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형문화자원으로서 근현대 산업유산의 가치와 의미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홍태한 무형유산학회 2020 무형유산학 Vol.5 No.1

        This article is an exploration of the value and mean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as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As laws that would bring great changes to intangible cultural asset policies became public in 2016, interest in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increased. As inheritances are passed down among generations in response to sociocultural environments, their values are acknowledged. At this,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focusing on the Incheon area. First, this article established people (memories), time (history), spaces (locations), and objects (components) as standards of perception in the observ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are based on the flow of history. There would be a periodical background to when these were created and as time passes, they become history. History is recorded, gains its own value, and controls the awareness of people. Also,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possess the placeness of the spaces they are located in. The reasons for why they are located in their spaces are related to the social flow of the times, the thoughts of people, and periodical changes. Objects, which are the components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show time and space in detail. Spaces pass on total and general meanings and objects that are components can pass on individual and personal meanings. Single memories given to people through the combination of space and time are formed into stories and passed on. Stories are based on the memories of the individuals who narrate them and the memori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individuals are combined, recreated into new stories, and are spread and passed on. Stories demand detailed evidence when they are spread and passed on and objects have important meaning as components. Also, as focus is placed on time, space, and components, people’s memories are what look into these subjectively and add meaning to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 Therefore, the memories accumulated by individuals should be collected with focus placed on time, space, and components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as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Many industrial heritages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remain in Incheon and there are several that were establish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f memories related to these are collected, they can become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If memories and recor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are collected, they become recorded cultural heritages, and if these are utilized, they becom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or this, research is needed first on archive construction, second on individual life histories, and third on various skills focused on manual labor. In addition, new methods that can add value to currently existing modern and contemporary industrial heritages and manage them must be searched for and systematic research must be conducted.

      • KCI등재

        근대문화유산의 근대와 탈근대

        정수진 비교민속학회 2020 비교민속학 Vol.- No.72

        Since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2001, how does change buildings and spaces registered as modern cultural heritage, used as tourism resources in the region? What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change? This Article considered those questions. Modern cultural heritage cannot be easily understood, as it has expanded only the object of cultural heritage defined in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conjunction with the basic principles that the act has maintained, namely the “principle of the original preservation,” there is an incompatible contradiction between the existing ‘cultural heritage’ and the new ‘modern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around the 21st century, two views about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coexisted without agreement in the architectural academical community. So why was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system established despite these contradictions and disputes?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 phenomenon of that the colonial residue become cultural heritage has been found throughout East Asia since the 1990s. In this study, we looked for the reason in the cultural logic of post-capitalism, namely postmodernism, which has become common while operating at a global level. First of all, it noted the “imagined nostalgia” consump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which is leading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place in the Hanok Village in Ikseon-dong, Korea, to capture that specific consumption pattern. And it analyzed such consumption culture in conjunction with the cultural logic of postmodern society discussed by Frederick Jameson. As a result, we could find that modern cultural heritage was nostalgia-product that replaced history with our own pop images and simulacrum. In this situation, it is not an essential matter whether it represents the era of the empire or the history of colonization. Rather, doesn’t it have become a consumer product that creates more intense pleasure with wearing the tragic aura of colonial history? 2001년 근대문화유산 등록제도가 한국에 도입되었다. 이후 이 근대문화유산은 기왕의 문화재보호법에서 정의된 문화재의 대상을 근대 이후로 확장한 것 정도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문화재와 근대문화유산 사이에는 다음의 두 가지 모순이 존재한다. 하나는 순수와 혼종 간의 모순이다. 주지하다시피 근대문화유산은 종래에는 문화재가 될 수 없는 존재였다. 무엇보다 외래문화 혹은 그것과 혼종화한 문화 형태라는 점에서 그렇다. 현행 문화재보호법이 여전히 원형 이데올로기에 기초하고 있는 한, 근대문화유산의 성립 자체는 제도적 차원에서 볼 때 모순적일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또 하나는 일제강점기 통치․수탈의 상징과 민족의 정통성․정체성의 표상 간 모순이다. 문화재청이 제시하고 있듯이 당대 문화․역사의 반영물로서 근대문화유산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재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찾는 일’과 상통한다. 그런데 일제강점기 통치와 수탈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건축물들이 대거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고 있는 실정인바, 이를 통해 ‘민족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찾는다는 주장은 모순이 아닐 수 없겠다. 주목되는 것은, 이 같은 모순에도 불구하고 식민지 유산을 문화유산화 하는 현상이 1990년대 이래 동아시아의 탈식민 도시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는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그 이유를 전 지구적 차원에서 보편화한 후기자본주의의 문화논리, 즉 포스트모더니즘과의 관련성에서 찾아보았다. 우선, 그러한 소비양상을 구체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익선동 한옥마을에서 장소의 상품화를 이끌고 있는 젊은 세대들의 ‘상상된 노스탤지아’ 소비를 살펴보았다. 이어 그 연장선상에서 근대문화유산의 등장과 변모를 포스트모던 사회의 소비문화와 결부시켜 분석했다. 그 결과, ‘시뮬라크르의 공간 논리’로 대표되는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근대문화유산의 등장과 변모는 낭만화, 신비화한 노스탤지아가 식민 역사를 대체하고, 아울러 당대에 대한 소비를 촉진하는 강렬한 감정적 토대로 자리 잡는 과정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관리와 등록문화재 제도

