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모펀드 과세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안경봉,손영철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3

        In recent years, the size of private equity investment organiza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vate equity funds”) under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ct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reason why private equity funds are activated is that private autonomy is widely recognized unlike the public offering funds under the regulatory law, and as with corporate system, the anonymity of the investor is guaranteed, but it also bears limited liability, not paying corporate tax. The principle of diversified investment, the principle of mark to market, or the principle of buying back from time to time are not applied to the private equity funds, which are sold for a small number of wealthy person, unlike public offering funds sold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small investors. Private equity funds need to be differentiated in taxation as they differ in nature from public offering funds. Moreover, the private equity funds are more likely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economic substance of any transaction or activity is the same, they can select a legal transaction or activity with minimal tax burden (the likelihood of tax avoidance). The need to design a tax law so that the private equity funds take the same tax burden in any legal form is greater than the public offering funds. However, according to the current tax regime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are taxed in the same way without discrimination from the public offering funds, if it falls under the eligible collective investment organization under the Income Tax Law and the Corporate Tax Law. Since the private equity fund sto have legal personality, are taxed as a legal entity, otherwise being taxed differently, there is a problem that is deviated from the logical structure of handling the same taxation in the same economic function. In the taxation of private equity funds, there is no reason to apply the logic of tax equilibrium with direct investment applied to public offering funds, and it is possible to design a taxation system according to its own taxation logic. Therefore, I will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regarding the taxation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First, private equity fund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eligible collective investment organizations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law and corporate tax law. Second, trust-type and non-corporate private equity funds without legal personality, by being assumed to be a corporation and that equity to be assumed to be stock under the tax law, should be taxed in the same manner as private equity funds with legal personality. Third, the dual tax adjustment method of private equity funds is to be taxed by selecting the pay-through method in case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and the revised pass-through method in the case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For a management participation private equity funds, it is not appropriate to separately calculat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interest income from the income allocated to the private equity funds and impose a withholding obligation on that part. In addition, if the private equity funds does not choose to apply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it is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e dividend deduction provisions. In 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tax evasion using passive business partner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vision of the private equity funds in the direction of withholding and paying for each income. 최근 자본시장법상 사모집합투자기구(이하 ‘사모펀드’라 한다)의 설정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사모펀드가 활성화되는 이유에는, 규제법상 공모펀드와 달리 사적자치가 폭넓게 인정되고, 법인제도와 같이 투자자의 익명성이 보장되면서도 유한책임을 부담하며, 법인세 부담도 지지 않는 등 조세편익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소수의 재산가를 대상으로 판매되는 사모펀드는 불특정 다수의 소액투자자를 대상으로 판매되는 공모펀드와 달리 분산투자의 원칙, 시가평가의 원칙, 수시환매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사모펀드는 공모펀드와 그 성격이 다른 만큼 과세에 있어서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또, 사모펀드는 어떤 거래나 행위의 경제적 실질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조세부담이 최소인 법적 거래나 행위를 선택할 가능성(조세회피 행위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모펀드가 어떤 법적 형태를 취하든 동일한 과세부담을 지도록 세법을 설계할 필요성은 공모펀드보다 크다. 그러나 현행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과세제도는 소득세법 및 법인세법상 적격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면 공모펀드와 차별 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과세하고 있고, 사모펀드의 법적 형태가 법인격이 있는 경우에는 법인으로 과세되고, 법인격이 없는 경우에는 달리 과세되고 있어서, 동일한 경제적 기능에 동일한 과세상 취급이라는 논리구조와 괴리되어 문제가 있다. 사모펀드의 과세에 있어서는 공모펀드에 적용되는 직접투자와의 과세형평이라는 논리를 적용할 이유가 없으며 그 나름의 과세논리에 따라 과세제도의 설계가 가능하다. 이에 연구자는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과세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행 소득세법 및 법인세법상 적격집합투자기구의 범위에서 사모펀드를 제외한다. 둘째, 법인격 없는 신탁형․조합형 사모펀드에 대해서는 세법상 법인으로 의제하고 그 지분권도 주식으로 의제하여 법인격 있는 사모펀드와 동일하게 과세한다. 셋째, 사모펀드의 이중과세 조정방법은 사모펀드가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인 경우에는 pay-through method를, 경영참여형 사모펀드인 경우에는 현행과 같이 수정된 pass-through method를 선택하여 과세한다. 경영참여형 사모펀드에 관해서는 PEF에 배분된 소득 중 이자소득에 해당하는 금액을 별도로 산출하여 해당 부분에 대해 원천징수의무를 부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PEF가 동업기업과세제도의 적용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지급배당공제규정의 적용대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PEF가 동업기업과세제도를 선택한 경우 수동적동업자 규정을 이용한 조세회피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국내 PEF의 경우에도 각 소득별로 원천징수하여 납부하는 방향으로 개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An Analysis of Private Equity Funds in Korea and Their Role in the Korean Economy in the Post-Crisis Period

