian future, whereas the motif of treatment is associated with religious mysticism. The image in which the motif of time and the motif of treatment are combined in one body is the space of the West and future time. Therefore, the motifs of illness and death present in the surface allegory in Lee Yeon-ju’s poetry are transformed into deep allegory through images of Westernization, the unconscious, dystopia, and mysticism, all of which are entangled like Mobius strips. This results in the scapegoat, the core of the deep triple allegory, that is, the motifs of atonement and salvation. This dimension extends the notions of disease and healing after identifying the sin of humanity with the poet’s own sins, with redemption coming through the scapegoat ritual and thereby making the entire human being, body and soul, an object of salvation. This is a cultural doctrine of ideological dimen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