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 역할과 정체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송승연(Song, Seung Yeo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 경험 분석을 통해 역할과 정체성을 이해하는 것,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정신장애인 당사자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료지원가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전반적인 삶에 영향을 주는 동료지원가’, ‘다양한 사회적 구조 및 환경 속에 위치한 동료지원가’, ‘경험의 힘에서 비롯되는 동료지원가의 정체성’, ‘개인적 삶에서 새로운 미래를 꿈꿀 수 있는 동료지원가 활동’ 이라는 4개의 핵심범주와 1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동료지원가의 역할과 정체성에서 살아있는 경험의 공유, 경험적 지식, 동등한 관계 등은 핵심요소로 나타났다. 동료지원가는 경험전문가, 친구, 환자 등의 다양한 정체성이 공존할 수 있지만, 그들은 경험을 원동력으로 삼아 선순환적인 새로운 정체성을 향해 나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동료지원서비스 활성화와 정착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ole and identity of peer support worker through experience analysis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it questingly. To this end,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ix peer support workers who are active in a organizations for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 core categories of ‘peer support worker who influence the whole life of the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peer support worker who are in various social structures and environments’, ‘Identity of peer support worker originated in the power of experience’, ‘peer support worker activities to help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dream of a new future in personal life’ and 14 sub-themes were derived. Sharing of lived experience, experience knowledge and horizontal relationship are seen as key factors in the role and identity of peer support worker. Although various identities such as experience experts, friends, and patients coexist as a peer support worker, It turns out that they are moving toward a new identity of a virtuous cycle by using experience as the driving for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the activ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 peer support services.

      • KCI등재

        정신재활서비스와 정신장애인 자립생활역량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전재현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effect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dependent Living Competency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are living in the community.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mentally ill people who were using services offered by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during the study period, have lived independently, and used the service centers for three months or longer. 231 persons with mental illnesses who utiliz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employing moderated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dependent living competency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mentally ill people used. Second, competency increased when the participants used community welfare services. Third, the competency increased with satisfaction with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Fourth, independent living education increased competency. Fifth, the competency was lower when mentally ill people were on independent living case management. Lastly,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mentally ill people received and their independent living competency. Based on the findings, the Commission proposed the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services to enhance the independent living competency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are living in the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정신재활시설 이용 및 독립주거 거주기간이 3개월 이상인 정신장애인들이며, 총 231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연구결과로는 첫째, 다양한 유형의 정신재활서비스를 많이 이용할수록 정신장애인들의 자립생활 역량이 향상되었다. 둘째, 지역사회의 복지서비스를 이용할수록 정신장애인들의 자립생활 역량이 향상되었다. 셋째, 정신재활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도움 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이 향상되었다. 넷째, 자립생활 교육을 받은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자립생활과 관련한 사례관리를 제공받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경우 자립생활 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가 정신재활서비스 이용종류 수와 자립생활 역량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에 기반한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인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 자립생활 역량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짐을 의미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 역량을 향상을 위한 정신재활서비스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위탁아동이 인지한 사회적지지와 심리사회적 적응

        최영(Young Choi) 한국아동복지학회 200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4

        본 연구는 위탁가정의 유형에 따른 아동특성, 위탁가정특성 및 위탁아동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의 가정위탁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아동 46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47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먼저 위탁가정 유형에 따른 아동특성의 경우 위탁기간, 위탁이유 등에서만 집단간 차이가 나타난 반면, 위탁가정특성의 경우 주부양자 연령, 직업유무, 가구수입, 부채유무, 친형제위탁유무, 주거형태 등 대부분의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대리위탁가정의 경우 타 위탁가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사회경제적 특성을 보였다. 한편, 위탁가정유형에 따른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상태는 세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먼저 우울의 경우, 학교성적, 건강상태, 자기유능감, 위탁이유, 가구월수입, 친구지지와 교사지지 등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친구지지와 교사지지는 우울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격성의 경우에는 위탁기간, 자기유능감, 위탁이유, 주부양자연령, 부채유무, 주거형태, 친구지지 등이 영향요인으로 판별되었다. 하지만, 우울과는 달리 친구지지의 제한적 영향력외에 가족지지와 교사지지의 영향력은 전반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위탁아동의 자기유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사회적 지지망의 구축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 지역사회자원의 연결 및 관리를 통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ster care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foster care childre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foster home. For this, total 465 foster children who are listed on 16 foster care support centers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in foster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foster home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to the non-relative foster home, specifically, kinship foster care home showed relatively poorer socioeconomic environment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psychosocial adjustment of foster children among the three types of foster home. In addition, several variables were identified to influence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foster children. First, school grade, health status, self-efficiency, the reason placed in foster home, monthly income, peer support, family support were influenced on the depression and especially peer and family support were played a role to decrease the depression. Second, duration in foster care, self-efficiency, the reason placed in foster home, caregiver age, household debt, housing type, peer support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the aggression but, the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were not played roles in relieving the aggressio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olicy and program implication were suggested.