        SHIN, JIYEON,WOO, WONSEOK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and Cooperation 2008 Asia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9 No.1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private equity fund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Korean economy and that their presence, now and in the future is essential. Moreover, domestic private equity funds will be complementary to foreign private equity funds, not a substitute, at least for the time being. In arguing so, we will look into the investment experiences of foreign private equity funds and see how foreign private equity funds have helped transform the economy in the post-financial crisis era. We will also look at the domestic private equity funds market to examine the replicability of private equity-driven growth in Korea. The paper will conclude with further recommendations for the growth of the private equity market. In the past five years or so, Koreans have come to be familiar with names such as Carlyle, Newbridge Capital, Lone Star, etc. These are the names of major foreign institutional investment firms that bought out the Korean domestic banks, Koram Bank, Korea First Bank, and Korea Exchange Bank. Recently, with the incident of the Lone Star scandal disclosed in regards to its acquisition of Korea First Bank, the Korean media have given extensive coverage to the issues relating to private equity funds. Especially after the scandals involving foreign investors, there is public discontent about the large volume of oreign private equity funds, mainly in the financial sector, that seem to 'eat and run' once increased profits have been made. People have scrutinized investments of this kind with critical eyes. Nevertheless, we should acknowledge the contributions that the foreign private equity funds have played in various sectors of the economy in the post-crisis period. Foreign funds have invested in troubled Korean firms, understanding any risks involved, and successfully turned them around for the better. To that end, even if domestic private equity funds that have been set up since 2004 have not yet performed to the market expectation, we have to understand that they have further roles to play as we anticipate growth of the M&A market in the coming years.

      • KCI등재

        사모펀드의 전략별 성과분석 및 성과지속성 연구

        송인규 ( I K Song ),강지은 ( Ji Eun Kang ),윤창현 ( Chang Hyun Yun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4 선물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Preqin의 데이터를 통하여 PEF의 성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PEF 투자시 상장주식과 PEF의 다양한 전략간, 지역 간, 투자시기 간에 분산투자효과가 있음을 보인다. PEF의 주요 성과지표인 IRR은 펀드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받는데 투자기간 동안의 경제성장률, 주식성장률, 물가상승률, 이자율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펀드 설립 당해년도의 같은 전략으로 모집된 자금총액, 펀드사이즈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IRR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펀드전략별로 상이하였다. 동일 매니저가 지속적으로 펀드를 출시하는 경우, 펀드사이즈는 커지는 경향이 있으나, IRR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PEF 매니저의 성과는 지속성이 있으며, 지속성의 정도 또한 전략에 따라 상이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ivate equity funds` performances and persistence by fund type. Diversification benefit exists between public equity and private equity and among different types of private equity funds. The net IRR of private equity funds depends on fund type, economic growth, stock market performance, inflation and interest rate. Fund performa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pital inflow to private equity market and fund size. Fund size and ser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Performance persistency exists in private equity fund managers. Fund type is very important factor in analyzing private equity fund performance and persistency.

      • KCI등재

        사모투자전문회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법상 개선방안

        이강 ( Kang Lee ) 연세법학회 2014 연세법학 Vol.23 No.-

        Private equity fund system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through Currency Crisis in 1997. At that time, as many large companies implemented restructuring, the situation which could not settle this only with domestic capitals was fac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private equity fund by domestic capital was keenly needed and private equity fund system was initially introduced in 2004. More refined private equity fund system is still implemented as Financial Investment Service and Capital Markets Act which was newly enacted by integrating finance-related laws in the end of 2007 was enforced from 2009. Important part related to vitalization of private equity fund is the tax law. Therefore, in order to vitalize private equity fund, the research to tax law should be accompanied. In USA partnership taxation system has been managed since older times in order to regulate partnership including private equity fund by tax law. In South Korea special provisions on taxation for partnership in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is also introduced. It can be said that law system on taxation of private equity fund is completely equipped on the surface. However, in spite of quantitative growth of private equity fund, there are still insufficiencies in system. In the procedure to introduce special provisions on taxation for partnership it is introduced by extremely simplifying the system due to the concern of administrative burden and tax avoidance trial, the original purpose of this system is not clearly understood. Also, as several core provIsions in taxation have insufficiencies or unclear parts in interpretation, it needs to be further discussed in application of law. Therefore, this article has studie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focusing on existing system in relation with insufficient or non-enough provisions in taxation of private equity fund.

