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조어진과 봉안처에 대한 재고찰 - 어진의 다양성과 의미, 봉안처의 기능을 중심으로 -

        손명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한국문화 Vol.- No.103

        This article revisits portrait paintings of King Yeongjo (r. 1724-1776) and their enshrinement places, drawing from Brief Notes on Royal Genealogy (Seonwon gyebo giryak) and King Yeongjo’s writings. It focuses on the diverse iconography and significance of the portraits, as well as the roles of their enshrinement places within the political context of King Yeongjo’s reign. During his lifetime, King Yeongjo produced more than ten portraits of himself on six different occasions. With the exception of the 1773 full-length portrait in a dragon robe, which was officially commissioned by the Temporary Office for Royal Portrait Production, King Yeongjo rendered his portraits and their associated enshrinement places official by documenting them in the Brief Notes on Royal Genealogy, which were revised and published 28 times during his reign. These portraits were shown to and disclosed to court officials before being documented in the books. While King Yeongjo was alive, only full-length portraits of him in official attire and their corresponding enshrinement places, such as Taeryeongjeon and Mannyeongjeon, were recorded in the Brief Notes on Royal Genealogy. In contrast, half-length portraits, portrait sketches, and informal attire portraits were included in the 1779 edition of the Brief Notes on Royal Genealogy, published after his death. Consequently, the enshrinement places for these informal portraits, such as Yuksanggung (his biological mother’s shrine) and Changuigung (his residence before accession), were also recorded in the book. King Yeongjo commissioned various types of portraits, including those in informal attire, such as a gentlemen’s everyday coat (dopo) and a wide-brimmed horsehair hat (gat) or a square hat (bangguan), as well as portraits in official attire, including a full ceremonial gown, a red robe for court audiences, and dragon robes. The 1714 portrait presented by King Sukjong, known as the Portrait of Prince Yeonning, served as a visual symbol of his political legitimacy since its documentation in the 1725 edition of Brief Notes on Royal Genealogy, published right after his accession. This portrait also played a pivotal role as justification for King Yeongjo’s commissioning of portraits of himself throughout his reign. In 1733, as he pursued a monarchy-centered political approach, the king began commissioning portraits of himself. Particularly noteworthy are the portraits from 1744, which served as commemorative depictions of his entry into the Agency for the Elderly (giroso),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King Taejo and King Sukjong. They also functioned as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political ideology established by the Grand Instruction of 1741. King Yeongjo frequently donned a gentlemen’s everyday coat paired with a wide-brimmed horsehair hat during private audiences with officials, archery tests, small banquets honoring elderly officials, and visits to his biological mother’s shrine. In one of the 1757 portraits, King Yeongjo was depicted wearing this attire, while the other 1757 portrait displayed the king in his everyday coat and a square hat. The 1763 portrait, depicting him at the age of 70 in a red robe for court audiences, prominently featured an armrest and a walking stick. These items symbolized his entry into the Agency for the Elderly, serving as a commemoration and visualization of King Yeongjo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King Taejo and King Sukjong. Lastly, the 1773 portrait, created when he reached the age of 80, and its sketch, was acclaimed as the most alike. The diversity found in King Yeongjo’s portraits proceeded the court officials’ inclination to commission portraits in various official attires and to incorporate commemorative objects in their portraits. Furthermore, these portraits would have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portraits of Grand Prince Heungseon featuring a variety of everyday attire. Portraits of King Yeongjo were enshrined in four location...

      • 조선시대 어진(御眞)과 어의(御衣)