        김미란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52 No.3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is an unpopular study in Korea. By reason of the increase in individual property rights, persistent development, untimeliness and so on, studies i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have practically laid aside. Especially, the studies upon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have not been lively performed, because an ordinary person think that the value of the heritage is less than the value of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 low fertility and the population ageing are likely to result in an increasing demand for cultural enjoyment and population decentralization from the capital to the other provinces, and the need to protect and utilize cultural heritage comes to the fore. Particularly, emphasized is the protec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hich can be the cultural and reproductive resources for a regio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of Korea, following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ith limited budget and short manpower, takes up the priority protectionism which preserves in priority certain cultural heritage of particular importance by means of the designation or the registration for the effective protection. Between the protective measures, or the designation and the registration, the principal one has been the former which seeks the permanent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which are recognized most valuable by strong regulation and support. However, the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in the 1990s resulted in growing voices for the protection of the n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of the modern ones. These voices, in June 2001, finally won the registration system to protect modern cultural heritage. A poor use and the centralized operation of the registration system and the absence of the legal protection of cultural assets registered for public announcement, despite the adoption of the system, hinder an effective operation of the system as a protective measure for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o meet an increasing request to tune up the registration system and enhanc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 article defines the no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hich the registration system protects, first, and then the system itself is analyzed. With the result, the article points out drawbacks of the current legal system. Focusing on the legal defects,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registration system is devised to cope more effectively wit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문화재보호는 개발중심의 한국사회에서는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는 아니다. 개인의 재산권의 신장, 지속적인 개발논리, 시의성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문화재 보호에 관한 연구는 뒷전으로 밀려나는 것이 현실이고, 특히 등록문화재는 지정문화재보다 보호가치가 낮은 문화재라는 인식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진 않았다. 그러나 저출산・초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문화재 향유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가 지방으로 분산되면서 지역을 중심으로 한 문화재의 보존 및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역문화・재생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현대문화유산 보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한국은 특히 「문화재보호법」을 중심으로 한정된 재원과 인력을 활용하여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 문화재중 특히 중요한 문화재를 지정이나 등록을 통해 중점적으로 보호하는 중점보호주의를 취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문화재중 극히 가치가 높은 것을 선정하여 국가의 강한 규제와 지원을 통하여 영구적으로 보존하고자 하는 지정제도 위주로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산업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지정되지 않은 문화재, 특히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보호의 목소리가 높아져갔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2001년 7월에 근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문화재 등록제도가 도입되었다. 문화재 등록제도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등록문화재 제도의 저조한 활용, 중앙중심의 등록문화재 제도 운영, 등록예고대상에 대한 법적 보호 부재 등으로 인해 등록문화재 제도는 도입취지와는 달리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효과적인 근・현대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해서 등록문화재 제도의 정비가 요구되고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등록문화재 제도를 통해 보호되는 근・현대문화유산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등록문화재 제도를 검토하여 그 한계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근・현대문화유산의 보호・관리 강화를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의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궁극적 목표이다.

