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字符 勿의 字源 考

        韓延錫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 漢字 漢文敎育 Vol.41 No.-

        해서 勿은 갑골문 ( , , 勿)과 ( , 勿)을 모두 가리키기도 한다. ‘雜文’을 가리켰던 ( , , 勿)과 ‘쏘다’를 가리켰던 ( , 勿)은 갑골문 단계에서 형체가 서로 달랐다. ( , , 勿)는 卜辭에서 주로 ‘雜文’으로 쓰였다. 字源에 대해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 ’은 쟁기( )와 쟁기질을 할 때 나오는 ‘쟁기 밥’을 그려 ‘雜文’을 나타낸다 하고, 다른 하나는 ‘ ’의 는 칼을, 斜線은 칼로 자른 물건을 나타내어 ‘分割’을 나타낸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이 部 件인 利는 본래 ‘禾+ ’로, 쟁기로 땅을 갈면 벼에게 이롭기 때문에 ‘이롭다’란 의를 갖게 되었다고 하고, 利가 聲符인 , 黎 등은 아직도 부건 ( )의 흔적을 보유하고 있음에서 쟁기와 쟁기 밥을 그린 것이 맞다 한다. 후자는 ‘ ’는 (分)의 상부 ‘ ’이 칼로 잘려진 물건을 나타내듯이 分割, 切斷 을 나타내는데, 잡다하게 잘려진 것으로부터 雜文이 인신되었다고 한다. 또, 同源 혹은 후치자인 物 과 刎이 전적이나 복사에서 ‘베다’란 뜻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본의가 ‘분할’이라 한다. 物은 ( , , 勿)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갑골문에 物이 존재하는가는 아직 쟁론 중인데,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람들은 ‘ ’처럼 ‘ + 牛’의 合文만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 반대는 ‘ ’처럼 엄연히 존재 했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馬 牡 牝 ’같이, 복사는 ‘ + 牛’로만 존재했다고 한다. ( , 勿)은 활을 쏜 뒤 시위가 진동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 ‘쏘다’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복사에서 는 대부분 부정사로 쓰였다. 그런데 ‘雜文’을 나타내었던 이 西周 金文에 이르러 과 같이 부정사 로 쓰이면서 큰 혼란을 겪는다. 말하자면 자신들의 본의 혹은 引伸義와는 상관없이 모두 부정사로 쓰이면서 누가 ‘勿’의 初文인지 헛갈리기 시작하였다. Haeseo(楷書) Mul(勿) represents Chia-ku-wen(甲骨文) ( , Mul ‘勿’) and ( , Mul ‘勿’) both. Chia-ku-wen(甲骨文) ( , , Mul ‘勿’) represents ‘Japmun(雜文)’, ( , Mul ‘勿’) represents ‘shoot an arrow’. There are two theories about Jawon(字源) of ( , , Mul ‘勿’). First, ‘ ’ represents plough and furrow slice which was produced when plowing, so it means ‘Japmun(雜文)’. second, of represents knife, and Saseon(斜線) represents stuff cut with a knife, so it means ‘divide(分割)’. Chia-ku-wen(甲骨文) ( , Mul ‘勿’) originally represents trembling string after shooting an arrow, so it means ‘shoot an arrow’. However, it was used as infinitive such as ‘Mu (毋)’ in Chia-ku-wen(甲骨文). The shape of ( , Mul ‘勿’) have been changed in the order of ‘ ( ) - ( ) - (㢭) - ( Bal‘癹’) - - Bal(發)’ By Seoju(西周) Geummun(金文), ( , , Mul ‘勿’) which was represented ‘Japmun(雜 文)’ came into infinitive. Therefore, in 金文, with ( , Mul ‘勿’) which was being used as infinitive already, both ( , Mul ‘勿’) and , Mul‘勿’) was used as infinitive. Mul(物) have much to do with ( , , Mul ‘勿’). It is still under debate whether Mul(物) exist or not in Chia-ku-wen(甲骨文). People who claims that it did not exist said Mul(物) only exist as Habmun(合文) of ‘ + Wu(牛)’ just like ‘ ’. As proof of it, They claimed it only existed as ‘ + Wu(牛)’ with ‘ 馬(Ma) 牡(Mo) 牝(Bin) ’, However, the opponent of it claimed that Mul(物) existed clearly like ‘ ’.