        박성실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6 한국 복식 Vol.0 No.35

        어진은 왕의 초상화, 예진은 왕세자의 초상화를 말하여 어의는 어진과 예진에서 예복으로 착용하고 있는 관복과 관복 속에 입은 평상의대를 의미한다. 어의 복원 대상은 태조와 영조 익선관본 어진, 익종(효명세자)의 면복본 어진,철종의 군복본 어진, 고종의 통천관본 어진 등이다. 조선 전기의 관복은 주청과 사여를 통하여 명 친왕제 관복제도를 수용하였으며『 국조오례의서례』에 도설(圖說)로 남겨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명의 멸망과 함께 후기에는 조선식의 관복제도가 정비되었으며 대한제국시기에는 황제의 관복제도를 시행하여 황제국의 위상을 갖추었다. 어진 관련 의궤들이 남아있으나 복식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관복 관련 고증 자료는 면복의 현의와 중단을 제외하고 유물자료는 남아있지 않아 관찬사료를 이용하였다. 평상의대 부분은 국상 시 염습의대 기록에 근거하였으며 유물은 불복장 유물과 왕가의 후손 출토복식을 참고로 하였다. 태조의 청포 곤룡포, 홍정옥대, 흑화 일습의 어진은 명 황제의 고명(誥命)을 받기 이전 사신을 맞이할 때 길의장(吉儀 仗) 차림이며 곤룡포-답호-철릭-저고리-바지(개당고형)-한삼-속바지(합당고형)-백말로 일습을 갖추었다. 영조의 홍포 익선관본 어진은『 국조속오례의보서례』 도설과 유물은 선조의 후손 밀창군과 탐릉군의 출토유물과 영조 염습의대를 참조하였다. 곤룡포-답호-중치막-장유(장의)-바지-고의-백말로 일습을 갖추었다. 익종(추존)의 7장 면복(왕세자용) 어진은 관찬자료, 도설자료, 임오년 발기, 현의와 중단 유물 등을 참조하였다. 현의백사중단-창의-장의대(장유)-저고리-바지(동의대)-한삼-고의-백말-적말로 일습을 갖추었다. 철종 군복본 어진은 선행연구와 관찬자료, 궁중자수본, 탐릉군 출토배자, 국말 유물, 궁중발기, 철종 염습의대 등이 참조되었다. 용보부착 쾌자(전복)-용보부착 동다리(협수)-배자(협수전복)-장유-바지-한삼-고의-백말로 일습을 갖추었다. 고종 통천관복 어진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어진과 사진을 참조하고 관찬자료,『 대명회전』『 대한예전』,「 예복」, 1938년 장서각 문서, 염습의대 등을 참조하였다. 강사포-백사중단-전복-주의-저고리-바지-한삼-고의로 일습을 갖추었다. 어진의 어의 복원은 처음 시도된 것으로 시작의 의미를 두고 추가로 보완될 것이다. Eojin refers to the portrait of the King and Yejin to the portrait of the crown prince. Eoui refers to an official's attire as a Gwanbok and inner daywear in the portrait of the King and the portrait of the crown prince. The attires of the kings to be restored are the portraits of Taejo, Yeongjo, Ikjong (Prince Hyomyeong), Cheljong and Gojong. The official uniform system of Ming Dynasty was accepted in the officials' attir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was to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explanatory diagram in 'Kukcho oryeui' through Jucheong and Sayeo. The official uniform system of Joseon style was sorted ou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tatus of emperor state was complet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official attire system of the emperor. There are Uigwes related to Eojin remained but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ostume designs is not foun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official records of the official uniforms have been used because no artifact materials except for Hyin-ui(King’s or crown price’s ceremonial robe) and Jungdan, Mam’s inner robe of the Myeonbok, King’s ceremonial attire as the data for historical researchremain. Dressing at ordinary time was based on the shroud at the time of national mourning and the relics were referred to in the light of the relics of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and the excavated costumes of the royal family. A suit is composed of blue Gorlyongpo(Dragon robe) - Dapo(Coat with short sleeve) - Cheollik(Coat with pleats) - Jeogori(Jacket) - Baji(Pants) - Hansam(Undetshirts) - Sokbaji(Inner pants) - Baekmal(white socks) and Heukwha(black shoes) in the portrait of King Taejo. A suit is composed of Gorlyongpo – Dapo – Jungchimak(Coat) - Jangui(coat)- Baji(Pants )- Goui(Jacket)-Baekmal(White socks) in the portrait of King Yeongjo. A suit is composed of Hyin-ui(King’s or crown price’s ceremonial robe) – Jungdan(Inner robe) - Chang-ui(Coat) - Janguidae(Coat) - Jeogori – Baji - Hansam – Goui - Baekmal – Jeokmal(Red socks) in the portrait of King Ikjong. A suit is composed of Gwe-ja(Sleeveless with dragon insignia) - Dongdari(Military official's robe with dragon insignia) - Baeja (overcoat with narrow sleeves) - Jang Yu(Coat) - Baji - Hansam – Goui - Baekmal in the portrait of King Cheoljong. A suit is composed of Gangsapo(King’s ceremonial robe) - Jungdan – Jeonbok( Overcoat) - Ju-ui(Coat) - Baji - Hansam - Goui in the portrait of King Gojong. Restoration of attires in the portraits of the Kings were conduct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a variety of data, including the old literatures, such as ‘Gukjosokoryeuiboseorye’, ‘Daemyeonghuijeon’, ‘Daehanyeojeon’, ‘Yeobok’ and official records, the antique artifacts, excavated attire artifacts. Restoration of King's attire in the portrait of the King was first attempted, which signifies the beginning of the studies on King's attire with the additional supplementation expected.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睿眞의 성립과 전개 : 〈연잉군 예진〉을 중심으로

