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승택 작품 연구: ‘비조각’ 개념을 중심으로

        이인범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9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Seung-taek Lee’s art works. Lee’s early works had their roots in sculpture, but he would later explore various genres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ranging from drawing, modern painting, objet, performance, installation, and photo-picture. Lee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for Korean experimental art, as evidenced by the numerous exhibitions and research under his name. One of the most notable exhibitions was the Seung-taek Lee Invitiational Exhibition in 1997, which attempted to highlight the 50 year history of Korean experimental art. Despite his importance in Korean experimental art, most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fail to consider the full picture and chronological importance of Lee’s artwork. Instead, they would only focu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Lee’s art by looking at each piece separately. Furthermore, these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would often rely on non-credible records, casting even more doubt on credibility. This article will first thoroughly analyze the existing literature on Lee’s ar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I identify four phases of Lee’s art as follows: 1) while embracing the western practice of sculpture, Lee would experiment with traditional Korean objects such as totem poles and pottery, or with ordinary industrial objects such as wood, glass, vinyl, and steel. Lee would also experiment with anti-sculpture installation art with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smoke, fire, and wind to reflect on the memories of cultural anthropology (1955-1971). 2) Lee also combined natural objects and artificial objects—such as sculptures, white porcelain, books, currency—by using a “rope” to contemplate on their existence via methodical and conceptual thoughts (1972-1983). 3)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 Lee intervened in various aspects of reality such as shamanism, self-burning, environment, division of the country, and sexuality via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rt (1984-Early 1990s). 4) Finally, Lee shifted his focus from 3-dimensional experimental art with objet and sculpture to a photo-picture experiment with collage, montage, painting, and drawing (1990s and after). As a result,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focuse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non-sculpture is ironically very limited in identifying the experimental nature of Lee’s non-sculpture art. In addition, by treating photo activity as just a byproduct of installation art, the previous literature fails to account for the importance of photo-picture, which was the main focus of Lee starting from the 1990s. Lee’s art is created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division and Korean War, industrialization, and post-industrialization, and the rapidly changing objects within this time period. There is much more to his art than the experimental aspect, which warrants a more fundamental approa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life. 이 글은 이승택(1932-)의 작품세계 연구다. ‘조각’에서 출발한 그는 ‘비조각’을 내걸며 드로잉·회화·오브제·퍼포먼스·설치·‘포토픽쳐’ 등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실험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한국 실험미술 50년을 조명하고자 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이승택 초대전》(1997)을 비롯한 여러 전시와 연구들을 통해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실험미술의 아이콘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나 연구들이 십중팔구 그의 작품 전모나 시기별 전개를 간과한 채, 단편적 형식적으로 그 실험성에만 주목하고, 그마저 엄정하지 못한 1차적인 기록들에 의존하고 있어 매우 제한적으로 설득력을 지닌다. 이 글은 우선 그의 작품에 관한 선행 기록들이나 연구들을 엄밀히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그 전개를 4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1) 서구 ‘조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장승·옹기 같은 민속 오브제나 각목·유리·비닐·양철 같은 산업화 시대의 일상 재료로 형태실험을 하고, 연기·불·바람 같은 비물질적인 재료로 반조각적인 설치 퍼포먼스로 문화인류학적 삶의 기억을 불러내는 시기: 1955-1971, 2) 조각·백자·책·화폐나 돌·나뭇가지 같은 인공물과 자연사물들을 ‘줄’로 묶어 그 존재를 방법적·개념적으로 묻는 시기: 1972-1983, 3) ‘비조각’ 개념을 내걸며 설치·퍼포먼스로 무속·분신·환경·남북분단현실·섹슈얼리티 같은 삶의 현실에 개입해 들어간 시기: 1984-1990년대 초, 4) 지금까지의 3차원적인 오브제·조각 매체 실험에서 무게 중심을 사진콜라주·몽타주·페인팅·드로잉 등 이미지 실험으로 옮긴 ‘포토픽쳐’작업을 한1 990년대 이후 등. 그 결과 ‘조각’을 향한 ‘비-조각’적 실험에 주목했던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정작 그 실험성의 성격을 드러내는 데서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게다가 사진작업은 단지 설치·행위의 기록으로 부수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이승택이 일찍부터 추구했고 특히 1990년대 이후엔 몰입하다시피 했던 ‘포토픽쳐’에 관한 평가가 간과되었다는 점이 확인된다. 더불어 남북분단과 전쟁, 산업화, 후기산업시대 등으로 전개되며 급변하던 사물들의 체계를 배경으로 펼쳐진 이승택의 작품은 실험성만이 아니라, 인위성과 자연성, 오브제와 삶 사이에서 살아있는 새로운 사물의 질서 모색이라는 보다 근본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청된다.

