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계승

        박지영(朴智映)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본 논문은 류병덕 박사의 논고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에 담긴 ‘평화통일사상’을 계승하여 오늘날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해법을 원불교사상에서 찾아 본 것이다. 류병덕은 원불교사상, 한국 전통종교사상, 한국사상사에 걸친 방대한 학문세계를 구축한 원불교학계의 선학(先學)으로서, 올해 10주기를 맞았다. 그의 ‘평화통일사상’이 집약된 만년의 논고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을 재조명함으로써 선학의 학문적 업적을 기리고, 오늘날 ‘한반도 평화’에 종교가 기여할 역할이 무엇인지 모색해 보았다.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에는 한민족 정체성 회복을 위해 ‘5대 민중종교’ 사상을 더듬어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그는 민중종교 사상을 통해 남북 양측 공감대를 형성하고, 평화통일의 정신문화를 창조할 수 있다고 확신하였다. 논자는 최근 통일 담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시기에 맞추어 류병덕의 이러한 논지를 재조명해 보았다. 첫째, 한국 전통종교사상으로서 ‘동학’에 주목한 이병한의 발언과 북한이 한국 토착사상인 ‘동학’에 공산주의 평등사상의 근간을 두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둘째, ‘장마당’ 형성 등 북한 경제 구조 변화 주역이 체제나 제도가 아닌 북한 인민 즉, ‘민중’이라는 연구와 민중의 힘을 통해 혼란한 사회를 극복하고자 했던 ‘민중종교’에 주목한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사이의 접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류병덕의 「한국 민중종교의 평화통일사상」이 나오기까지 류병덕 학문의 궤적을 되짚어 ‘평화통일사상’ 형성 배경에 ‘소태산의 국가관’과 ‘한국 전통종교사상’, 두 가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을 계승하여 오늘날 한반도 평화통일 문제에 대응할 원불교의 역할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오늘날 한반도 상황과 그동안 논의되었던 남북통일 방안을 검토하고, 백낙청의 ‘한반도식 통일과정’에 주목해 이를 소개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해법으로 원불교사상 중 ‘강자·약자의 진화상 요법’을 제시하였다. ‘강자·약자의 진화상 요법’이 현실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원불교사상인 ‘일원철학’이 해당 공동체 전체에 폭넓게 공감될 수 있도록 원불교사상에 대한 ‘해석학’이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남북 협력 시 남과 북의 강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진정한 강점으로 선도되고 진화해 나갈 것임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Dr. Ryu Byeongdeok"s treatise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and finds a solution in Won-Buddhist thought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Ryu Byeong-deok was a Won-Buddhist scholar who built a vast academic system spanning Won-Buddhist philosophy, the philosophy of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and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This year marks the tenth anniversary of his death. By revisiting the idea of Korea’s peaceful unification in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this paper commemorates his academic contributions and explores how religion can contribute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argues that to reclaim Korean identity we need to retrace the philosophies of ‘the five major folk religions’. Ryu was convinced that the philosophies behind folk religions would enable the two Koreas to form a consensus and create a spiritual culture of peaceful unification. In line with the recent discussions surrounding unification, the author sheds new light on Ryu"s thesis. First, this paper focuses on Lee Byeong-han"s discussion of ‘Donghak’ as Korea’s traditional religious philosophy and on the fact that North Korea"s communist egalitarianism finds its roots in that same indigenous philosophy. Second, this paper tries to find links between studies claiming that the main agents of change in North Korea"s general economic structure, and particularly in the emergence of ‘jangmadang’ (market grounds), are the North Korean ‘people’ themselves, rather than their regime or system, and Ryu"s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found in ‘folk religion’. Moreover, by tracing Ryu"s academic career, culminating in his「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in Korean Folk Religion」,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emerges from two sources: ‘Sotaesan’s (Pak Chung-bin’s) idea of the state’ and ‘Korea’s traditional religious philosophy‘. Last, expanding upon Ryu"s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the paper explores how Won-Buddhism can contribute to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oday.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peninsula and the various measures that have been offered for reunification, it introduces Paik Nak-Chung "s ‘idea of a uniquely Korean unification process’. In this context, the Won-Buddhist theory of ‘The Essential Dharmas Regarding How the Strong and the Weak May Evolve’ is presented as a solution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apply this theory to reality, a deepening of hermeneutics in Won-Buddhist thought is necessary, so that ‘Il-Won (One Circle) philosophy’ can be acknowledged as a philosophy for all human beings. The paper also suggests that a careful analysis of the strengths of both Koreas is necessary if they are to be led by and progress toward true strength in their cooperation.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반도 통일교육의 방향: 한반도 평화와 공존의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김창근 ( Kim Changgeun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1 분쟁해결연구 Vol.19 No.3

