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廣東省 廣州의 목판화 잡지 『現代版畫』 연구: 李樺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주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3 No.1

        Modern Prints was the pictorial published by the Modern Print Society of Guangzhou from December 1934 to May 1936. The member of the society was Li Hua, the drawing instructor of Guangzhou Municipal School of Fine Art and his fellow. By the time the artists of Shanghai, the epicenter of Chinese Wood Cut Movement were oppressed by the Anti communist policy of Nationalist Party of Chiang Kai-shek’s. From the 1931 onward Chen Jitang of the anti Chiang Kai-shek faction, took control Guangdong Province, this accounted for the political atmosphere that had allowed the Modern Prints Society to exist and flourished Guangzhou for the time being. The wood cut prints of Li Hu before the first contact with Lu Xun in December 1934, showed the modernism style of Cubism and Fauvism. In the letters to Li Hua, Lu Xun emphasized importance of returning to Chinese traditions for inspiration. He advised Li Hua to combine European styles with the line of Han Dynasty reliefs, materials of Ming and Qing book illustration, and New Years pictures appreciated by the common people. The effort to combine the German Expressionist wood cut and folk traditions – New Years Pictures from Foshan, Buddhist engravings and amulets- was successfully demonstrated in Li Hua's <Roar, China!>. As the aftermath of student movement in Beijing on December 9. 1935 to protest the ‘anti communist self governance’ in Northern China, spread to Gwangju, Modern Prints published an ‘Anti-Imperialist Issue’ in its 17th volume, directly embodying the scenes of suppression of protests and the suffering of the students. During the Sino-Japanese War, Li Hua was active as a representative wood cut printer of the Nationalist Party. 『現代版畫』는 광주의 ‘현대창작판화연구회’가 1934년 12월부터 1936년 5월까지 발행했던 목판화잡지였다. 목판화운동의 진원지였던 상해가 장개석의 멸공정책으로 해산되었던 시기, 광주는 반장개석파가 정권을 잡았고, 비로서 광주에서 목판화운동이 일어날 수 있었다. 광주의 목판화운동은 좌익미술가들이 주도했던 상해와 달리 모더니스트를 자처한 광주시립미술전과학교의 서양화과 교수 李樺와 그의 제자들이 이끌었다. 이화는 1934년부터 1935년까지 총 7통의 편지를 魯迅과 주고 받으며 『현대판화』의 창작 방향을 수정해 나갔다. 초기의작풍은 입체주의나 야수주의 화풍과 소련 목판화가 공존했으나, 중국의 전통 목판화 - 漢代 畫像石, 明代 서적 삽화, 민간 年畵 – 와 유럽의 양식을 조화롭게 융합하라는 노신의 조언을 받아들이면서 변화를 보이게 된다. 민간의 삶을반영하는 소재 선택, 독일 표현주의 판화와 민간 전통 – 佛山年畵, 불경 판화, 부적에 이르기까지 - 을 융합하려는 양식적 노력이 더해져 이화의 <외쳐라 중국이여 !>가 예시하는 바 처럼 독특한 판화 양식을 만들어 가게 된다. 1935년12월 9일 북경의 항일학생운동의 여파가 광주에도 불면서 『현대판화』는 17집에반제국주의 특집호를 발행하고, 시위 탄압 장면과 인물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했다. 단체를 이끌었던 이화는 중일전쟁 시기 국통구의 대표적 판화가로 활동하면서 신중국 성립 후 중앙미술학원의 판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판화계를 이끌었다.

      • KCI등재

        義湘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최연식 한국사상사학회 2002 韓國思想史學 Vol.19 No.-

        Studies on Eui-sang began in 1920s in Korea but the first ones were just brief introductions to his life and writings. Several serious studies appeared in 1970s one of which is a commentary on Eui-sang's Dharma-dh~atu Diagram(Beobgye-do). By the studies the specific characters of his thought were understood and the philosophical differences between Eui-sang and Won-hyo who had been regarded as the same Hua-yen scholars were noticed. There were also some studies which regarded his thought as the political ideology of absolute monarchy of mid Silla period. In 1980s much more developed studies were published. The characters of Eui-sang's school began to be studied through the close analyses on the writings of his disciples as well as his own. And the relation between his Hua-ren thought and his faith in Avalokatesvara was examined. With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a polemic against the political ideology theory was occured. Some argued that Hua-yen thought In itself has no relation to absolutism-on the contrary it respects individuals-and showed that Eui-sang had kept much distance from the politics. But others persisted that Eui-sang's philosophy helped the monarchs get the contol over the nobility. In 1990s some questions on the authorship of the writings were raised. The Catechism of the Avatamsaka-s~utra(Hwaeom-gyeong Mundab) which had been known as the writing of a Chinese Hua-yon master was found to be the records of Eui-sang's lectures on Hua-yen thought. And a close investigation on a book regarded as the textbook of Won-hyo's disciples revealed that it was written bya Euidh~atusang's disciple. Some scholars also argued that the Dharma-dh~atu Diagram was not written by Eui-sang but by his teacher Zhi-yan but others criticized it. Much should be examined in philology as well as in philosophy to settle these authorship questions and through the examination the character of Eui-sang's Philosophy will be much more understood.