      • KCI등재

        이승택의 ‘행위적 사진’ 연구

        여문주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0 No.40

        Most evaluations of Lee Seung-Taek’s art have focused on his sculptures, objects,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produced within the context of the Korean experimental art movement in the 1970s. However, as an artist constantly exploring new materials and experimenting with new forms through his concept of ‘non-sculpture,’ he also actively utilized photography in various ways earlier than his contemporaries. He delved into the artistic possibilities of photography, not solely as a means of documenting artwork, but as an integral process in completing its meaning.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aesthetic and artistic significance of Lee Seung-Taek’s photography in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art by closely examining the changes and defining characteristics of his photography over different periods. Furthermore, by approaching his works through the prism of photography, an aspect that has received limited attention in prior research, this paper seeks to uncover a new facet of Lee Seung-Taek’s art. 이승택에 대한 기존의 미술사적 가치 평가는 대부분 70년대 실험미술 내에서 전위적 형식으로 제작됐던 조각, 오브제, 설치, 퍼포먼스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비조각’ 개념을 통해 부단히 새로운 소재를 찾아 새로운 조형성을 실험하는 가운데, 누구보다 이른 시기에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사진을 적극 활용했던 작가이기도 하다. 그는 사진을 단순히 작품을 기록하는 수단이 아니라, ‘작품의 의미를 완성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간주함으로써 사진의 예술적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탐색해왔다. 이에 본고는 이승택의 사진 활용 방식과 형식에 나타나는 시기별 변화의 양상과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고, 사진이 그의 작품을 구성하는 제 요소들과 복잡하고 중층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논구한다. 아울러 그의 사진 작업이 한국 현대사진의 역사에서 갖고 있는 미학적, 예술적 의미를 논구하고, 이를 통해 선행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그의 예술의 새로운 면모를 살펴본다.

      • KCI등재

        역설과 저항의 미학 - 이승택의 ‘비조각’ -

        김이순 ( Kim Yiso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0 예술과 미디어 Vol.19 No.2