      • KCI등재후보

        북한의 전통음악관련 무형유산의 전승과 남북한 협력 방안

        배인교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7

        This article examined the North Korean leaders' perceptions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toseek future directions of the transmi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nd perspectives forcooperation or mutual complement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uring the reign of Kim Il-sung , North Korea generally concentrated on the socialist or (north)Korean style succession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s. That is, North Korea did not leave themusic of the past as a thing of the past, but critically inherited it so that the music of the pastcould continue living in real life, and demanded the music of the past to melt modern senseson it. During the reign of Kim Jong Il , North Korea tended to emphasize national cultural heritagesmore than the reign of Kim Il-sung , but North Korean perceptions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especial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anged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at is, alongwith modern succe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North Korea began to be interested inthe preservation of the 'archetypes'. In the reign of Kim Jeong-eun , which began in December 2011, North Korea enactedthe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2015)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and it becamethe foundation for the registration of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s UNESCO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Humanity and the designation of those as national nonmaterialcultural heritages and local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However, in contrastto the emphasi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t the national level, it can be seen that theperformance and creation of national music in the field of music were not as active as inprevious periods. Therefore, in order to inherit the national common musical heritages in the times of SouthKorea-North Korea reconciliation, the efforts to identify and match the statuses of eachcountry's music culture while referring to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or culturalheritages based on the archetypes of region-based musical heritages should be made first.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widely educate tha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common musical heritages. Based on the basic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usicalheritage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ce to confirm the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and furthermore, the national homogeneity. 이 글은 북한 지도자들의 음악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남북의 음악문화유산 전승의방향과 협력, 혹은 상호 보완의 관점을 모색한 글이다. 김일성이 집권하던 시기에는 대체로 민족문화유산의 사회주의적, 혹은 (북)조선적 계승에 집중되어 있었다. 즉 과거의 음악을 과거의 것으로 남겨두지 않고 현실 생활에서 계속해서 살아 움직일 수 있도록 비판적계승을 하며, 그 위에 현대적인 감각을 녹여 낼 것을 요구하였다. 김정일 집권기에는 김일성 시대보다 더욱 민족문화유산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족문화유산, 특히 무형유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즉 음악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과 함께 ‘원형’의 보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2011년 12월에 시작된 김정은시대에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민족유산보호법」(2015)을 제정하였으며, 이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와 국가비물질문화유산 및 지방비물질문화유산의 지정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 차원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강조와 달리 음악현장에서는 민족음악 연주와 창작이 이전 시기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남북한 화해의 시대에 민족 공동의 음악유산을 전승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음악유산의 원형성을 기준으로 문화재, 혹은 문화유산 지정을 참고하면서 각국 음악문화의 상태를 확인하고 맞춰가는 노력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남북한이 공동의 음악유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널리 교육할 필요도있다. 이러한 남북의 음악유산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한 음악문화유산의 계승과발전, 나아가 민족적 동질성을 확인하는 자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문화예술경영 측면에서의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숙박시설 `고우당` 활성화 방안 연구