      • KCI등재

        오미자 물 추출물을 이용한 물김치의 품질특성

        정태성(Tae-Seong Jeong),정은주(Eun-Ju Jeong),이신호(Shin-H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0

        건 오미자 1%, 2%, 3% 첨가하여 침출시킨 오미자 물 추출물을 담금 용수로 하여 물김치를 제조하여 발효 중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pH는 초기 대조구 6.53, 오미자 물김치의 농도별 pH는 각각 3,63, 3.29, 3.17이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는 낮아지고 오미자 물김치는 다소 높아졌다. 물김치의 산도 변화는 pH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 과정 중 총 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유사하였으며, 오미자 물김치에서 대조구에 비해 생균수는 적었으며, 오미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균수는 감소하였다. 조직감은 발효 기간 동안 경도, 씹힘성, 응집성, 탄력성이 감소하였으며, 1% 오미자 물김치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오미자 물 추출물로 담근 물김치는 전자공여능은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3% 오미자 물김치가 62.7%로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 역시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숙성 12일째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기호성 검토결과, 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1% 오미자물 추출물로 담금 김치가 가장 우수하였다. The physiolog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mul-kimchis prepared with omija (Schiznadra chinensis) water extract (1, 2, 3 v/w%) (omija mul-kimchi) or water (control)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for 21 days at 10℃. The pH of omija mul-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and lower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omija between 1% and 3%. The pH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fermentation in omija mul-kimchi compared with control. The changes in titratable acidity were similar in pH. The change of total microbs and lactic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was similar in various mul-kimchis and the viable cell numbers in omija mul-kimchi were lower than in control. The viable cell of mul-kimchi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omija water extract. The texture of various mul-kimchi such as hard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springiness, was decreased but the texture of 1% omija mul-kimchi was maintain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during fermentation. The DPPH radica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omija mul-kimchi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nd the activit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omija water extract. The sensory quality of 1% omija mul-kimchi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among the tested mul-kimchis.

      • KCI등재

        물명(物名)류의 특징과 자료적 가치

        정승혜 국어사학회 2016 국어사연구 Vol.0 No.22

        본고에서는 물명 자료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이 등장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특징, 국어 어휘사에서 차지하는 위상, 학제 간 연구와 활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물명(物名)’류의 편찬은 지나간 시기에 무분별하게 받아들였던 중국의 물명을 고증하여 바로잡고 한자․한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시작되었으며, 거의 필사본으로만 전할 뿐 판본은 전하지 않는다. 알려진 저자는 대부분 실학자들이며 이들의 필사연대는 주로 18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분포한다. 어휘를 의미부류에 따라 분류하여 수록하고 있고 표제어는 모두 한자어이며, 주석은 한문과 한글로 하여 놓았다. 물명 자료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사적 가치로서 동일 표제항에 대한 시대별 표기 변화를 통해 음운론적 변화를 고찰할 수 있으며, 새김의 변화를 통해 의미 변화 단계를 알 수 있다. 일부의 경우는 방언사적 측면에서도 귀중한 자료로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당시에 민간에서 사용되던 어휘 자료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국어학사적 가치로서 기존의 국어학사에서 다루지 못했던 자료들을 통해 국어학사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문자학적 가치로서 판본에서 얻지 못하는 각종 필사 자료를 통한 한자 자형의 이체자(異體字), 이형자(異形字)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문화사적 가치로서 표제항으로 나타나는 각종 어휘들을 시대별로 살펴보면 문화사적 측면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status of Mul-myeong material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for their appearance, their status comprising in the history of Korean vocabulary, and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and utilization of them. Compilation of classes of ‘Mul-myeong’ was initiated in a bid to correct them through historical research into Chinese Mul-myeong, which was indiscriminately accepted in by-gone days, and to provide help to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sentences; however, the compiled Mul-myeong is handed down mostly only in manuscripts without any introduction of editions. The known authors of the manuscripts are mostly Silhak scholars, and the period of their transcription is distributed mostly from the mid-18th century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They included vocabulary through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meaning class, and title words are all Sino-Korean words with annotations in Chinese sentences and Hangeul. The value of Mul-myeong materials is as follows: First, as the value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Mul-myeong materials make it possible for us to consider phonological changes through chronological orthographic changes of the same entry, and to learn the semantic change phase through changes in carving. In some cases, Mul-myeong materials play a role as precious ones from the aspect of the Korean dialect history as well. Also, it’s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vocabulary materials which were used among the then ordinary people. Second, as the value of the Korean linguistics history, Mul-myeong materials could provide help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of the Korean linguistics history through the materials which failed to be handled in the existing Korean linguistics history. Third, as the worth in terms of graphonomy. Mul-myeong materials could provide help to the research on the variant form & shape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various transcriptive materials that are not available in editions. Fourth, as the worth in terms of the cultural history, Mul-myeong materials make it possible for us to make access from the aspect of the cultural history by looking into various vocabulary appearing as entries by period.