        이 글은 조각가 이승택의 ‘비조각’을 재료, 기법, 개념의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일찍이 기성의 것에 대한 저항의식을 갖고 있던 이승택은 조각개념에 거스르는 작업을 했고 이를 ‘비조각’으로 통칭했다. 최근 미술계에서는 이승택에 주목하여 그의 평면작업이나 퍼포먼스조차도 ‘비조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작가 스스로 ‘비조각’을 ‘조각이 아닌 조각’이라고 설명했기 때문에 그의 ‘비조각’을 ‘조각’ 장르의 차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승택의 ‘비조각’ 작품을 통해 그가 어떻게 ‘조각’ 개념을 해체하면서 전위성을 모색했는지를 살펴본다. 이승택은 오지, 유리, 비닐, 바람, 불과 같은 뜻밖의 재료로 ‘비조각’을 구현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획기적인 표현재료는 바람과 불 같이 비가시적이거나 유동적인 물질인데, 자신의 작품에 기름을 붓고 불을 질러 태워 없애는 <분신행위>에서는 피어오르는 불꽃과 연기, 그리고 열기, 소리, 냄새까지 작품에 포함시켰다. 기법적으로는 조각작품을 살붙이기나 깎기가 아닌 ‘묶기’의 방법으로 제작했으며, 나아가 미술작품은 미술관에서 영원히 보존되어야 한다는 개념을 거부했다. 1958년 대학졸업전에 출품한 <역사와 시간>에서는 표면에 가시철망을 감은 작품을 출품하였고, 그 이후 여성 인체, 도자기, 화강암 덩어리, 나뭇가지, 각목, 파이프, 책, 캔버스, 지폐, 헌옷 등을 실제로 혹은 착시적으로 감거나 묶는 방식으로 사물의 물성에 대한 반전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의 시각, 즉 눈으로 보는 것에 대한 믿음에 대한 존재론적(存在論的)인 물음을 던졌다. ‘비조각’의 양상은 이승택이 일찍부터 주력했던 영역인 사진 작업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실험적인 작품을 기록하기 위해 사진을 촬영했으며, 때로는 특정 장소나 소재를 선택하여 촬영하기도 했다. 후자의 경우, 뒤샹이 소변기를 선택하여 서명하고 전시회에 출품함으로써 기성의 소변기를 자신의 작품으로 만들었듯이, 제작 과정이 거의 없거나 약간의 개입만으로 대상을 작품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를 ‘장소적 레디메이드’라고 할 수 있으며 개념적으로 ‘비조각’을 실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승택은 ‘비조각’이라는, 고정된 형태가 없는 조각을 제작했고, 나아가 소리, 냄새 같은 비가시적인 요소까지 조각에 담았으며, 이런 작업을 통해 우리의 감각과 상식에 충격을 가하면서 우리의 인식을 확장했다. This paper examines Lee Seung-taek’s ‘non-sculpture’ in terms of materials, techniques, and concepts. Lee sought for new materials in all respects, and he represented ‘non-sculpture’ with unexpected materials. One of the most innovative materials was fire from Self-Burning Performance in 1989. It was a kind of performance art which burns and destroys Lee’s self-portraits along with his other own work, known as ‘the other self.’ A flame, smoke, heat, sound, and smell were the elements that formed while he poured gas over and set a fire on his own work. In the end, it is Lee’s resistance of the conventional system or notion that artwork should be preserved permanently in art museums. Lee has been producing sculptures mainly by tying rather than carving or modeling. In 1958 Lee presented his work, History and Time with barbed wires, wrapped around the surface. Then he used female body, earthenware, book, canvas, bill, old clothing and more to bind, and they all were about ontologistic question. Lee’s interest in photography led him to select place then create photographic artwork. These works can be identified as ‘site ready-made,’ because it has little or no process of production, just as Duchamp made a ready-made urinal into his own work by selecting and signing the urinal and submitting it to the exhibition. Through ‘non-sculpture’, he formed artwork without a fixed form, expressed invisible elements such as sound and smell, and expanded our perception by impacting our senses and common sense.

