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종대왕실기』와 〈단종애사〉의 허구적 여성인물에게 투영된 작자 의식

        김성철(Kim Sung-chul)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단종대왕실기』와 〈단종애사〉는 동일한 시기에 발간되고 연재되었다. 두 작품은 단종과 세조조에 발생한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연려실기술』의 기록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두 작품의 서사 진행과 등장인물은 거의 동일하다. 여타의 역사서와 야사류에 등장하지 않고 두 작품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여성 인물이 있다. 『단종대왕실기』의 ‘옥화’와 〈단종애사〉의 ‘야화’가 그들이다. 여진족 여인인 ‘옥화’와 ‘야화’는 김종서의 세 번째 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단종대왕실기』에서 ‘옥화’는 등장하는 순간부터 수양대군의 수하에게 죽임을 당하는 순간까지 일관된 성격을 유지한다. ‘옥화’는 여진족이면서 전투를 가까이에서 접한 인물이기 때문에 무사의 기질을 지니고 있는 인물이다. 이러한 성격을 흐트러짐없이 유지하면서 김종서의 곁을 지킨다. 반면 〈단종애사〉의 ‘야화’는 이민족 출신의 낯선 여성으로서 묘사되어 있으며, 성적인 매력을 발산하는 인물로 설정되어 있다. 김종서는 ‘야화’의 몸을 탐하는 늙은이로 묘사되어 있다. 『단종대왕실기』와 〈단종애사〉는 단종과 세조가 중심이 되는 서사를 유지하면서 전개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옥화’와 ‘야화’는 새롭게 창조된 인물이다. ‘가상의 인물’인 ‘옥화’와 ‘야화’를 통해 작자는 자신의 시각을 반영한다. 『단종대왕실기』는 철저하게 단종의 편에서 단종을 변호하는 서술 태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옥화’도 그와 같은 자장 안에 존재한다. 하지만 〈단종애사〉는 단종에 대한 시각과는 별개로 성적인 대상으로 ‘야화’를 등장시킴으로써 김종서에 대한 비판을 대신한다. 본고는 이러한 차이를 중심으로 두 작품의 작가가 새로운 인물을 통해 작품을 바라보는 시선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서술되었다. 〈端宗大王實記: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and 〈端宗哀史: Sad History of Danjong〉 were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Both were mainly composed of an incident which occurred in the reign of King Danjong and King Sejo. Standing on the basis of the records from 〈燃藜室記述: Yeonryosilgisul〉, narrative progressions and characters of both are almost the same. Both have female characters who don’t appear in other historical books or unofficial histories. They are Okhwa from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and Yahwa from 〈Sad History of Danjong〉. They, who were women from Jurchen(女眞) tribe, were portrayed as third concubines of Kim Jongseo. From the moment she first appears in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to the moment she is killed by a follower of Infante Suyang, Okhwa maintains her consistent personality. She is a character who has a tendency of an amazon. While maintaining this personality without woolgathering, she stands by Kim Jongseo. But to the contrary, Yahwa from 〈Sad History of Danjong〉 was portrayed as a stranger from different ethnic group, and a character who gives off her sexual charm. And Kim Jongseo was portrayed as a greedy old man who had a lust for body. Both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and 〈Sad History of Danjong〉 maintain narratives which center King Danjong and King Sejo. Okhwa and Yahwa are newly created characters. Through the two imaginary characters, the authors reflect their views. Because 〈the Actual Records of King Danjong〉 has an attitude of narrating that defends King Danjong, Okhwa exists in the same field. However, by presenting Yahwa as an object of sexual desire, apart from its view on King Danjong, 〈Sad History of Danjong〉 criticizes Kim Jongseo in a roundabout way. Setting this difference on cent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st light upon the views that the two authors see their works through new characters.