      • 정신보건서비스에서의 이용자 참여

        김기원(Ki Won Kim),김성수(Seongsu Kim),김수연(Su-Yeon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3 사회정신의학 Vol.18 No.1

        정신사회재활의 발달 과정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참여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이들 활동에는 이용자들간의 자조 활동, 동료 제공 서비스, 다양한 옹호 활동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은 모두 소비자/생존자 운동에서 유래된 회복 패러다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이용자 참여는 중증정신질환으로부터의 회복에 있어, 이용자들에게 일반적인 긍정적 효과에 추가하여 낙인의 극복, 능력강화, 왜곡된 시스템의 교정, 질환에 대한 새로운 지식의 공급 등에서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의 이용자 참여 활동의 장단점에 대해 고찰하고, 그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과 미래의 연구 과제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User involvement in mental health services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during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These phenomena include peer-support activities among psychiatric clients, many kinds of user-run services, various advocacy activities, and so on. All of them have been developed under strong influence from the ‘Recovery paradigm’, which was originated from consumer/survivor movements. It has been proved that these user involvement activities have significant beneficial effect for the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especially in terms of overcoming stigma, empowerment of clients, corrective effects on distorted systems, providing new knowledge of illness, as well as broad positive influences on user themselves. In this article, the pros and cons of current user involvement in mental health services will be discussed. And solutions for some problems and future research agendas will b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난임여성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 분석

        부서윤,신창섭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가 무엇인지 밝혀내어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난임 전문병원에 내왕하는 난임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도에 대한 33항목을 설문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난임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사이의 상관관계와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난임 여성들의 정서적 특성은 임신에 대한 압박감, 불안 및 두려움,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 수치심 및 죄책감, 조급함과 답답함, 분노 및 과민함 등으로 나타났다. 난임 여성의 임신에 대한 압박감,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과 분노와 과민함, 불안 및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임신에 대한 압박감과 수치심 및 죄책감에 따라서 난임 부부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운영 형태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과 두려움에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에 따라서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급함과 답답함에 따라서는 희망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동반 참여자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와 과민함에 따라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경험 및 난임 여성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한 자조모임의 효과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난임 여성의 심신건강 증진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subfertile women. This exploratory study identifies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and the demands for forest therapy according to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orest therapy programs. This study surveyed 200 subfertile women who visited a subfertility hospital in Seoul on 33 items of subfertile women's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forest therapy programs. We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one-way ANOVA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nd importance betwee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and the demands for forest therapy programs using the SPSS 21.0 program. Emotional traits of subfertile women included pressure on pregnancy, anxiety/fear, depression, hopelessness, helplessness, loneliness, sadness, shame/guilt, impatience/frustration, and anger/hypersensitivity. Of these traits, pressure on pregnancy, depression, hopelessness, helplessness, loneliness, sadness, anger/hypersensitivity, and anxiety/fear were particularly high among subfertile women. The demands for forest therapy programs also differ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subfertile couple's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sure, shame, and guilt of pregna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program according to anxiety and fear and in the reason for not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depression, hopelessness, helplessness, loneliness, and sad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ples participating th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impatience and frust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nd the effect of self-help groups through the forest therapy program for subfertile women according to anger and hypersensitivity.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as the reference data for developing forest therapy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ntal health of subfertile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