      • KCI등재

        사모투자전문회사와 공정거래법상의 쟁점

        안수현 ( Soo-hyun Ahn ) 한국경제법학회 2005 경제법연구 Vol.4 No.1

        사모투자전문회사란 자사 재산을 다른 회사의 주식·지분 등에 투자하여 경영권참여·사업구조 또는 지배구조의 개선 등의 방법으로 투자기업의 가치를 높여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분할 것을 목적으로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에 의해 설립된 회사를 말한다. 모표표의 성격상 다른 회사의 經營權 參與가 필수적인 전제조건인바, 이를 기화로 경제력 집중수단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따라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들도 함께 작동되어야 하는바, 이 점에서 경제력 집중수단을 규율하고 있는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이하 공정거래법)과의 관계가 문제된다. 사모투자전문회사를 둘러싸고 제기되는 공정거래법상의 이슈는 크게 세가지다. 첫째, 사모투자전문회사의 本質이다. 즉 사모투자전문회사제도를 공정거래법에서 규율하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제도도입과정에서 커다란 쟁점이 되었고, 당시 정부는 공정거래법상의 지주회사규제와 출자총액 제한규제의 적용을 사모투자전문회사에는 배제시키는 것을 검토한 바 있다. 그러나 결국 지주회사규제는 유예하기로 한 반면에 출자총액제한은 현행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현재 사모투자전문회사에 대해 지주회사규제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공정거래법이 적용된다는 점에는 의문이 없다. 두 번째 이슈로는, 사모투자전문회사가 합자회사라는 조직형태를 취하고 있어 이를 예정하지 않은 공정거래법의 적용을 둘러싸고 해석상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점이다. 즉 기업결합의 관점에서 경제력 집중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해당제도들이 사모투자전문회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마지막으로 공정거래법규정들이 적용되는 것과 관련해서 사모투자전문회사제도의 취지를 몰각할 우려가 있는 경우 그 해소방안의 고안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문제들에 대하여 사모투자전문회사의 설립단계-성장단계-투자회수단계별로 고찰하였다. 즉 PEF에 대한 투자, PEF의 투자대상기업에 대한 투자, 투자자금회수라는 전개양상에 따라 고찰하였으며, PEF에 대한 투자 또한 세분화하여 PEF 설립시와 설립 후 추가로 투자하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러한 이유는 PEF를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서 운용하고자 하는 금융기관 및 전문운용사의 경우는 물론 투자자에 있어 공정거래법의 compliance측면에서 관련규정들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여부는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논문에서 는 사모투자전문회사에 공정거래법을 적용하는 경우 적지 않게 문제되는 것이 지배개념 내지 출자한도와 관련한 해석을 여하히 할 것인가 하는 점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하여 상법상의 사원의 권한 여하에 의거하여 공정거래법상의 규정을 해석하는 입장이 있으나 그러한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공정거래법의 해당 규정의 취지에 맞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한편으로 공정거래법의 적용으로 사모투자전문회사제도의 취지가 몰각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부작용을 피하는 방안이 입법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대안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출자총액제한규정과 관련해서는 PEF를 금융업자로 볼 필요가 있다는 점과 이에 관해 명문의 규정을 둘 것을 주장하였다. Private Equity Fund is an umbrella term that includes venture capital investments, private buyout funds and hedge funds etc. The most popular component of private equity is the buyout fund. Buyout funds are created by pooling investments by institutional investors or individuals that invest private equity in more mature companies. Buyout funds raise money from wealthy and sophisticated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vestors to invest primarily in privately placed securiti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applicability of Antitrust Law to buyout funds which is allowed in Collective Investment Scheme Act in 2004 as a new kind of private equity fund. The government amended Collective Investment Scheme Act on Dec. 2004 to allow establishing private equity funds modelled from American buyout fund which aims at increasing corporate value by way of M&A or corporate restructuring of portfolio companies and give its investment return to their investors. While some opinion that protest to strict Anti-Trust Law approach to private equity fund adopted by Collective Investment Scheme Act exist, considering the misuse of private equity funds employed by large companies or corporate groups which is so called chae-bal, it should not be allowed to loosen the applicability of Antitrust Law to private equity funds. From the first step to establish private equity funds to the last level the private equity fund to exit, they face with various controversial Anti-Trust Law related issues. This paper address these issues step by step and offers a road map to accomplish the successful compliance for not only Private Equity Fund's manager but also investors.

