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방" 후"한국기독교인들의"토착적인"사회복지" 형성"연구

        이은선 ( Lee¸ Eun Seon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0 역사신학 논총 Vol.37 No.-

        해방 후 한국기독교의 사회복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람들은 광주를 중심으로 활동을 했던 최흥종, 강순명, 이현필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성경만을 읽고 실천하여 절대청빈과 금욕주의를 실천했던 이세종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최흥종은 포사이스 선교사가 한센병환자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사랑하는 모습에 감동을 받아 평생 동안 한센병환자들과 결핵환자들을 돌보는데 헌신하였다. 해방 후에 그는 음성한센병 환자들을 위해 나주에 호혜원을 설립하였고, 결핵환자들을 돌보는 송등원과 무등원의 설립과 운영에서 이현필과 협력하였다. 그의 사위인 강순명 목사는 이세종과 장인인 최흥종 목사와 일본 사회주의자인 가가와 토요히꼬와 광주 의YMCA 에비슨 등의 영향을 받아 공동체생활을 통해 무료교육을 하는 교육복지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해방전에는 독신수도단을 통해 농촌지도자 육성하고자 하였고, 해방 후에는 복음전파자들을 육성하고자 연경원을 설립하여 무료교육의 교육복지를 실천하고자 하였으며, 가난한 노인들을 섬기고자 천혜양로원을 설립하였다. 이현필은 이세종의 순결사상에 가장 깊이 영향을 받았고 최흥종과 강순명의 영향을 받으면서 동광원이라는 수도공동체를 설립하였고 이 수도공동체에서 순명, 순결, 청빈, 사랑, 노동의 영성을 실천하고자 하였고, 그러한 영성을 바탕으로 고아원인 동광원, 결핵환자들을 돌보는 송등원과 무등원귀, 일원등을 설립하였다. 이들은 해방 후의 혼란스럽고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도 기독교신앙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약자들을 가족같이 섬기는 사랑의 공동체를 이룩하는 토착적인 사회복지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The people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social welfare of Christianity after Liberation were Choi Heung-jong, Kang Soon-myung, and Lee Hyun-pil, who were active in Gwangju, and were all influenced by Lee Se-jong, who practiced absolute honest poverty and asceticism by reading and practicing the Bible only. Choi Heung-jong was impressed by the way W. H. Forsythe Missionary loved lepers with the love of Christ and devoted his life to caring for lepers and tuberculosis patients. After Liberation, he established Ho Hye-won in Naju for patients with negative lepers, and cooperated with Lee Hyun-pil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ong Deung-won and Mudeungwon, which take care of tuberculosis patients. His son-in-law, Reverend Kang Soon-myung, was influenced by Lee Se-jong and his father-in-law, Rev. Choi Heung-jong, Japanese christian socialist Toyohiko Kagawa, and Avison of the Gwangju YMCA to realize free education through community life. Prior to Liberation, rural leaders were to be fostered through a single monastery, and after Liberation, Jeonkyungwon, a training center to practice free education welfare was established to foster evangelicalists, and Cheonhye nursing home was established to serve the poor elderly. Lee Hyun-pil was most deeply influenced by Lee Se-jong's idea of purity and established Donggwangwon, which was influenced by Choe Heung-jong and Kang Soon-myung, and he also tried to practice the spirituality of purity, chastity, honest poverty, love and labor. Based on such spirituality, he founded Donggwangwon, Songdeungwon, Mudeungwon, and Gwiilwon, which took care of tuberculosis patients. In the midst of the chaotic and difficult economic situation after Liberation, they tried to practice the indigenous social welfare system, which established a community of love that served the socially disadvantaged as a family based on Christian beliefs.