        박지영 한국미술사학회 2022 美術史學硏究 Vol.315 No.315

        왕자의 초상화인 예진은 숙종대에 이르러 공식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첫 수혜를 입은 왕 자는 연잉군, 즉 영조였다. 영조는 이때의 예진을 때에 따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예진이 점차 정치적으로 특 별한의미와지위를갖출수있도록하였다.본논문에서는숙종대이후영조에의해정치적시각물로활용되 며 점차 격상된 지위를 수립하는 예진의 발전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조는 1714년 <연잉군 예진>을 하사받았으며 이는 지지기반이 약했던 영조에게 정치적으로 유리한 수 단이 되어 주었다. 이후 경종대에 세제에 등극한 영조는 1724년 다시금 스스로의 예진 도사를 시도하는데, 이 를 통해 달라진 자신의 신분을 시각화하고자 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후 임금이 된 영조는 숙종으로부터 하사 받은자신의예진을끊임없이언급하고궁궐내로이봉하여봉심케한다.또한이에그치지않고자신의후손 인 사도세자와 정조에게도 예진을 도사할 기회를 허락함으로써 숙종대에 시작된 예진 전통이 후대로 계승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영조는 부왕에 의해 일회적으로 하사된 예진에 특별한 의미와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자신과 이후 왕자들의 지지기반을 확고히 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예진은 점차 격상된 지위를 획득하며 조선 후기 하나의 전통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되었다. The Portrait of Prince Yeonying was the official prince portrait, or yejin 睿眞, that was commissioned by the king. Prince Yeonying (1694~1776) attended to his prince portrait in person and used it as a statement of his power at the junctures of his political career even after he ascended to the throne to become King Yeogjo (r. 1724~1776). This paper tracks the trajectory of prince portraits acquiring new significance as the visual proclamation of royal authority in the late Joseon. The Portrait of Prince Yeonying was bestowed upon the prince by his father, King Sukjong (r. 1674~1720) in 1714. That event played out politically favorable for the prince for whom the political support was not yet built on a stronghold. When he was appointed as Crown Prince to his brother, King Gyeongjong (1720~1724), Prince Yeonying had his official portrait to be painted once more, and thereby sought to proclaim visually his elevated position in court politics. After his coronation, he continued to turn to his prince portrait, eventually having it moved to the interior of the royal palace so that it could be regularly examined and treated. Furthermore, he allowed his heir apparent, Crown Prince Sado, and grandson, who later became King Jeongjo, to have their official prince portraits, establishing the production of prince portraits as a norm to be observed by later generations. King Yeongjo, in other words, added political significance to his own prince portrait, which was a one-time gift from his father, as a means to bolster the basis of political support for not only himself but also his successors. Through this trajectory, prince portraits came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visual politics of late Joseon.

      • KCI등재

        <영조어진>의 제작기법 연구

        정두희(Chung, Doo-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6 미술문화연구 Vol.9 No.9