      • KCI등재

        대출형 사모펀드 규제의 법적 쟁점과 개선과제

        김은집 ( Kim Eun Jip ) 한국금융법학회 2017 金融法硏究 Vol.14 No.2

        2015년 7월 24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에 이어 금융위원회가 2016년 7월 5일“전문투자형 사모펀드의 금전 대여 업무 가이드라인”을 공고함으로써 이른바 대출형 사모펀드제도(private debt fund 또는 direct lending fund)가 국내에 도입·시행되게 되었다. 대출형 사모펀드제도는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의 자금조달수단을 확충·다양화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의 하나로 도입된 측면이 있지만 동 제도가 외국처럼 중소기업의 자금수요를 충당해 주는 채널로서 역할을 할지, 또는 인수금융의 일환으로 주로 활용될지 여부는 아직 판단하기 이른 감이 있다. 다만, 대출형 사모펀드제도가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제도 개선의 일환으로 도입되고 별도의 가이드라인을 통해 시행되고 있는 현실은 외국의 대출형 사모펀드와 법적·제도적인 측면에 서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측면에서도 결과적으로 많은 차이를 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대출형 사모펀드와 관련하여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와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간에 어느 펀드vehicle을 선택하는지 여부에 따라 법 적용상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감독정책목적 또는 투자자 보호 관점 어느 쪽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대출형 사모펀드를 포함한 우리나라 사모펀드제도를 설계할 때 미국·유럽의 입법례 등을 참고하여 국내·외 사모펀드시장 및 인접제도간 규제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는 방향으로 법과 제도를 설계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So-called "private debt fund" or "direct lending fund"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through the Amendment to the Financial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FSCMA”), took into effect on July 11, 2015, and Private Debt Fund Guideline, released by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on July 5, 2016. Private debt fund regime has been introduc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expand and diversify capital raising channels available for the corporate, but it is a bit premature to determine whether the regime plays constructive role to that end, or whether it may be utilized more likely as an acquisition financing tool.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Korean private debt fund regime demonstrates many dissimilarities compared to that of foreign jurisdictions from a practical standpoint as well as from a legal perspective. Also it is noteworthy that, under the existing Korean private fund regime, regulatory arbitrage problem may arise depending on the type of private fund vehicle for the private debt fund manager to choose due to different rules and regulations in place each, and it is inadvisable in terms of the public policy and/or for the protection of investors. With the aforementioned points in mind, this article suggests that future Korean private fund regime including private debt fund regime be redesigned to minimize the regulatory disparity problem between the private fund vehicles, and/or between the private fund vehicles and other similar investment vehicles.