      • KCI등재

        이현필의 영성과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고찰

        장현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7

        1880년대 우리나라에 들어온 개신교는 지난 100여 년 동안 놀라울 정도로 성장했다. 외국의 새로운 문화를 소개하고 생활 개선을 주도하는 등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기독교인이 1,000만 명에 도달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그러나 최근에 한국 교회가 성장의 정체기를 맞이하면서 영성의 문제와 사회복지 참여 문제는 교회의 화두로 등장하게 되었다. 작금의 한국 기독교가 처한 영성과 사회복지실천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이현필과 그의 공동체 귀일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현필의 영성과 사회복지 활동을 살펴보고 그의 사회복지 실천이 사회복지계에 미친 영향과 의미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들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현필의 삶에 대해 천대받는 자들을 보살핀 사회복지 실천가로서 뿐만 아니라 말씀을 깊게 묵상한 영성가로서 그리고 호남지방과 경기도 일대의 순회하며 복음을 전한 전도자로서의 모습도 조명해 보았다. 이현필의 생애는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따르려는 나눔과 섬김의 실천이었으며, 그의 기독교적 영성은 청빈, 순결, 순명, 사랑, 죄의식으로 대표된다. 이현필과 제자들은 사회적 약자를 보살핌에 있어 철저하게 기독교 영성의 바탕 위에서 행하였다.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자와 대상자로 구분되는 2차적 관계가 아니라 가족의 개념인 1차적 관계를 형성하는 가족 공동체의 실현, 그리고 기독교 영성과 사회복지 전문성이 결합된 귀일원의 복지 모델을 탄생시켰다. 최근 들어 새로운 복지 제도들의 도입과 더불어 기독교계의 사회복지에 대한 높은 관심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기독교의 사회복지 참여는 사회 전반의 의식수준 향상과 더불어 단순한 진입의 문제가 아닌 질 높은 수준의 질을 요구하는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교회가 사회복지 현장에 참여하려면 기독교적 영성과 사회복지의 전문성으로 철저하게 준비되어야만 한다. 이현필의 귀일원 모델은 사회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한국교회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이현필 공동체와 같이 영적으로 무장되어 이웃과 함께하라는 주님의 명령을 감당해 낼 수 있는 교회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Since Christianity was introduced in South Korea in the 1880s, it has develop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hundred years. However, currently the Korean church has reached a stagnant period and given this soul-searching time, the issues of spirituality and community service have surfac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ace the life,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activities of Lee Hyun-pil and evaluate how his activities have affected the social welfare realm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to the Korean churches that have interest in community service. This research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Lee practiced sharing and serving others which resembled Jesus Christ' life. Lee's Christian spirituality can be represented by terms such as honest poverty, purity, martyrdom, love, guilty conscience. Lee and his followers assisted and took care of the socially weak 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 This social welfare practice was not a secondary relationship which is between social welfare recipient and service provider, but a first-hand relationship of family. Thus, it has resulted in the birth of Gwiilwon, a social welfare model of family community realization, Christian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professionalism. The current trend of introducing new welfare policies and the fact that the Christian society is highly interested in social welfare is highly desirable. In order for the church to participat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Christian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speciality must be thoroughly prepared. Lee Hyun-pil's model of Gwiilwon proves as an ideal solution.