      • KCI등재

        이승택과 고승현 작품 속 자연공간 연구

        박윤조 ( Yun Jo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이승택과 고승현의 작품 속 자연공간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는 글이다. 그 동안 한국미술계에서 변방을 자처했던 두 작가는 이미 오래 전부터 자연공간에 대해 주목했다. 기념조각상 제작자로 유명한 이승택은 50여 년간 자연공간 속에서 상품적 가치로 환원불가 한 일회적이고 실험적인 작업을 펼치며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다. 고승현은 1981년부터 야 투라는 자연미술 그룹 활동과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를 통해 자연순응적 예술관을 체현해오는 동시에 자연미술의 국제화를 실현시키고 있다. 먼저 공간의 사유화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자연환경과 요소들을 차용한 이승택의 ‘비조 각’의 특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충남 공주에 서 자연과 예술의 의미를 탐색하는 고승현을 통해 자연미술운동을 지향하는 야 투(YATOO) 의 행적과 지역적 특수성에 기반을 둔 자연친화적 지역미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연이라는 공간이 그들에게 당시 예술계에 대한 반성과 예술에 대한 근원적 질문에 서 자신만의 언어를 찾기 위한 실험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서로 자연관은 다르지만 이들의 작업 속 자연공간은 당시 한국 미술계에 대한 대안공간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과거 한국 현대미술의 다양성을 확인하고, 자연과 생태문제에 있어서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the meaning of nature space/place about Lee Seung Taek and Ko Seung Hyun`s artworks. Lee and Ko were on the periphery of Korean artworld and already have many years of noting for the nature space. Lee attempted experimental and temporary works more than 50 years and has established his own independent domains. Since 1981, Ko started working Nature Art with a Korean Nature Artist`s Association, YATOO and Geumgang Nature Art Biennale. First, it is trying to explain about the Lee`s own ``non-sculpture`` from the appropri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lements in terms of the privatization of nature space. Next, it will explore the achievement of Ko and YATOO and the local Art for Nature Art Movement in Chungnam, Gongju. Thus, their nature space is the experiment space for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Korean artwords of the day and finding the their own language concerning about what art is. Although their different the view of nature, it has an important signification in the way that the nature space of their artworks is the alternative space. This attempt could determine the diversity of the Korean contemporary art and become one of the reference about nature and ecology of the contemporary concern.

      • KCI등재

        매체의 기억과 한국 현대미술: 이승택의 작품 세계를 중심으로

        한정민 한국미학예술학회 2024 美學·藝術學硏究 Vol.71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for a new interpretation of contemporary Korean art based on critical reflection on mediums, which is a fundamental element that make up works of art. The main task of this study is to find clues to trace the historical trend of contemporary Korean art and its conditions by examining the multilayered perspectives that run through the works of Seung-taek Lee, which has been discussed and interpreted in terms of issues such as “non-sculpture,” “experimental art,” and “avant-garde.” Seung-taek Lee has pursued artistic practice by rejecting existing frameworks and stereotypes in art and propounding the concept of “non-sculpture”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idea of art. On the other hand, the sensitivity to matter, materials, techniques, and skills observed in Lee’s journey from sculptor and to non-sculptor can be a key issue that runs throughout his entire work. His artistic struggle to constantly delve into the matter, skills, and visual elements that make up each art genre and sociocultural customs or structures brings back memories of mediums that are sometimes forgotten in the rapidly changing artistic environment of today. In this respect, mediums as a catalyst for mnemonic techniques can serve as a substantial stepping stone for exploring the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Seung-taek Lee’s art, and can further provide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for a new reading of contemporary Korean art.