        공용택(Kong, Yong-taeg),이미진(Lee, Mi-j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문화유산으로서 문화체험 숙박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전라북도 군산에 위치한 ‘고우당’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근대문화유산이 고유 숙박콘텐츠로서 국내외국인의 관광과 문화수출에 기여하는 자원으로서의 활성화를 도모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도 다양한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숙박시설의 가능성과 활용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사례는 고우당과 같은 근대문화유산을 가장 자연스럽고 생산적으로 재해석하여 활용하고 있는 유럽의 사례 중 스페인의 ‘파라도르’와 프랑스의 ‘샤토’제도를 사례로 채택하였다. 파라도르는 스페인 국영 호텔 체인으로 중세부터 근세까지의 관공서·수도원·궁전 등의 역사적 건물을 숙박시설로 개조한 곳이다.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 관광객에게도 특히 인기 있는 대중친화적인 숙박업소로써 다양한 가격대를 갖추고 있는데, 대중적 가격으로 스페인의 역사와 분위기를 느끼는 역사적 건물에 투숙함으로써 숙박 이상의 특별한 가치를 체험케 한다. 샤토의 경우 프랑스에 산재한 중세시대의 고성이나 귀족들의 저택·수도원 등을 개조한 프랑스의 숙박시설로, 럭셔리한 시설에서 왕이나 귀족이 된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고가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군산의 고우당은 군산시의 근대역사 경관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의 주거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숙박시설로 2012년 오픈하였다. 고우당이 위치한 근대역사경관 지구는 1930년대 가로 경관을 재현한 것으로 당시의 적산가옥을 증축·수리·재활용하여 식당 및 편의시설과 군산항쟁관 등으로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결과, 고우당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단순한 숙박 이외 고유가치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저렴한 가격이 대중적이기는 하지만 일정 비용이 지불되더라도 근대역사문화인 이곳에서만 할 수 있는 체험과 경험의 기회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도 중요할 것이다. 둘째, 고우당의 옛 모습에 대한 고유 정보와 재건축 또는 전면 신축 등 시대와 역사의 가치를 보여주어야 한다. 과거와 현재의 있는 그대로의 변화에 대해 왜 그럴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언급해주는 것이 사업취지에 맞는 일일 것이다. 셋째, 적산가옥을 재현해 놓고 일본식을 체험하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진중한 고민이 끊임없이 요구된다. 우리의 자산이 유럽과는 다른 문화환경으로 연구의 결과가 완벽히 일치할 수 없는 연구의 한계를 갖으나 본 연구를 통해 근대문화유산을 문화자원화 한 연구 개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focus on "Gowoodang"(kunsan, jeon-buk, korea) which is used as cultural experience accommodation, and is study acti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s a resource of tourism and culture. And discussed to seek the activation of accommodation that is utilized a various modern cultural heritage of Korea. Also, this study choosed cases of "Parador" of Spain and "Château" of France as case study. Paradores are the state hotel of Spain, which has been converted historic building such as government offices, monateries or castles of middle to modern age, into accommodation facility. As both of Spanish and foreign tourists showed high interests because of it provides Spanish history and atmosphere, Paradores became popular. Château is accommodation of France that converted the old castle, state apartments, or monastery in Medieval France. The accommodation has a various and high cost programs which provide luxury royal experiences. Gowoodang also has its own residential style which has been settled in the Japanese Rulling Era of Korea. Since Gowoodang opened in 2012, they operates restaurants and conveniences with the accommodation as well. As a result of the study, authors have revealed three suggestions. First, entertainable programs are necessary not simple accommodation only. Low cost is competitive, but tourists need to experience the value of modern cultural heritage even if it takes some cost. Second, authors suggest to show the precess of reconstruction and convertion, and the history of Gowoodang. Also need to mention about the meaning of construction and alteration. Third, there must be a consideration about the meaning of experiencing Japanese construction style. The value, which comes from cases of Spain and France, cannot be exactly matched to Gowoodang. However, the authors are expecting animate future studies about cultural resource research of modern cultural heritage, through out from this study.