        본 연구는 1900년에 이모(移模)한 영조(英祖, 1694∼1776)의 어진(御眞)에 대한 문헌 및 유물 조사와 제작기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시대 왕의 초상의 그린 어진(御眞)은 당시의 제작 방법이나 작업의 수준을 보여 줄 수 있는 가장 전형적인 작품들로 조선의 초상 양식을 대표할 수 있다. 어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의궤나 실록 등 문헌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유물에 대한 감상이나 추측에 의한 제작 기법 연구들이 많았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함께 실제 유물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2009년 <영조어진> 유물을 실견(實見)하고 안료분석 결과 등을 연구할 수 있었다. 그 당시 현상모사본과 복원모사본을 함께 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영조어진> 관련 문헌 기록과 유물에 대한 과학적 조사, 복원 모사를 통해 그 제작기법을 고찰해 보았다. <영조어진>의 제작과정과 기법을 살펴보면,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상초 과정에서 선을 살펴보면, 입체감 있는 이목구비를 선의 농담과 비수를 살려 묘사하였다. 곤룡포는 철선묘 계통으로 일정한 두께의 선을 사용하였다. 채색 과정에서 <영조어진>의 용안 배채는 눈 부분의 구별 없이 한 가지 색으로 제법 두껍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용보의 배채 부분이 금박으로 처리된 것이 특징적이었다. 전채에서는 음영 처리가 선보다 강하지 않고, 선 위주의 표현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붉은 곤룡포의 주름 처리에서는 서양화적 명암을 가미한 입체감 표현으로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전통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성을 반영한 변용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문헌과 유물의 조사를 통한 실질적인 기법 복원이라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복원 모사를 통한 이 제작기법 연구가 단절된 기법을 살려낼 뿐만 아니라, 전통을 계승하고 현대의 초상화 및 회화 기법에 다시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describes the techniques used in the Portrait of King Yeongjo based on academic studies, a collection of royal protocols from the period, and scientific surveys of the portrait in question.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many royal portraits from the Joseon period were burned. However, a few of these portraits-as well as a collection of royal protocols detailing their construction-survived, so scholars can still study the techniques employed and marvel at the skills of traditional Korean portraitists. While several studies about these royal portraits currently exist, they are written from an art history point-of-view. Not only have I taken these collections into account, but I also had access to the original paintings, which allowed me to do my research directly from the source. This opportunity allowed me to make replicas that followed the original techniques, mimicking the original materials as closely as possible. I explored the techniques, skills, and materials used in this traditional portrait, and then applied them towards creating my own replicas of the portrait. To accomplish this, I thoroughly researched the original portrait, making use of both academic studies-a list of the painters chosen by the court and many of the pigments, papers, silks, etc. used were documented in the a collection of royal protocols called “Uigwe(儀軌)”-and scientific surveys-such as, microscopic examination and XRF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pigment analysis of the portraits. This research allowed me to determine which techniques and raw materials were used with a great deal of accuracy. In the portrait of King Yeongjo, all of the lines were painted only once, and the pigment used in coloring the front was kept remarkably thin, which allowed the original lines to show through and alleviated the need for retracing. Many other such variations in technique were discovered through my research, and they are detailed in the full essay. Materials used for the portrait were of the highest quality available in the Joseon Dynasty. Gold leaf was used extensively on the reverse of the canvas, and gold powder was used for coloring the front of the canvas. In addition, other mineral-based and plant-based pigments were used. First-hand observation of the original portraits showed which pigments were used on which side of the canvas to create the final color effect of the portraits. This technique of painting both sides of the canvas is unique to silk-canvas portraiture and has several benefits.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he artists were able to create a clear, watercolor-like effect on the faces of the subjects by using only a very thin layer of plant-based pigment to color the faces on the display-side of the portrait. This made the ever-important lines clearly visible, thanks to the transparency of the thin pigment layer.

      • KCI등재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模寫都監儀軌)』에 나온 편연지 재현

        서예진 ( Seo Ye Jin ),김민 ( Kim M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模寫都監儀軌)에 나타는 편연지에 대한 재현과 연지에 사용된 염료의 분석 및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로서 영조어진 유물에서 연지의 사용으로 추정되는 곳을 현장조사를 통해 분석 하였다. 회화에 사용된 유기염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며 추정하는 것의 한계점을 보완하기위해 고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영조어진의 표제부분에서 보이는 연지(臙脂)의 광학적인 분석과 인공 가속열화를 실시하여 사용된 연지의 본래의 색상과 종류를 찾고자 하였다. 영정모사도감의궤(1901)를 통하여 영조어진에서 사용된 편연지(片臙脂)를 재현하여 어진에 사용된 유기염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문헌을 통한 연지에 사용된 대표적인 재료로 홍화, 락, 코치닐, 소목을 선정하여 목화솜에 적색염료를 염착시켜 편연지를 제작하였고, 건조된 편연지에서 다시 연지를 추출하여 색상을 비교하였다. 영조어진의 표제 부분의 연지 본래 색을 탐색하기 위해 직접 만든 연지의 시편들을 제작하여 비교 분석했다. Thin-layer chromatography(TLC)분석을 통하여 중국산 편연지와 홍화, 락, 코치닐, 소목으로의 염액을 놓고 성분들을 이동한 정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어진제작 사용된 편연지의 매염제에 대한 화학적인 분석연구가 진행된다면 다양한 적색 염료로 만들어진 색의 표준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회화에서 사용되는 연지와 같은 적색 유기염료의 유물보존처리시에 염료의 판별과 복원재료 선정에 표준데이터로써의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recreation of Pyeonyeonji indicated in Yeongjeongmosa-dogam Uigwe and presumption of dyeing used in Yeonji. This thesis conducted case study for the title of the portrait of King Yeongjo and analyzed the use of Yeonji in the Red royal robe by field study. There were restrictions in presuming the organic dye used in paintings due to lack of research in the respective field. Inorganic dye used for painting the portrait of king can be mostly presumed, and the research has been already carried out. However, research on organic dye used in paintings is rare. There are limitations of the portable equipment, and today’s analytical equipment is mostly for inorganic dye analysis. To overcome given limitations, this thesis tried to look for the original color and type of Yeonji used on the title of Yeongjo’s portrait of king mentioned in Korean Old Documents by conducting optical and artificial acceleration degradation analysis. Research on organic dye was also conducted by recreating Pyeonyeonji used in Yeongjo’s portrait of king based on Yeongjeongmosa-dogam Uigwe. The Korea old documents recorded carthamus tintorius, laccaic acid, cochineal and caesalpinia sappan as main materials used for Yeonji. Pyeonyeonji was created by dyeing red dye in cotton, and dried Yeonji was extracted from dried Pyeonyeonji which was used to compare color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elf-made samples of the yeonji were done in order to find the original color of yeonji appeared in portrait of king Yeongjo. This research is anticipated to become a basic reference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dye, and selection of the material used for restoration when applying conservation treatment to the red organic dyes such as Yeonji used in paintings.