        이 논문은 코로나19를 지나면서 나타나고 있는 국제관계 패러다임의 변화가 한반도 평화·공존의 의미에 주는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반도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첫째, 통일교육은 포괄안보의 관점에서 다양한 한반도 평화의 의미와 융합적 접근을 강조해야 한다. 한반도 평화 이슈의 다차원성과 한반도 지역의 시·공간적인 평화·공존의 의미가 새롭게 설명되어야 한다. 기존 남북한 협력의 차원을 넘어 ‘한반도라는 상위의 미래 정체성’에 대한 인식 위에 새로운 남북한 협력의 의제가 상상되어야 한다. 둘째, 통일교육은 한반도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남북한 평화·공존 협력의 연결과 활성화를 강조해야 한다. 한반도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남북경협의 인식과 실천이 강조되어야 한다. 남북한 주민의 삶의 문제와 연관지어 일상적 평화가 강조되어야 하며, 일상적 작은 평화를 큰 평화로 연결하려는 노력이 한반도 평화·공존의 토대가 된다는 점이 부각되어야 한다. 셋째, 통일교육은 한반도 평화·공존의 규범과 레짐의 활성화를 위한 남북한 및 국제협력의 필요를 강조해야 한다. 남북한 생명·안전 공동체로서의 연결성의 의미가 우선 부각되어야 하며, 북한 비핵화가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조 변경과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북한 비핵화 대화·외교와 함께 구조적 차원에서의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려는 정부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며, 한반도 평화·공존 협력을 위한 국제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suggested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ost-corona era based on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 paradigm appearing after the COVID-19 in the meaning of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meaning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 convergent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comprehensive security.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peace issue and the meaning of temporal and spatial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newly explained. In addition, a new agenda for inter-Korean cooperation must be imagined on the basis of the recognition of the “superior future identity as the Korean Peninsula” beyond the current cooperative dimension. Secon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connection and vitalization of peace and coexistenc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emphasized. Furthermore, the peace in the ordinary lives should be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sidents’ lives, and it should be highlighted that the efforts to connect the peace in the ordinary lives build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Thir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need for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revitalize the norm and regime for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eaning of the connection as a life-safety commun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must first be highlighted, and it must be recognized that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must go hand in hand with restructuring of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o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dialogue and diplomacy,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role i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t a structural level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public diplomacy for peace and coexistence and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highlighted.