      • KCI등재

        明末熊化出使朝鲜及其与东国的文化交流 - 以『己酉皇华集』为中心 -

        殷雪征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7 No.-

        명말기 여진의 세력이 부단히 흥기하는 가운데, 명 사신 熊化는조선선조의諡號를 내려주고, 조선과 더불어 여진을 다스리도록 하는 명을 부여 받고, 만력37년(1609년) 조선으로 출사하였다. 이때, 그는 탁월한 외교역량으로써 제례상의 논쟁 문제를 해결 짓고, 조선의 군신과더불어 여진을 방어했을 뿐 만 아니라, 그의 고결한 성품으로써 조선에 뚜렷한 이름을 남겼다. 동시에 그는 양국의 詩賦外交의 전통을 계승하여, 詩歌로써 조선의 각급 관원들과 광범위한교류를 쌓았는데 이를 테면 조선명신 이정구, 유근과 함께 진지한 우의를 맺었으며, 윤근수와더불어 깊이 있는 학술토론도 벌였던 바, 이는 조선왕조에서 편찬한 양국 문인화답시문집<기유황화집>에 깊이 반영되어 있다. 웅화의 조선출사와 조선 문인들과의 교의는 임진왜란으로빚어낸 고통의 역사에 대한 양국의 기억과 명조말기 양국관계의 진실을 조명하는데 뚜렷하게반영되었다. Through the poems of Jiyou Huanghuaji, we study how Xiong Hua, as a Ming Dynasty envoy, visited the Chosen Dynasty. His mission was designating a posthumous title for Chosen’s deceased King. Not only did he associate with many Chosen government officers and wrote some poems for their poetry responsorial activity, which deepened the sincere and profound friendship between Xiong Hua and Li Tinggui, Liu Gen, but he also made academic exchanges with Yin Genshou. Furthermore, he contacted the descendants of those who made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the two countries exchanges and wrote some verses for their poetry anthologies. He gave respect and understanding to the Chosen junior officers and wrote some farewell poems for them. In brief, Xiong Hua’ Chosen visit was successful it gave an impetus to the development of the friendly relations and literary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his mission we can understandthe true state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late Ming Dynasty.

      • KCI등재

        三言 속 懷才不遇한 文人의 소설화와 현대적 수용 고찰― 역사인물 李白⋅王勃⋅柳永을 중심으로

        천대진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9 No.-

        This paper contemplated the phenomenon that in studying the works having the material of ‘Talented but unfortunate literary figures’ as a part of main topic of ‘Research on Comtemporary Accommodation Pattern of Historic Figures in San-Yan,’ the three literary figures of Li-Bai, Wang-Bo and Liu-Yong who were born as a character of novel followed by Tang Yin examined in preceding research, are cited by Chinese public even today beyond the boundary of history and literature. These 4 talented but unfortunate literary figures out of the historic figures in San-Yan were transformed from the historic figure to the fictional character and have been transformed as public icon loved by Chinese public to today although there is difference in the degree. The writer has analyzed the this public phenomenon with the keyword of ‘taste of arts (Pungryu)’ in case of Tang Yin and would like to analyze with the keyword of ‘celestial being’ in case of Li-Bai, Wang-Bo and Liu-Yong. The historic figures, particularly the historic figures in San-Yan, have been great source of fictional reproduction that has been continued to Ming Dynasty and have been transformed as diverse assets of consuming and enjoying the culture by public to today. Among them, in case of the literary figures like Li-Bai, Wang-Bo and Lui-Yong, the sympathy and the affection that the artists and the public of later generations felt, apart from the self-image of the times that each of them has live, were used to be covered with taoist color of celestial being (Sinseon) and to become a material of artificial creation like chivalry and romantist, and coexist with the contemporary public 본고는 ‘삼언 역사인물의 현대적 수용 양상 연구’라는 대주제의 일환으로 ‘懷才不遇한 文人’을 소재로 한 작품군을 연구함에 있어서,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당인에 이어 소설 속 인물로 탄생한 세 문인 李白⋅王勃⋅柳永이 역사와 문학의 경계를 넘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 대중들에게 회자되는 현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삼언 역사인물 중 회재불우했던 이 네 문인은 ‘역사인물’에서 ‘허구적 인물’로 변모하였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대중적 아이콘으로 변모해왔다. 필자는 이러한 대중적 현상을 당인의 경우에는 ‘풍류’라는 키워드를 통해 분석한 바 있고, 이백⋅왕발⋅유영의 경우에는 ‘신선’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역사인물, 특히 삼언 속 역사인물은 명대까지 이어 온 허구적 재창작의 훌륭한 원천이었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중의 문화 소비와 향유의 다양한 자산으로 변모해왔다. 그중에서도 이백⋅왕발⋅유영과 같은 문인은 각자가 살았던 시대의 자아상과는 별개로, 후세의 작가와 대중이 느끼는 그들에 대한 연민과 애정이 ‘신선’이라는 도교적 색채로 덧씌워지기도 하고, 의협과 사랑꾼과 같은 작위적 창작의 소재가 되기도 하여 현대의 대중과 공존하고 있다.