      • KCI등재

        경주이씨 가문의 육가 전승과 그것의 문학사적 의미

        이상원 ( Sang Won Lee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9

        육가형 시조는 이별의 <장육당육가>에서 시작되었다. 그 후 그의 가문에서는 이정의 <풍계육가>, 이득윤의 <서계육가>와 <옥화육가>, 이홍유의 <산민육가> 등이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이 글은 이런 경주이씨 가문의 육가전승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풍계육가>는 <장육당육가> 이후 경주이씨 가문에서 처음으로 창작된 육가형 시조로서, 현실을 철저히 잊은 상태에서 자연과의 완전한 합일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육당육가>를 충실히 계승한 작품이다. <서계육가>와 <옥화육가>는 비록 작품이 전하지는 않지만 관련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 그성격을 추정할 수 있다. 둘은 약 10년이라는 시차를 두고 이루어진 별개의 육가 2편으로서, 각각 모친상과 광해군 정권 출범이라는 이유로 서계와 옥화로 이거(移居)한 후에 창작했다는 점에서 세속과 단절하고자 하는 의식이 깊게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산민육가>는 경주이씨 가문의 육가 전통을 이어세상에 대한 불만이 일정하게 표출된 가운데, 세상에서 버림받은 고독한 존재로 자신을 표상하는 모습에서 전대의 육가에 나타난 강인한 자의식은 많이 약화된 것을 볼 수 있다. 경주이씨 가문에서 4대에 걸쳐 창작된 육가형 시조들은 <장육당육가> 계열로 통합할 수 있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나름의 역사성을 가지고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정의 <풍계육가>는 <장육당육가>를 비교적 충실히 계승한 작품이지만 산림처사의 삶을 형상화한 작품들과 겹치는 부분도 어느 정도 발견된다. 그런가 하면 이홍유의 <산민육가>에는 17세기 한미한 재지사족의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불우한 처지와 관련된 고민이 일부비치기도 한다. 이런 점들은 경주이씨 가문의 육가 창작이 당대 시가사의 일반적인 흐름과 어느 정도 호흡을 같이하면서 이루어진 것임을 말해준다. Yukga style sijo(육가형 시조) began as "Jangyukdang Yukga(장육당육 가)" by Lee Byeol(이별), and since then, his family consistently composed "Punggye Yukga(풍계육가)" by Lee Jeong(이정), "Seogye Yukga(서계육가)" and "Okhwa Yukga(옥화육가)" by Lee Deuk-yun(이득 윤), and "Sanmin Yukga(산민육가)" by Lee Hong-yu(이홍유).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is transmission of Yukga(육가) in Lee of Gyeongju Family. "Punggye Yukga(풍계육가)" is the first one worked in Lee of Gyeongju Family after "Jangyukdang Yukga(장육당육가)", a work thoroughly succeeding to "Jangyukdang Yukga(장육당육가)" in that it contributed to complete unity with nature with thorough forgetting of the reality. Although "Seogye Yukga(서계육가)" and "Okhwa Yukga(옥화육가)" have not been passed down as of present, their characteristics can be estimated to some degrees by relevant materials. The two works are separate two Yukga(육가) at an interval of ten years, and might deeply reflect desires for cloistered life from the world because they were written after moving to Seogye(서계) and Okhwa(옥화) due to the death of the mother and the inauguration of Gwanghaegun(광해군), respectively. "Sanmin Yukga(산민 육가)" expressed some dissatisfaction toward the world along the Yukga (육가) tradition of Lee of Gyeongju Family but represented the author as a lonesome life abandoned from the world, indicating that the strong sense of identity in the previous Six-Stanza had been considerably weakened. Yukga style sijo(육가형 시조) written by the four generations of Lee of Gyeongju Family may be combined to the series of "Jangyukdang Yukga (장육당육가)", but it is important that they exist with their own historicity. "Punggye Yukga(풍계육가)" by Lee Jeong(이정) is a work that relatively thoroughly succeeded to "Jangyukdang Yukga(장육당육가)", but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works of embodying lives of hermits. "Sanmin Yukga(산민육가)" by Lee Hong-yu(이홍유) partially shows the author`s worry related to his adverse circumstances expressed in works of poor local nobleman in the 17th century. Such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Yukga(육가) of Lee of Gyeongju Family was written somewhat with the context of the general ambience of the poetry of the time.