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문화유산으로서 문화체험 숙박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전라북도 군산에 위치한 ‘고우당’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근대문화유산이 고유 숙박콘텐츠로서 국내외국인의 관광과 문화수출에 기여하는 자원으로서의 활성화를 도모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도 다양한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숙박시설의 가능성과 활용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사례는 고우당과 같은 근대문화유산을 가장 자연스럽고 생산적으로 재해석하여 활용하고 있는 유럽의 사례 중 스페인의 ‘파라도르’와 프랑스의 ‘샤토’제도를 사례로 채택하였다. 파라도르는 스페인 국영 호텔 체인으로 중세부터 근세까지의 관공서·수도원·궁전 등의 역사적 건물을 숙박시설로 개조한 곳이다.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 관광객에게도 특히 인기 있는 대중친화적인 숙박업소로써 다양한 가격대를 갖추고 있는데, 대중적 가격으로 스페인의 역사와 분위기를 느끼는 역사적 건물에 투숙함으로써 숙박 이상의 특별한 가치를 체험케 한다. 샤토의 경우 프랑스에 산재한 중세시대의 고성이나 귀족들의 저택·수도원 등을 개조한 프랑스의 숙박시설로, 럭셔리한 시설에서 왕이나 귀족이 된 듯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고가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군산의 고우당은 군산시의 근대역사 경관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의 주거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숙박시설로 2012년 오픈하였다. 고우당이 위치한 근대역사경관 지구는 1930년대 가로 경관을 재현한 것으로 당시의 적산가옥을 증축·수리·재활용하여 식당 및 편의시설과 군산항쟁관 등으로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결과, 고우당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단순한 숙박 이외 고유가치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저렴한 가격이 대중적이기는 하지만 일정 비용이 지불되더라도 근대역사문화인 이곳에서만 할 수 있는 체험과 경험의 기회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도 중요할 것이다. 둘째, 고우당의 옛 모습에 대한 고유 정보와 재건축 또는 전면 신축 등 시대와 역사의 가치를 보여주어야 한다. 과거와 현재의 있는 그대로의 변화에 대해 왜 그럴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언급해주는 것이 사업취지에 맞는 일일 것이다. 셋째, 적산가옥을 재현해 놓고 일본식을 체험하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진중한 고민이 끊임없이 요구된다. 우리의 자산이 유럽과는 다른 문화환경으로 연구의 결과가 완벽히 일치할 수 없는 연구의 한계를 갖으나 본 연구를 통해 근대문화유산을 문화자원화 한 연구 개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focus on "Gowoodang"(kunsan, jeon-buk, korea) which is used as cultural experience accommodation, and is study acti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s a resource of tourism and culture. And discussed to seek the activation of accommodation that is utilized a various modern cultural heritage of Korea. Also, this study choosed cases of "Parador" of Spain and "Château" of France as case study. Paradores are the state hotel of Spain, which has been converted historic building such as government offices, monateries or castles of middle to modern age, into accommodation facility. As both of Spanish and foreign tourists showed high interests because of it provides Spanish history and atmosphere, Paradores became popular. Château is accommodation of France that converted the old castle, state apartments, or monastery in Medieval France. The accommodation has a various and high cost programs which provide luxury royal experiences. Gowoodang also has its own residential style which has been settled in the Japanese Rulling Era of Korea. Since Gowoodang opened in 2012, they operates restaurants and conveniences with the accommodation as well. As a result of the study, authors have revealed three suggestions. First, entertainable programs are necessary not simple accommodation only. Low cost is competitive, but tourists need to experience the value of modern cultural heritage even if it takes some cost. Second, authors suggest to show the precess of reconstruction and convertion, and the history of Gowoodang. Also need to mention about the meaning of construction and alteration. Third, there must be a consideration about the meaning of experiencing Japanese construction style. The value, which comes from cases of Spain and France, cannot be exactly matched to Gowoodang. However, the authors are expecting animate future studies about cultural resource research of modern cultural heritage, through out from this study.