      • KCI등재

        춘추(春秋) 패권 시대의 존왕양이론(尊王攘夷論)과 화이분별론(華夷分別論)

        김철운 ( Cheol Woo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중국 역사의 무대에서 화이분별론(華夷分別論)의 본격적인 등장을 알렸던 것은 바로 춘추 패권(覇權)시대의 회맹(會盟) 질서에 입각한 “주나라 왕실을 높이고 사이를 배척한다”는 존왕양이론(尊王攘夷論)이었다. 이것은 천자국(天子國)인 주(周)나라를 중심으로 통일성을 유지하던 종법적(宗法的) 봉건 질서가 거의 다 무너져 내린 춘추 시대의 현실 상황에서 제후국들이 주나라를 대신하여 사이(四夷)의 침입을 막고 제하(諸夏)의 문화를 보호한다는 명목 아래 그들 간에 연합 동맹(會盟)을 맺고 그 분산된 힘을 하나로 결집해 나가자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존왕양이’의 기치 아래 결집한 제후국들은 제하와 사이를 ‘안’과 ‘밖’으로 철저하게 구별하였는데, 그 근거는 ‘생활 방법의 차이’(농업 생활과 유목 생활)와 ‘정치 방법의 차이’(연합 동맹의 참여 여부’), 궁극적으로 ‘예악 문화의 수용 여부’였다. 이를 통해서 그들은 어느 정도 사이 문화의 유입도 막을 수 있었고, 또한 제하 문화의 우월적 지위도 지켜 낼 수 있었다. 하지만 ‘존왕양이론’은 그 안에 내포된 배타적 성격으로 인하여 문화 간의 상호 교류와 공동 발전을 철저하게 방해하거나 봉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그것은 사이 문화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사이의 문화를 제하의 문화로부터 격리하거나 제하의 문화에 동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로부터 제하 문화에 의한 사이 문화의 패권적 지배는 더욱 더 견고해져 갔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사람들을 편협한 민족주의적 사고에 길들여지게 했던 동시에 그러한 이념의 공고화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시켰을 뿐이다. Chunqiu period`s Zun-wang-yang-yi-lun was made appeared Hua-Yi-Fen-Bie-Lun on the stage of china history. In those times Zhou`s feudalism almost collapsed, and so feudal princes gathered under the banner of Zun-wang-yang-yi signed a coalition Alliance and united all their efforts to solve the problem. Therefore they were able to stop the influx of Si Yi`s people, and were able to keep Zhu Xia`s cultures from Si Yi `s cultures. But, because Zun-wang-yang-yi-lun is implied the exclusivity in it, it was thoroughly blockaded the mutual exchange and joint development between cultures. and because it does not recognition the cultural diversity, it was suppressed or assimilated Si Yi `s cultures. Therefore Zhu Xia`s cultures`s dominance for Si Yi `s cultures was even stronger. Finally, these culture consciousness injected people with the thinking of the illiberal cultural supremacy, and so was dropped people as a means of strengthening ideology.