      • KCI등재

        자색 양배추 물김치의 이화학적$\cdot$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양윤형,박소현,안성미,김경민,김미리,Yang Yun-Hyoung,Park So-Hyun,Ann Sung-Mi,Kim Kyoung-Min,Kim Mee-Ree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5 No.5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Mul-Kimchi(warery Kimchi) prepared with red cabbage was compared with those of Chinese cabbage or white cabbage. Acidity and turbidity of red cabbage Mul-Kimchi were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cabbage one, which was due to higher soluble solid content in red cabbage Mul-Kimchi. Hunter color a value of red cabbage Mul-kimchi was very much higher than that of Chinese or white cabbag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data of anthocyanin cont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uch higher in red cabbage Mul-kimchi than in Chinese or white cabbage one. Red cabbage Mul-kimchi had higher values of hardness, fracturability and chewiness during fementation, compared with those of Chinese or white cabbage one. Sensor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acceptability among three kinds of Mul-kimchi, although red cabbage one has higher scores of appearance and color than others. Best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red cabbage is a good ingredient for Mul-kimchi.

      • KCI등재

        아로니아, 비트, 백년초 분말 첨가 순무 물김치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김선회,김지형,엄선아,한영선,허명제,Kim, Sun Hoi,Kim, Ji Hyeung,Eom, Sun Ah,Han, Young Sun,Heo, Myung J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4 No.3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ronia, beet and prickly pear powder on the properties of mul-kimchi made of turnip. Methods: Each turnip mul-kimchi was made by adding 0.2% aronia, beet or prickly pear powder. After a 24 hour fermentation process at $25^{\circ}C$, it was stored at $4^{\circ}C$.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urnip mul-kimchi during 34 days of storage at $4^{\circ}C$ were compar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and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methods, as well as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ssays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Result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added turnip mul-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others. The vitamin C content was the highest on day 6, with the following levels: aronia-added turnip mul-kimchi (182.36 mg/kg), beet-added turnip mul-kimchi (171.80 mg/kg), prickly pear-added turnip mul-kimchi (163.80 mg/kg) and control group (158.85 mg/kg). Conclusion: The addition of aronia powder can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urnip mul-kimchi.

      • 숙성 중 클로렐라 물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채미화(Chae, Mi-Hwa),이운숙(Lee, Woon-Suk),차상미(Cha, Sang-Mee),김동청(Kim, Dong-Chung),인만진(In, Man-Jin) 한국외식산업경영학회 2013 외식산업경영연구 Vol.9 No.1