      • KCI등재

        충남지역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방안

        정을경(鄭乙璟)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근현대 문화유산과 관련한 연구성과는 주로 현재까지 남아 있는 유적과 관련한 현황 파악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한계는 근대 역사를 콘텐츠로서 활용하는 방안으로 진척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도 근대라는 시기의 특정 사건에 대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종합적인 근대 문화유산에 대한 현황 파악과 활용을 조망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성과가 가지고 있는 특정 사건이나 분야가 아닌 근현대 문화유산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작으로 보존 및 활용방안에 대한 광범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근현대 문화유산은 공간적인 범위를 현재의 전국으로 설정하고, 부동산과 동산 등의 유형유산을 형태적인 범위로 한정한다. 시대적 범위는 1876년 개항을 기점으로 하되, 근대성을 지닌 유산을 포괄한다. 또한 보존과 수집, 활용대상의 큰 범위는 국가 또는 도시군 단위의 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하여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사건, 인물, 장소, 양식, 건축 등과 관련하여 지역민이 공감할 수 있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각 지역의 명물로서 미래세대에 전승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유형의 것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기준에 입각하여 충남의 근현대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한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방안은 예비문화재나 등록문화재로 포괄하는 제도 정비, 지속적인 보존과 활용을 염두에 둔 아카이브 및 콘텐츠 활용, 주민이나 주민단체가 스스로 진행할 수 있는 보존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한 근현대 문화유산의 활용방안으로는 문화상품개발, 지역 특산품을 관광화로 연계,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제고, 매핑과 온라인서비스, 관광버스, 사진활용, 해상 관광 루트 연계를 통한 여행 및 관광으로의 활용, 상업공간, 여행자 숙소, 교육문화공간, 시민동호회 활동 지원을 통한 공간 활용, 스토리텔링 발굴, ‘주제’를 갖는 마을 조성, 웹툰 제작, 지역재생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Research outcomes related to modern cultural heritages are almost about grasping and application of current situation related to relics that are remained at present. The limits were promoted as a measure utilizing modern history as contents. However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as contents related to particular accident of the modern times, so it did not investigate grasping and utilization of current situation for general modern cultural heritages. This research intends to give broad suggestion about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after the start of worries about the method to define modern cultural heritages, particular accident or field of existing research outcomes. Modern cultural heritages set spatial range as the whole country of the present and restrict tangible heritages such as real estates, movables, etc. as typical range. Periodical range should be on the base of port opening of 1876, but include heritages with modern periodicity. In addition, the big range of preservation, collection, and application objects should restrict what are not nominated as nominated cultural heritages, cultural heritage materials,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s of country or city uni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residents may sympathize in relation to accidents, persons, places, styles, constructions, etc. representing the area. Furthermore, it should set the types judged to have the value of transferring to the future generation as famous one of each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pre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for modern cultural heritage of Chungnam suggested arrangement of systems including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and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archive and contents activity considering continual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preservation residents or their groups can progress for themselves, etc. Also, as application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for them,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relation between regional special products and tourism, improvements of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pping and online service, application of tourism bus and photo, application of trips and sightseeing by relating to marine sightseeing route, commercial space, tourist lodging, space of educational culture, application of the space through supports of citizen community activity, excavation of storytelling, creation of the village with ‘subject’, production of webtoon, and regional reproduction, etc. were suggested.

      • KCI등재

        (연구논문) 부산지역의 근대문화유산과 역사인식문제

        제점숙 ( Je Jum-suk ),송봉호 ( Song Bong-ho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7 항도부산 Vol.33 No.-