      • KCI등재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과 통일비용의 헌법적 검토

        홍종현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을 실현하기 위한 인권보장의 실질적 조건이자한계로서 국가재정의 역할을 중심으로 통일비용을 검토하였다. 과연 한반도는 통일이될 수 있을지, 그리고 과연 언제쯤 통일이 이뤄질 수 있을지 미래는 알 수 없지만 우리는 이에 대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통일정책과 국제관계의 변화, 헌법질서와 국가형태 등 어느 하나도 명확히 확정된 것이 없는 상황에서 통일비용을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통일에 대한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통일비용을 객관적으로정확하게 추계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통일정책을 올바르게 수립하고 추진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더라도 통일비용은 단순히 정책과제이거나 프로그램 목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헌법적 요청이고 과제에 해당한다. 한반도평화정착과 통일에 대한 논의는 안보논리, 군사전략, 외교전술과 국제관계론 등 다양한시각에서 검토할 수 있지만, 헌법적으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인권이라고 할 것이다. 역사를 변화시키는 주체는 인간이다. 통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결국 우리 국민들 스스로정의로운 평화공동체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하는 통일에의 의지와 공감대에 기반하여 가능한 것이다. 만약 남북한 통일 이후에 특정 계층만이 그 이익을 독점적으로 향유하고 부담을 감수하지 않고 회피하려고만 한다면,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만약 남북한 주민들 사이에서 통일 한국(정부)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 형성과 유지는 미해결의 과제로 장기간 어려움이 지속될 수도 있다. 현실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구체적인 통일비용을 둘러싼 여러 쟁점들(재정의 투명성, 책임성, 효율성, 건전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고려하면서 통일준비과정에서부터 불필요한 갈등과 논란을 줄일 수 있도록 합리적인 의회문화를 형성하고 심의기능을 실질화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향후 통일을 대비하여 재정제도와 조세법제를 개선하며, 지방자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헌법을 개정하는 논의를 비롯하여 법제정비를하는 과정에서도 통일이 즉시 쉽게 이뤄지지는 않겠지만 언제든지 도래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여 재정의 공공성, 효율성, 건전성 및 투명성을 제고하고 통일을 대비하여야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has reviewed “the unification cost” central to the role of national finances functioning as the substantial condition and limitations upon securing the human rights to implement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difficult to predict in future whether the Korean peninsula shall be unified or when the unification might occur, but one should be prepared for such circumstances. However it is not an easy task to estimate “the unification cost” when there are changes in the unification polic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nd which form of the constitutional law and the governmental body will be formulated upon unification is not fixed. Despite all the uncertainty, it is a matter of grave consequence that one should estimate the unification cost objectively to materialize the national intention for unification and to formulate unification policies which should be constructed and pushed forth to disclose to the public in public transparency. Considering the case of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of the Germany, the subject matter of the unification cost does not simply justify policy assignment or an objective of a program, but rather calls for the constitutional demand and a national project to prepare for unification. The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unification may be examin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security, military strategy, diplomatic tac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ould relate to human rights in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The principal entities that change history are people and the enabling of reunification process would be made possible based on the willingness and the national consensus to form and maintain a just and peaceful national regime by the Korean people voluntarily. It would lead to serious problems if certain group of people in the society tried to monopolize the benefits of the reunification and evade the unification cost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If the national consensus and trust for the unified korean government is not formed by the citizens of both the north and south Korea, the formulation,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may face unresolved obstacles for a lengthy duration of time. There are many issues considering the specific unification cost that may lead to problems such as the transparency, responsibility, effectiveness of national finances, and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plans as well as the measures to guarantee such effect. Considering all above-mentioned issues, one should construct a rational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to avoid unnecessary conflict and disputes, and review mechanisms to proceed with r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from the beginning of the reunification process. Also,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ne should improve the public finance system, the tax regulations and the local government to carry out future projects in an effective manner.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shall not occur easily or be realiz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one must remember to be prepared while the discussions of the Constitutional law and the regulations are undergoing reforms. The public nature of the unification cost, the effectiveness, soundness, and transparency of the public finance system must be enhanced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in the possible future.

      • KCI등재

        한반도의 평화문제와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의 모색

        윤철기(Cheol-Gee Yoo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7 정치정보연구 Vol.20 No.1

        이 글은 통일교육이 통일과정의 평화적 실천을 위해서 한반도의 평화문제에 주목하고, 평화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현재 한반도의 평화문제에서 논의해야 할 문제들 가운데 네 가지 주제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한반도의 평화적 공존 문제이다. 통일교육은 남북한의 적대적 의식을 약화시고 평화공존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남북한 대화의 역사와 중요한 합의들이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고, 그것이 실천되지 못했는지에 학생들과 함께 논의해야 한다. 두 번째 문제는 남한에서의 ‘남남갈등’이다. 남남갈등은 정치권력에 의해서 정략적으로 이용되어 시민사회의 갈등을 촉발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통일교육은 남남갈등의 기원과 역사에 대한 교육과 해법에 대해서 학생들과 함께 열린 토론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통일교육은 북한이탈주민의 이해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통일교육은 한국사회에서 남북한 사람들 간의 오해와 편견, 반목과 갈등을 극복하고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한 갈등해결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은 남북한의 경제적 격차가 통일과정에서 구조적 폭력과 갈등을 촉발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도록 돕고, 북한의 저발전 극복이 한반도 평화통일을 성취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라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This paper stresses necessity of peace education for peaceful practice, noting peace problems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unification process. Especially, it stresses 4 theme to have a discussion with students about current issues in the Korean-Peninsula. Firstly, it is the problem about peaceful coexistence in the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education need to educate the history of North-South Korea’s Dialogue, sense of the main consensus and have to discuss causes not practicing them with students. The Second problem is ‘South-South Conflict’ in South-Korea. Political power have used south-south conflicts politically and have aggravated conflicts within civil-society in South-Korea.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educate the origin and history of south-south conflicts in South-Korea and debates for solution need to open to students. Thirdly, unification education have to expand education understanding North-Korean defectors. Unification education need to implement a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to overcome misunderstanding, prejudice, antagonism, and conflicts, and to accomplish integration between inter-Koreans in the Korean society. Lastly, unification education help us to understand that the economic disparity is possible to touch off structural violence and conflicts in the unification process, and to appreciate that overcoming underdevelopment in North-Korea is important for peace unification in the Korean-Peninsula.