      • KCI등재

        중국에서의 사모펀드 퇴출 체제에 대한 문제점 연구

        김광록,桂舟 한국기업법학회 2022 企業法硏究 Vol.36 No.2

        As the development of China's capital market accelerates, private equity investment funds, as an investment tool for corporate equity, are an important tool for the formation of long-term capital and innovative capital. Private equity funds focus on equity investment in non-listed companies. The main operating cycle includes four links: fund raising, fund placement, investment operation management, and fund withdrawal. They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capital market. Among them, the withdrawal of funds is the most important step in the entire operation process, which not only determines the income of investors, but also affects the next capital raising. Therefore, in the process of exclus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efficiency of the target, but also to balance the interests of all aspects. At present, the exclusion methods of private equity funds in China mainly include IPO exclusion, Mergers & Acquisition exclusion, equity repurchase exclusion, and liquidation exclusion. The exclusion channels in different environments have their own advantages and values.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current capital market and the exclusion mechanism of private equity funds, we understand the constraints of the macro market environment, the legislative obstacles of laws and policies, the operating status and scale of the invested company, and the cost of exclusion transactions, etc., and summarize the capital The market system is imperfect, the legal system at the exclusion stage is insufficient, the regulatory system is flawed, and the exclusion link is more restrictive. Suggestions on the construction of supporting operating systems and legal systems that meet different exclusion mechanisms are proposed to ensure the smooth operation of private equity funds. Exclusion, safeguard the interests of investors and invested companies, and effectively promote the steady and healthy development of the capital market. 중국의 경우 자본시장이 가히 혁신적이라고 할 만큼 그 발전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사모투자펀드 또한 매우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의 사모투자펀드는 기업 자본의 투자 도구로서 장기 자본과 혁신 자본 형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서 주로 비상장 기업에 대한 지분 투자에 중점을 둔다. 이들 사모투자펀드의 주요 운용 주기는 자금 조달, 자금 배치, 투자 운영 관리 및 자금 인출의 네 가지로 구분된다. 이러한 사모투자펀드의 운용과 관련된 모든 사항은 자본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중에서도 자금의 인출은 전체 운영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자금의 인출은 투자자 소득뿐만 아니라 다음 증자, 즉 자금조달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모주식펀드의 퇴출 과정에서 그 대상의 효율성을 확보하되 모든 측면의 이해관계를 균형 있게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중국 내 사모펀드의 퇴출 방식은 IPO 퇴출, 인수합병(M&A) 퇴출, 주식 환매 퇴출, 청산 퇴출 방식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상의 다양한 퇴출 방식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 그 방식이 갖는 고유한 장점과 가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재 자본시장의 현황과 문제점, 사모펀드의 퇴출 체제 등을 분석하여 자본시장의 환경 및 법정책의 입법 제약은 물론 투자기업의 운영상태와 규모, 퇴출 거래 비용 등을 연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이 글은 자본시장 시스템의 불완전성 및 퇴출단계의 법제도의 미비는 물론 사모펀드 퇴출 관련 규제제도의 결함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국 이 글은 투자자와 투자기업의 이익을 보호하고 자본시장의 안정적이고 건강한 발전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하여 사모펀드의 원활한 운용과 퇴출체제에 맞는 지원 운영체제 및 법제도 구축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라임사태와 우리나라 사모펀드 규제체계의 개선방안

        김홍기 한국경제법학회 2020 경제법연구 Vol.19 No.3

        In discussing the Lime ca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EF. Unlike public offering funds, PEF have little or no need for regulation because of their professional and small-scale nature.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excessive deregulation of PEF leads to a loophole in investor protection. Therefore, the following measures are needed to revitalize the private equity market while improving investor protection devices and strengthening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s. First, the regulation of PEF must be done carefully with a sense of balance. It is not desirable to turn away from the private equity market, which is becoming important at home and abro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policy of expanding the private equity market, but to increase the level of protection for individual investors as well.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dependent private equity guidelines for clear regulation. Currently, the regulation of PEF in Korea is divided into the Capital Market Act and a number of individual laws, and there is a problem of inefficiency due to inequality treatment among market participants and diversification of supervisory agencies, and it is necessary to reduce confusion by providing unified and clear guidelines for private equity funds. Third, private equity investment qualifications and sales standards for individual investors must be strengthened. No matter how qualified investors are,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 investors to evaluate and properly supervise the operation of private equity fun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ictly examine the qualifications of individual investors and regulate the sale of private equity funds through commercial banks. Fourth,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devices for PEF should be strictly established. In order to enable the private equity market to be activate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or supervisory authorities, it is inevitable to control it through internal control devices and external financial institutions. If not properly controlled, financial accidents will continue to occur, and the government and supervisory authorities will have to intervene. 라임사태를 논의함에 있어서는 사모펀드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공모펀드와는 달리사모펀드는 그 전문적이고 소규모적인 속성 때문에 규제의 필요성이 없거나 적고, 사적자치의원칙과 자유로운 투자가 요구된다. 라임사건을 통해서 지나친 규제의 완화는 투자자의 피해로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지만, 일부 자산운용사의 일탈 행위를 제도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지나치고, 고령화 등으로 인한 저성장의 국면에서 사모펀드 시장을 지나치게 억제하는 조치도바람직하지 않다. 향후 사모펀드 규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 첫째,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는 균형감각을 가지고 신중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중요해지는 사모펀드 시장을 외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사모펀드 시장의 확대 정책을 유지하되, 내부통제 시스템의 구축 등을 요구하여야 한다. 둘째, 명확한 규제를 위해서는 독자적인 사모펀드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재 사모펀드규제는 자본시장법과 다수의 개별법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시장참여자간 불평등 대우, 감독기관분산에 따른 비효율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통일적이고 명확한 사모펀드지침을 제공함으로써혼란을 줄일 필요가 있다. 셋째, 개인투자자에 대한 사모펀드 투자자격과 판매기준을 강화하여야 한다. 아무리 적격투자자라고 하더라도 개인투자자가 사모펀드의 운영을 평가하고 감독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개인투자자의 자격요건을 엄격하게 심사하고, 시중은행 등을 통하여 사모펀드를 판매하는 것도 규제하여야 한다. 넷째, 사모펀드에 대한 내부 및 외부통제장치를 엄격하게 구축하여야 한다. 정부나 감독기관의개입이 없이도 사모펀드시장이 성공적으로 성장하려면, 내부의 통제장치 및 외부의 금융기관을통한 통제가 불가피하다. 제대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금융사고는 계속하여 발생할 수밖에없고 정부와 감독기관이 개입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 Private Equity Funds in the Partial Acquisitions Market : Effect on the Target Firm Governance