      • KCI등재

        정선아리랑의 문화 수용 양상과 과제-현대시와 대중가요의 수용을 중심으로-

        박경수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modern Korean literature, arts, culture have embraced folk song Jeongseon Arirang, and how Jeongsun Arirang has been accepted as a creative element in these cultures. For this, I forcused Korean modern poems and popular mu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sympathy of Jeongseon Arirang’s rhythm, emotion, Korean modern poems which newly sought aesthetic modernity to be linked with specific awareness of today’s life and history, can be achieved. On the other hand, Ha Chun-hwa, Cho Yong-pil, Kim Young-im, Park Ae-Ri and Song So-hee recalled Jeongseon Arirang or Gangwondo Arirang as popular pop songs and made Jungseon Arirang popular again. Besides, among the CD music album, “I want to see Jeongseon!”(Sora Planning, 2011) produced by Kim Hyun-sung, a song based on Ahn Sang Hak’s poem <Night Train> attract attention because it was called by popular singer Choi, Baek-ho. The efforts to create a culture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based on Jungsun Arirang will require more advanced efforts in the field of music so that the public can gain empathy in the future. In particular, it should lead to active efforts in the arts, movies, and contents. 이 글은 민요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의 문학문화와 예술문화를 대상으로, 정선아리랑이 이들 문화에 어떻게 수용되면서 창조적인 요소로 작용하였는지, 그리고 그 결과 문화 텍스트가 가지는 의미와 의의는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시와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정선아리랑의 문화 수용 양상과 과제를 집중 검토했다. 그 결과 현대시의 경우, 정선아리랑의 리듬, 정서, 주제의식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하면서, 그것을 오늘날의 삶과 역사에 대한 구체적 인식과 연결되도록 미적 근대성을 새롭게 모색한 시 작품들이 민요의 바람직한 시적 변용을 이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정선아리랑을 수용한 가요의 경우, 다른 지역아리랑에 비해 가수 김옥심, 하춘화, 조용필, 김영임, 정세훈, 김현성, 이현수, 송소희 등을 만나면서 활기를 띠고 있는 것에 비해 창의적인 대중가요로의 재진입은 <보고싶다! 정선아>를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었다. 정선아리랑의 예술문화 분야의 문화 창출 노력은 앞으로 대중적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가요 분야에서 더욱 창의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특히 미술, 영화, 디지털 콘텐츠 등의 분야에서도 문화 창출 노력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8세기 소론계 문인들의 윤두서서화 수장