      • KCI등재후보

        조선족 서사 『옥화』와 <두만강>의 환대(hospitality) 의식 분석

        이만강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22 횡단인문학 Vol.12 No.1

        본 글은 조선족 예술가들의 작품을 서사 분석하여 그들의 작품에 나타난 환대의 양상 을 살펴본다. 중국과 한국에서 조선족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과 그에 대한 타자 의식, 환대를 누구보다 치열하게 고민했을 금희, 장률은 그들의 작품을 통해 환대에 대한 관점 과 생각을 한국 사회에 제시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와 조건적 환대 사이의 이율배반적 관계에 관한 논의를 빌리고자 한다. 금희의 소설 「옥화」를 통해서는 무조건적 환대에 비해 열등하고 무조건적 환대로 나 아가는 과정에서 극복되어야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조건적 환대가 사실 무조건적 환대 와 분리 불가능한 것이자 무조건적 환대로 주체를 이끄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률의 <두만강>에서는 무조건적 환대의 실현에 있어 여성의 생명과 고통이 담보되는환대의윤리적문제에대해서고민해볼수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of hospitality in their works by narrative analysis of the works of Korean-Chinese artists. In China and Korea, Geum-hee and Jang Yul, who would have considered the national identity as a Korean-Chinese, the other consciousness and hospitality more fiercely than anyone else, present their views and thoughts on hospitality to Korean society through their works. To examine this, I would like to borrow a discussion on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 between unconditional hospitality and conditional hospitality by the French philosopher Jacques Derrida. Geum-hee's novel “Okhwa” shows that conditional hospitality, which is considered inferior to unconditional hospitality and must be overcome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o unconditional hospitality, is in fact inseparable from unconditional hospitality and can play a role in leading the subject. In Jang Yul's “Duman River”, you can think about the ethical problem of hospitality in which women's lives and pain are guaranteed in realizing unconditional hospitality.

      • KCI등재

        근대 세계체제의 확장과 약소자의 정체성― 중국 조선족 작가 금희의 소설 세계

        오창은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0

        소설가 금희는 중국 조선족 문학계와 한국 문학계에서 동시에 주목받는 작가이다. 그는 조선족 거주지역인 길림성 장춘 구태시에서 나고 자랐으며, 한때는 한국에서 하위계층 노동자로 생활하기도 했다. 금희는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의 세계체제 변화에 따라, 중국 조선족의 삶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금희의 소설에는 조선족으로서의 삶을 긍정하는 태도가 드러나고(「세상에 없는 나의 집」), 북한 이탈 주민을 약소자로서 형상화해내는 뛰어난 윤리적 감각을 보여주기도 한다(「옥화」). 개혁 개방 이후 중국 조선족 여성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면서 겪는 윤리적 갈등과 자기 욕망의 발견을 핍진하게 그려냈다(『천진 시절』). 중국 조선족 문학은 중국의 소수민족 문학이면서, 한국에서는 동일한 언어를 쓰는 재외한인문학으로 포용된다. 금희는 스스로를 ‘조선어로 작품을 쓰는 마지막 세대의 작가’라고 했다. 금희는 소설을 통해 농촌에서 도시로 옮겨온 이주민으로서, 가부장적 질서와 갈등하는 여성으로서, 세계체제의 하위주체로서 자기 정체성을 발견해나가는 과정을 형상화냈다. 금희 소설에 표현된 약소자로서의 정체성은 세계체제와 긴장하는 정치성을 띠고 있다. 금희의 소설은 디아스포라 문학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제기한다.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자는 자기가 속한 세계를 중심에 놓는 관점에서 벗어나 디아스포라적 주체의 시선으로 세계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금희의 소설은 중국 조선족의 자기 정체성의 발견을 제시함으로써, 전지구적 근대체제의 작동양상과 연관해 디아스포라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한다. Geum Hee, a novelist, is a writer who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both the Joseonjok (ethnic Koreans in China) literature circle and the Korean literature circle. She was born and raised in Changchun, Jilin Province, and she once lived as a lower-class laborer in Korea. Geum Hee has realistically depicted the rapid changes in the lives of Joseonjok in East Asia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world system since the 1990s. Geum Hee’s novel reveals an attitude that gives an affirmative depiction of the life of Joseonjok (My Home That Is Not in the World), and also shows an excellent ethical sense that embodies North Korean defectors as the Minority (Okhwa).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her novel plausibly portrays the ethical conflicts and the discovery of self-desire experienced by Joseonjok women as they move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Days of Tianjin) Joseonjok literature is ethnic minority literature in China, while it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using the same language. Geum Hee described herself as ‘the last generation of writers who write works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her novels, Geum Hee embodies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ir own identity of women in conflict with the patriarchal order as migrants from the countryside to the city and as a sub-subject of the world system. The identity as the Minority, expressed in Geum Hee Novel, is politicized in tension with the world system. Geum Hee’s novels call for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diaspora literature. Diaspora literature researchers should be able to look at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a diaspora subject, awa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puts their world at the center. Geum Hee’s novels present Joseonjok’s discovery of self-identity, indicating the need to study diaspora in relation to the workings of the global modern system.