      • KCI등재

        繪畵文化財 模寫復原에 관한 고찰 : 英祖御眞 모사복원을 중심으로

        김범수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8 No.-

        문화재는 우리가 살아왔던 역사의 증거물이다. 그러한 문화재를 보존하고 지켜나가는 것이 전통을 이어나가는 우리의 일이다. 그러나 문화재는 세월이 지나면서 열화가 되고, 또 소멸되어버린다. 특히 회화문화재는 다른 장르의 문화재에 비해 열화나 손실이 가장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존과학의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또 하나의 방법으로 모사복원을 통해 원화는 보다 더 쾌적한 환경에 보관을 하면서 한시적인 공개를 원칙으로 하고, 일반 공개 및 전시 등은 모사복원 작품이 대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사진과 인쇄기술의 발달로 회화문화재를 복제하여 전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전시를 위한 보조물이지 역사성을 갖는 또 다른 차원의 이모 문화재라고 할 수는 없다. 모사복원을 통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문화재를 만드는 것이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고, 문화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본 논고의 대상이 되는 영조어진(英祖御眞, 보물 제932호)은 영조 20년(1744)에 장경주(張景周, 1710∼?), 김두량(金斗樑, 1696∼1763)이 그린 것을 광무4년(1900)에 이모(移模)한 것이다. 이때의 주관화사는 채용신(蔡龍臣, 1850∼1941), 조석진(趙錫晉, 1853∼1920)이다. 필자는 채용신과 조석진이 이모(移模)한 영조어진을 다시 모사복원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즉 모사복원의 단계, 표현 기법, 재료 등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경험적인 사실들을 기록한 것이다. 실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 방법이나 재료, 기법, 그리고 전통 심미안 등이 연구, 계승되어 뚜렷한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점에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에 따른 이론을 정리하여 이후에 행해질 또 다른 모사복원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The Cultural Assets is the evidence of our history and it is our duty to keep and preserve the cultural assets. But as time goes by, the cultural assets get harmed by heat or destroyed. Especially, in compare to the other kind of cultural assets, the painting cultural assets is one of the weakness one to get easily loss or get hurt by fire of strong sunshine. So, the field of preservation study should work and prepare for the measure to complement this sort of damage. In addition this, we must keep the original paintings in more agreeable and well equipped place through the work of copy painting restoration. Also we should open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 public only once in a year. We need to replace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 copy paintings. In modern times,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picture and printing technology, there are many occasions to exhibit the cultural asset painting-copy. However, this cultural asset painting-copy is just a helping aid, it can not be the cultural assets. Making brand another kind of new cultural asset through the copy restoration is inherit the tradition and it is also to strengthen the cultural capacity. In this thesis, ‘the King, Yeongjo’s (英祖) Portrait (designated as a treasure #932)’ was drawn by Jang Kyung-ju(張景周, 1710∼?) and Kim Du-ryang(金斗樑, 1696∼1763) and it was transplant-copied by Chae Yong-shin(蔡龍臣, 1850∼1941) and Jo Seok-jin(趙錫晉, 1853∼ 1920) in the 4th year of Gwangmu,1900 A.D. We described the course of transplant-copying of the King Yeongjo’s portrait which was transplant-copied one by Chae Yong-shin and Jo Seok-jin. We recorded the scientific and experiential facts about the procedure, expression techniques, materials of the painting restoration. In the skillfully course of restoration work of the King Yeongjo’s portrait, we felt that the study of the cultural assets’ restoration method, materials, techniques should be well inherited and settled as one kind of study field. In this point of view, we wish our theory thesis would be a reference material to reduce the trial and error in another kind of copy-restoration work of the cultural assets.