      • KCI등재

        한국 정부의 통일교육 : 역사, 현황, 방향

        김진환 ( Kim¸ Jin-hwa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이 글은 정부가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어떠한 통일교육 방향을 제시해왔는지 성찰하고, 앞으로는 어떠한 방향을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하는지 논의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1970년대 초반 이래 한반도 안팎 정세 변화에 따른 정부 통일교육 목표변화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 이후 정부 통일교육 목표 변화와 주요 성과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성찰과 진단을 토대로 앞으로 정부, 학교, 시민사회단체 등이 민주적·사회적 합의를 통해 함께 나아가야 할 통일교육 방향을 제안했다. 앞으로 정부가 지향하고,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할 교육은 평화담론을 통일 이유로서 무엇보다 강조하고, 평화와 통일의 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평화·통일교육’이다. ‘평화·통일교육’은 통일교육 목표에 평화교육이 강조하는 요소, 곧 ‘다름’의 인정, 다양성 존중, 비폭력적 의사소통 및 평화적 갈등 해결 능력 함양 등을 단순히 추가하는 교육이 아니다. 평화·통일교육은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을 한반도 평화 진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로 바라보게 해 주고, 한반도 평화가 결코 통일로 완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에 그치지 않고 평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도록 하는 교육이다.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direc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the government has offered to unification education workers and discusses what direction to suggest going forward. To this en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ituation inside an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early 1970s. Next, we looked at changes in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and major achievements after the resum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in 2018. Finally, based on these reflections and diagnosis, we propose a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school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unification education that should pursue together through democratic and social consensus. The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is aiming for and that should be suggested to unification education actors is known a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of which emphasizes peace as the reason for unification above all else and allows u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unifi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oes not education that simply add elements(recognition of difference, respect for diversity,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fostering of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skills etc.) emphasized by peace education to th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goal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helps members of Korean society view unification as a necessary task for the advance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kes them aware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be completed simply through unification. Through thi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enables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to work tirelessly for peace, not just for unification.

      • KCI등재

        평화통일 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최윤철 한국공법학회 2010 公法硏究 Vol.39 No.2

        The Korean Constitution shows peaceful reunification based on the liberal fundamental order as a constitutional standard of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lso it provides that not only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slands are Korean territories. At the same time North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peaceful reunification as a basic principle of the unification so that both North and South Korea insist that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peaceful. There were already lots of studies about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s of public law especially constitution. Particularly ‘liberal fundamental order’, the meaning of ‘peaceful’, and the territorial bounds. There were also a large number of researches about Constitutional order in the unification of Korea. But relatively there were a few results that some provisions provided for the unification would be suitable for the constitution or not. Partially some constitutional scholar studied that provisions related to the unification were adapted to the constitutional standards or ran counter to them. These were also very restricted only in special cas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unification is a task that people have to perform as the sovereig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hat there is a national consensus about the unification, without this, legislations and policies of the unification would be restricted. Legislators authorized the constitution have to observe and improve constantly legislations and provisions for the unification as a fundamental task of the sovereign. 대한민국 헌법은 한반도 통일의 헌법적 기준으로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대한민국이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북한도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을 통일의 기본원칙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양자 모두 한반도에서의 통일은 평화적이어야 함을 밝히고 있다. 한반도 통일과 관련한 그간의 공법학, 특히 헌법학적 연구에서는 주로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통일의 헌법적 기준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특히,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평화적’의 개념 및 의미, 영토의 범위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통일 한국의 헌법적 질서에 대한 연구도 상당히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헌법이 지향하는 통일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제정되는 법률에 대한 헌법적 적합성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과 관련한 법률들이 헌법이 정하고 있는 기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 혹시 헌법에 반하는 것은 아닌지의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 졌고, 그 연구도 한반도에서 논쟁사안이 발생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통일은 주권자인 국민 스스로가 헌법적으로 중요한 과제로서 정하고 있는 주권자의 과제이다. 통일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전제되지 아니하는 통일입법 및 통일정책은 기대효과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헌법에 수권하고 있는 입법자는 주권자의 의사인 통일과제의 구체적인 집행을 위한 입법과 해당 법률들에 대한 끊임없는 관찰과 개선을 하여야 한다.