        클로렐라를 식품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분말을 0~0.1% 첨가한 물김치를 제조하여 15 ℃에서 6일간 발효시키면서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형물 함량은 담금일에 모든 조건에서 0.1~0.2brix로 유사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 5일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최고 1.4brix까지 증가하였고 그 이후에는 유지되는 경향이었다. 탁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증가 정도는 클로렐라 첨가량에 비례하였다. 클로렐라를 0.025% 첨가한 실험구의 탁도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0.1% 첨가한 조건에서는 발효 3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명도와 적색도는 모든 실험구에서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황색도는 클로로필의 갈변반응에 의하여 발효 초기에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클로렐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황색도를 나타났다. 물김치를 3일간 숙성시킨 후 국물에서 젖산함량은 대조군에서 0.241mg/mL, 클로렐라 첨가량에 따라 0.409mg/mL, 0.537mg/mL, 0.780mg/mL 생성되어 젖산의 생성은 클로렐라 첨가량에 비례하여 70~220% 증가하였다. Mul-kimchi was prepared with addition of 0.025, 0.05, and 0.1%(w/v) chlorella powder and fermented at 10°C for 6 day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l-kimchi were evaluated in terms of soluble solid content, turbidity. Hunter color values, and organic acid contents during fermentation. The soluble solid contents steadily increased to 1.4 brix during fermentation. The turbidity of chlorella Mul-kimchi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ontrol Mul-kimchi. Lightness and redness of control and chlorella Mul-kimchi were maintained but yellowness slight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added chlorella powder, which was due to browning reaction of chlorophyll under weak acidic condition. The addition of chlorella powder drastically enhanced the acid production during Mul-kimchi fermentation. After 3 days fermentation, lactic acid content of chlorella Mul-kimchi was 0.41~0.78 mg/mL and was much higher than that (0.24 mg/mL) of Mul-kimchi made without chlorella. Best to the results of this work, it is suggested that chlorella powder is stimul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is a good ingredient for Mul-kimchi.

      • SCOPUSKCI등재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한 물김치의 제조와 품질특성

        김동청 ( Dong Chung Kim ),원선임 ( Sun Im Won ),인만진 ( Man Jin In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7 No.1

        Mul-kimchi was prepared with addition of 0.025, 0.05, and 0.1% (w/v) chlorella powder and fermented at 10oC for 6 day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ul-kimchi were evaluated in terms of acid production (pH and titratable acidity)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during fermentation. The addition of chlorella powder stimul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significantly enhanced the acid production. After 3 days fermentation, titratable acidity of chlorella Mul-kimchi was 0.12.0.14% and was higher than that (0.11%) of Mul-kimchi made without chlorella. The acid production and the number of viable lactic acid bacterial cell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added chlorella powder. The sensory score of Mul-kimchi added with 0.05% chlorella powder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among the tested Mul-kimchi preparations. When chlorella Mul-kimchi preparations incubated for 3 days were kept at 4oC for 19 days,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well maintained through storage period. According to sensory score and storage ability,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chlorella powder was around 0.05%.

      • KCI등재후보

        키토산-아스코베이트 첨가 물김치의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 간 조직에 대한 항산화효과

        백경연,김미정,김소자,양재호,김순동,Beik, Kyung-Yeun,Kim, Mee-Jung,Kim, So-Ja,Yang, Jae-Ho,Kim, Soon-Dong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06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1 No.3

        분자량(223, 746, 1,110 및 2,025 kDa)이 다른 chitosan으로 제조한 chitosan-ascorbate(CA223, CA746, CA1110, CA2025)를 각각 0.1%씩 첨가한 물김치의 저장중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중 $10^{\circ}C$에서 20일간 저장한 CA2025 첨가 물김치국물의 투여(5 mL/kg)가 고콜레스테롤식이 흰쥐 간 조직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물실험은 정상식이군(NC), 고콜레스테롤 식이군(HC), 고콜레스테롤 식이 김치국물 투여군(HCKC), 고콜레스테롤 식이 CA2025 함유 김치국물 투여군(HCCA), 고콜레스테롤 식이 CA2025 1/2 농축액 투여군(HC2CA)의 5개군으로 구분하여 5주간 사육하였다. 20일간 저장한 CA첨가 물김치의 전자공여능은 84.74~89.13%로 증류수 및 0.2% ascorbic 물김치의 35.04 및 75.04%에 비하여 높았다. SOD 활성은 chitosan의 분자량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p<0.05), 무첨가 물김치 보다 10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CCA군과 HC2CA군의 체중은 HC군에 비하여 각각 6.9%, 및 8.4%가 감소되었다. 간 조직의 GSH 함량은 HCCA군 및 HC2CA군이 각각 5.39 및 $4.80{\mu}mole/g$ tissue로 HC군보다 22.5 및 9.1%가 증가하였다. HCCA군 및 HC2CA군의 GST 활성은 HC군에 비하여는 각각 219.9% 및 153.79%가 높았으며, NC군 보다도 높았다. SOD 활성은 HCCA 군이 HC2CA군 보다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며, NC군 및 HC군 보다 높았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0.1% chitosan-ascorbate (CA) prepared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 (223, 746, 1,110 and 2,025 kDa) of chitosan on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mul-kimchi during storage at $10^{\circ}C$ for 20 days. Animal experiments were divided to 5 groups; normal control group (NC), high cholesterol diet group (HC), high cholesterol diet mul-kimchi diet group (HCKC), high cholesterol diet and CA2025 containing mul-kimchi administrated group (HCCA), and high cholesterol diet and 1/2 concentrated CA containing mul-kimchi administrated group (HC2CA). Mul-kimchi juice was administered 0.5 mL per 100 g body weight once a day and fed for 5 weeks.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the 20 days-stored mul-kimchi with 0.1% CA showed higher activity (84.74~89.13%) than those of control and ascorbic acid mul-kimchi (35.04 and 75.04%).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of the kimchijuice with CA were higher in the higher molecular of chitosan. In the animal experiments, the average body weight of the HCCA and HC2CA group were lower 6.9% and 8.4% than that of HC control group, respectively. Hepatic glutathione content in HCCA and HC2CA group was increased 22.5% and 9.1% as compared to HC group.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CCA (219.9%) and HC2CA group (153.8%) compared to NC group.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highest in the HCCA group, and the activities in CA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NC and HC group.