        차미애(Cha Mi-A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18세기 초 恭齋 尹斗緖(1668-1715)書畵에 대한 관심을 점검해 보고, 윤두서서화를 소장하고 향유한 小論系 서화감상우들의 인적 구성과 역할, 그리고 그들의 윤두서서화의 수장 양상을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18세기 초 서화고동취미 풍조의 확산과 맞물려 서화애호가들 사이에 윤두서서화에 대한 수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윤두서의 서화 애호층이 등장한 동인은 다작을 하지 않아 희소성의 가치가 높았던 점, 상대할만한 뛰어난 화가가 없어 당시 화단의 제1인자로 급부상한 점, 이전 시기의 화풍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새로운 회화를 추구한 점 등이다. 여러 문헌들을 검토해 본 결과 윤두서의 西人系 서화감상우의 인적 구성은 李夏坤(1677-1724), 柳澔(柳竹?), 李師亮(1660-1719), 閔龍見(혹은 閔龍顯, 1668-1723), 沈齊賢(1661-?), 李明弼(1664-?) 등으로 파악된다. 이들은 윤두서가 46세(1713)까지 한양에 살았던 시기에 긴밀하게 교유했던 인물들로 서인 중에서도 소론 출신이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유호가 윤두서서화를 가장 많이 소장하였으며, 이사량, 이하곤, 민용현은 윤두서서화를 각각 서너 첩 이상을 수장하고 있는 점이 확인된다. 이들이 소장한 윤두서 그림들은 함께 예술 활동을 펼쳤던 李淑(1662-1723), 李萬敷(1664-1732) 등 근기남인 서화가들, 가족과 친인척들에게 그려준 그림의 수량보다 훨씬 많다. 윤두서의 서화를 가장 잘 이해하고 애호했던 인물은 이하곤이다. 1708년-1710년 사이에 윤두서와 교유했던 그는 윤두서의 산수인물도, 노승도, 말 그림을 수장하였다. 평생토록 가장 뜻이 맞는 친구였던 유호는 서인계 감상우 가운데 윤두서의 그림을 가장 많이 수장한 인물이었으며, 사대부들은 그를 통해서 윤두서의 풍류가 또한 평범하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조선 후기 서화평론가 이하곤과 李龜命(1693-1737)은 유호 집안에 소장된 《尹孝彦扇譜帖》을, 趙裕壽(1663-1741)는 《恭齋扇譜冊》을 완상하고 각각 제발을 남겼다. 이사량과 민용현은 사돈지간이다. 이사량은 윤두서와 20년 동안 교유한 서화감상우였으며, 민용현과 그의 장남이자 윤두서의 족질인 민창연도 윤두서의 그림을 수장하였다. 강경파 소론의 영수인 심수현의 동생 심제현과 서예를 잘 했던 이명필은 단짝이었는데, 이들도 윤두서와 서화모임을 빈번하게 가지면서 윤두서로부터 그림을 얻으면 보배로 여겼다고 한다. 윤두서는 감식안이 높은 소론계 서화감상우들과의 예술적 교유를 통해서 그의 명성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면서 18세기 초 화단의 제일인자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nthusiasm to collect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by Yun Du-seo(尹斗緖, 1668-1715) in early 18th century, personal composition and roles of the Soronn(小論) people who gathered to appreciate Yun Du-seo’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aspects of collection. Along with expansion of the trend to encourage panting and calligraphic works in early 18th century, Yun Du-seo’s devotees were enthusiastic about collection of hi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e reasons why such enthusiasm increased rapidly were as follows: his works were rare, he was considered as the most outstanding painter in painting circles of that time, and he pursued for a new painting style which was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ainting styles. The people from Seoin Party who liked his paintings were Lee Ha-gon (李夏坤, 1677-1724), Yu Ho(柳澔), Lee Sa-rang(李師亮, 1660-1719), Min Yong-hyun(閔龍見 or 閔龍顯, 1668-1723), Shim Je-hyon(沈齊賢, 1661-?) and Lee Myeong-pil(李明弼, 1664-?). Most of them belonged to Soron(小論) Party of Seoin Party who were friends with Yun Du-seo when he lived in Hanyang(漢陽). According to Nam Tae-ung(南泰膺), Lee Sa-ryang, Lee Ha-gon and Min Yong-hyon collected more than three or four packs of Yun Du-seo’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hich were more than the works Yun Du-seo gave to painters and calligraphers in Geunkinamin(近畿南人) including Lee Seo(李淑, 1662-1715) and Lee Man-bu(李萬敷, 1664-1732) and his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Lee Ha-gon understood and loved Yun Du-seo’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the most. He made a friend with Yun during 1708 and 1710 and collected paintings with mountains, rivers and persons, an old monk and horses. Yu Ho, the best friend for his whole life, collected the most paintings by Yun Du-seo among members of Seoin Party and noblemen realized Yun Du-seo’s art was not usual through Yu Ho. Lee Ha-gon and Jo Gwi-myong(趙龜命), critic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late Joseon period, admired 《Yunhyoseonbochop(尹孝彦扇譜帖)》 collected by Yu Ho and Jo Yu-soo admired and recorded 《Gongjaeseonbochaek(恭齋扇譜冊)》 in an official report. Lee Sa-ryang and Mim Yong-hyon were related by marriage. Lee Sa-ryang was a friend with whom to appreciate artistic works with Yun Du-seo for 20 years and Min Yong-hyon and his eldest son and Yun Du-seo’s nephew Min Chang-yeon collected Yun’s paintings. Sim Je-hyon, a younger brother of Sim Su-hyon who was a head of Soron Party, and Lee Myeong-pil were close friends, and they had painting gatherings with Yun Du-seo. Through artistic relations with the people of Seoin Party who had good eyes to judge artistic works, he became famous to the world and considered as the best in painting circles of early 18th century.

      • 한국 기독교 성육신의 영성과 사회봉사

        이강학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0 교회와 사회복지 Vol.13 No.-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영성운동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기독교 영성학자 샌드라 쉬나이더스(Sandra Schneiders)의 영성의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가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위에서 살펴본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사회봉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기독교 영성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두 가지 운동 즉, 귀일원과 다일공동체를, 그 출발점과 사회봉사의 관계, 영성훈련의 특징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운동 모두 예수를 사랑하고 예수를 따르려는 것이 모든 활동의 동기였으며, 특히 사회봉사활동은 그 동기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영성훈련이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ristian spirituality and social service. First, it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Using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by Sandra Schneiders, this paper explores various aspects of Christian spirituality. Second, based on the definition, it develops how Christian spirituality relates to social service.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wo representative Christian spiritual movements, Guiilwon and Dail Community, focusing on its beginning, its perspective on social service, and spiritual practices. In sum, for both movements, the motivations are to love and follow Jesus Christ and all their activities including social service have been naturally flowed from those motiv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