        이글은 부산이라는 `지역`의 특성에 중점을 두고 부산 근대유산의 현황과 역사인식 문제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부산의 근대유산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해보면,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논의가 상당부분 `근대`라는 역사 부재의 표면적인 논의에만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산의 근대유산을 `마이너스 유산`으로 바라보는 관점에는 `친일-항일`이라는 이분법적 구도가 강하게 내재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이글에서는 부산의 등록문화재 중 일제시기에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는, `부산임시수도 정부 청사`와 `부산 구 남선전기 사옥`을 사례로 근대유산의 `근대`라는 역사인식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부산 임시수도 정부 청사`의 경우, 경남도청 이전을 둘러싸고 진주에서 부산으로의 이전 과정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의 반대운동과 저항이 없었더라면 오늘날`피란수도 부산 기록물`의 표상으로서 임시정부청사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부산 구 남선전기 사옥`은 조선 전기사업을 둘러싼 독점적 경영과 고수익획득에만 관심을 가진 일본인들과, 이를 통제하고자 전력통제정책을 실시한 총독부와의 마찰이라는 역사적 사실이 내재되어 있었다. 이처럼 부산의 근대유산은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조선인과 일본인의 중층적 관계 속에서 형성되어 왔다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역사적 의미는 배제된 채 보존과 활용에만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타자`라는 일본(일본제국)을 내재한 `근대`의 유산에 대한 의미를 향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as to 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modern heritage in Busan and the issues of historical awareness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of Busan. In addition, through the preliminary studies on the modern heritage in Busan, this paper posed a problem that the concept, definition and study status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have been only focused on the superficial discussion of the absence of the history of `modern times`, and pointed out that there is composition `Pro Japanese Anti Japanese` strongly inherent in the viewpoint that the modern heritage in Busan is regarded as a "negative heritag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preliminary studies, the issues of historical awareness on `modern times` in the modern heritage was considered based on cases of the `Busan Temporary Capital Government Building` and `The Old Namseonjeongi Company Building in Busan` which were built in the colonial period, but have been rarely mentioned related to Japan, among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Busan. As for the `Busan Temporary Capital Government Building`, if there were no joint opposition movement and resistance performed by Koreans and Japanese during a transfer process from Jinju to Busan on the transfer of the Gyeongnam Provincial Government, as a symbol of `Refuge Capital Busan Records`,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ilding would not have existed. In addition, in the `The Old Namseonjeongi Company Building in Busan`, there is a historical fact inherent that there was a friction between the Japanese who were interested only in the monopoly management and the high profit-earning on Joseon Electric Business and the Governor-General that conducted the Electric Power Control Policy to control them. Like these, although the modern heritage in Busan is called `Modern (times)` Cultural Heritage, only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re focused without remembering the historical facts of `modern tim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keep in mind the significance of the heritage of `modern time` with consideration of Japan(The Empire of Japan), the `Other Party`.

      • 새 무형문화재법과 전통적기예·무예 조사방향

        심승구 국립무형유산원 2016 무형유산 Vol.- No.1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a comprehensive nationwide survey of skills and martial arts according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aw which came into effect in 2016. The new law significantly expanded the defin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eviously confined to 'artistic talents and skills' into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daily customs'. As a result, the skills and martial arts field which have been broken or vulnerable to transmission came under attention. Some suggestions to prepare before the next nationwide comprehensive research into the traditional skills and martial arts aspec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as follows. First, set concepts and categories for the traditional skills and martial arts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after defining the concepts and categories, the present-condition research must take precedence over the events that were cataloged, up to the present among the skills and martial art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such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State-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ity/Province-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National Reserve List. Third, there is a need for comprehensive research studies to extract new items in the field of skills and martial arts. Fourth, if there are some items which have been already included in oth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tor in the skills and martial arts,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on how to handle the issue. Lastly, in the case of skills and martial arts, there seems to be a need to examine the way in which we designate Moder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sides designating the exis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protect and transmit them because there are lots of events which were restored and reproduced in modern times. 이 글은 2016년부터 시행된 무형문화재법에 따라 기예와 무예의 전국적 종합조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새 무형문화재법은 종래 ‘예능과 기능’에 국한된 무형문화재를 ‘전통지식과 생활관습’ 등으로 전승영역을 크게 확장하였다. 그 결과 그동안 단절되었거나 전승취약 종목에 해당하는 기예와 무예의분야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특히 기예는 종래에 없던 새로운 분야로 설정된 것이다. 향후 기예와 무예의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에 앞서 준비해야할 과제를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유산으로서 기예와 무예의 개념과 범주를 설정하는 일이다. 이 같은 작업은 해당 분야의 대상과범위를 조사하고 설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가 될뿐 아니라 사업 전체의 체계성과 적합성을 담보하는 조건이 되리라 여겨진다. 둘째, 개념과 범주가 정해지면, 현재까지 기예와 무예 가운데 무형문화재(인류무형문화유산, 국가무형문화재, 시·도무형문화재, 국가예비목록)로 지정되거나 목록화되어 있는 종목의 현황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같은 작업은 현재 기예와 무예 항목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여 향후 조사의 방향을 가늠하는데 일정하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셋째, 기예와 무예 분야의 새로운 항목 추출을 위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그동안 기예와 무예 분야는 전승이 단절된 대표적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현행 무형문화재 지정에서 큰 비중을 갖지 못하였다. 하지만, 새 무형문화재법에 따라 조사 분야로 설정된 만큼,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종합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하리라 여겨진다. 넷째, 기예와 무예의 항목이 이미 타 무형문화재 분야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그 처리의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예컨대 남사당놀이의 경우, 줄타기나 버나돌리기가 이미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줄타기와 버나돌리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종합연희의 경우에 포함된 기예 종목과 개별 종목(예, 버나 돌리기나 줄타기 등)사이의 구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이상의 작업은 마지막으로 무형유산으로서 기예·무예의 조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극락강 유역의 근대문화유산 연구