      • KCI등재

        繪畵文化財 模寫復原에 관한 고찰-英祖御眞 모사복원을 중심으로-

        김범수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8 No.-

        The Cultural Assets is the evidence of our history and it is our dutyto keep and preserve the cultural assets. But as time goes by, thecultural assets get harmed by heat or destroyed. Especially, incompare to the other kind of cultural assets, the painting culturalassets is one of the weakness one to get easily loss or get hurt by fireof strong sunshine. So, the field of preservation study should workand prepare for the measure to complement this sort of damage. Inaddition this, we must keep the original paintings in more agreeableand well equipped place through the work of copy paintingrestoration. Also we should open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 publiconly once in a year. We need to replace the original paintings to thecopy paintings. In modern times,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picture and printing technology, there are many occasions to exhibitthe cultural asset painting-copy. However, this cultural assetpainting-copy is just a helping aid, it can not be the cultural assets. Making brand another kind of new cultural asset through the copyrestoration is inherit the tradition and it is also to strengthen the cultural capacity. In this thesis, ‘the King, Yeongjo’s (英祖) Portrait (designated as atreasure #932)’ was drawn by Jang Kyung-ju(張景周, 1710∼?) andKim Du-ryang(金斗樑, 1696∼1763) and it was transplant-copied byChae Yong-shin(蔡龍臣, 1850∼1941) and Jo Seok-jin(趙錫晉, 1853∼1920) in the 4th year of Gwangmu,1900 A.D. We described thecourse of transplant-copying of the King Yeongjo’s portrait whichwas transplant-copied one by Chae Yong-shin and Jo Seok-jin. Werecorded the scientific and experiential facts about the procedure,expression techniques, materials of the painting restoration. In the skillfully course of restoration work of the King Yeongjo’sportrait, we felt that the study of the cultural assets’ restorationmethod, materials, techniques should be well inherited and settledas one kind of study field. In this point of view, we wish our theorythesis would be a reference material to reduce the trial and error inanother kind of copy-restoration work of the cultural assets. 문화재는 우리가 살아왔던 역사의 증거물이다. 그러한 문화재를 보존하고 지켜나가는 것이 전통을 이어나가는 우리의 일이다. 그러나 문화재는 세월이 지나면서 열화가 되고, 또 소멸되어버린다. 특히 회화문화재는 다른 장르의 문화재에 비해 열화나 손실이 가장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위해서는 보존과학의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또 하나의 방법으로 모사복원을 통해원화는 보다 더 쾌적한 환경에 보관을 하면서 한시적인 공개를원칙으로 하고, 일반 공개 및 전시 등은 모사복원 작품이 대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사진과 인쇄기술의 발달로 회화문화재를 복제하여 전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전시를 위한 보조물이지 역사성을 갖는 또 다른 차원의 이모 문화재라고할 수는 없다. 모사복원을 통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문화재를 만드는 것이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고, 문화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본 논고의 대상이 되는 영조어진(英祖御眞, 보물 제932호)은영조 20년(1744)에 장경주(張景周, 1710∼?), 김두량(金斗樑,1696∼1763)이 그린 것을 광무4년(1900)에 이모(移模)한 것이다. 이때의 주관화사는 채용신(蔡龍臣, 1850∼1941), 조석진(趙錫晉, 1853∼1920)이다. 필자는 채용신과 조석진이 이모(移模)한영조어진을 다시 모사복원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즉 모사복원의 단계, 표현 기법, 재료 등에 대한 과학적이고도 경험적인사실들을 기록한 것이다. 실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 방법이나 재료, 기법, 그리고 전통 심미안 등이 연구, 계승되어 뚜렷한 하나의 학문으로자리 잡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점에서 영조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그에 따른 이론을 정리하여 이후에 행해질 또 다른 모사복원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군복본(軍服本) 정조어진(正祖御眞)의 제작과 봉안 연구 —사도세자에 대한 정조의 효심과 계승 의지의 천명—

        이성훈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0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5 No.-