      • KCI등재

        이승택의 ‘비(非)-조각’에 대하여: 기록 사진과 ‘포토-픽쳐’의 틈

        이인범 ( Ihn-bum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4 No.-

        1956년 인체 조각으로 데뷔한 이래 이승택은 조각뿐만 아니라, 드로잉, 회화, 대지예술, 설치, 퍼포먼스, 사진 등 다양한 장르에서 실험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리고 그 실험성은 ‘비조각’ 개념으로 언급되어 왔다. 이승택의 청장년기 작업은 서구 근대 ‘조각’ 개념을 대상으로 한 예술적 실험이라는 점에서 ‘비조각’으로 다루어질 만하다. 그런데 1980년대 이후 그의 실험들은 조각 개념과 무관한 문화인류학적 오브제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삶의 영역들에까지 확장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후기 작업들까지 아울러 ‘비조각’ 개념 아래 거론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조각-비조각 같은 이분법적 접근으로는 재료, 기법 등 매체적 문제나 장르, 제작 연도 같은 기초적인 정보 확정도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 예컨대, 설치나 퍼포먼스로 취급된 작품들 중 적지 않은 것들은 재료로 그 기록 사진들을 활용하였을 뿐, 엄밀한 의미에서 기록 사진이 아니라 다만 그 위에 덧칠되거나 콜라주, 몽타주하여 재구성된 이미지들인 경우가 허다한 ‘포토-픽쳐’이다. 따라서 ‘비조각’이라는 단정 아래 논의 해온 이승택의 예술 세계를 그 발생사적 전후 관계, 작품 형식이나 기록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바탕으로 새롭게 해석해야 할 여지가 적지 않다 Seung-Taek Lee has attracted attention in the Korean art world with experimental artworks, since he made his debut through a sculptural work in 1956. The experimental nature of his work has been referred to as a concept, ‘non-sculpture’ after he contributed his essay, “The origin of my non-sculpture” to a art magazine in 1980. However, the considerable errors are found in the relevant records of his works of art. Sometimes there are so many problematic errors in basic records of his works, especially documentary photography or the records of artwork such as the names, year of production, materials, techniques, size and etc. These errors not only make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historical context between each works and his interaction with other artists, but also caused great confusion the understanding of his artworks. His performances and installations, which have been active since the 1980s, have been discussed through the photographic images. By the way many of them are not just records of objects or events but have been painted or collaged on photographies. Therefore taking it as an index that dictated actual works and characterizing them as an extension of the concept of ‘sculpture’ or its symmetrical concept ‘non-sculpture’. These Seung-Taek Lee’s photography works should be called his own ‘Photo-Picture’.

      • KCI등재

        이승택의 (비)조각 연구: 『세계여체조각』을 중심으로

        임수영(Sooyoung Leam) 현대미술사학회 2021 현대미술사연구 Vol.- No.49

        조각의 전통적 물질성과 개념을 전복한 ‘비(非)조각’으로 대표되는 작가 이승택(李升澤, 1932~)의 작품세계에 대한 역사화와 담론화는 그 어느 때보다 현재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1950년대 후반부터 매체와 장르를 넘나들며 지금까지 왕성한 작업을 이어 온 작가에 대한 논의는 체제에 대한 부정과 실험성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특히 한국의 전위예술과 행위예술의 범주 안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본 논고는 이러한 담론 속에서 지속적으로 배제되거나 간과되어 왔던 이승택의 1976년도 단행본 『세계여체조각(Woman Sculpture of the World)』에 주목한다. 그 방법으로 출판 배경과 제작 의도, 도판 중심의 구성을 분석하고, 책의 주제와 편집과정이 어떻게 ‘비조각’을 향했던 이승택의 초기 작업과 연결되어 있는지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세계’를 대상으로 조각의 역사를 스스로 구축함으로써, 자신의 작업을 맥락화한 다양한 시도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본 논고는『세계여체조각』을 ‘비조각’이라는 표현을 구체화하기에 앞서 ‘조각이 될 수 없는 것’에 지속해서 괄호 치기를 시도한 이승택의 ‘(비)조각적’ 탐구의 일환으로 바라본다. This paper offers a close reading and a ‘deep’ contextualization of Woman Sculpture of the World (sic), a photographic compendium authored by Lee Seung-taek and published by Yeolhwadang in 1976. Best known for his subversive experimentation with traditional materiality and the concept of sculpture, known as ‘non-sculpture’, critical studies on Lee’s artistic practice continue to grow, yet remain fragmented: his non-sculptures have variously appeared in the contexts of Korean avant-garde art, conceptual art, and postmodernism, among others. Futhermore, they have repeatedly undermined the significance and relevance of Woman Sculpture of the World , a magnum opus which contains carefully selected, edited and arranged black-and-white photographic plates of sculptures from different historic periods and cultures. Revisiting this hitherto overlooked publication, this paper examines its objectives, editorial composition, and the ways in which Lee sought to situate his own practice by ‘re-worlding’ the history of sculpture. This paper thus argues that the publication takes part in Lee’s experimentation with sculpture, which arises from bracketing the conventional notion of the genre with that which it is not.