      • KCI등재

        반고(班固)의 기미불절(羈미不絶)과 화이분별론(華夷分別論) -화친론(和親論),정벌론(征伐論),기미론(羈미論)을 중심으로

        김철운 ( Cheol Woon Kim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연구 Vol.0 No.52

        한나라의 화이분별론은 화친론과 정벌론의 논쟁을 시작으로 기미론의 화친론과 정벌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이 형성되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냈다. 기미론은 한나라를 대표하는 화이분별론인데, 이는 사이(四夷)를 철저하게 한나라의 국경 밖에 격리하고 한족 중심의 강력한 통치 질서를 세우기 위한 목적에서 등장하였다. 그 핵심 내용은 반고(班固)가 제출한 기미부절(羈미不絶)이다. 이는 현실적으로 ‘사이’를 철저하게 한나라의 경계선 밖에 격리하면서도 그 관계를 끊지 않고 유지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기미론은 이전보다 더 엄격한 화이 분별론(華夷分別論)에 기초한다. 왜냐하면 이것은 ‘제하’와 ‘사이’의 관계를 인(人)과 비인(非人 : 짐승과 같은 본성을 가짐)의 관계로 규정지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규정 속에서 한나라는 ‘사이’가 한나라를 침략하는 적국이 되는 것도 원하지 않았고, ‘사이’가 한나라의 일부인 속국이 되는 것도 원하지 않았다. 한나라가 원했던 것은 ‘사이’의 빈번한 침입이라는 외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한나라를 중심으로 ‘사이’에게 안정된 위계질서를 부여하는 강력한 통일 제국의 건설이었다. 결국 기미론은 무제(武帝) 사후에 한나라가 ‘사이’에 대한 대외정책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Ji-mi-lun(羈미論) had emerged from the purpose of building Han-dynasty centered a strong govering order in the name of keeping the Han’s superior culture from the Si-yi’s inferior culture in the Han-dynasty era. The core of the content was that Han-dynasty was thoroughly placed outside of borderline Si-yi, but was going to keep without disconnecting from the relationship. This is exactly Ban-gu’s Ji-mi-bu-jue(羈미不絶). These Ji-mi-lun is based on the more strict Hua-ti-fen-bie-lun than the previous period. Because it was a regulation Zhu-xia and Si-yi’s relationship to a relationship of people and non-people in the form of point of view that couldn’t believe Si Yi’s nature. In the midst of this, Han-dynasty did not want that Si-yi is the enemy or dependency of Han-dynasty. Han-dynasty truly wanted was the construction of a strong unified Empire to give Si-Yi a stable hierarchy centering around Han-dynasty. In the end, Ji-mi-lun was a very important theoretical basis in determining Han’s foreign policy regarding Si-Yi after Wu-di(武帝) died.

      • 주자의 자연철학에서 인간의 위상과 역할 : 인본적 생태윤리의 정립을 위한 주자철학의 재구성

        홍성민(Seong mean H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8 No.-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sis the problem of deep ecology and to reconstruct practical ecology from reinterpreting Zhu xi's philosophy.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bio-egalitarianism regards all things as equal, this article, however, criticizes its point of view, and argues that human beings have to regard all sentient being as different by basing on the theory of Li-Yi-Fen-Shu(理一分殊). And this article attempts to recover the status of human beings that is extinguished by deep ecology through Zhu xi's Explanation on Can-Zan-Hua-Yu(參贊化育). Last,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the practical methods of ecology from re-construing Zhu xi's cultivation theory of Ge-Wu(格物) 이 논문은 심층생태주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자철학으로부터 실천적 생태윤리를 재구성해보고자 시도한다. 고찰에 따르면, 심층생태주의의 생명평등 사상은 상식적인 친소관계를 부정하고 모든 대상의 관계를 강제로 획일화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심층생태주의를 비판하면서 주자의 理一分殊說로부터 '동등하면서도 차등적인 배려'의 방식을 도출해낸다. 나아가 이 글은 주자의 참찬화육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심층생태주의의 전일적 존재론에 의해 사라져버린 실천주체로서의 인간의 위상을 회복하고자 한다. 고찰에 따르면, 인간은 자연의 거대한 생명 활동을 돕고 완성하는 중요한 존재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글은 심층생태주의의 실천 방안이 주관적이고 신비적인 것이라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주자의 격물설로부터 생태윤리의 구체적 실천규범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격물은 자연에 대한 일체의 신비화를 걷어내고, 자연 사물의 생존 방식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또 그 삶을 친절히 보살펴주는 참찬화육의 실천이라고 정의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주자(朱子)의 윤리학에서 차등적 배려의 정당성