        In the year 1791, King Jeongjo (r. 1776-1800) unofficially ordered the production of two portraits depicting him in military uniform. The larger version of the portraits was enshrined in Gyujanggak and the smaller version inside Hyeollyungwon. Hyeollyungwon is the tomb of his father Crown Prince Sado (1735-1762), who starved to death after being confined inside a rice chest by order of King Yeongjo (r. 1724-1776), Jeongjo’s grandfather. Both versions of Portrait of King Jeongjo in Military Attire (Gunbokbon Jeongjo eojin) do not exist anymore. But it is believed that the larger version is almost identical to Portrait of King Cheoljong (Cheoljong eojin) in terms of composition and depicted objects. Enshrining one of King Jeongjo’s portraits inside a building beside the tomb of his father follows the example of King Yeongjo, who had likewise installed his own portrait inside Naengcheonjeong. It is a pavilion belonging to Yuksanggung, which is the ancestral shrine for his biological mother Sukbin Choe (1670-1718). By installing his portrait in this manner, King Jeongjo attempts to create his public image in which he appears to be symbolically waiting on his father. It also visually conveys his intention to express his filial piety towards his father. But the fact that the king is portrayed in military robes deserves special attention. He made efforts to associate the military uniform with the very attire of his father because Crown Prince Sado wore it when the prince visited Suwon in 1762. Accordingly, he always wore his military uniform whenever he visited Hyeollyungwon in Suwon to show his filial piety. The particular clothing, which was chosen for these portraits of Jeongjo,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his filial piety as well as his wish to be seen as the successor to Crown Prince Sado. In this article, I have come to two conclusions. Firstly, the production and enshrinement of royal portrait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not separate. On the contrary, there are strong interrelations between producing the paintings and enshrining them in specific locations. Secondly, Jeongjo, different from previous kings, considered royal portraits to be formal objects of preservation, which were supposed to be maintained eternally for future generations. He also regarded his own portraits as a means of displaying his psychological selfhood and identity.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shows how Jeongjo used his portraits to express his grief about his father as well as to confidently represent himself as the son of and successor to Crown Prince Sado. 정조(正祖, 재위 1776-1800)는 1791년에 비공개로 군복본 어진 대본(大本) 1본과 소본(小本) 1본을 제작한 뒤에 이 두 본을 규장각과 현륭원(顯隆園)의 재실에각각 봉안하였다. 현륭원은 정조의 부친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의 묘소이다. 이 두 본의 어진은 모두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이 중 대본은 〈철종어진〉과거의 동일한 도상의 초상화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정조가 자신의 초상화를 부친의 묘소 재실에 둔 것은 선왕(先王) 영조(英祖, 재위 1724-1776)가 자신의 어진을 냉천정(冷泉亭)에 봉안한 사례를 따른 것이었다. 냉천정은 영조의 생모인 숙빈최씨(淑嬪崔氏, 1670-1718)의 사묘(祠廟)인 육상궁(毓祥宮)의 재실이다. 정조는 자신의 어진을 현륭원 재실에 봉안함으로써 마치 자신이 부친을 옆에서 시위(侍位)하는 듯한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효과를 내고자 하였다. 부친에 대한 자신의 효심(孝心)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한의도도 내보였다. 그런데 더욱 주목되는 사실은 이 재실에 정조가 군복을 복색(服 色)으로 한 어진을 두었다는 사실이다. 정조는 군복을 무엇보다 자신의 부친 사도세자가 온행(溫行) 중 수원에 들렀을 때 착용했던 옷으로 기억하였다. 그 결과 그는 수원에 위치한 현륭원을 방문할 때는 반드시 군복을 착용하였다. 군복본 정조어진 속 군복은 이처럼 사도세자에 대한 정조의 효심과 계승 의지가 투영된 상징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다음의 두 가지 중요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중 첫번째는 조선시대에 어진의 제작과 봉안이 각각 따로 진행된 별개의 사업이 아닌서로 연계되어 진행된 것이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정조가 자신의 전임(前任) 국왕들과는 달리 자신의 어진을 후대에 영원히 남겨야 할 이른바 공적인 보존대상으로만 인식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자신의 내면의식과 정체성 혹은 개인적인 염원을 드러낼 수 있는 매체로 분명히 인식했다는 사실이다. 즉, 그가 부친에 대한 추모의 마음을 표현하고 자신을 사도세자의 아들이자 계승자로서 당당히 표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써 초상화란 매체를 적극 활용했던 사실을 필자는 이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1) -고종대 이전 왕실발기를 중심으로-