      • KCI등재

        한국 현대 희곡의 `비극성` 발현 양상 연구 - 로컬리즘과 샤머니즘 수용 작품을 중심으로 -

        이미나 ( Lee Mi-na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5

        희곡에서 `비극성`은 인간의 불가피한 고통에서 얻는 비극적 기쁨의 미학으로 나타나며, 고통을 초월하기 위해 고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 현대 희곡사에서 `비극성`에 대한 논의는 그 중요성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며, 구체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 현대 희곡에서의 `비극성`이 발현되는 양상을 토속적 특징을 지닌 작품을 중심으로 갈등구조와 제의적 요소를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로컬리즘의 특성을 지닌 사실주의 희곡을 대표하는 차범석의 「산불」과 천승세의 「만선」을 중심으로 `비극성`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 두 번째 장에서는 샤머니즘을 수용한 작품인 오태석의 「백마강 달밤에」와 이윤택의 「문제적 인간 연산」을 중심으로 제례의식을 통한 `비극성`의 표출 양상을 고찰하였다. 차범석의 「산불」과 천승세의 「만선」은 1950년대 이후 극도로 피폐해진 한국의 비극적인 상황과 그 현실을 살아가야 하는 민족들의 애환과 고통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두 작품은 모두 해방 이후 사실주의 희곡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농어촌 사람들의 삶을 충실히 반영한 로컬리즘의 토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두 작품에서 농어촌의 배경은 인물들의 비극적인 상황을 극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산불」에서는 삶의 터전인 뒷산의 대밭이 불에 타면서 비극성이 강조되며, 「만선」에서는 마지막 남은 아들을 바다에 띄워 보내는 것에서 비극성이 극대화된다. 이처럼 두 작품은 농어촌이라는 공간과 그 공간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갈등구조를 통해 `비극성`이 표출되는 양상을 보인다. 오태석의 「백마강 달밤에」와 이윤택의 「문제적 인간 연산」은 작품에서 `굿`을 활용하여 비극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는 샤머니즘의 특징을 갖는다. 역사극이면서도 조상신을 모시는 무속제의의 굿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 두 작품은 제례의식을 통해 비극성을 표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 제례의식인 굿은 중요한 모티프로 활용되며, `비극성`을 표출하는 매개로 작용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현대 희곡의 `비극성`은 토속적 풍속을 그린 로컬리즘과 토속적 신앙형태인 샤머니즘을 수용한 작품에서 한국 희곡의 특징적인 요소와 함께 발현되고 있다. 사실주의 희곡의 로컬리즘과 토속적 신앙형태인 샤머니즘을 모티프로 한 반사실주의 희곡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통해 `비극성`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 희곡의 특징적인 요소를 함께 고찰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debate on `tragic characteristics` in Korean modern drama is inadequate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the need for specific discussion is rais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anifestation of `tragic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Korean dramas through shamanism and locality with focusing on works which hav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chapter, expression aspect of `tragic characteristics` through ritual ceremony in Oh Tae Suk, 「In a Moonlight Night of Baekma River」and Lee Yun Taek「Problematic Human Yeoun-San」have been researched. And in the second chapter, the aspects of Cha Bum Suk「forest fire」and Chun Seung Se「Ship filled with Fish」have been focused. Cha Bum Suk「forest fire」and Chun Seung Se「Ship filled with Fis h」are realistically depicting about tragic situation in Korea, which has become extremely devastated situation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afflictions and sufferings of the people who had to live the reality at that time. Both works are evaluated as representative works of realistic plays since liberation and have the commonality of localism that faithfully reflects people`s life in rural areas. And in these two work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ackground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the tragic characteristics situation of people through the medium of nature. Oh Tae Suk, 「In a Moonlight Night of Baekma River」and Lee Yun Taek「Problematic Human Yeoun-San」have similarities in case that they use exorcism in their works to overcome the tragic circumstances. These two works which have commonality that they form ritual ceremony for ancestral gods that is, exorcism of ritual ceremony as well as forming historical drama which also can be said that two works have expressed tragic characteristics through ritual ceremony. In both works, the exorcism as ritual ceremony serves an important motif to express the tragic characteristics. The `tragedy` of Korean modern drama is expressed in the works of localism that depicts the local culture of shamanism and local custom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Korean drama. The study of `tragedy` in Korean contemporary drama is in lacked compared with its importance which means various discussions in specific aspect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from now on.