      • 공정거래법상 부당지원행위의 규제 법리 및 개정법률 검토 : 물량몰아주기 규제에 대한 고찰

        이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3 Ewha Law Review Vol.3 No.2

        Recently, the Chaebol practice of supporting subsidiaries with volumes of trade has become a big issue in Korea. The practice of supporting with volumes of trade (‘Mul-lyang-mol-a-ju-gi’ in Korean) often occurs with the implicit purpose of indirectly bequeathing Chaebol control to their children, resulting in a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Compared to the practice of general illegal support(「Monopoly Regulations and Fair Trade Act」, Article 23.1(ⅶ), hereinafter “Fair Trade Act”), issues arose regarding whether legal benchmark on the illegality of support is directly applicable to the act of Mul-lyang-mol-a-ju-gi. Hitherto, limitation was imposed on the regulation on ‘Mul-lyang-mol-a-ju-gi’ that no articles exist that provide explicit criteria on the assessment of illegality. Within the revised Fair Trade Act regarding ‘Mul-lyang-mol-a-ju-gi’, a new article was inserted to directly regulate Chaebol insider trading. In addition, salience condition can be proven more easily than before and types of ‘Mul-lyang-mol-a-ju-gi’ are described in the revised article. However, concrete criteria on the assessment of illegality were still not specified in the revised article. Regulation on Mul-lyang-mol-a-ju-gi should be carefully executed in order not to constrict reasonable trade.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on ‘Mul-lyang-mol-a-ju-gi’ is also necessary for a reasonable regulation. 최근 대규모기업집단 내 계열회사간 물량몰아주기의 규제가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물량몰아주기는 재산증식을 위한 상속, 증여의 목적으로 대규모기업집단이 계열회사에 대한 물량몰아주기를 행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인 부당지원행위와는 다르게 물량몰아주기는 지원주체가 가격조건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수량적으로 지원을 할 수도 있고, 급부와 반대급부의 불균형이 반드시 수반되는 것은 아니므로 종전의 부당성 판단기준을 물량몰아주기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다. 현행법에 의한 물량몰아주기 규제는 지원행위의 현저성을 입증하는 데 초점을 맞춘 반면, 지원행위의 부당성을 입증하기에는 불명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번 공정거래법 개정법률은 물량몰아주기와 관련하여 대규모기업집단의 사익추구를 위한 내부거래를 제재하는 직접적인 법조항을 신설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지원행위의 현저성에 대하여 입증요건을 완화하여 현실적으로 입증하기 어려웠던 것을 개선하였고, 물량몰아주기의 유형을 명시하여 지원행위에 대하여 이전보다 구체적으로 기준을 마련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면, 물량몰아주기를 규정함에 있어 부당성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공정한 거래질서에 부정적인 효과를 야기하는 물량몰아주기만 규제하고, 규제로 인하여 공정한 거래질서를 저해하지 않는 정상적인 거래까지도 위축되지 않도록 법집행에 있어 신중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물량몰아주기가 경쟁제한성을 야기하는지에 대한 경제학 측면의 이론적, 실증적 분석을 하여 합리적인 규제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적 음악관