      • KCI등재

        종교와 평화 그리고 통일-종교적 화합을 통한 통일전략-

        이명권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2

        This paper has begun with questions as to how religion can contribute to peaceful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Looking back at the history of modern Korea, as shown in the 3⋅1 movement, religion contributed to the peace and independen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ra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fore, this paper is the study of peaceful reunification strategy through harmony between religions. In Chapter 2,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we cannot ignore peaceful reunification, considering the meaning of studying religion or living as a religious person in the unique situation of Korea, whilst referring to the attitude of studying relig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 an example of this, I have looked into the “Samdong(三同) ethic” idea of the Won Buddhism(圓佛敎)’s great monk, Jeong-San(1900-1962) who had suffered under Japanese rule and expressed the desperate necessity of “founding theory of nation” in view of East Asian tradition. This was also an attempt to test how religious thought applied to peaceful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Chapter 3, I asked how religion can contribute to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exploring this question, I looked at its ideolog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In terms of its ideological contribution, I examined the idea of peace in each religious tradition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find out the methodology of in-depth dialogue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religions and cooperate in peaceful reunification. The center of the conversation is not a superficial and exclusive doctrinal dialogue, but rather a dialogue between the core and the core, emphasizing the need to learn a good tradition of mutual religion in openness and to promote harmony and solidarity amongst religions. Thus, I have suggested some proposals of unification policy that religion could make, such as creating a religious unity of peace and unification, as well as educating people on the benefits of unification.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it was considered that the religious alliance, as a private organization, could be a voice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denuclearization, the North Korea-US peace treaty,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resumption of tourism in Mount Kumgang. Religious people should aim to influence public opinion through actively promote things that are not led by the government, such as private-sector support for North Korea 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We must go a step further and take the lead in disarming and reconciling social divisions such as the South-South conflict, and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peace-keeping institutions such as the DMZ UN peace university. In this era of transition, the spirit of reconciliation, forgiveness, love, and cooperation among religious people is more urgently required. 이 논문은 종교가 한반도 평화 통일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근대 한국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3⋅1운동에서 보듯이 종교는 일본 제국주의 시대에 한반도의 평화와 독립에 기여했다. 따라서 본고는 종교 간의 화합을 통한 평화통일 전략에 대한 연구가 골격을 이룬다. 2장에서 한반도에서 종교를 공부하는 자세를 언급하면서, 분단 한국의 독특한 상황 속에서 종교를 공부하거나 종교인으로 산다는 것의 의미를 고찰하면서, 평화통일을 외면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실례로서 일제 치하에서 고난을 겪으며 ‘건국론’의 절실한 필요성을 제시한 원불교 2대 정산종사의 ‘삼동윤리’ 사상을 동아시아의 전통에 비추어 고찰해 보았다. 이것은 종교 사상이 한반도 평화통일 논의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시험해 보는 시도였다. 3장에서는 종교가 한반도 평화통일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을지를 물었고, 그 대안으로서 이념적 기여와 실천적 기여로 나누어 고찰했다. 이념적 기여에 대해서는 각 종교전통이 지니는 평화사상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종교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통일에 협력하기 위한 심층적 대화의 방법론을 모색해 보았다. 대화의 중심은 피상적이고 배타적인 교리적 대화가 아니라, 핵심과 핵심의 대화로 이어져서 열린 자세로 상호 종교의 훌륭한 전통을 배우며 종교 간의 화합과 연대를 도모해야 함을 역설했다. 그리하여 범종교적인 평화통일 연합체를 구성하여 종교단체가 통일편익교육 등을 강화해야 하는 등 종교가 할 수 있는 통일 정책의 몇 가지 제안들을 제시해 보았다. 정부가 할 수 있는 통일 정책 이외에 민간단체로서의 종교연합체는 비핵화를 포함하여 북⋅미간 평화협정이나,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다양한 방면에서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더 나아가 남남 갈등과 같은 사회 분열을 극복하고, DMZ 유엔 평화 대학과 같은 평화 유지기구의 건설을 장려하는 일이 요구된다. 변화의 시대에 한반도 통일을 위해 종교인들 사이의 화해, 용서, 사랑, 협력의 정신이 절실히 필요하다.