      •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 소설의 증오인식과 공존의 가치 연구-조선족과 탈북자 서사를 중심으로

        오연옥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change in South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reproduced in modern novels, while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harmony between them by confirming the production of hatred inherent between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hatred, shame, and fear experienced by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mong Korean diaspora. In order to form a new perception and discourse on hatred, the pain and hatred experienced by North Korean refugee women following Korean- Chinese women were discussed through Georzo Agamben's concepts of “Homo Sacer” and “Exception Status.” Along with this, the reproduction of Korean diaspora was divided into ‘the migration background of Korean-Chinese women and North Korean defectors’, ‘Homo Sacer, who was thrown into an exceptional state due to migration’, ‘reproduction of hatred after settling down in Korean society’ and confirmed the perception between North Korean and Korean women. The change in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s possible with a humanities response that understands the reproduction and meaning of diaspora in novels of Korean writers, Korean-Chinese writ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from various angles. Therefor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experience was promoted for Heo Ryeonsun's A Chinese Brid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Chinese, Kim Yoo-kyung's Youth Sonata from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n defectors, Yoo Kyung-eun's Old Promis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nd the posi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Korean-Chinese looking at each other was confirmed by targeting Korean-Chinese writer Geum-hee's 「Okhwa」 and North Korean defector's 「Seogigol Loban」. I am confident that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designing future orientation by promoting the exchange and solidarity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value of coexistence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현대소설에 재현된 중국재외한인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 사회의 인식 변화를 모색하는 한편,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내재한 증오의 발생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이들 간의 화합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중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연관된 ‘이주와 정착’ 과정에서 겪은 혐오와 수치심, 공포에 주목한다. 그리고 증오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 형성을 위해 조선족 여성에 이어 탈북여성이 겪은 고통과 증오의 담론은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와 예외공간’과 마사 누스바움의 ‘혐오’ 개념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을 ‘조선족 여성과 탈북 여성의 이주배경, 이주로 인해 예외상태로 던져진 호모 사케르, 한국사회에서의 정착과 증오의 재생산’으로 구분하여 논의함으로써 이들의 이주과정에 드러난 교차점을 확인하고, 탈북 여성과 조선족 여성 서로 간의 인식양상을 확인한 바이다. 조선족과 탈북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변화는 조선족 작가, 탈북 작가, 한국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하는 인문학적 대응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 작가, 조선족 작가, 그리고 탈북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이주에 대한 교차점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국에 정착한 조선족과 탈북자의 대립구도 완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조선족, 탈북자 간의 왜곡된 정체성 인식 양상을 개진하고 사회통합력을 제고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조선족과 탈북자 소재의 서사 재현양상 분석 및 비교를 통해 이들의 정체성을 규명하되, 조선족 작가의 중국색시 , 탈북 작가의 청춘예찬 , 한국 작가의 오래된 약속 을 대상으로 이주 경험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조선족 작가의 「옥화」와 탈북 작가의 「서기골 로반」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가 탈북자와 조선족을 바라보는 관점과 탈북자와 조선족 서로가 견지해 온 증오의 발생과 인식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공존의 가치를 정립하기 위한 계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