        박정련(Jeong-ryeon Park) 민족미학회 2014 민족미학 Vol.13 No.2

        이 글은 『삼국사기 』(三國史記) 「열전」(列傳) 중, 신라(新羅)의 음악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물계자(勿稽子)와 백결선생(百結先生)에 대한 몇 줄의 사료를 단서로 하여 범부(凡父) 김정설(金鼎卨 1897~1966)이 『화랑외사 』(花郞外史)에서 재현한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다시 말해 신라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풍류도, 좁게는 그들의 음악에 대한 사유를 범부 김정설이 당시 통속적 언어를 통해 이를 해석하고 밝힌 것이다. 김범부가 『화랑외사』의 서술방법으로 택한 윤색(潤色)과 연의(演義)의 목적은 ‘활광경’(活光景)과 ‘활현’(活現)을 위한 것인데, 이는 화랑과 풍류도가 우리의 혈맥에 살아 움직이고 환히 보일 수 있는 활물(活物)로서의 기능을 기대한 그의 선택적 서술방식이었다. 그러나 ‘외사’(外事)라 하여 황당무계한 내용이 아니라, 오히려 정사(正史) 이상으로 역사적 사실을 생생하고 뚜렷하게 전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물계자와 백결선생은 비록 화랑(花郞)은 아니었지만, 화랑을 이해함에 있어 그들이 숭봉한 화랑도(花郞道)의 정신을 먼저 이해하고, 이러한 화랑도의 정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풍류적 인물의 이해가 필요하였기 때문에 김범부는 그들을 등장시킨 것이다. 『화랑외사 』에서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풍류도를 생생하게 재현한 김범부는 나름의 표현방법을 ‘제 빛깔’, ‘제 길수’, ‘제 멋’ ‘사우 맞음’, ‘제 작’이라는 통속적 용어를 빌어 전반적인 풍류도 및 풍류도적 음악을 표현하였고, 마침내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그것이 ‘제 작’의 단계에서 절로 터져 나오는 음악적 상황을 생생히 재현하였다. This paper studied about the revival of musical contents which was studied by Beom-bu(凡父) Kim Jeong-seol(金鼎卨 1897~1966) describing some of historical paragraphs for the musical element of the culture in 『Hwa-rang-oi-sa(Extra history out of Hwarang)』 (花郞外史), which examined Mul-gae-ja(勿稽子) and Sir Baekg-yeol (百結先生) during Silla dynasty in the book 『Samkuk-saki(History of Three Kingdom)』(三國史記) part of ?Yeoljeon(various records)?(列傳). To say, Beom-bu Kim Jeong-seol explained and interpreted the Pungryu(refined beauty of art) and thought of Mul-gae-ja and Sir Baek-gyeol during Silla kingdom by common language of the age. The purpose of Yun-sek(潤色: coloring) and Yeon-ui(演義: exposition) selected as a method to describe ?Hwa-rang-oi-sa(history out of Hwarang)? by Kim Beom-bu was ‘Hwal-hwang-gyong’(vitalize scenery: 活光景) and ‘Hwal-hyeon’(vitalize reality: 活現), which was a selective method of description for the expectation of the function as a living material seen and living in the context of our history in the spirit of Hwarang, and Pung-ryu-do. However, ‘Extra history(外事)’ is not unrealistic but it aims to transfer live historical fact and make it realistic than authentic history(正史). Though Mul-gae-ja and Sir Baek-gyeol were not a member of Hwarang(花郞) group but they understood the spirit of Hwarang-do they honored and Kim Beom-bu commented them to understand the spirit. Kim Beom-bu who revitalized the Pungryu-do(refined beauty in art way) in ?Hwa-rang-oi-sa(history out of Hwarang)? by Mul-gae-ja and Sir Baek-gyeol, using characteristic way of expression by the term ‘Jae-bit-gal(own color)’, ‘Jae-gil-su(own way)’, ‘Jae-meot(own taste)’, and ‘Sau-ma-zeum(harmony)’, or ‘Jae-jak(own works)’ in general Pungryu-do and the style of music, which finally revitalized the musical situation in the stage of ‘won works’ by Mul-gae-ja and Sir Bae-kgye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