      • KCI등재

        남북관계 변화와 한반도 평화

        김창근(Kim, Chang-geu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

        본 논문의 목적은 남북관계 변화에 나타나는 ‘사실상의 통일’(de facto unification)의 의미와 필요를 강조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인식적 과제를 모색해 보려는데 있다. 논문은 기능주의(functionalism)와 신기능주의(neo-functionalism) 등 통합이론의 관점에서 남북관계 변화를 살펴보고, 구성주의(constructivism) 시각에서 과제를 제시했다. 남한의 대북정책은 기능주의와 신기능주의의 순환이었는데,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다시 신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발전하고 있다. 6·15 남북공동선언은 남북관계 패러다임을 사실상의 통일로 바꾸는 전기가 되고 있다. 통일지상주의에서 벗어나 통일보다는 평화를 염두에 두고 점진적인 평화관리에 입각해 사실상의 통일을 우선 추구하는 인식이 현실적일 것이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인식적 과제로는 첫째, 남북관계에서의 새로운 정체성과 상호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인간안보의 보편화, 힘(power)과 발전(growth)의 의미 재구성, 포괄적 상호성 인식, 긍정적 상호작용의 추구 등이 제기된다. 둘째, 몇 가지 통일쟁점에 대한 균형 인식의 문제가 있다. 열린 민족주의, 한반도 평화번영의 필요, 한반도문제의 지정학적 이해, 화해협력과 안보의 균형 인식, 민족문제에 대한 북한의 정치적·편의적 활용의 의미, 미국의 신축적 대북 역할 필요와 우리의 초당적 협력 등이 그것이다. 셋째, 전략적·실용적 사고가 필요하다. 대북정책 기조와 정책대응을 구분해 인식하며, 미국의 동북아정책과 한반도정책과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mphasize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de facto unification in inter-Korean changes and explore the tasks required to achiev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is end, this research examines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tegration theory such as functionalism and neo-functionalism, and presents tasks for recognition in terms of constructivism. South Korea's North Korean policy has been alternating between functionalism and neo-functionalism, and its policy has been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neo-functionalism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e 2000 inter-Korean Summit. The June 15th South-North Korea Joint Declaration was a critical occasion for changing the paradigm of inter-Korean relations as de facto unification. Discarding the omnipotent viewpoint on unification, it would be more realistic to pursue de facto unification based on gradual management for peace, i.e., focusing on peace rather than unification. The following tasks are required for recognition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formation of a new identity and the necessity to change recognition on reciprocity in accordance with inter-Korean changes,the necessity of open nationalism and peace and prosperity as a matter of balancing recognition on unification issues, understanding geopolitical aspects on the issues of the Korean Peninsula, keeping the balance betwee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security, understanding the North Korean intention on the issue of the nation as their convenient purpose, promoting the flexible role of the US toward North Korea and practicing bipartisan cooperation in South Korea, recognizing between basis of South Korea's North Korean policy and pursuit of its policy as a separate matter based on strategic and practical thinking, and understanding U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평화통일국민협약’ 추진의 법제도적 과제