        Yun W. Park,Young S. Kim,Moon H. Song 한국재무학회 2011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09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rivate equity funds on the governance of targets of partial acquisitions for the 1997-2000 period. We find that private equity funds dominate the partial acquisitions market and account for most of shareholder activism. The three-day cumulative abnormal return (CAR) on partial acquisitions by activist private equity funds is 18.51% showing a significant economic effect of the private equity fund activism on the target firm governance. The CAR for partial acquisitions by non-activist private equity funds is 1.86%, which is likely to reflect a partial resolution of the pricing inefficiencies in small-cap markets. Activist private equity funds are more likely to obtain a board representation. While most activist private equity funds stay with target firms at least for a year, some activist private equity funds close their position within a year via takeover. The takeover anticipation effects appear to be present in the positive market reaction to partial acquisitions by private funds. Underleveraged targets are more likely to be taken over in a year. Furthermore, the market reaction to partial acquisitions by activist private equity funds is particularly large when there is no previous outside block.

      • KCI등재

        사모 주식형 펀드 규모 비율과 주식시장 수익률

        하연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0 아태연구 Vol.27 No.4

        This study newly defines the size ratio of private placement equity funds mainly invested by institutions (corporations) compared to public offering equity funds mainly invested by individual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with stock market returns. The size ratio of the private placement equity fund to the public offering is divided into the size ratios of the domestic fund and the international fund. I exa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in the size ratio and the difference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ock markets return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the past and current domestic stock market returns are higher than those of 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ACWI (All Country World Index) and MSCI World, private placement equity funds currently have a higher ratio of domestic funds and a lower ratio of international fund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rate of change in the past size ratio could predict the difference in future returns, there is a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in the domestic fund size ratio and the difference in the future returns and a nega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rate of change in the international fund size ratio. This study contributes to confirming that the rate of change in the past size ratio of private placement equity funds can give information on future stock market returns. 본 연구는 개인이 주로 투자하는 공모 주식형 펀드 대비 기관(법인)이 주로 투자하는 사모 주식형 펀드 규모 비율을 정의하고, 주식시장 수익률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공모 대비 사모 펀드 규모 비율은 국내투자 펀드 규모 비율과 해외투자 펀드 규모 비율로 나누고, 규모 비율 변화율과 과거, 현재, 미래 국내와 해외 주식시장 수익률 차이 간에 유의적인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사모 펀드의 미래 수익률 예측 능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과거 및 현재 국내 주식시장 수익률이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ACWI(All Country World Index) 및 MSCI World 수익률 보다 높을 때, 사모 주식형 펀드의 국내투자 펀드 비중이 더 높고 해외투자 펀드 비중이 더 낮았다. 과거 규모 비율 변화율이 미래 수익률 차이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국내 규모 비율 변화율과 미래 수익률 차이는 양(+), 해외 규모 비율 변화율과는 음(-)의 유의적인 관계를 가졌다. 이는 MSCI ACWI, World, Emerging Markets 수익률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기간에 따라유의성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기간 존재하는 현상이었다. 본 연구는 사모 주식형 펀드 규모 비율 변화율이 미래 주식시장 수익률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미를 가진다. 비록 1개월, 3개월 정도의 단기 예측이지만, 사모 펀드의 경우 투자에 제약이 적고 법인이 주로 투자하기 때문에 공모 펀드 투자자와 비교하여 미래 주식시장 수익률의 추세를 더 잘 예측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