        홍성민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4 中國學論叢 Vol.43 No.-

        This article attempts to criticize the opinion of treat all sentient beings equivalently asserted by A. Naess & P. Singer, and to certify the justification of discriminative treatment suggested by Zhu xi. This paper, first, criticizes A. Naess & P. Singer`s point of view, and argues that all sentient beings are different based on the theory of Li-Yi-Fen-Shu(理一分殊). Second, this article attempts to recover the status of human beings that is extinguished in dialogue of deep ecology through Zhu xi`s Explanation on Can-Zan-Hua-Yu(參贊化育), and to illuminate significance of Cheng(誠) as basic behavior of Can-Zan-Hua-Yu .Last,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the practical methods of ecology from re-construing Zhu xi`s cultivation theory of Ge-Wu(格物)

      • KCI등재

        조선 후기 통신사(通信使)와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 -사행(使行)기록에 나타난 대일(對日) 인식(認識) 전환을 중심으로-

        정은영 ( Jeong Eun-yo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6 No.-

        中華主義는 事大觀念과 함께 동아시아를 지배하던 국제 질서로 宋代에 이르면, 지역·종족적 기준에 `禮`라는 유교 문화적 요소가 더해지면서 華夷의 구분이 더욱 강화되었다. 이러한 宋代의 華夷觀은 性理學 전래와 함께 新進士大夫에게 수용되면서 조선의 對外 認識에 커다란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조선 후기가 되면 중화주의가 禮的 질서를 추구하는 조선의 성리학적 통치이념과 연결되면서 하나의 관념적 체재를 넘어 외부 세계를 인식하는 실천 규범으로 인식되었는데 특히 중화로 자부하던 明이 오랑캐 淸에게 멸망하는 17세기에 이르러서는 중화의식이 對明義理論, 조선의 강력한 自存意識과 결합하면서 朝鮮中華主義의 모습으로 형상화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은 人倫에 기댄 관념적인 對外觀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朝鮮通信使의 對日 외교관에도 영향을 미쳐 그들은 성리학의 수용이나 『朱子家禮』에 입각한 禮의 실행 여부를 기준으로 일본을 인식하며 일본의 風俗과 경제적 번영을 貶下하였다. 이러한 관념적 대외관은 조선 지식인의 자존의식은 높였으나 현실을 도외시한 것이라 큰 문제를 안고 있었다. 18세기가 되면 조선에 西學이 수용되고 성리학 내부에서도 다양한 사상적 경향이 배태되면서 조선중화주의는 인륜에 기댄 도덕적 관념에서 벗어나 변모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조선통신사들은 일본 文士와의 교류를 통해 일본인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객관적으로 알아갔고 나아가 오랑캐로 인식되던 일본의 근대적 문물을 수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조선중화주의의 변화는 곧 조선을 문명의 수혜자, 일본을 복속의 대상으로 보던 조선통신사행원의 이분법적인 시각을 깨고 객관적 이해로의 전환을 가져왔다. Junghwa Ideology(Sinocentrism) was the international order which ruled East Asia with flunkeyism(worship of the powerful) and was reinforced during Sung Dynasty while Confucian cultural factor based on Li-thought(thought of confucian rituals) added to territorial and ethnic standards. This Hua Yi idea(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during Sung Dynasty was adopted with neo-confucianism by Neo-gentry and worked as a great standard in Joseon`s foreign cognition. In late Joseon, Junghwa Ideology(Sinocentrism) was connected with Joseon`s neo-confucian ruling ideology and recognized as a practical standard which understood foreign worlds beyond a ideological system. Especially when Ming which took prides as Junghwa perished by Qing in the 17th century, Junghwa Ideology(Sinocentrism) was combined with loyalty to the Ming dynasty and strong consciousness of self existence and formed into Joseon Junghwa Ideology(self-consciousness of little china). Thereby Joseon established ideological foreign cognition based on Confucian morality. This situation had an effect on Joseon Tongsinsa`s view of Japan, and they understood Japan on the basis of adoption of neo-confucianism or practice of confucian rites based on Chu zi`s ceremonies, and underestimated Japan`s customs and economical prosperity. This ideological foreign cognition inspired Joseon intellectuals` consciousness of self existence. But it neglected reality and had great problems in it. However, while in the 18th century Joseon adopted Western Learning and inside neo-confucianism diverse tendencies of thought appeared, Joseon Junghwa Ideology broke from morality based on human relationship and underwent a remarkable change. Thereby Joseon Tongsinsa was able to describe objectively Japanese and culture of Japan and came to adopt modern culture of Japan whose people they viewed as barbarian. This change of Joseon Junghwa Ideology enabled Joseon Tonsinsa to cast away their dualism that considered Joseon as a beneficiary of civilization and Japan as an object of subjugation and understand Joseon and Japan objective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