      • KCI등재

        이승택의 작품에 나타나는 전통과 트랜스 모더니티 -‘비조각’ 개념이 드러나는 1960~80년대 <고드레 돌>과 <바람> 연작을 중심으로-

        박가연 예술과미디어학회 2023 예술과 미디어 Vol.22 No.1

        서구의 미술사조로는 규정지을 수 없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가진 한국 실험미술의 대표작가 이승택(李升澤, 1932-)은 평생 동안 ‘비(非)조각’이라는 화두를 통해 자신의 작품세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작가는 재료나 매체에 대한 실험적인 시도들뿐 아니라, 당시 한국 미술의 주류로 인식되던 서구 근대 미술을 극복하고자 한국 현대조각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민속’과 ‘무속’이라는 한국의 전통문화 속에서 찾아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승택의 1960~80년대의 작품을 통해 세계 속 한국 현대미술의 대안을 전통에서 찾아내는 그의 ‘비(非)조각’을 트랜스모더니티의 관점으로 새롭게 읽어보고자 한다. 전 지구가 단일한 문화로 통합될 수 없는 시대가 된 지금, 전 세계에서 나타나는 복수의 모더니티를 사유하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전통에서 독자적인 정체성을 찾고자 한 그의 작품이 현재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지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미술에서 다루어지는 ‘전통’의 확장 가능성을 재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비조각 담론의 큐레이팅 : 《2020 창원조각비엔날레》를 중심으로

        김성호 한국미술이론학회 2020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30

        본 연구는 《2020창원조각비엔날레》의 주제인 비조각 담론의 큐레이팅을 분석한다. 그레마스의 기호학에서 '비(not)'의 모순 논리를 빌려온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연구나, 비조각적 재료를 통해 비조각을 실험했던 이승택의 작품에서도 중성화는 주요한 개념이다. 본 연구는 비조각에 내재한 자기모순과 자기반성의 중성화 담론에 대한 큐레이팅을 위해서 ‘빗금( / )’의 메타포를 제시한다. ‘빗금의 경계’ 또는 ‘빗금 큐레이팅’은 A와 B의 영역을 계보학처럼 명확히 구별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리좀처럼 허물지도 않는다. 그것은 A와 B를 빗금의 경계 양쪽에 위치시키되 서로의 영역을 일정 부분 공유하는 화해와 소통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연구는 야외/실내, 처음/마지막, 작품/작품, 작품/환경 그리고 조각/비조각의 영역에서 실제로 실험했던 빗금 큐레이팅을 분석하면서 비조각 담론의 큐레이팅 모델을 다각도로 탐구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uration of the discourse of non-sculpture, the theme of the 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0. Neutralization is the main concept in Rosalind Krauss' thesis, which borrows the contradictory logic of not(~) from A. J. Greimas' semiotics, and in the works of Lee Seung-Taek, who experiments with non-sculpture through non-sculptural materials. This study proposes a metaphor of slash (/) for the curatorial practice concerning the discourse of the neutralization of self-contradiction and self-reflection inherent in non-sculpture. Slash curating, would neither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A and B, nor break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m. While slash curating places A and B on the opposite sides or slash, it allows for reconcili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a shared area. This study examines how slash curating has been used in the form of outdoor/indoor, first/last, work/environment, or sculpture/non-sculpture, and explores the curatorial model for non-sculptural discourse from diverse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