        최철영 한국법제연구원 2018 법제연구 Vol.- No.55

        Crisis of trust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south-south conflicts among Korean political circle, civil society and peoples on the issue of the Korean peninsula policy driven by south Korean government, have weakened the sustainable and consistent energy of the policy for peace and unification of Korea peninsula. At the moment of drastic change of south-north relation in Korean peninsula, National agreement as a foundation of sustainable peace and unification policy has very important meaning. Because of this, national contract of unification as a kind of social concertation, has been demanded.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is an unprecedented process for making unofficial legal norm because it authorize quasi-legislative binding force on the agreement which is concluded by the Korean political circle, civil society and peoples for the peace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includes ‘agreed aim and principles’ for peace, prosperity and unification as well as process and result. And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also is characterized long duration of aim achievement and openness of participating subjects. In terms of law, it will be legitimate source for comprehensive modification of international and internal law. In addition, The nature of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as a people’s law, should be considered as soft law which has the power to realize its contents through the enactment of legislation and policy. In order to guarantee the establishment and effectiveness of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the setting of organization is need to determine the range of representatives, wh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contract making, procedure of contract and to carry out the contract after the conclusion of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For the reason, the Council of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as a independent administrative government committee and ‘Act on National Contract for Peace and Unification’ is needed. 한국 사회의 내적 신뢰위기, 특히 한반도정책에 있어 남한의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국민 사이에 존재하는 남남갈등은 지속적이고 일관성있는 한반도 평화통일정책의 추진력을 크게 약화시켜 왔다. 한반도의 새롭고 대담한 평화를 위한 남북관계의 대전환기에 지속가능한 평화통일정책의추진기반으로서 국민적 합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 국민 모두의 안위와 미래에 직결되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문제에대한 일종의 사회적 협의체제로서 통일국민협약이 요구되어 왔다. 평화통일국민협약은 모호하고 추상적인 평화와 통일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의 형성을 넘어 구체화된 한반도정책의 원칙과 방향 그리고 실천적과제에 대하여 각 참여주체가 합의하고 합의된 협약에 대하여 준(準) 입법적 구속력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비공식적 법규범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평화통일국민협약은 개념적 측면에서 과정과 결과 모두를 포함하는 ‘국민의 합의’로서 한반도평화번영과 통일의 ‘합의된 방향과 원칙’을 담고있는 협약이며, ‘목표달성의 장기성과 참여주체의 개방성’을 특징으로 한다. 법적인 측면에서는 비공식적 법규범으로서 종전선언 전후에 추진되어야 할 관련 국내법제의 종합적 정비와 국제법적 합의의 정당성 근거를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국민의 법’으로서 평화통일국민협약의 법적 성격은 ‘정치적 강령’이나 사회적 합의의 차원을 넘어 합의의 내용이 관련 법제의 제정이나 개정의 법원(source of law)으로서 의미를 갖으며 조직화된시민사회의 평가를 통해 협약으로부터의 이탈이 억제되고 구속력이 담보되어야 한다. 동시에 국민협약은 그 자체는 법규범이 아니지만 국민협약의 이행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독립적 행정조직에 의하여 이행되는 연성법(soft law) 규범으로서 역할을 하여야 한다. 평화통일국민협약의 성립과 이행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협약에참여하는 국민적 대표의 범위결정과 협약추진 절차 그리고 협약의 추진과 협약체결 이후 이행을 위한 기구의 설립과 조직구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정부의 독립행정위원회 조직으로 ‘(가칭)평화통일협약국민회의’의설치와 ‘(가칭)평화통일협약국민회의법’을 통한 평화통일국민협약 추진법제의 입법이 요구된다.

      • KCI등재

        역대 정부의 통일정책과 통일 NGO 운동에서 나타난 ‘평화’에 대한 시론(時論)

        한수아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3 평화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역대 정부의 통일정책에서 논의되는 한반도 평화를 역사적 맥락에서 다시 살펴보고, 정부의 정책이 통일 NGO 운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각 NGO의 활동을 통해 분석하여 검토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정부의 통일정책과 통일 NGO 활동에서 나타나는 평화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역대 정부마다 민족의 숙명 과제인 평화통일은 국가정책의 최우선순위에 두었으나 해당 정권에 대한 정치적 지지의 선택요인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평화는 상호 논쟁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통일 NGO는 시민들에게 통일문화의 주요한 가치와 신념을 갖도록 통일사회화의 기능과 역할 수행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시대의 정치적·사회적 상황과 맞물려 운동의 방향과 성격을 달리하며 남남갈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냉전 국가로 출발한 한국 사회는안보 논리에 따라 지역, 세대 갈등을 구조화시키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평화에 대한이해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한반도 평화구축에 있어 정부 정책뿐만 아니라 통일 NGO의 역할 또한 그무엇보다 중요하다. This study revisits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discussed in the unification policy of previous governments in a historical context, We will identify and review how the government's policies affected the movement of unification NGO through studying activities throughout certain periods of unification NGO’s existence. Hence, it is intend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peace in th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and unification NGO activities. Peaceful unification was a national task, and the top priority of national policy for each government in the past, but peace is becoming a factor of mutual debate as it is recognized as an optional factor of political support for the regime. Unification NGO aims to be functioning the role of unification socialization so that citizens can understand and accept the main values and beliefs of unification culture. However, in line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the times, the direction and nature of the movement change, resulting in an conflict within the South Korean Community. Korean society, which its beginnings are heavily influenced by the Cold War, is structuring regional and generational conflicts based on security logic. To overcome such issu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peace in Korean society, and the role of unification NGOs as well as government policies crucial in build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