        박부자 국립고궁박물관 2022 古宮文化 Vol.- No.15

        This article is the first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Wangsil Balgi(王室 발기[件記]), a list of royal item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Until now, the status of Wangsil Bal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was not well known. Therefore, it was written twice to introduce the status of Wangsil Bal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to the academic world. Currently there are 32 Wangsil Balgis in total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In this paper, the first volume, 12 Wangsil Balgis written up to King Gojong(高宗) were targeted. First, 〈Gogung 1741〉 is a list of brass bowls and wooden objects prepared in connection with the marriage of Princess Hwasun(和順翁主, 1720-1758), written by Naesussa(內需司) in 1732, and is the oldest of the Wangsil Balgi. Regarding Wangsil Balgi written before the 19th century, they exist only as a record, and the actual material has not been confirmed.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existence of Wangsil Balgi written in the 18th century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e existence of 〈Gogung 1741〉. There are three Wangsil Balgis written during Heonjong(憲宗) and Cheoljong(哲宗): 〈Gogung 2214〉 written in 1846, and 〈Gogung 2213〉 and 〈Gogung 2522〉 written in 1851. All three of these cases are related to the enshrining of the portraits of the former king(御眞 奉安) and are data showing the reality of the enshrining of the portraits of the former king in the 19th century. Eight pieces of Wangsil Balgi from King Gojong(高宗) are in the collection. 〈Gogung 2216〉 was written by Naesussa in 1864, and it is a list of cloths sent to the Original Palaces(本宮) in Hamheung(咸興) and Yeongheung(永興) . 〈Gogung 2220〉 and 〈Gogung 2221〉 are lists of food for the memorial service of Queen Shinjeong(神貞王后). 〈Gogung 717〉 is a list of court ladies who were active at the wedding of Uihwa-gun(義和君, 1877-1955) in 1893. And 〈Gogung 2215〉 is a list of food prepared during the Iandarye(移安茶禮) and Judarye(晝茶禮) in 1896. 〈Gogung 2211〉 is a list of food for a tea ceremony(茶禮) held in the royal mausoleum in 1898 and 〈Gogung 2223〉 is a list of items sent to each place during the ancestral rites in Jinjoen(眞殿) in 1905. This paper has only briefly introduced these materials, but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n-depth research in related fields will progress in the future. 본고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과 내용을 소개하는 첫 번째 편으로, 그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에 대해서는 그 현황조차 제대로 알려진 바 없어 두 번에 걸쳐 그 현황을 학계에 소개하고자 작성되었다.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왕실발기는 총 32점으로, 첫 번째 편인 본고에서는 고종대 이전에 작성된 왕실발기 12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18세기 초인 1732년에 화순옹주 길례 때 내수사內需司에서 작성한 왕실발기 〈ᄂᆡ슈ᄉᆞ 화슌옹듀 길녜시 소용 각양 유긔 목믈 ᄇᆞᆯ긔(고궁1741)〉는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오랜 것이다. 19세기 전의 왕실발기에 대해서는 그간 기록으로만 존재할 뿐 자료 실물이 확인된 바 없었는데 이로써 18세기에 실재한 왕실발기가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 〈辛亥五月十七日 眞殿第六室 器皿(고궁2213)〉, 〈신ᄒᆡ오월십칠일 봉안시(고궁2522)〉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 〈신ᄒᆡ오월십칠일 환안시(장서각1880)〉과 함께 철종대의 어진 봉안 의례 및 그 의례와 관련하여 어떤 왕실발기가 작성되었는지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간 어진 봉안과 관련된 왕실발기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는데 연속성을 갖는 실증적인 자료가 확인된 것이다. 고종대 왕실발기 8점 중 〈갑ᄌᆞ구월 위시 냥 본궁 의ᄃᆡ소입(고궁2216)〉은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에는 본궁에서 지낸 제례와 관련하여 별건으로 남아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또 신정왕후의 제사와 관련된 〈신묘ᄉᆞ월십칠일 됴샹식 겸ᄒᆡᆼ 샹다례 단ᄌᆞ【큰뎐】(고궁2220)〉과 〈신묘십이월초뉵일 탄일 다례 단ᄌᆞ【큰뎐】(고궁2221)〉나 의화군 길례 때 작성된 〈의화군 길례시 자비내인 발기(고궁717)〉 등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과 함께 관련 의례를 촘촘히 재구성하고 왕실발기의 제작 과정을 밝히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 왕실발기는 기록된 왕실 물명을 통해 18, 19세기 왕실언어의 특징 또한 살펴보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고에서 소개한 각 왕실발기의 작성 시기와 내용이 바탕이 되어 이후 관련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가 진전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