        홍은숙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system and to re-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modern cultural heritage in the Geungnak River basin. Through existing research papers, historical records, and on-site interviews, we find ways to re-examine (former) Shandong Bridge, Geungnakgang Station, and Geungnak Railroad Bridge, which are modern cultural heritages, and to preserve and utilize them as modern cultural heritages. Sandonggyo Bridge, which connecte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round the Geungnak River, was built in 1934 as part of National Route 1, and Geungnakgang Station was a simple station for trains connecting Songjeong and Gwangju. The Geungnak Railway Bridge was part of the Gyeongjeon Line in 1922, but it is now electrified. These buildings are of value because they are historical products formed in modern times and reflect the culture and history of the tim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system, Mokpo’s modern cultural heritage was reconsidered and registered in the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The registr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was promoted with the intention that these buildings should not be viewed only as remnant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should be used as living historical educational materials. For this example, modern cultural heritage (former) Sandonggyo Bridge around the Geungnak River, Geungnakgang Station, and Geungnak Railroad Bridge should also be preserved and managed and used as educational and tourism materials.

      • KCI등재

        한국기독교 등록문화재 현황과 등록 확대와 활용방안

        이은선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3 ACTS 신학저널 Vol.55 No.-

        Christianity entered Korea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and created various modern cultural heritages. These modern cultural heritages of Christianity belong to modern cultural assets in the cultural heritag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 Some of the Christian modern cultural properties belong to th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but most of them belong to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mplemented after July 2001. Currently, there are 81 registered Christian cultural properties, which is only a small portion of the total Christian cultural heritage. Therefore, the Christian community should build a database of non-designated modern cultural properties well and expand the registr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rough systematic research. Modern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been excavated and preserved so far should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missionary work, maturation of faith, and tourism purposes. Christian modern cultural heritage should be well preserved and it should not only reveal the aspects that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but also contribute greatly to the expansion of Korean society’s tourism resources. 기독교는 개항 이후 한국에 들어와서 다양한 근대문화유산을 만들어왔다. 이러한 기독교의 근대문화유산은 우리나라 문화재 분류 체제에서근대문화재에 속한다. 기독교 근대문화재 가운데 일부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정문화재에 속하지만, 대부분은 2001년 7월 이후에 시행된등록문화재에 속한다. 현재 기독교 등록문화재는 81건으로 전체 기독교문화 유산 가운데 아주 소수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기독교계가 비지정 근대문화재들의 데이터베이스를 잘 구축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등록문화재 등록을 확대하여 나가야 하겠다. 현재까지 발굴되고 보존된 근대문화재들은 앞으로 교육적 목적과 선교와 신앙의 성숙을 위해 활용되고관광목적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보존과 활용을 통해 기독교근대문화유산이 잘 보존되어 한국사회의 근대화에 기여한 측면이 보존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의 관광자원의 확장에도 크게 기여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